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4056Y1 - 흡인 카테터의 포장 용기 - Google Patents

흡인 카테터의 포장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4056Y1
KR200494056Y1 KR2020200000790U KR20200000790U KR200494056Y1 KR 200494056 Y1 KR200494056 Y1 KR 200494056Y1 KR 2020200000790 U KR2020200000790 U KR 2020200000790U KR 20200000790 U KR20200000790 U KR 20200000790U KR 200494056 Y1 KR200494056 Y1 KR 2004940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catheter
accommodating
packaging container
receiving
accommodating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07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0475U (ko
Inventor
이형길
김규철
이주학
Original Assignee
이형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형길 filed Critical 이형길
Publication of KR2021000047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047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40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405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2Packag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catheter kit packa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4Tracheal tubes
    • A61M16/0463Tracheal tubes combined with suction tubes, catheters or the like; Outside conne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17Catheters; Hollow probes specially adapted for long-term hygiene care, e.g. urethral or indwelling catheters to prevent infe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9/00Ancillary equipment
    • A61M2209/06Packaging for specific medical equip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physics (AREA)
  • Epidemi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인 카테터의 포장 용기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무관과 커넥터를 포함하는 흡인 카테터의 포장용기는 상기 고무관을 수용하며, 소정의 유체가 고이는 제1 공간을 형성하는 고무관 수용부, 상기 커넥터를 수용하는 제2 공간을 형성하는 커넥터 수용부, 상기 커넥터 수용부와 상기 고무관 수용부를 구획하는 격벽 및 상기 고무관을 감아서 수납할 수 있도록 하는 돌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흡인 카테터의 포장 용기{PACKING CONTAINER FOR SUCTION CATHETER}
본 고안은 흡인 카테터의 포장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흡인 카테터 사용 시 생리 식염수를 담는 용기로 활용될 수 있는 흡인 카테터의 포장 용기에 관한 것이다.
흡인 카테터는 기관지 내부의 객담과 같은 분비물의 제거에 사용되는 의료기구이다.
기관지는 호흡과 관련된 예민한 기관이므로, 흡인 카테터 사용 시 마찰로 인한 자극을 최소화화기 위해 흡인 카테터를 기관지 내에 삽입하기 전에 생리 식염수로 흡인 카테터를 적신 후 삽입하게 된다. 또한, 흡인 카테터 내의 이물질로 인한 오염으로 인해 2차 감염이 발생할 수 있기에, 이를 방지하기 위한 세척 절차도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현재 흡인 카테터를 이용하여 환자의 객담을 제거할 때에는 감염 관리 지침에 따라 다음과 같은 사용 절차를 밟는다.
우선, 멸균 흡인세트의 용기에 생리 식염수를 붓고, 장갑을 착용한 후 오염에 주의하며 흡인 카테터를 꺼낸다. 이어서, 흡인 카테터를 흡인기에 연결하여 흡인기의 압력을 조절하고, 환자의 기도 내에 삽입할 흡인 카테터의 길이를 정하여 장갑을 낀 손으로 해당 위치를 표시하며, 흡인 카테터의 튜브 말단 부분을 용기에 담긴 생리 식염수로 적신 후 환자의 구강 또는 비강에 삽입한다. 이후, 흡인 조절 구멍을 손가락으로 막고 부드럽게 흡인 카테터를 돌려 빼면서 분비물을 제거하며, 분비물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흡인 카테터에 분비물이 묻은 경우에는 거즈 등을 이용해 분비물을 닦아내고 생리 식염수를 통과시켜 세척한다. 이러한 분비물 제거 과정은 분비물이 모두 제거될 때까지 반복하여 시행한다.
그러나 위와 같은 흡인 카테터의 사용 절차를 혼자서 진행하는 경우, 사용 중에 흡인 카테터가 오염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예를 들어, 흡인 카테터를 사용하던 중 생리 식염수가 부족해지는 경우, 장갑을 벗은 후 맨손으로 생리 식염수를 부은 후 새로이 장갑을 착용해야 하는데, 그 사이에 흡인 카테터가 오염될 수 있다.
또한, 흡인 카테터의 튜브 말단 부분만을 생리 식염수에 적시고 사용하면 말단 부분 이외에는 건조한 상태로 사용되기 때문에 실제 사용 시 환자의 기관지와의 마찰을 충분히 감소시키기 어렵다. 만약, 흡인 카테터의 튜브 전체에 생리 식염수를 충분히 적시기 위해 단순히 용량이 큰 생리 식염수 용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생리 식염수가 불필요하게 낭비되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흡인 카테터의 사용 시 흡인 카테터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생리 식염수를 담는 용기로도 활용되는 흡인 카테터의 포장 용기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흡인 카테터 사용 시 흡인 카테터의 튜브 전체를 충분히 생리 식염수로 적실 수 있으면서도 소요되는 생리 식염수의 양을 저감시킬 수 있는 흡인 카테터의 포장 용기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인 카테터의 포장 용기는, 흡인 카테터의 튜브를 수용하는 내부 공간이 제공되는 제1 수용부, 제1 수용부의 일측에 배치되고 흡인 카테터의 조절 밸브를 수용하는 내부 공간이 제공되는 제2 수용부, 제1 수용부와 제2 수용부를 구획하는 격벽 및 제1 수용부 상에 형성되어 흡인 카테터의 튜브를 감아서 수납할 수 있도록 하는 돌출부를 포함한다. 격벽의 일측에는 흡인 카테터의 조절 밸브를 거치할 수 있는 걸림홈이 형성되며, 제1 수용부의 내부 공간은 생리 식염수를 담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돌출부는 제1 수용부의 일측에 형성되고, 걸림홈은 돌출부가 형성되는 위치와 반대측에 위치하여 흡인 카테터의 조절 밸브가 제1 수용부 내로 이동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수용부는 제1 수용부의 일측에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며, 돌출부는 제1 수용부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흡인 카테터의 포장 용기는, 흡인 카테터의 튜브를 수용하는 내부 공간이 제공되는 제1 수용부, 제1 수용부에 의해 둘러싸인 형태로 이루어지며 흡인 카테터의 조절 밸브를 수용하는 내부 공간이 제공되는 제2 수용부 및 제1 수용부와 제2 수용부를 구획하고, 흡인 카테터의 튜브를 감아서 수납할 수 있도록 하는 격벽을 포함한다. 격벽에는 흡인 카테터의 조절 밸브를 거치할 수 있는 걸림홈이 형성되며, 제1 수용부의 내부 공간은 생리 식염수를 담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걸림홈은 흡인 카테터의 튜브의 직경보다 크지만 흡인 카테터의 조절 밸브의 직경보다 작은 단면 크기로 형성되어, 흡인 카테터의 튜브만 통과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수용부는 제1 수용부 내에서 단축 방향을 따라서는 대칭적으로 형성되되, 장축을 따라서는 어느 한 쪽으로 편중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수용부의 바닥면과 제2 수용부의 바닥면은 편평하게 형성되되, 제1 수용부의 저면과 제2 수용부의 저면은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생리 식염수가 한 쪽으로 고일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흡인 카테터의 포장 용기는 제2 수용부의 바닥면 아래에 배치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고정부의 상면은 제2 수용부의 바닥면과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2 수용부의 바닥면은 제1 수용부의 바닥면보다 높게 위치하고, 고정부가 제2 수용부의 바닥면 아래에 배치될 때 고정부의 바닥면은 제1 수용부의 바닥면과 동일 평면에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고정부는 지면에 부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수용부는 생리 식염수를 담을 수 있도록 제2 수용부보다 깊이가 깊은 용기로 형성되는 저장부 및 저장부의 외곽에 배치되고 저장부와 제2 수용부 사이에 위치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연결부는 제2 수용부로부터 저장부를 향하는 방향을 따라 아래로 기울어진 경사면을 가질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장 용기는 제1 수용부의 저장부의 바닥면 아래에 배치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고정부에는 저장부의 외부 형상에 부합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저장부를 거치할 수 있는 수용홀이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흡인 카테터의 포장 용기는 흡인 카테터의 사용 시 생리 식염수를 담는 용기로 활용할 수 있어, 흡인 카테터를 사용하는 중에 여러 상황에서 발생할 수 있는 흡인 카테터의 오염을 방지하면서도 사용자의 편의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흡인 카테터의 포장 용기를 생리 식염수 용기로 활용함으로써 흡인 카테터를 사용할 때 흡인 카테터의 튜브 전체를 생리 식염수로 충분히 적실 수 있어 환자의 기관지와의 마찰을 충분히 감소시키면서도, 이에 소요되는 생리 식염수의 양을 저감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흡인 카테터의 포장 용기에 흡인 카테터가 보관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흡인 카테터의 포장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흡인 카테터의 포장 용기의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흡인 카테터의 포장 용기를 지지하는 고정부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흡인 카테터의 포장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흡인 카테터의 포장 용기에 흡인 카테터가 보관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흡인 카테터의 포장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흡인 카테터의 포장 용기에 흡인 카테터가 보관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흡인 카테터의 포장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흡인 카테터의 포장 용기의 저면도 및 측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흡인 카테터의 포장 용기에 흡인 카테터가 보관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고안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흡인 카테터의 포장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고안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흡인 카테터의 포장 용기의 측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고안의 제6 실시예에 따른 흡인 카테터의 포장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고안의 제6 실시예에 따른 흡인 카테터의 포장 용기와 이를 지지하기 위한 고정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 쉽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두께, 위치 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고안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일 실시예로부터 다른 실시예로 변경되어 구현될 수 있으며,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도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행하여지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범위는 청구항들이 청구하는 범위 및 그와 균등한 모든 범위를 포괄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흡인 카테터의 보관 용기에 흡인 카테터가 보관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흡인 카테터(10)는 기관지 내부의 객담과 같은 분비물의 제거에 사용되는 의료기구로서, 튜브(11)와 조절 밸브(12)를 포함한다. 흡인 카테터(10)의 튜브(11)는 환자의 기관지에 삽입되어 이물질이 배출되는 통로를 형성하고, 조절 밸브(12)는 흡인기(미도시)에 연결되어 사용 시 손잡이로서 사용되면서 흡인 압력을 조절하도록 구성된다.
흡인 카테터(10)는 오염되지 않도록 소정의 포장 용기에 포장된 상태로 보관 및 유통된다.
본 고안에 따른 흡입 카테터의 포장 용기(100)는 종래의 포장 용기와 달리 보관 및 유통 과정에서 흡인 카테터(10)를 밀봉하여 보호할 뿐만 아니라, 흡인 카테터(10)를 꺼내어 사용할 때 생리 식염수를 담고 흡인 카테터(10)를 거치할 수 있는 용기로도 활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흡인 카테터의 포장 용기(100)는 연결 튜브(20)를 통해 외부의 생리 식염수 파우치(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다.
이하, 흡인 카테터의 포장 용기(100)에 관한 상세 도면을 참조하여 포장 용기(100)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흡인 카테터의 포장 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흡인 카테터의 포장 용기의 측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포장 용기(100)는 대략 메스실린더 형상을 가져 세워진 상태로 흡인 카테터(10)를 보관 및 거치할 수 있는 것으로, 흡인 카테터(10)의 튜브(11)를 수용할 수 있는 제1 수용부(110)와 조절 밸브(12)를 수용할 수 있는 제2 수용부(120)를 포함한다.
포장 용기(100)의 제1 수용부(110)는 그 내부 공간에 흡인 카테터(10) 사용 시 흡인 카테터(10)의 튜브(11)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부분으로, 지지부(111)와 연결부(113)를 포함한다. 제1 수용부(110)의 지지부(111)는 포장 용기(100)를 지면에 세울 수 있도록 지지하는 부분으로서, 편평한 바닥면을 갖고, 상단에서는 바닥면에 비해 작은 단면적을 갖는 연결부(113)에 연결된다. 제1 수용부(110)의 연결부(113)는 실린더 형상으로 지지부(111)의 상단과 제2 수용부(120)의 사이에서 긴 원통 형상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수용부(110)의 지지부(111)는 포장 용기(1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하여, 연결부(113)의 단면에 비하여 넓은 바닥면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지지부(111)는, 도시된 바와 같이, 넓은 바닥면에서 상부를 향하여 단면이 점차 작아지는, 대략 원뿔대 형상으로 형성되나, 이와 달리 상하부의 단면이 일정한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포장 용기(100)의 제2 수용부(120)는 그 내부 공간에 흡인 카테터(10) 사용 시 흡인 카테터(10)의 조절 밸브(12)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부분으로, 그 상단에서 포장 용기(100)의 개방 및 밀봉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제2 수용부(120)는 연결부(113)의 상단에 연결되어 상부로 향할수록 단면이 넓어지는 형상을 갖는다. 또한, 제2 수용부(120)의 상단에는 멸균 포장지(160)가 제거 가능하도록 접착되어, 흡인 카테터(10)의 보관 및 유통 시 멸균 포장지(160)로 밀봉되다가 사용 시 이를 제거할 수 있다.
제1 수용부(110)와 제2 수용부(120) 사이에는 흡인 카테터(10)의 조절 밸브(12)를 거치하기 위한 걸림부(130)가 형성된다. 걸림부(130)는 제1 수용부(110)와 제2 수용부(120)의 연결 부위에서 안쪽으로 향해 돌출된 격벽 구조를 갖는다. 예를 들어, 걸림부(130)의 격벽에 의해 형성되는 홀(131)은, 흡인 카테터(10)의 튜브(11)만이 드나들 수 있도록 튜브(11)의 직경보다 크지만 조절 밸브(12)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흡인 카테터(10)의 조절 밸브(12)가 제1 수용부(110)로 흘러내리지 않도록 하여 흡인 카테터(10)의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걸림부(130)의 격벽에 의해 흡인 카테터(10) 사용 시 제1 수용부(110)에 담기는 생리 식염수가 외부로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포장 용기(100)의 구조에 따라, 흡인 카테터(10) 보관 내지 사용 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장 용기(100) 내에 흡인 카테터(10)를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흡인 카테터(10)의 조절 밸브(12)를 걸림부(130)에 걸어 두어 제2 수용부(120) 내에 위치시키고, 흡인 카테터(10)의 튜브(11)를 제1 수용부(110) 내에 위치시킬 수 있다. 이처럼, 포장 용기(100)를 통해 흡인 카테터(10)를 안정적으로 거치함으로써, 흡인 과정을 혼자서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제1 수용부(110)의 내부 공간에는 흡인 카테터(10) 사용 시 흡인 카테터(10)를 거치할 뿐만 아니라 흡인 카테터(10)를 적시고 세척하기 위한 생리 식염수를 담을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1 수용부(110)의 연결부(113)에는 외부의 생리 식염수를 공급받기 위한 공급관(140)이 형성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공급관(140)은 연결 튜브(20)를 통해 생리 식염수 파우치(미도시)에 연결되어, 흡인 카테터(10) 사용 시 필요한 수준의 생리 식염수가 공급관(140)을 통해 제1 수용부(110)의 지지부(111)와 연결부(113) 내의 공간에 채워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공급관(140)은 연결부(113)의 상부에서 외부로 돌출 형성되며, 공급관(140)의 단부에는 공급관(140) 미사용 시 밀봉을 위한 마개(141)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생리 식염수는 제1 수용부(110)에서 공급관(140)의 위치보다 아래쪽까지 채워질 수 있다. 제1 수용부(110)의 연결부(113)에는 제1 수용부(110)에 담기는 생리 식염수의 양을 확인할 수 있도록 눈금이 표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수용부(110)의 내부 공간에 채워지는 생리 식염수는 약 30ml 내지 50ml이나,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생리 식염수를 담을 수 있는 내부 공간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음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이처럼, 본 실시예에 따르면 포장 용기(100)를 생리 식염수를 담는 용기로도 활용할 수 있어, 흡인 카테터(10) 사용 시 별도의 용기가 필요치 않게 된다. 또한, 흡인 카테터(10)의 튜브(11) 전체를 생리 식염수로 적실 수 있어 기관지에 삽입할 때 마찰을 현저히 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흡인 카테터(10)의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소요되는 생리 식염수 양을 저감시킬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르면, 포장 용기(100)는 안정적인 지지를 위한 고정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150)는 제1 수용부(110)의 지지부(111)에 장착되어 포장 용기(100)를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흡인 카테터의 포장 용기를 지지하는 고정부의 단면도로서, 도 4의 (a)와 (b)는 각각 고정부의 정면 단면도와 평면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포장 용기(100)의 고정부(150)는 탄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져 고정부(150) 내에 제1 수용부(110)의 지지부(111)를 끼우는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고정부(150)의 바닥면은 지면에 부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고정부(150)에는 지지부(111)와 대응되는 형상의 결합 공간(151)이 형성될 수 있다. 결합 공간(151)은 제1 수용부(110)의 지지부(111) 단면과 대응되는 단면을 가지며, 상부와 일 측면이 개방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제1 수용부(110)의 지지부(111)를 고정부(150)의 일측에서 끼워 넣는 방식으로 고정부(150)에 결합시킬 수 있다.
고정부(150)의 바닥면은 지면에 부착되는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고정부(150)의 바닥면에는 양면 테이프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외에 접착제 등 공지의 접착 방식에 의해 고정부(150)를 지면에 부착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흡인 카테터의 포장 용기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흡인 카테터의 포장 용기의 다른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본 고안과 관계없는 부분의 설명은 생략하였으며, 각 실시예에서 동일/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 부호를 붙였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흡인 카테터의 포장 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흡인 카테터의 포장 용기에 흡인 카테터가 보관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포장 용기(200)는 각기 흡인 카테터(10)의 튜브(11) 및 조절 밸브(12)를 수용할 수 있는 제1 수용부(210) 및 제2 수용부(220)를 포함한다. 제1 수용부(210)와 제2 수용부(220)는 포장 용기(200)의 양측에 배치되어 격벽(230)에 의해 구획되고, 각각 상부가 개방된 그릇 형태를 갖는다.
포장 용기(200)의 제1 수용부(210)는 돌출부(215)를 구비한다. 돌출부(215)는 제1 수용부(210)의 일측에 형성되어, 흡인 카테터(10)의 튜브(11)를 보관할 때 이를 감아서 수납할 수 있도록 한다. 돌출부(215)는 튜브(11)를 보관할 때 이를 가이드하는 기능 이외에 제1 수용부(210)에 생리 식염수가 담길 때 필요한 생리 식염수의 양을 확인할 수 있는 지표로서의 기능도 수행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돌출부(215)가 원형의 단면을 갖는 기둥으로 예시되어 있으나, 이는 튜브(11)를 감는 기능을 수행하면 충분한 것으로 원형 이외의 다른 형상으로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포장 용기(200)의 제1 수용부(210)와 제2 수용부(220)는 격벽(230)에 의해 구획되며, 1 수용부(210)와 제2 수용부(220)의 바닥면은 각각 편평하게 형성되어 지면에 안정적으로 놓일 수 있다. 또한, 제1 수용부(210)는 생리 식염수를 담을 수 있도록 충분한 깊이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흡인 카테터(10) 사용 시 이를 수납하여 흡인 카테터(10)의 튜브(11)를 충분히 적실 수 있게 된다.
포장 용기(200)의 제1 수용부(210)와 제2 수용부(220)의 상단에는 멸균 포장지(미도시)가 제거 가능하도록 접착되어, 흡인 카테터(10)의 보관 및 유통 시 멸균 포장지로 밀봉하다가 사용 시 이를 제거할 수 있다.
포장 용기(200)의 격벽(230)의 일측, 바람직하게는 제1 수용부(210)에서 돌출부(215)가 형성된 위치와 반대측에는 조절 밸브(12)를 거치할 수 있는 걸림홈(231)이 형성된다. 격벽(230)에 형성되는 걸림홈(231)은 흡인 카테터(10)의 조절 밸브(12)가 걸려 제1 수용부(210) 내로 이동하지 않도록 하여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이러한 격벽(230) 및 걸림홈(231)의 구조에 의해 포장 용기(200)의 제1 수용부(210)와 제2 수용부(220)에 각각 튜브(11)와 조절 밸브(12)가 안정적으로 보관될 수 있다.
이처럼, 본 실시예에 따른 포장 용기(200)는 흡인 카테터(10)의 보관 및 유통에 사용할 뿐만 아니라 흡인 카테터(10) 사용 시 거치대로 사용할 수 있고, 앞선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생리 식염수를 담는 용기로도 활용할 수 있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흡인 카테터의 포장 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흡인 카테터의 포장 용기에 흡인 카테터가 보관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포장 용기(300)는 각기 흡인 카테터(10)의 튜브(11) 및 조절 밸브(12)를 수용할 수 있는 제1 수용부(310) 및 제2 수용부(320)를 포함한다. 제1 수용부(310)와 제2 수용부(320)는 격벽(330)에 의해 구획되고, 각각 상부가 개방된 형태를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수용부(310)가 원형 그릇 형태로 형성되고, 제2 수용부(320)는 제1 수용부(310)의 일측에 살짝 돌출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제1 수용부(310)의 중앙에는 돌출부(315)가 형성되어, 흡인 카테터(10)의 튜브(11)를 보관할 때 이를 감아서 수납할 수 있도록 한다. 돌출부(315)는 이외에도 제1 수용부(310)에 생리 식염수가 담길 때 필요한 생리 식염수의 양을 확인할 수 있는 지표로 활용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도 돌출부(315)가 원형의 단면을 갖는 기둥으로 예시되어 있으나, 이는 튜브(11)를 감는 기능을 수행하면 충분한 것으로 원형 이외의 다른 형상으로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술한 제1 수용부(310)와 돌출부(315)의 구조로 인하여 흡인 카테터(10)의 튜브(11)가 배치되고 생리 식염수가 담기는 제1 수용부(310)의 체적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튜브(11)를 돌출부(315)에 감아 보관할 때 생리 식염수로 충분히 적실 수 있으면서도 소요되는 생리 식염수의 양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도 포장 용기(300)의 제1 수용부(310)와 제2 수용부(320)의 상단에는 멸균 포장지(미도시)가 제거 가능하도록 접착되어, 흡인 카테터(10)의 보관 및 유통 시 멸균 포장지로 밀봉하다가 사용 시 이를 제거할 수 있다.
포장 용기(300)의 제1 수용부(310)와 제2 수용부(320)를 구획하는 격벽(330)에는 걸림홈(331)이 형성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조절 밸브(12)가 걸림홈(331)에 의해 형성되는 턱에 걸려 제1 수용부(310)로 이동하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포장 용기(300)의 제1 수용부(310)와 제2 수용부(320)에 각각 튜브(11)와 조절 밸브(12)가 안정적으로 보관될 수 있다.
도 9는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흡인 카테터의 포장 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흡인 카테터의 포장 용기의 측단면도이며, 도 11은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흡인 카테터의 포장 용기에 흡인 카테터가 보관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포장 용기(400)는 앞선 실시예와 유사하게 각기 흡인 카테터(10)의 튜브(11) 및 조절 밸브(12)를 수용할 수 있는 제1 수용부(410) 및 제2 수용부(420)를 포함한다. 포장 용기(400)는 전체적으로 상부가 개방된 그릇 형태를 가지며, 제1 수용부(410)와 제2 수용부(420)는 격벽(430)에 의해 구획되어 제2 수용부(420)가 제1 수용부(410)에 의해 둘러싸인 형태로 이루어진다.
포장 용기(400)의 격벽(430)은 제1 수용부(410)와 제2 수용부(420)를 구획하는 기능 이외에도, 흡인 카테터(10)의 튜브(11)를 수납할 때 이를 감아서 보관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격벽(430)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 및 제3 실시예에 따른 격벽(230, 330)의 기능 이외에 돌출부(215, 315)의 기능도 함께 수행한다.
포장 용기(400)의 제1 수용부(410)와 제2 수용부(420)가 격벽(430)에 의해 구획됨에 따라, 제1 수용부(410)를 생리 식염수를 담는 용기로 활용하여 흡인 카테터(10) 사용 시 튜브(11)를 충분히 적실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포장 용기(400)는 타원형으로 형성되며, 격벽(430)은 포장 용기(400) 내에서 단축 방향으로 따라서는 대칭적으로 형성되되, 장축을 따라서는 어느 한 쪽으로 편중되어 형성된다. 또한, 격벽(430)의 일 부분, 바람직하게는 격벽(430)이 편중된 반대측 부분에는 튜브(11)가 통과할 수 있는 걸림홈(431)이 형성된다. 격벽(430)에 형성되는 걸림홈(431)은, 흡인 카테터(10)의 튜브(11)만이 드나들 수 있도록 튜브(11)의 직경보다 크지만 조절 밸브(12)의 직경보다 작은 단면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수용부(410)와 제2 수용부(420)에 각각 튜브(11)와 조절 밸브(12)가 나누어 안정적으로 보관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포장 용기(400)의 바닥면은 편평하게 형성되되 저면은 일측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어, 포장 용기(400)의 저면은 격벽(430)이 편중된 방향을 따라 올라가는 방향으로 경사질 수 있다. 이를 통해 생리 식염수를 담을 때 생리 식염수가 한 쪽으로 고일 수 있어, 튜브(11)를 보다 효율적으로 적실 수 있게 된다. 다만,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저면의 경사 방향을 바꾸거나 저면에 경사를 두지 않는 형태로 변경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도 12는 본 고안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흡인 카테터의 포장 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고안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흡인 카테터의 포장 용기의 측단면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포장 용기(500)는 제4 실시예에 따른 포장 용기(400)와 유사한 형상을 갖는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포장 용기(500)는 타원형으로 형성되며, 각기 격벽(530)을 사이에 두고 흡인 카테터(10)의 튜브(11) 및 조절 밸브(12)를 수용할 수 있는 제1 수용부(510) 및 제2 수용부(520)가 형성되되, 제2 수용부(520)는 제1 수용부(510)에 의해 둘러싸인 형태로 이루어진다. 격벽(530)은 포장 용기(500) 내에서 단축 방향으로 따라서는 대칭적으로 형성되되, 장축을 따라서는 어느 한 쪽으로 편중되어 형성된다. 또한, 격벽(530)의 일부분, 바람직하게는 격벽(530)이 편중된 반대측 부분에는 튜브(11)가 통과할 수 있는 걸림홈(531)이 형성되며, 걸림홈(531)은 튜브(11)의 직경보다 크지만 조절 밸브(12)의 직경보다 작은 단면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서도 앞선 실시예와 유사하게, 즉 도 11에 도시된 바와 유사하게 흡인 카테터(10)의 튜브(11) 및 조절 밸브(12)가 나누어져 보관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르면, 포장 용기(500)의 제2 수용부(520)의 바닥면은 제1 수용부(510)의 바닥면보다 높이 형성될 수 있다. 흡인 카테터(10) 사용 시 제1 수용부(510)에는 튜브(11)를 적시거나 세척하기 위해 생리 식염수를 담아야 하는 반면에, 조절 밸브(12)가 수납되는 제2 수용부(520)에는 생리 식염수를 담을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포장 용기(500)의 구조에서 지면에 안정적으로 세우기 위하여, 제2 수용부(520)의 바닥면 아래에 배치되는 고정부(5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고정부(550)는 상면이 포장 용기(500)의 제2 수용부(520) 바닥면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고, 바닥면은 지면에 안정적으로 놓일 수 있도록 편평한 형상을 갖는다. 또한, 고정부(550)는, 고정부(550) 상에 포장 용기(500)의 제2 수용부(520) 바닥면이 놓일 때 제1 수용부(510) 바닥면과 고정부(550)의 바닥면이 동일 평면에 위치하는 높이를 갖는다.
고정부(550)의 바닥면은 지면에 부착되는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부(550)의 바닥면에 양면 테이프가 구비될 수 있으며, 또는 접착제 등 공지의 접착 방식에 의해 고정부(550)를 지면에 부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 수용부(520) 아래에 배치되는 고정부(550)를 더 구비함으로써 포장 용기(500)를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따라서 흡인 카테터(10) 사용 시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4는 본 고안의 제6 실시예에 따른 흡인 카테터의 포장 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15는 본 고안의 제6 실시예에 따른 흡인 카테터의 포장 용기와 이를 지지하기 위한 고정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6 실시예에 다른 포장 용기(600)는 앞선 실시예들과 유사하게 흡인 카테터(10)의 튜브(11) 및 조절 밸브(12)를 수용할 수 있는 제1 수용부(610) 및 제2 수용부(620)가 형성된다. 포장 용기(600)는 타원형으로 이루어지며, 제1 수용부(610)가 격벽(630)을 사이에 두고 제2 수용부(620)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된다. 격벽(630)의 일 부분, 바람직하게는 포장 용기(600)의 장축을 기준으로 격벽(630)이 편중되어 있는 반대측 부분에는 걸림홈(631)이 형성되어, 조절 밸브(12)가 제2 수용부(620)에 거치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포장 용기(600)의 제1 수용부(610)에는 생리 식염수를 담는 위한 저장부(611)가 형성된다. 제1 수용부(610)의 저장부(611)는 생리 식염수를 충분히 담기 위하여 제2 수용부(620)에 비하여 깊이가 깊은 용기 형태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저장부(611)는 원기둥, 원뿔대, 반구, 이들의 조합 등 다양한 형상의 용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수용부(610)는 저장부(611) 외곽에 배치되는 연결부(613)를 포함한다. 연결부(613)는 저장부(611)와 제2 수용부(620) 사이에 형성되고, 제2 수용부(620)로부터 저장부(611)를 향하는 방향을 따라 아래로 기울어진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수용부(610)의 저장부(611)에 생리 식염수를 담을 때 연결부(613)에 생리 식염수가 투입되더라도 저장부(611)로 흘러 모이게 함으로써 사용 시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포장 용기(600)는 제1 수용부(610)의 저장부(611) 바닥면 아래에 배치되는 고정부(6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고정부(650)에는 저장부(611)를 거치할 수 있는 수용홀(651)이 형성된다. 고정부(650)의 수용홀(651)은 저장부(611)의 외부 형상에 부합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저장부(611)를 끼움 결합하고 이를 고정함으로써, 포장 용기(600)를 전체적으로 안정적으로 고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고정부(650)가 수용홀(651)을 통해 저장부(611)를 끼우는 방식으로 고정하고 있으나, 이와 달리 저장부(611)를 고정부에 올려 두는 방식으로 지지, 고정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상 본 고안을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들에 의해 설명하였으나, 상기 실시예는 본 고안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사상은 앞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고안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흡인 카테터
11: 튜브
12: 조절 밸브
100, 200, 300, 400, 500, 600: 포장 용기
110, 210, 310, 410, 510, 610: 제1 수용부
111: 지지부
113, 613: 연결부
120, 220, 320, 420, 520, 620: 제2 수용부
130: 걸림부
131: 홀
140: 공급관
141: 마개
150, 550, 650: 고정부
151: 결합 공간
160: 멸균 포장지
215, 315: 돌출부
230, 330, 430, 530, 630: 격벽
231, 331, 431, 531, 631: 걸림홈
611: 저장부

Claims (12)

  1. 상부가 개방된 형태의 흡인 카테터의 포장 용기로서,
    흡인 카테터의 튜브를 수용하는 내부 공간이 제공되는 제1 수용부,
    상기 제1 수용부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흡인 카테터의 조절 밸브를 수용하는 내부 공간이 제공되는 제2 수용부,
    상기 제1 수용부와 상기 제2 수용부를 구획하는 격벽 및
    상기 제1 수용부 상에 형성되어, 상기 흡인 카테터의 튜브를 감아서 수납할 수 있도록 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격벽의 일측에는 상기 흡인 카테터의 조절 밸브를 거치할 수 있는 걸림홈이 형성되어 상기 흡인 카테터의 조절 밸브가 상기 걸림홈에 걸려 상기 제1 수용부로 이동하지 않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 수용부와 상기 제2 수용부의 바닥면은 지면에 안정적으로 놓일 수 있도록 편평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1 수용부의 내부 공간은 생리 식염수를 담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포장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1 수용부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걸림홈은 상기 돌출부가 형성되는 위치와 반대측에 위치하여, 상기 흡인 카테터의 조절 밸브가 상기 제1 수용부 내로 이동하지 않도록 구성되는, 포장 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수용부는 상기 제1 수용부의 일측에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1 수용부의 중앙에 위치하는, 포장 용기.
  4. 상부가 개방된 형태의 흡인 카테터의 포장 용기로서,
    흡인 카테터의 튜브를 수용하는 내부 공간이 제공되는 제1 수용부,
    상기 제1 수용부에 의해 둘러싸인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흡인 카테터의 조절 밸브를 수용하는 내부 공간이 제공되는 제2 수용부 및
    상기 제1 수용부와 상기 제2 수용부를 구획하고, 상기 흡인 카테터의 튜브를 감아서 수납할 수 있도록 하는 격벽을 포함하고,
    상기 격벽에는 상기 흡인 카테터의 조절 밸브를 거치할 수 있는 걸림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수용부의 내부 공간은 생리 식염수를 담을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수용부는, 상기 제1 수용부 내에서 단축 방향을 따라서는 대칭적으로 형성되되, 장축을 따라서는 어느 한 쪽으로 편중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1 수용부의 바닥면과 상기 제2 수용부의 바닥면은 편평하게 형성되되, 상기 제1 수용부의 저면과 상기 제2 수용부의 저면은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생리 식염수가 한 쪽으로 고일 수 있도록 구성되는, 포장 용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홈은 상기 흡인 카테터의 튜브의 직경보다 크지만 상기 흡인 카테터의 조절 밸브의 직경보다 작은 단면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흡인 카테터의 튜브만 통과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포장 용기.
  6. 삭제
  7. 삭제
  8. 상부가 개방된 형태의 흡인 카테터의 포장 용기로서,
    흡인 카테터의 튜브를 수용하는 내부 공간이 제공되는 제1 수용부,
    상기 제1 수용부에 의해 둘러싸인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흡인 카테터의 조절 밸브를 수용하는 내부 공간이 제공되는 제2 수용부 및
    상기 제1 수용부와 상기 제2 수용부를 구획하고, 상기 흡인 카테터의 튜브를 감아서 수납할 수 있도록 하는 격벽을 포함하고,
    상기 격벽에는 상기 흡인 카테터의 조절 밸브를 거치할 수 있는 걸림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수용부의 내부 공간은 생리 식염수를 담을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2 수용부의 바닥면 아래에 배치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의 상면은 상기 제2 수용부의 바닥면과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포장 용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수용부의 바닥면은 상기 제1 수용부의 바닥면보다 높게 위치하고,
    상기 고정부가 상기 제2 수용부의 바닥면 아래에 배치될 때, 상기 고정부의 바닥면은 상기 제1 수용부의 바닥면과 동일 평면에 위치하도록 구성되는, 포장 용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지면에 부착되도록 구성되는, 포장 용기.
  11. 삭제
  12. 상부가 개방된 형태의 흡인 카테터의 포장 용기로서,
    흡인 카테터의 튜브를 수용하는 내부 공간이 제공되는 제1 수용부,
    상기 제1 수용부에 의해 둘러싸인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흡인 카테터의 조절 밸브를 수용하는 내부 공간이 제공되는 제2 수용부 및
    상기 제1 수용부와 상기 제2 수용부를 구획하고, 상기 흡인 카테터의 튜브를 감아서 수납할 수 있도록 하는 격벽을 포함하고,
    상기 격벽에는 상기 흡인 카테터의 조절 밸브를 거치할 수 있는 걸림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수용부의 내부 공간은 생리 식염수를 담을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 수용부는, 생리 식염수를 담을 수 있도록 상기 제2 수용부보다 깊이가 깊은 용기로 형성되는 저장부 및 상기 저장부의 외곽에 배치되고 상기 저장부와 상기 제2 수용부 사이에 위치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2 수용부로부터 상기 저장부를 향하는 방향을 따라 아래로 기울어진 경사면을 가지며,
    상기 제1 수용부의 상기 저장부의 바닥면 아래에 배치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에는 상기 저장부의 외부 형상에 부합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저장부를 거치할 수 있는 수용홀이 형성되는, 포장 용기.
KR2020200000790U 2019-08-20 2020-03-06 흡인 카테터의 포장 용기 KR200494056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3435 2019-08-20
KR20190003435 2019-08-20
KR2020200000702U KR200494541Y1 (ko) 2019-08-20 2020-02-28 흡인 카테터의 포장 용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0702U Division KR200494541Y1 (ko) 2019-08-20 2020-02-28 흡인 카테터의 포장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0475U KR20210000475U (ko) 2021-03-03
KR200494056Y1 true KR200494056Y1 (ko) 2021-07-22

Family

ID=7487093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0702U KR200494541Y1 (ko) 2019-08-20 2020-02-28 흡인 카테터의 포장 용기
KR2020200000790U KR200494056Y1 (ko) 2019-08-20 2020-03-06 흡인 카테터의 포장 용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0702U KR200494541Y1 (ko) 2019-08-20 2020-02-28 흡인 카테터의 포장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494541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2105825D0 (en) * 2021-04-23 2021-06-09 Convatec Ltd Intermittent cathete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103840A1 (en) * 2010-10-28 2012-05-03 Medtronic Ventor Technologies Ltd. Tray for Loading a Medical Device
US20190076207A1 (en) * 2017-09-08 2019-03-14 Ahn Surgical Innovation, LLC Tray for temporary storage of catheters and other coiled surgical device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E497401T1 (de) 2006-06-08 2011-02-15 Hollister Inc Katheterproduktverpackung und herstellungsverfahren dafür
US9033149B2 (en) 2010-03-04 2015-05-19 C. R. Bard, Inc. Catheter assembly/package utilizing a hydrating/hydrogel sleeve and a foil outer layer and method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KR20120002230U (ko) * 2010-09-17 2012-03-27 케어캠프 주식회사 의료기구 수납 키트
KR200488284Y1 (ko) * 2017-03-24 2019-01-08 김영순 일회용 흡인카테터 포장 용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103840A1 (en) * 2010-10-28 2012-05-03 Medtronic Ventor Technologies Ltd. Tray for Loading a Medical Device
US20190076207A1 (en) * 2017-09-08 2019-03-14 Ahn Surgical Innovation, LLC Tray for temporary storage of catheters and other coiled surgical devi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4541Y1 (ko) 2021-11-03
KR20210000474U (ko) 2021-03-03
KR20210000475U (ko) 2021-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783996A (en) Syringe package
MX2008014329A (es) Unidad de bomba para aspiracion.
EP0283125B1 (en) Surgical drainage apparatus
DK162815B (da) Sugeflaske til medicinske formaal
KR200494056Y1 (ko) 흡인 카테터의 포장 용기
WO2006114466A1 (es) Batea urológica polivalente
US5683655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infecting writing instruments
ES2896764T3 (es) Un dispositivo de extracción de sangre de cordón
CA1170533A (en) Thoracic drainage unit
CN205054829U (zh) 一种用于眼部冲洗的受水容器
US6360883B1 (en) Packaging for artificial lens
US3207298A (en) Enema administration unit
ITRM20130713A1 (it) Dispositivo per la movimentazione ed il trasporto di un bulbo oculare.
CN213466239U (zh) 一种一次性医用抗逆流吸引瓶
US20110245786A1 (en) Wound Irrigation Device
CN208626269U (zh) 临床用吸痰管储存消毒装置
KR200488284Y1 (ko) 일회용 흡인카테터 포장 용기
KR200216095Y1 (ko) 소기흉병
CN205964375U (zh) 一种消毒防尘护理科用工具收纳装置
CN210963260U (zh) 一种甲状腺术后引流液储存器
CN214987187U (zh) 一种标本密封容器
CN113855876A (zh) 一种胸腔引流瓶
CN218651867U (zh) 一次性留尿杯
CN215194153U (zh) 一种肝胆外科护理用引流装置
CN219516695U (zh) 植入物输送系统包装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