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2316Y1 - 튜브형 간이 수족관 - Google Patents

튜브형 간이 수족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2316Y1
KR200252316Y1 KR2020010021883U KR20010021883U KR200252316Y1 KR 200252316 Y1 KR200252316 Y1 KR 200252316Y1 KR 2020010021883 U KR2020010021883 U KR 2020010021883U KR 20010021883 U KR20010021883 U KR 20010021883U KR 200252316 Y1 KR200252316 Y1 KR 20025231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aquarium
fish
tubular
supply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18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탁범
Original Assignee
김탁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탁범 filed Critical 김탁범
Priority to KR20200100218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231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23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2316Y1/ko

Links

Landscapes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튜브형 간이 수족관에 관한 것으로서, 어류의 생존을 위해 산소와 물을 공급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간단한 구조의 튜브형 수족관을 이용하여 어류를 각각 하나씩 보관 및 전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존의 수족관에 비해 물의 사용량이 적을 뿐만 아니라 차지하는 공간이 많지 않고 소형의 부대설비만으로도 수족관 가동이 가능하여 수족관 설치와 관련한 비용적인 측면을 대폭 절감할 수 있으며, 어류를 개별적으로 보관 및 전시할 수 있는 동시에 어류의 활동공간에 제약을 줄 수 있어 어류의 상해방지에 따른 상품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동시에 어류의 맛과 선도를 오래 유지할 수 있도록 한 튜브형 간이 수족관을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Description

튜브형 간이 수족관{Tube type simple aquarium}
본 고안은 튜브형 간이 수족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물순환구조를 포함하는 튜브형태의 수족관을 제공하여 어류의 낱개 보관 및 전시를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기존의 수족관에 비해 물의 사용량을 줄이고 공간점유율을 낮출 수 있는 동시에 설비의 규모를 대폭 축소할 수 있으며, 어류 간의 접촉없이 개별적으로 보관/전시함에 따라 어류의 상해를 막아 상품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튜브형 간이 수족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족관은 소정의 크기를 갖는 유리관 등의 구조물 내에 활어 등의 어류를 보관 및 전시하는 기능을 하는 것인 바, 이러한 수족관에는 어류의 생존을 위한 적정량의 산소와 적당한 온도의 물을 공급하는 수단으로 기포 발생장치나 펌프 등이 갖추어져 있으며, 보통 하나의 수족관 내에 여러 종류와 많은 수의 어류를 함께 보관 및 전시하고 있다.
그러나, 활어 등의 어류를 취급하는 대부분의 수족관은 상당량의 물을 필요로 할 뿐만 아니라 전체적으로 규모가 크고 부대설비 또한 많기 때문에 업소의 공간을 넓게 차지하는 단점과 수족관 설치와 관련하여 비용적인 측면에서 상당한 부담을 갖게 하는 단점이 있고, 또한 종류가 다양한 많은 수의 어류를 한곳에 모아놓기 때문에 어류 간의 부딪힘 등으로 인해 상처를 입거나, 수족관 내의 활동공간이 넓은 관계로 어류의 움직임이 많아져 맛이나 선도를 떨어뜨리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어류의 생존을 위해 산소와 물을 공급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간단한 구조의 튜브형 수족관을 이용하여 어류를 각각 하나씩 보관 및 전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존의 수족관에 비해 물의 사용량이 적을 뿐만 아니라 차지하는 공간이 많지 않고 소형의 부대설비만으로도 수족관 가동이 가능하여 수족관 설치와 관련한 비용적인 측면을 대폭 절감할 수 있으며, 어류를 개별적으로 보관 및 전시할 수 있는 동시에 어류의 활동공간에 제약을 줄 수 있어 어류의 상해방지에 따른 상품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동시에 어류의 맛과 선도를 오래 유지할 수 있도록 한 튜브형 간이 수족관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a,1b는 본 고안에 따른 튜브형 간이 수족관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튜브형 간이 수족관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물유입용 호스 11 : 물배출용 호스
12 : 비닐몸체 13a,13b : 콕
14 : 구멍 15 : 공급 파이프
16 : 회수 파이프 17 : 펌프
18 : 수조 19 : 밸브
20 : 분할 파이프 21 : 산소 발생기
22 : 냉각기 23 : 진열대
24 : 호스 관통구멍 25 : 드레인 밸브
26 : 살균기 27 : 필터
28 : 모래층 29 : 다공판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양쪽의 물유입용 호스(10)와 물배출용 호스(11)를 포함하면서 일정한 길이를 갖고 있으며, 한쪽은 막혀있고 반대쪽은 터져있는 납작한 초기상태에서 어류와 물의 공급과 동시에 터져있는 쪽을 마감하여 부풀어오른 최종상태에서 사용할 수 있는 튜브형태의 비닐몸체(1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비닐몸체(12)의 물유입용 호스(10)와 물배출용 호스(11)는 비닐몸체(12)를 관통하는 콕(13a),(13b)에 의해 조립식으로 일체 연결되어 하나의 어셈블리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물배출용 호스(11)측의 콕(13b)은 비닐몸체(12)의 내측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면서 둘레면에 다수의 구멍(14)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비닐몸체(12)로 물과 산소를 공급하는 수단은 물유입용 호스(10)측과 연결되는 공급 파이프(15) 및 물배출용 호스(11)측과 연결되는 회수 파이프(16)와, 상기 공급 파이프(15)와 직결되면서 물의 순환을 가능하게 하는 펌프(17)와, 상기 펌프(17)와 공급 파이프(15) 및 회수 파이프(16)를 포함하면서 일정량의 물을 저장하고 있는 수조(18)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공급 파이프(15)는 수동조작이 가능한 다수의 밸브(19)를 가지면서 여러 개의 물유입용 호스(10)를 동시에 연결할 수 있는 분할 파이프(2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조(18)는 필터(27), 모래층(28), 다공판(29)의 적층구조로 이루어진 여과수단과, 물속의 산소유지를 위한 산소 발생기(21)와, 물의 온도유지를 위한 냉각기(22)와, 물의 살균을 위한 살균기(26)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튜브형 간이 수족관은 계단식의 투명 아크릴 구조물로 된 진열대(23)를 이용하여 나란하게 전시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 및 1b는 본 고안에 따른 튜브형 간이 수족관을 보여주고 있다.
도 1a 및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튜브형 간이 수족관은 비닐재질로 된 길다란 봉지형태의 비닐몸체(12)와, 산소를 포함하는 물의 순환을 위한 물유입용 호스(10) 및 물배출용 호스(11)로 구성된다.
상기 비닐몸체(12)는 제작시 한쪽이 미리 막혀있고 반대쪽이 터져있는 납작한 형상을 취하게 되지만, 어류와 물을 채운 후 터져있는 쪽을 마감하여 사용하는 상태에서는 대략 원통형으로 부풀어오는 형상을 취하게 된다.
비닐몸체(12)의 터져있는 쪽을 마감하는 방법은 통상의 열융착을 이용한 비닐접착방식이나 비닐팩 개폐용으로 사용되는 프레스형 비닐지퍼방식을 적용할 수 있으며, 비닐몸체(12)의 폭이나 길이는 어류의 종류에 따라 임의로 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길이가 긴 장어나 갈치 등의 어류용으로는 폭 보다는 길이가 긴 것을 사용하고, 폭이 넓은 광어나 우럭, 오징어, 돔, 고등어, 삼치 등의 어류용으로는 길이는 짧고 폭이 넓은 것을 사용한다.
상기 물유입용 호스(10)와 물배출용 호스(11)는 비닐몸체(12)의 둘레부 양쪽에 각각 연결되며, 이때의 연결수단으로는 비닐몸체(12)를 내부에서 외부로 관통하여 장착되는 콕(13a),(13b)을 적용하게 된다.
즉, 비닐몸체(12)의 양쪽에 각각 구멍을 뚫은 다음, 이곳에 콕(13a),(13b)을 삽입 장착하고, 콕(13a),(13b)의 외부 노출부분에 각각의 호스는 끼우면, 비닐몸체(12)와 물유입용 호스(10) 및 물배출용 호스(11)는 일체식으로 조립된 어셈블리 형태가 되며, 실제로 이러한 어셈블리 형태로 취급되면서 일회용으로 사용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물배출용 호스(11)를 비닐몸체(12)에 연결시켜주는 한쪽의 콕(13b)은 일부길이가 비닐몸체(12)의 내부로 연장되면서 그 둘레면에 다수의 구멍(14)을 갖고 있으며, 이에 따라 물유입용 호스(10)를 통해 비닐몸체(12)의 내부로 공급되는 물속의 이물질이나 어류의 알 등에 의해 물배출용 호스(11)가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튜브형 간이 수족관의 사용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기본적으로 어류의 생존을 위한 물과 산소의 공급을 위한 수단으로 일정량의 물을 저장할 수 있는 간이형의 수조(18)가 구비되고, 상기 수조(18)에는 물의 순환을 위한 펌프(17)를 포함하여 산소 발생기(21), 냉각기(22), 살균기(26)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수조(18)에는 수질유지를 위한 물의 교환시 수조(18) 내의 물을 빼낼 수 있는 드레인 밸브(25)가 갖추어져 있다.
또한, 수조(18)의 내부에는 물의 정화를 위한 수단으로 필터(27), 모래층(28), 다공판(29)이 적층구조로 설치되어 이곳을 통과한 깨끗한 수질의 물이 산소와 함께 펌프(17)로 흡입되어 각각의 튜브형 간이 수족관으로 공급될 수 있게 된다.
상기 펌프(17)의 작동에 따라 펌핑되는 물의 공급과 회수를 위하여 공급 파이프(15)와 회수 파이프(16)가 구비되며, 각 공급 파이프(15)와 회수 파이프(16)로는 튜브형 간이 수족관측에서 연장되는 물유입용 호스(10)와 물배출용 호스(11)가 연결된다.
특히, 하나의 단일 수조(18)로 여러 개의 튜브형 간이 수족관을 가동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하여 펌프(17)와 직접 연결되는 공급 파이프(15)에는 수동으로 개폐조작이 가능한 다수의 밸브(19)를 갖는 분할 파이프(20)가 연결 설치되고, 이때의 분할 파이프(20)가 갖는 각각의 밸브(19)에 각 튜브형 간이 수족관의 물유입용 호스(10)가 연결된다.
본 고안의 일 구현예에서는 계단식으로 이루어진 진열대(23)를 이용하여 여러 개의 튜브형 간이 수족관을 전시할 수 있는 것을 제공하고 있으며, 각각의 튜브형 간이 수족관은 진열대(23) 뒷쪽의 호스 관통구멍(24)을 통해 물유입용 호스(10)와 물배출용 호스(11)를 빼낸 다음, 각각을 공급용 파이프(15)측과 회수용 파이프(16)측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어류와 물을 담은 각각의 튜브형 간이 수족관의 물유입용 호스와 물배출용 호스를 수조측의 분할 파이프와 회수 파이프에 연결한 다음, 분할 파이프의 해당 밸브를 열어 놓고 펌프를 가동하면, 수조 내의 물과 튜브형 간이 수족관 내의 물이 계속해서 순환되고, 이에 따라 튜브형 간이 수족관 내의 어류에 신선한 물과 산소가 지속적으로 공급되면서 최적의 생존조건 하에서 어류의 보관 및 전시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어류의 판매시나 횟감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수조측으로 각각 연결되어 있는 양쪽의 호스를 빼낸 다음, 어류와 함께 호스 및 비닐몸체를 그대로 취급할 수 있으므로, 종전과 같이 어류를 잡는 등의 수고없이도 그 취급시 편이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물과 산소의 순환을 위한 물유입용 호스와 물배출용 호스를 갖는 비닐몸체를 이용하여 어류를 독립적으로 보관 및 전시할 수 있음에 따라 어류 간의 충돌을 막고 그 움직임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으므로, 취급이 용이하며 어류의 상품적 가치를 높일 수 있고 맛이나 선도를 오래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의 튜브형 간이 수족관은 수조에 펌프의 작동에 필요한 최소한 물만 준비하고, 낱개의 비닐몸체 내에도 적어도 한마리의 어류가 생존하는데 필요한 최소한의 물만 채워넣으면 수족관의 가동에 전혀 문제가 없게 되므로, 물의 사용량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동시에 수조의 크기나 부대설비의 규모를 대폭 줄일 수 있게 된다.
즉, 수족관 설치와 관련한 비용적인 부담을 줄일 수 있고, 장소상의 제약을 거의 받지않기 때문에 소규모 영세업자들에게 경제적인 잇점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어류를 낱개로 보관 및 전시할 수 있는 튜브형태의 간이 수족관을 제공함으로써, 기존의 수족관에 비해 물의 사용량이 적을 뿐만 아니라 전체적인 규모를 축소할 수 있어 수족관 설치와 관련한 비용적인 부담을 대폭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특히 어류를 개별적으로 보관 및 전시할 수 있는 동시에 어류의 활동공간에 제약을 줄 수 있어 어류의 상해방지에 따른 상품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동시에 어류의 맛과 선도를 오래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7)

  1. 양쪽의 물유입용 호스(10)와 물배출용 호스(11)를 포함하면서 일정한 길이를 갖고 있으며, 한쪽은 막혀있고 반대쪽은 터져있는 납작한 초기상태에서 어류와 물의 공급과 동시에 터져있는 쪽을 마감하여 부풀어오른 최종상태에서 사용할 수 있는 튜브형태의 비닐몸체(1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형 간이 수족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닐몸체(12)의 물유입용 호스(10)와 물배출용 호스(11)는 비닐몸체(12)를 관통하는 콕(13a),(13b)에 의해 조립식으로 일체 연결되어 하나의 어셈블리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형 간이 수족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물배출용 호스(11)측의 콕(13b)은 비닐몸체(12)의 내측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면서 둘레면에 다수의 구멍(14)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형 간이 수족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닐몸체(12)로 물과 산소를 공급하는 수단은 물유입용 호스(10)측과 연결되는 공급 파이프(15) 및 물배출용 호스(11)측과 연결되는회수 파이프(16)와, 상기 공급 파이프(15)와 직결되면서 물의 순환을 가능하게 하는 펌프(17)와, 상기 펌프(17)와 공급 파이프(15) 및 회수 파이프(16)를 포함하면서 일정량의 물을 저장하고 있는 수조(18)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형 간이 수족관.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파이프(15)는 수동조작이 가능한 다수의 밸브(19)를 가지면서 여러 개의 물유입용 호스(10)를 동시에 연결할 수 있는 분할 파이프(2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형 간이 수족관.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18)는 필터(27), 모래층(28), 다공판(29)의 적층구조로 이루어진 여과수단과, 물속의 산소유지를 위한 산소 발생기(21)와, 물의 온도유지를 위한 냉각기(22)와, 물의 살균을 위한 살균기(26)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형 간이 수족관.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형 간이 수족관은 계단식의 투명 아크릴 구조물로 된 진열대(23)를 이용하여 나란하게 전시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형 간이 수족관.
KR2020010021883U 2001-07-19 2001-07-19 튜브형 간이 수족관 KR20025231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1883U KR200252316Y1 (ko) 2001-07-19 2001-07-19 튜브형 간이 수족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1883U KR200252316Y1 (ko) 2001-07-19 2001-07-19 튜브형 간이 수족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2316Y1 true KR200252316Y1 (ko) 2001-11-17

Family

ID=73105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1883U KR200252316Y1 (ko) 2001-07-19 2001-07-19 튜브형 간이 수족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231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8733B1 (ko) 살아있는 어패류 수송용 컨테이너
US5054424A (en) Aquarium ecosystem
KR100962365B1 (ko) 활어수송용 컨테이너
US10070629B2 (en) Self-cleaning pre-filter for a water circulation pump
JPH01309636A (ja) オゾン化した水の中で畜殺動物を冷却し殺菌する方法及び装置
KR200252316Y1 (ko) 튜브형 간이 수족관
KR100665196B1 (ko) 물갈이가 필요없는 새우 양식장
KR101045817B1 (ko) 어항
KR20190121624A (ko) 어항용 분리 칸막이
JPH07322788A (ja) 海水魚の飼育方法及びその装置
KR100938222B1 (ko) 절화 보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절화 냉장고
JP3937147B2 (ja) 冷海水殺菌装置
WO2002035922A1 (fr) Conteneur tubulaire destine a recevoir un poisson, des crustaces et coquillages ou analogues, dispositif pour exposer ces derniers et procede pour les transporter
JPS6115674A (ja) 生鮮食品の鮮度保持機
KR200389787Y1 (ko) 살균 배수기능을 구비한 제빙기
JPH0726932Y2 (ja) 魚介類収容装置
US11375698B2 (en) Self-cleaning pre-filter for a water circulation pump
KR20140061571A (ko) 여과순환시스템을 구비한 도너츠 모양의 전시형 다랑어류 수조
KR200390135Y1 (ko) 화초 진열대
JP2019050793A (ja) カプセルホテル型イカ収容容器
JPH09168347A (ja) 魚用水槽
KR200292317Y1 (ko) 활어조
KR100596378B1 (ko) 갯지렁이용 저온 저장고
KR200260106Y1 (ko) 정화장치를 설치한 수족관
ITPN20060061A1 (it) Impianto di filtrazione di sostanze da depurare di vario genere, particolarmente fanghi ed altre sostanze sporche ed inquinanti semisolide o liquide, e ciclo di lavoro per tale filtrazio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