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2125Y1 - 흉부배액병 - Google Patents

흉부배액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2125Y1
KR200252125Y1 KR2019980024644U KR19980024644U KR200252125Y1 KR 200252125 Y1 KR200252125 Y1 KR 200252125Y1 KR 2019980024644 U KR2019980024644 U KR 2019980024644U KR 19980024644 U KR19980024644 U KR 19980024644U KR 200252125 Y1 KR200252125 Y1 KR 20025212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age bottle
valve
patient
chest drainage
ch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46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1893U (ko
Inventor
이두연
Original Assignee
이두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두연 filed Critical 이두연
Priority to KR20199800246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2125Y1/ko
Publication of KR2000001189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189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212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2125Y1/ko

Links

Landscapes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흉부배액병에 관한 것으로, 이 흉부배액병은 눈금이 그려진 원통형 하부몸체(20)의 상단 내면과 상부몸체(22)의 하단 외면이 나사결합됨으로써 이루어지는 원형관상의 몸체(10)와, 상기 상부몸체(22)의 상부 중앙을 관통하여 형성된 연결관(12)과, 상기 몸체(10) 내부의 연결관(12) 하단에 수직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환자의 폐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와 혈액을 하부로 유입시키도록 된 실리콘 재질의 판막(14) 및, 상기 판막(14)의 하부쪽 선단이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그 중앙에 절개부(16)가 형성됨과 더불어 원판상의 그 바깥면이 몸체(10) 내면과 밀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된 스폰지 재질의 탄성체(18)로 이루어진 구조로서, 환자에게 불편을 주지않으며, 체액의 수집과 제거를 간편하게 할 수 있으며, 크기가 작아 휴대가 쉬우며 이로 인한 입원이 필요없어 통원치료가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흉부배액병{Lee Bottle}
본 고안은 흉부배액병에 관한 것으로, 특히 늑막강(Pleural Cavity) 및 종격동, 심낭내에 고인혈액, 삼출액 또는 공기를 배출시켜 집적시킬 수 있게 된 흉부배액병에 관한 것이다.
대량 교통사고를 비롯한 각종 원인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흉부손상시나, 폐렴, 늑막염, 결핵 및 암 등에 의한 수술에 의하여 늑막강에 혈액 및 삼출액을 저류케하는 바 이러한 혈액이나 삼출액은 신속히 배출시켜야 하며 공기유입은 차단되어야 한다.
그러나 흉강내의 압력은 호기와 흡기에 따라 변하게 되며 호기시엔 -2~-4CmH2O, 흡기시에는 -4~-8CmH2O의 음압이 계속 유지될 필요가 있으나 수송시의 체위변동이나 기침 등으로 늑막강내의 압력이 급변하게 되어 배액된 혈액 및 농이 흉강내부로 역류하는 위험이 있으므로, 배출관의 단부를 증류수에 담궈 흉강내의 액체는 배출시키고 외부의 공기는 유입되지 아니하도록 하는 장치가 필요로 하게 되며 또 전폐절제술을 시행하는 경우엔 한쪽 늑막강엔 폐가 없어지게 되므로 혈액이나 삼출액의 배출외에도 적당한 공기가 항상 유입 및 유출되어 늑막강내에는 일정한 압력의 유지가 필요하게 된다.
또한, 늑막강내의 정상압력은 -2~-8CmH2O의 음압이나 -20CmH2O까지는 무난하므로 이 이상의 음압에선 공기유입이 가능한 흉부배액병이 필요하게 된다.
이와 같은 흉부배액병으로서 도 1에 도시된 것을 예로 들 수 있는데, 통체(100)를 격벽(102, 104)으로 분할하여 저류조(106)외에 흉강내부가 심한 음압일 경우 공기를 넣어주는 기능을 갖는 음압조절조(108)와 흉강내부가 양압일 경우 흉강내부의 공기 등이 배출되게 하되 외부의 공기가 역류되지는 아니하게 하는 양압조절조(110)가 구비되어 있는 구조의 것이다. 그리고 상기 음압조절조(108)와 양압조절조(110)는 격벽(102, 104)의 상단에 형성시킨 유통부(112, 114)에 의하여 서로 연통되어 있으며 양압조절조(110)의 상단에는 유통부(114)에 의해 저류조(106)에 연통되도록 되어 있고 하단에는 양압조절조(110)에 연통되는 세관부(116)가 칸막이(1180)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음압조절조(108)에도 세관부(120)가 형성되어 있는 구조의 것이다.
이와 같은 구조의 흉부배액병을 양압조절을 위해 사용할 경우 흉강내부로부터 액체등이 배출되나 공기의 유입을 전혀 허용치 아니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음압조절조(108)의 세관부(120) 상단을 마개로 막은 후 양압조절조(110)에 물을 부어 칸막이(118) 하단으로부터 약 2cm높이에 이르기까지 물을 붓는다. 이후 흉강내부와 유입구를 호스로 연결하면 흉강내부로부터 혈액, 늑막삼출액 등이 저류조(106)로 유입되나 세관부의 높이가 수면으로부터 약 20cm이상이되므로 흉강내부가 어느정도 음압이 되더라도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지 아니한다. 일시적인 음압현상이 발생될 염려가 있을 때는 아예 배기구에 공기가 배출되기는 해도 유입이 불가능한 체크밸브를 장치한다.
그리고, 전폐절제술을 시행하여 늑막강에 적당한 정도의 공기가 유입되어 일정한 압력을 유지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음압조절조(108)의 세관부(120)의 마개를 제거하고 음압조절조(108)에 물을 넣되 세관부의 하단으로부터 약 15cm가량이 되게 한다. 이와 같이 한 경우 늑막강내의 정상압력 이상의 음압에서 공기의 유입이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내부의 압력 유지나 기체의 원활한 흐름을 위해 흉부배액병은 고정되어 있어야 하므로 환자의 체위의 변동이 어려워 환자에게 불편을 초래하며, 또한 환자의 이송중에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환자의 사용에 불편을 주지 않으면서 환자의 이동중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게 된 흉부배액병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흉부배액병은, 눈금이 그려진 원통형 하부몸체의 상단 내면과 상부몸체의 하단 외면이 나사결합됨으로써 이루어지는 원형관상의 몸체와, 상기 상부몸체의 상부 중앙을 관통하여 형성된 연결관과, 상기 몸체 내부의 연결관 하단에 수직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환자의 폐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와 혈액을 하부로 유입시키도록 된 실리콘 제질의 판막 및, 상기 판막의 하부쪽 선단이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그 중앙에 절개부가 형성됨과 더불어 원판상의 그 바깥면이 몸체 내면과 밀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된 스폰지 재질의 탄성체로 이루어진 구조이다.
즉, 상기 몸체의 연결관에 호스를 삽입시켜 환자의 폐에 연결하게 되면, 환자의 호흡에 따라 폐에 고여있는 혈액이나 공기가 상기 연결관을 통해 판막으로 유입되고, 이렇게 유입된 혈액과 공기가 상기 판막의 개방에 의해 하부몸체로 전달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몸체에 삽입고정된 탄성체는 상기 판막의 하단을 탄력적으로 잡아줌으로써 흉부배액병의 위치 변화에 따른 판막의 요동을 보다 견고한 상태로고정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이다.
또한, 상기 상부몸체와 하부몸체의 탈착은 여러 가지 구성수단을 이용할 수 있는데, 예로서 하부몸체의 상단 내면과 상부몸체의 하단 외면이 나사결합된 구조를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의 흉부배액병은 하부몸체 내부에 연결관을 통하여 환자로부터 배출되는 혈액과 늑막액 및 기타 불순물을 수집할 수 있고, 수집된 액체는 하부몸체를 용이하게 분리하여 흉강액에 대한 분석 및 측정을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몸체 중간에 위치한 탄성체로 인해 환자의 체위 변동에도 불순물의 흉강내로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기흉환자 등에 대해서는 흉관삽입후에도 입원할 필요없이 흉부배액병을 몸에 부착하여 체위변동이나 이동이 가능하므로 통원치료도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종래 흉부배액병의 일례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흉부배액병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흉부배액병의 응용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몸체 12 : 연결관
14 : 판막 16 : 절개부
18 : 탄성체 20 : 하부몸체
22 : 상부몸체 30 : 제1관
32 : 제2관 34 : 제3관
36 : 마개
이하,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흉부배액병의 바람직한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 눈금이 그려진 원통형 하부몸체(20)의 상단 내면과 상부몸체(22)의 하단 외면이 나사결합됨으로써 이루어지는 원형관상의 몸체(10)와, 상기 상부몸체(22)의 상부 중앙을 관통하여 형성된 연결관(12)과, 상기 몸체(10) 내부의 연결관(12) 하단에 수직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환자의 폐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와 혈액을 하부로 유입시키도록 된 실리콘 재질의 판막(14) 및, 상기 판막(14)의 하부쪽 선단이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그 중앙에 절개부(16)가 형성됨과 더불어 원판상의 그 바깥면이 몸체(10) 내면과 밀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된 스폰지 재질의 탄성체(18)로 이루어진 것이다.
여기서, 상기의 구조로 이루어진 흉부배액병은 환자의 폐에 연결되어 폐로부터 방출되는 공기와 혈액을 담을 수 있도록 된 것에 그 특징이 있는 바, 상기 몸체(10)의 연결관(12)에 호스를 삽입시켜 환자의 폐에 연결하게 되면, 환자의 호흡에 따라 폐에 고여있는 혈액이나 공기가 상기 연결관(12)을 통해 판막(14)으로 유입되고, 이렇게 유입된 혈액과 공기가 상기 판막(14)의 개방에 의해 하부몸체(20)로 전달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한편, 상기 몸체(10)는 투명한 플라스틱 재질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내부를 육안으로 관찰할 수 있어 바람직하고, 상기 연결관(12)의 몸체 외부 끝단에 환자와 연결되는 호스를 끼워 사용할 수 있고, 몸체 내부 끝단은 판막(14)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판막(14)은 혈액이나 늑막액, 불순물 등의 응고 접착을 막을 수 있는 실리콘 재질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몸체(10)에 삽입고정된 탄성체(18)는 상기 판막(14)의 하단을 탄력적으로 잡아줌으로써 흉부배액병의 위치 변화에 따른 판막(14)의 요동을 보다 견고한 상태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즉, 상기 탄성체(18)는 절개부(16)에 끼워진 판막(14)의 개폐를 조절하여 연결관(12) 내부로 약간의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판막(14)이 개방되게 하고, 압력이 떨어졌을 때 판막(14)이 폐쇄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탄성체(18)는 실리콘 재질인 판막(16)이 건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생리식염수나 베타인액등의 소독수로 적셔두는 것이 좋은데, 이와 같은 탄성체(18)의 바람직한 예로서 스폰지를 들 수 있다.
상기 탄성체(18) 아래의 하부몸체(20)에는 환자로부터 배출된 체액이 모이게 되고, 모인 체액은 하부몸체(20)를 상부몸체(22)로부터 분리하여 제거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모인 체액의 양을 계량할 수 있게 하부몸체(20)의 외면에 눈금을 새겨둘 수도 있다.
이와 같은 흉부배액병은 중하지 않은 기흉환자의 경우 몸에 부착하여 휴대할 수 있어 통원치료가 가능하다.
상기한 본 고안의 흉부배액병은 지름을 5cm, 길이 15cm, 중앙의 연결관의 직경이 1cm 정도로 하는 것이 휴대하기에도 좋고 입원환자도 사용하기에 적당한 크기라 할 수 있다.
또한, 흉부배액병의 상부 중앙부위에 관을 끼울 수 있는 마개가 구비된 구멍(26)을 형성하여 이를 통하여 다른 흉부배액병이나 외기 또는 다른 장치로 연결될 수 있게 하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고안의 흉부배액병의 응용예를 도시한 것으로, 이 구성은 전폐절제수술환자에 사용할 수 있게 배치한 것으로 A 흉부배액병은 흉강액수집병으로, B 흉부배액병은 음압과 양압을 조절하는 압력조절병으로, C 흉부배액병은 공기흡입차단병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A 흉부배액병의 제1관(30)은 환자와의 연결관이고, 제2관(32)은 B 흉부배액병과 연결된 관이며, 제3관(34)은 C 흉부배액병의 연결관과연결되어 있는 구조로서, A 흉부배액병의 중간 연결관은 빼내고 관이 배치되었던 구멍은 마개(36)를 통해 밀폐되어 있다. B 흉부배액병에는 10cm높이로 물을 채워 흉부배액병 내부를 적정 압력으로 유지시킬 수 있게 하고, 물이 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탄성체를 수면 위쪽에 위치시켰으며, 중앙판막 사이로 직경이 약 1.0cm인 긴 관을 삽입하여 공기유통과 수압조절을 원활하게 할 수 있게 되어 있다. C 흉부배액병은 탄성체아래의 하부몸체에만 물을 채워둔 것으로, B 흉부배액병의 중간 연결관을 통하여 외기 압력이 전해져 흉부배액병내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환자로부터 배출된 기체는 C 흉부배액병을 통하여 배출되게 된 구조로서, A 흉부배액병에는 환자의 체액이 모이고, B 흉부배액병은 흉부배액병내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역할을 하며, C 흉부배액병은 환자로부터 배출된 기체는 배출하되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것은 막을 수 있게 된 것이다.
이와 같은 조합은 하나의 사용예에 불과한 것으로, 여러 가지 조합에 의하여 여러 가지 증세의 환자에 따라 응용하여 적용가능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흉부배액병은 환자에게 불편을 주지않으며, 체액의 수집과 제거를 간편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크기를 작게하여 휴대할 수 있고 이로 인한 입원이 필요없어 통원치료가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눈금이 그려진 원통형 하부몸체(20)의 상단 내면과 상부몸체(22)의 하단 외면이 나사결합됨으로써 이루어지는 원형관상의 몸체(10)와,
    상기 상부몸체(22)의 상부 중앙을 관통하여 형성된 연결관(12)과,
    상기 몸체(10) 내부의 연결관(12) 하단에 수직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환자의 폐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와 혈액을 하부로 유입시키도록 딘 실리콘 제질의 판막(14) 및,
    상기 판막(14)의 하부쪽 선단이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그 중앙에 절개부(16)가 형성됨과 더불어 원판상의 그 바깥면이 몸체(10) 내면과 밀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된 스폰지 재질의 탄성체(18)로 이루어진 흉부배액병.
KR2019980024644U 1998-12-10 1998-12-10 흉부배액병 KR20025212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4644U KR200252125Y1 (ko) 1998-12-10 1998-12-10 흉부배액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4644U KR200252125Y1 (ko) 1998-12-10 1998-12-10 흉부배액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1893U KR20000011893U (ko) 2000-07-05
KR200252125Y1 true KR200252125Y1 (ko) 2002-04-22

Family

ID=695073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4644U KR200252125Y1 (ko) 1998-12-10 1998-12-10 흉부배액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212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1893U (ko) 2000-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235902T3 (es) Regulador de presion de aspiracion con miembro de obturacion desplazable, aparato y sistema para drenar una cavidad corporal.
US6976977B2 (en) Vacuum setting and indication system for a drainage device
US4439189A (en) Pleural drainage system
US4018224A (en) Underwater drainage device with dual collection chambers
US4519796A (en) Thoracic drainage device
DK0535285T3 (da) Væskedræn til sår
WO2001068170A1 (en) Breathing humidifier
US4455141A (en) Drainage apparatus with vacuum control
JPH0460669B2 (ko)
CA1284755C (en) Drainage device with disposable collection chamber
SE528370C2 (sv) Dräneringsanordning
KR200252125Y1 (ko) 흉부배액병
JPH04226672A (ja) 携帯用吸引装置
US3727603A (en) Double container construction for hospital use
KR200494056Y1 (ko) 흡인 카테터의 포장 용기
KR200216095Y1 (ko) 소기흉병
US6659987B2 (en) Fill spout for a drainage device
JPH076508Y2 (ja) 医療機器用受圧ポート
JP2003164518A (ja) 胸腔レギュレーター用使い捨てウォーターシール
CN221181184U (zh) 一种引流装置
KR200240488Y1 (ko) 소기흉병
JP4558585B2 (ja) 鼻腔用器具
JPS6324385B2 (ko)
EP1514569A1 (en) Bubbling humidifier of a gas, in particular oxygen, used in a respiratory therapy
AU2002228908A1 (en) Fill spout for a drainag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