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2198Y1 - 소음방지용 진동안마기의 구조 - Google Patents

소음방지용 진동안마기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2198Y1
KR200252198Y1 KR2020010021700U KR20010021700U KR200252198Y1 KR 200252198 Y1 KR200252198 Y1 KR 200252198Y1 KR 2020010021700 U KR2020010021700 U KR 2020010021700U KR 20010021700 U KR20010021700 U KR 20010021700U KR 200252198 Y1 KR200252198 Y1 KR 2002521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bbin
lifting shaft
lifting
massage
c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17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희
Original Assignee
이동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희 filed Critical 이동희
Priority to KR20200100217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219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21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2198Y1/ko

Links

Landscapes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소음방지용 진동안마기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브래킷에 고정되며 코일이 권취되어 이루어지는 보빈과 이 보빈의 중앙에서 코일의 전원인가에 따른 반발력으로 승강되는 승강축과 이 승강축의 상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승강시 신체부위를 타격하게 되는 안마편으로 이루어져 전원 인가시 안마편이 신체부위를 연속 타격하도록 된 진동안마기에 있어서, 상기 보빈의 내주면과 상기 승강축의 외주면 상측에 상기 승강축의 승강시 보빈으로부터 이탈이 방지되도록 서로 대응되는 경사부를 각각 형성하고; 상기 승강축의 경사부에는 상기 보빈의 경사부에 타격시 그 충격을 흡수하도록 탄성체를 도포하며; 상기 승강축의 상단 안마편과 보빈의 상측단 사이에는 상기 승강축의 가속을 위한 압축스프링을 구비하여 진동안마기의 안마 동작시 코일이 권취된 보빈내에서 승하강 되는 승강축이 보빈과의 접촉소음이 최대한 억제되도록 하여 휴식자가 편안하게 안마 효과를 누릴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소음방지용 진동안마기의 구조{A STRUCTURE OF VIBRATION KNEADER FOR NOISE PREVENTION}
본 고안은 전류의 반발력으로 승하강 되면서 휴식자의 신체부위를 타격하도록 하는 진동 안마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진동 안마기의 안마동작시 코일이 권취된 보빈내에서 승하강 되는 승강축이 보빈과의 접촉소음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 휴식자가 편안하게 안마 효과를 누릴 수 있도록 하는 소음방지용 진동안마기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사용된 진동안마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코일이 권취되어 이루어지며 브래킷(10)에 의해 고정된 보빈(20)과, 상기 보빈(20)의 중앙에서 전원 제어에 의해 승강되는 승강축(30)과, 상기 승강축(30)의 상단에서 승강시 신체부위를 타격하게 되는 안마편(40)과, 상기 보빈(20)의 상측과 안마편(40) 사이에 지지되어 안마편(40)에 탄성력을 부여하게 되는 압축스프링(50)과, 상기 승강축(30)의 하단 확개편(32)과 상기 보빈(20)의 하측 브래킷(10) 사이 그리고 안마편(40)과 보빈(20) 상측과의 사이에 제공되어 승강축(30)의 승하강시 보빈(20)과의 타격을 흡수하게 되는 탄성돌기(60) 및 상기 보빈(20)의 내주홀에서 상기 승강축(30)을 안내하게 되는 안내부재(70)로 구성된다.
이는, 안마 동작시 전원 인가에 따라 승강축이 후진후 압축스프링의 가속력에 의해 승하강 동작을 반복하면서 안마편이 신체부위를 타격하게 되는데, 이때 승강축의 하단 확개편이 보빈의 하측 브래킷을 타격 그리고 상측 안마편이 하강시 보빈 상측과의 접촉으로 타격음을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진동 안마기는 의자의 등받이부 전체에 여러개 구비됨에 따라 휴식자는 안마 동작시 외부소음을 감수하며 안마를 받아야하는 불편함이 있게 된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전류의 반발력으로 신체부위를 리듬성 있게 타격하는 안마편이 승하강 동작시 타격소음을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 휴식자의 안마시 소음이 발생되지 않도록 즉, 승강축과 보빈의 접촉부위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보빈내에서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진동안마기의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진동안마기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탄성체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다른 실시예,
도 5는 도 3의 또 다른 실시예.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브래킷 20: 보빈
30: 승강축 40: 안마편
50: 압축스프링 70: 안내부재
100: 탄성체 120: 탄성날개
130: 탄성돌기 200,300: 경사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브래킷에 고정되며 코일이 권취되어 이루어지는 보빈과 이 보빈의 중앙에서 코일의 전원인가에 따른 반발력으로 승강되는 승강축과 이 승강축의 상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승강시 신체부위를 타격하게 되는 안마편으로 이루어져 전원 인가시 안마편이 신체부위를 연속 타격하도록 된 진동안마기에 있어서, 상기 보빈의 내주면과 상기 승강축의 외주면 상측에 상기 승강축의 승강시 보빈으로부터 이탈이 방지되도록 서로 대응되는 경사부를 각각 형성하고; 상기 승강축의 경사부에는 상기 보빈의 경사부에 타격시 그 충격을 흡수하도록 탄성체를 도포하며; 상기 승강축의 상단 안마편과 보빈의 상측단 사이에는 상기 승강축의 가속을 위한 압축스프링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라, 상기 탄성체의 외주면에 축방향을 따라 소정폭 돌출되어 보빈과의 접촉시 충격 및 진동소음을 흡수하도록 탄성날개를 복수개 구비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라, 상기 탄성체의 외면에 접촉시 충격을 흡수하는 엠보싱 탄성돌기가 복수개 형성한다.
상기 특징에 따라 본 고안은 승강축의 반복 승강시 보빈내의 경사부에 접촉하게 되면 탄성체가 그 충격을 점차적으로 흡수하고 동시에 탄성력에 의한 반발력을 제공하여 충격 및 소음발생을 억제함은 물론 반발력을 가속시키게 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소음방지용 진동안마기의 구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며 종래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적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또는 도 3의 도시에 의하여 본 고안은, 승강축(30)의 하단 확개편(32)과 탄성돌기(60)을 제거시킨 것으로, 보빈(20)과, 보빈(20)내에서 승하강 되는 승강축(30)과, 승강축(30)의 상단에 제공되는 안마편(40)과, 안마편(40)의 상승동작시 가속력을 부여하게 되는 압축스프링(50)과, 상기 승강축(30)의 상측부에 제공되며 상기 보빈(20)내에서 이탈이 방지되도록 함과 동시에 보빈(20)과의 접촉시 충격흡수 및 반발력을 제공하게 되는 탄성체(1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보빈(20)은, 종래와 동일한 중공형상으로 코일이 권취되어 이루어지며, 외주면이 절곡된 브래킷(10)에 의해 고정되고, 내주면 상측에는 승강축안내부재(70)가 일체형으로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승강축 안내부재(70)의 상하 연통홀 하측에는 내경이 상향으로 전개될 수록 축소되는 경사부(200)가 형성된다.
상기 승강축(30)은, 상기 보빈(20)의 중앙에서 전원 제어에 의해 승강하게 되며, 상측부에는 상기 안내부재(70)의 경사부(200)에 면밀착될 수 있도록 경사부(300)가 형성되고, 상단에는 안마편(40)이 제공된다.
상기 탄성체(100)는, 상기 승강축(30)의 경사부(300) 외주면에 제공되어 상기 안내부재(70)의 경사부(200)에 접촉시 충격흡수는 물론 반발력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압축스프링(50)은, 상기 보빈(20)의 상측과 안마편(40) 사이에 제동되어 안마편(40)에 탄성력 및 가속력을 부여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구성되는 소음방지용 진동안마기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전원 인가에 따른 제어에 의해 보빈(20)의 코일에 전원이 인가되면 승강축(30)이 자기 반발력으로 압축스프링(50)을 압축시키면서 하강하게 되고, 동시에 스위칭 단속에 의해 반발력과 압축스프링(50)이 복원력을 발생하게 되면 승강축(30)이 상승동작을 하게 된다. 이때 승강축(30)의 탄성체(100)가 보빈(20)내의 안내부재(70)에 형성된 경사부(200)에 접촉되어져 탄성체(100)를 압축시키며 상승이동이 억제되고, 이때 상기 탄성체(100)는 승강축(30)으로부터의 충격을 단계적으로 흡수함과 동시에 탄성력으로 승강축(30)을 밀어내게 된다. 이러한 동작을 반복에 의해 안마편(40)이 승하강 되면서 휴식자의 신체부위를 타격하게되는 것이다.
또한,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탄성체(100)의 외주면에는 축방향을 따라 돌출된 탄성날개(120)가 구비되어 안내부재(70)의 경사부(200) 접촉시 충격을 단계적으로 흡수하고 동시에 탄성날개(120)의 복원력으로 강한 반발력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도 5는 탄성체(100)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탄성체(100)의 외주면에 복수개의 탄성돌기(130)를 형성시켜 접지압은 크고 완충력있게 그리고 접지면은 최소화 시킨 상태에서 접촉되도록 하여 충격소음을 크게 줄이도록 한 것이다.
이상은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소음방지용 진동안마기의 구조는, 반발력으로 신체부위를 리듬성 있게 타격하는 안마편의 승하강 동작시 승하강 되는 승강축의 타격소음이 보빈내에서 발생하여 외부로 전달되지 않고, 또한 탄성체의 탄성력으로 승강축의 승하강을 가속시킴에 따라 전력소모를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브래킷에 고정되며 코일이 권취되어 이루어지는 보빈과 이 보빈의 중앙에서 코일의 전원인가에 따른 반발력으로 승강되는 승강축과 이 승강축의 상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승강시 신체부위를 타격하게 되는 안마편으로 이루어져 전원 인가시 안마편이 신체부위를 연속 타격하도록 된 진동안마기에 있어서,
    상기 보빈의 내주면과 상기 승강축의 외주면 상측에 상기 승강축의 승강시 보빈으로부터 이탈이 방지되도록 서로 대응되는 경사부를 각각 형성하고;
    상기 승강축의 경사부에는 상기 보빈의 경사부에 타격시 그 충격을 흡수하도록 탄성체를 도포하며;
    상기 승강축의 상단 안마편과 보빈의 상측단 사이에는 상기 승강축의 가속을 위한 압축스프링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방지용 진동안마기의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의 외주면에 축방향을 따라 소정폭 돌출된 탄성날개를 복수개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방지용 진동안마기의 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의 외면에 충격흡수 및 반발을 위한 엠보싱 탄성돌기가 복수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방지용 진동안마기의 구조.
KR2020010021700U 2001-07-18 2001-07-18 소음방지용 진동안마기의 구조 KR20025219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1700U KR200252198Y1 (ko) 2001-07-18 2001-07-18 소음방지용 진동안마기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1700U KR200252198Y1 (ko) 2001-07-18 2001-07-18 소음방지용 진동안마기의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2198Y1 true KR200252198Y1 (ko) 2001-11-17

Family

ID=73105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1700U KR200252198Y1 (ko) 2001-07-18 2001-07-18 소음방지용 진동안마기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219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9750A (ko) 2019-05-10 2020-11-18 김대윤 진동 모듈
KR20210014728A (ko) 2021-02-01 2021-02-09 김대윤 진동 모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9750A (ko) 2019-05-10 2020-11-18 김대윤 진동 모듈
KR20210014728A (ko) 2021-02-01 2021-02-09 김대윤 진동 모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52198Y1 (ko) 소음방지용 진동안마기의 구조
KR200252199Y1 (ko) 소음방지용 진동안마기의 구조
KR100550921B1 (ko) 진동특성을 향상시킨 선형 진동자
KR200345182Y1 (ko) 완충부재를 갖는 솔레노이드
CN208756489U (zh) 一种震动按摩组件
KR20130002829A (ko) 세탁기의 진동저감용 연속적 댐핑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탁기
KR20110049990A (ko) 탄성 아령
KR200333267Y1 (ko) 안마기용 진동발생장치
JP2015230362A (ja) 打撃パッド
JP2005016632A (ja) 油圧緩衝器
JP2005052400A (ja) ゴルフクラブヘッド
KR100550922B1 (ko) 선형 진동자
CN215607521U (zh) 一种降噪按摩器
KR200350516Y1 (ko) 진동안마기
KR200318286Y1 (ko) 마사지 쿠션용 안마전동기 구조
CN110965269B (zh) 一种洗衣机减震器及洗衣机
KR940004156B1 (ko) 트램폴린(trampoline)
CN207742999U (zh) 插装电磁铁
KR100489369B1 (ko) 쇽 업소버의 노이즈 방지장치
KR200289179Y1 (ko) 소음저감용 안마매트
KR200276483Y1 (ko) 골프퍼터의 완충장치
CN213465948U (zh) 一种按摩头及具有该按摩头的按摩装置
CN220096034U (zh) 一种避震静音轮
CN212785012U (zh) 一种降噪减震三相电机
KR200313004Y1 (ko) 마사지 쿠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01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