KR200252538Y1 - 방음벽용 하부 마감재 - Google Patents

방음벽용 하부 마감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2538Y1
KR200252538Y1 KR2019990003974U KR19990003974U KR200252538Y1 KR 200252538 Y1 KR200252538 Y1 KR 200252538Y1 KR 2019990003974 U KR2019990003974 U KR 2019990003974U KR 19990003974 U KR19990003974 U KR 19990003974U KR 200252538 Y1 KR200252538 Y1 KR 20025253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
gap
present
finishing material
soundproo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39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8133U (ko
Inventor
조성환
Original Assignee
조성환
신성산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성환, 신성산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조성환
Priority to KR20199900039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2538Y1/ko
Publication of KR2000001813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813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25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2538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고속도로 및 주택가 주변에 설치되는 방음벽의 하부 마감재에 관한 것으로, 방음판의하단과 콘크리트 옹벽 상부면의 사이에서 발생되는 틈새에, 상하로 분리형성된 상하 패드와 그 사이의 공간에 다수의 스프링을 내입하여 결합된 본 고안 마감재를 삽입하므로서, 방음판과 콘크리트 옹벽의 사이에서 발생되는 불규칙한 틈새를 그 상부패드가 스프링의 탄발력에 의해 상하 유동되게 하므로서 틈새를 효과적으로 제거하게 되어, 방음 및 차폐의 효과를 향상시키고 그 틈새의 제거가 매우 용이한 효과가 있는 방음벽용 하부 마감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방음벽용 하부 마감재{Lower part Finishing Material for Soundproofed Wall}
본 고안은 고속도로 및 주택가 주변에 설치되는 방음벽의 하부 마감재에 관한 것으로, 특히 그 마감재를 상하로 분리형성하고 그 사이 공간에 스프링을 내입하므로서, 이에 의해 방음판과 콘크리트 옹벽의 사이에서 발생하는 불규칙한 틈새를 효과적으로 마감할 수 있는 방음벽용 하부 마감재에 관한 것이다.
방음벽은 고속도로의 주변이나 철로주변 또는 공장지대와 인접한 주택가 등에 설치되는 것으로, 고속도로등에서 발생하는 차량의 소음이나 공장지대의 소음을 차단하여 주거환경이 개선되게 하는 것이다.
통상적인 방음벽은 콘크리트 옹벽의 상부면에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H-형강 지주를 입설하고 그 사이에 방음재가 내입된 방음판을 삽입하되, 방음판의 상단에 요철이 형성되지 않도록 방음벽의 상단을 수평으로 일치시키고 H-형강 지주에 이를 고정하며, 이때 발생되는 방음판 하단과 콘크리트 옹벽의 상부면 사이의 틈새를 제거하기 위하여, 방음벽과 동일한 폭을 가진 발포고무를 일면 접착처리하여 그 틈새에 끼워 전기한 틈새를 제거하고 있다.
그러나, 전기한 발포고무로 된 하부 마감재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그 접착성이 상실되어 방음판으로 부터 이탈되므로 소음 차단 효과가 없어지고, 방음판과 콘크리트 사이의 틈새가 항상 일정하지 않으므로 일측이 넓고 일측이 좁은 테이퍼형의 틈새가 발생되는 경우에는 발포고무를 깍아 사용하거나 그대로 사용하여 틈새를 완전히 제거하지 못하므로 역시 방음효과가 떨어지게 되는 것이며, 방음판 하부와의 선형이 일치되지 않으므로 미관을 해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제거코져 안출된 것으로서, 방음판의하단과 콘크리트 옹벽 상부면의 사이에서 발생되는 틈새에, 상하로 분리형성된 상하 패드와 그 사이의 공간에 다수의 스프링을 내입하여 결합된 본 고안 마감재를 삽입하므로서, 방음판과 콘크리트 옹벽의 사이에서 발생되는 불규칙한 틈새를 그 상부패드가 스프링의 탄발력에 의해 상하 유동되게 하므로서 틈새를 효과적으로 제거하게 되어, 방음 및 차폐의 효과를 향상시키고 그 틈새의 제거가 매우 용이한 효과가 있는 방음벽용 하부 마감재를 제공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조립단면도
도 3a는 본 고안의 방음벽 설치전 상태도
도 3b는 본 고안의 방음벽 설치후 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의 타실시예도
도 5는 본 고안의 설치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상부패드 2 : 경사면
3,3' : 날개판 4,4' : 계지편
5 : 안착부 10 : 하부패드
11 : 안착부 12,12' : 'T'자형 돌기
13,13' : 계지공 14,14' : 가이더
20,20' : 스프링
30 : 콘크리트 옹벽 31 : H-형강 지주
32 : 기초판 33 : 앵커볼트
34 : 방음판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상부 패드(1)와 하부패드(10)를 각각 분리형성하되,
상부패드(1)는 상부에 경사면(2)을 형성하고, 그 양측에는 하향 돌설된 날개판(3)(3')을 일체로 형성하며, 그 사이의 내부 공간에는 계지편(4)(4')이 대향 돌설된 안착부(5)를 형성하고,
하부패드(10)는 상부패드(1)의 날개판(3)(3') 사이의 공간보다 작은 폭을 갖게 형성하되, 판상의 안착부(11)의 양측에는, 상부에 'T'자형 돌기(12)(12')와 하부에 계지공(13)(13')을 형성한 가이더(14)(14')를 형성하여,
전기한 상부패드(1)와 하부패드(10)를 서로 결합하되, 각각의 안착부(5)(11)에 다수의 스프링(20)(20')을 내입하여 이에 의해 탄지되게 결합하는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30은 콘크리트 옹벽, 31은 H-형강 지주이고 32는 기초판이며 33은 앵커볼트, 34는 방음판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 하부 마감재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의 도시와 같이 본 고안 하부 마감재는 방음판(34)의 하단부와 콘크리트 옹벽(30)의 사이 공간에 삽입되는 것으로서,
먼저, 방음벽(34)의 설치과정을 살펴보면, 방음을 요하는 지역의 지반 상부에 콘크리트 옹벽(30)을 설치하고, 그 상부면에 기초판(32)을 결합하되, 콘크리트 옹벽(30)내에 매설된 앵커볼트(33)에 의해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기초판(32)의 상부에는 H-형강 지주(31)를 입설하되 용접에 의해 견고하게 부착하면 되는 것이다.
이렇게 서로 일정한 이격거리를 갖는 H-형강 지주(31)의 사이 공간에 다수의 방음판(34)을 삽입하며, 그 상부면이 서로 일치되게 하여 볼트등의 결합수단에 의해 방음판(34)과 H-형강 지주(31)를 서로 고정하면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부면이 일치된 방음판(34)에 의해 그 하단부는 콘크리트 옹벽(30)의 상부면과 틈새가 발생하므로 이를 제거하기 위하여 본 고안 마감재를 삽입하게 되는 것이다.
도 3a 및 도 3b의 도시와 같이 본 고안 마감재는 그 하부패드(10)가 콘크리트 옹벽(30)의 상부면에 올려지게 하며, 상부패드(1)의 경사면(2)에는 방음판(34) 하부의 경사면이 서로 계지되게 한 것이다. 여기서, 상부패드(1)의 경사면(2) 및 방음판(34)의 하부가 경사상으로 형성된 것은 그 경사각에 의해 소음의 차단진로가 연장되게 하므로서 방음 및 차폐의 효과가 크게 하는 것이다.
이렇게 결합된 본 고안 하부 마감재는 그 틈새의 크기에 따라 내부의 스프링(20)(20')이 탄력적으로 탄발하므로, 상부패드(1)의 날개판(3)(3')이 하부패드(10)의 가이더(14)(14') 폭보다 넓게 형성되어 있어 그 날개판(3)(3')이 상하로자유로이 승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그 상하로 승강되는 날개판(3)(3')의 변동폭 허용범위내에서 그 틈새를 효과적으로 밀폐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그 허용범위를 초과하는 틈새에 대해서는 도 4의 도시와 같이 하부패드(10)를 하나더 연결하면 되는 것인데, 그 연결방법은 하측에 놓여진 하부패드(10)의 가이더(14)(14') 상부에 형성된 'T'자형돌기(12)(12')를, 상측에 놓여진 가이더(14)(14') 하부의 계지공(13)(13')에 삽입하므로서 서로 이탈되지 않고 결합되는 것이다.
이렇게 결합된 복수의 하부패드(10)는 비교적 그 틈새가 큰 구역에서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 상부패드(1)의 하부 내측에 형성된 스프링(20)(20')의 안착부(5)에는 계지편(4)(4')이 서로 대향되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안착부(5)에 스프링(20)(20')이 삽입되면 그 계지편(4)(4')에 의해 스프링(20)(20')의 이탈이 없게 되는 것이다.
또한, 콘크리트 옹벽(30)의 상부면이 고르지 않고, 방음판(34)의 하단 역시 수평으로 형성되지 않아서, 일측의 틈새는 크고 타측의 틈새는 작은 테이퍼 상의 틈새가 발생하게 되는 경우에도 본 고안 마감재를 삽입하면 틈새가 좁은 구역에서는 스프링(20)(20')의 압축량이 증가되고 틈새가 큰 구역에서는 그 스프링(20)(20')의 압축량이 적게 되므로 테이퍼상의 틈새에도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 방음벽의 하부 마감재는 그 방음벽의 조립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방음 및 차폐의 효과를 극대화 시키며, 균일치 않은 틈새에 대해서도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그 상부패드(1) 및 하부패드(10)의 생산방식이 압출에 의한 것이어서, 종래에서처럼 일정한 규격을 가진 발포고무를 접합하여 사용하거나 절단하는 등의 문제점이 없이 사용 길이에 따라 적절하게 그 생산 길이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그 생산성 또한 향상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 방음벽의 하부 마감재는 방음벽의 설치를 용이하게 해주면서도, 방음판과 콘크리트 옹벽의 사이에서 발생되는 불규칙한 틈새를 그 스프링의 탄발력에 의해 상부패드가 상하 유동되므로 이를 효과적으로 제거하게 되어 방음 및 차폐의 효과를 향상시키고 그 틈새의 제거가 매우 용이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상부 패드(1)와 하부패드(10)를 각각 분리형성하되,
    상부패드(1)는 상부에 경사면(2)을 형성하고, 그 양측에는 하향 돌설된 날개판(3)(3')을 일체로 형성하며, 그 사이의 내부 공간에는 계지편(4)(4')이 대향 돌설된 안착부(5)를 형성하고,
    하부패드(10)는 상부패드(1)의 날개판(3)(3') 사이의 공간보다 작은 폭을 갖게 형성하되, 판상의 안착부(11)의 양측에는, 상부에 'T'자형 돌기(12)(12')와 하부에 계지공(13)(13')을 형성한 가이더(14)(14')를 형성하여,
    전기한 상부패드(1)와 하부패드(10)를 서로 결합하되, 각각의 안착부(5)(11)에 다수의 스프링(20)(20')을 내입하여 이에 의해 탄지되게 결합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벽용 하부 마감재.
KR2019990003974U 1999-03-13 1999-03-13 방음벽용 하부 마감재 KR20025253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3974U KR200252538Y1 (ko) 1999-03-13 1999-03-13 방음벽용 하부 마감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3974U KR200252538Y1 (ko) 1999-03-13 1999-03-13 방음벽용 하부 마감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8133U KR20000018133U (ko) 2000-10-16
KR200252538Y1 true KR200252538Y1 (ko) 2001-11-16

Family

ID=54760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3974U KR200252538Y1 (ko) 1999-03-13 1999-03-13 방음벽용 하부 마감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2538Y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4075B1 (ko) 2006-02-22 2006-05-29 주식회사 포스에이씨 종합감리 건축사사무소 공동 주택 기초 공사용 토류판의 구조
KR100610563B1 (ko) 2006-05-12 2006-08-09 (주)건축사사무소 제일건축 건축물의 기초공사용 토류판 구조
KR100627891B1 (ko) 2006-06-21 2006-09-26 (주)신도시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높이 조절이 가능한 건축공사용 슬라이딩 토류판
KR101075786B1 (ko) * 2009-02-19 2011-10-21 한울타리뉴아트휀스주식회사 방음판 고정구
KR101109508B1 (ko) * 2011-04-04 2012-01-31 신성산건 주식회사 미관을 향상시킨 디자인 방음벽
KR101580109B1 (ko) * 2015-02-25 2015-12-28 주식회사 알지오이엔씨 흙막이 토류판
KR101591664B1 (ko) * 2015-07-23 2016-02-04 주식회사 에코프랜 배수유도형 누수방지 방음터널
KR101852009B1 (ko) 2017-12-05 2018-04-25 주식회사 누리플랜 유지보수성, 차음성 및 흡음성이 우수한 방음벽용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방음벽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9901B1 (ko) * 2020-02-19 2020-10-16 주식회사 해일 내진 방음벽 구조체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4075B1 (ko) 2006-02-22 2006-05-29 주식회사 포스에이씨 종합감리 건축사사무소 공동 주택 기초 공사용 토류판의 구조
KR100610563B1 (ko) 2006-05-12 2006-08-09 (주)건축사사무소 제일건축 건축물의 기초공사용 토류판 구조
KR100627891B1 (ko) 2006-06-21 2006-09-26 (주)신도시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높이 조절이 가능한 건축공사용 슬라이딩 토류판
KR101075786B1 (ko) * 2009-02-19 2011-10-21 한울타리뉴아트휀스주식회사 방음판 고정구
KR101109508B1 (ko) * 2011-04-04 2012-01-31 신성산건 주식회사 미관을 향상시킨 디자인 방음벽
KR101580109B1 (ko) * 2015-02-25 2015-12-28 주식회사 알지오이엔씨 흙막이 토류판
KR101591664B1 (ko) * 2015-07-23 2016-02-04 주식회사 에코프랜 배수유도형 누수방지 방음터널
KR101852009B1 (ko) 2017-12-05 2018-04-25 주식회사 누리플랜 유지보수성, 차음성 및 흡음성이 우수한 방음벽용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방음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8133U (ko) 2000-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52538Y1 (ko) 방음벽용 하부 마감재
KR102044345B1 (ko) 하중분산형 방음벽 및 이의 방음패널 교체방법
KR101129488B1 (ko) 지주 및 방음패널의 이탈방지 및 내진 장치
KR101734343B1 (ko) 데크 지지판, 이를 포함하는 데크 구조체 및 이의 시공 방법
CN111945920B (zh) 一种分级屈服阻尼器
KR20200107153A (ko) 배수기능을 구비하는 내진 방음터널 및 그 시공방법
KR102066107B1 (ko) 탄성 결속구를 이용한 방음터널의 상부 방음판 고정장치
KR102266434B1 (ko) 바닥 방음 조립체
KR102362010B1 (ko) 목재오염 및 유격을 방지하기 위한 데크구조물
KR20190048277A (ko) 방음벽
JP2001182207A (ja) 床パネルの支持構造
JP2744761B2 (ja) まくらぎの防振装置
KR101663825B1 (ko) 자석을 이용한 목재 패널 결합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목재 시설물
JP4674718B2 (ja) 隣接する建物の連結構造
KR101841493B1 (ko) 차량 통행용 덮개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JP2001098502A (ja) 枕木の敷設構造
KR101715787B1 (ko) 유지 관리가 용이한 방음벽
KR102356561B1 (ko) 교체가 용이한 방음패널 구조체
KR200412606Y1 (ko) 방음 판넬 어셈블리
JP2007231631A (ja) 高架道路の荷重支持型伸縮継手
JP6775955B2 (ja) 床構造
KR102430764B1 (ko) 도로용 방음벽
JP2006249765A (ja) 床用エキスパンションジョイント
KR102175801B1 (ko) 방음판의 탈부착이 용이하며 탈락방지 기능이 구비된 방음시설
JPH0626133A (ja) 振動吸収介装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19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