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6095Y1 - 소기흉병 - Google Patents

소기흉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6095Y1
KR200216095Y1 KR2020000024093U KR20000024093U KR200216095Y1 KR 200216095 Y1 KR200216095 Y1 KR 200216095Y1 KR 2020000024093 U KR2020000024093 U KR 2020000024093U KR 20000024093 U KR20000024093 U KR 20000024093U KR 200216095 Y1 KR200216095 Y1 KR 2002160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ient
air
blood
discharge
discharg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40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두연
Original Assignee
이두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두연 filed Critical 이두연
Priority to KR20200000240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609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60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6095Y1/ko

Links

Landscapes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소기흉병에 관한 것으로, 환자의 폐에서 배출되는 공기나 혈액을 집적할 수 있도록 된 소기흉병(1)이 구비되되, 이 소기흉병(1)은 내부에 공기나 혈액 등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가짐과 더불어 그 상부에 유입구(2)가 형성된 원통형의 몸체(3)와, 이 몸체(3)의 유입구(2) 하부에 연결설치됨과 더불어 그 하단에 판막(4)이 형성됨으로써 공기 및 혈액을 하부로 배출하면서도 역류가 방지되는 드레인 밸브(5)와, 상기 몸체(3)의 일측 하부에 형성되어 몸체(3)에 수용된 공기 및 혈액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된 배출관(6) 및, 이 배출관(6)의 하부에 탈부착이 가능하게 설치됨과 더불어 그 내부에 늑막액을 신속히 흡수저장할 수 있는 흡수용 탈지면(7)이 내장된 수용팩(8)으로 이루어진 구조로서, 환자의 상태에 따라 늑막액의 배출이 거의 없는 경우 수용팩을 분리하여 사용함으로써 환자에게 편의를 줄 수 있고, 소기흉병의 휴대 및 그 사용이 간편하기 때문에 환자가 보다 원활하게 활동할 수 있으며, 환자의 폐로부터 배출되는 미량의 공기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의사가 환자의 상태를 쉽게 파악할 수 있고, 환자의 체위 변동에도 늑막액이 배출되는 염려가 없기 때문에 환자의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소기흉병{Small pheumothorax bottle}
본 고안은 폐에서 배출되는 공기 및 혈액을 수용할 수 있도록 된 배액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늑막강(Pleural Cavity) 및 종격동, 내부에 고인 혈액 및 액체 또는 공기를 보다 효과적으로 배출시켜 집적시킴과 더불어 환자가 보다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한 소기흉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형 교통사고를 비롯한 각종 원인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흉부손상시나, 폐렴, 늑막염, 결핵 및 암 등에 의한 수술에 의하여 늑막강에 혈액 및 삼출액을 저류케하는 바, 이러한 혈액이나 삼출액은 신속히 배출시켜야 하며 공기유입은 차단되어야 하는 것이다.
그러나, 흉강내의 압력은 호기와 흡기에 따라 변하게 되며 호기시엔 -2~-4CmH2O, 흡기시에는 -4~-8CmH2O의 음압이 계속 유지될 필요가 있으나 수송시의 체위변동이나 기침 등으로 늑막강내의 압력이 급변하게 되어 배액된 혈액 및 농이 흉강내부로 역류하는 위험이 있으므로, 배출관의 단부를 증류수에 담궈 흉강내의 액체는 배출시키고 외부의 공기는 유입되지 아니하도록 하는 장치가 필요로 하게 되었다.
그리고, 상기 흉강내부로부터 액체등이 배출되나 공기의 유입을 전혀 허용치 아니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음압조절조의 세관부 상단을 마개로 막은 후 양압조절조에 물을 부어 칸막이 하단으로부터 약 2cm높이에 이르기까지 물을 붓는다.
이후, 흉강내부와 유입구를 호스로 연결하면 흉강내부로부터 혈액, 늑막삼출액 등이 저류조로 유입되나 세관부의 높이가 수면으로부터 약 20cm이상이되므로 흉강내부가 어느정도 음압이 되더라도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지 아니한다. 일시적인 음압현상이 발생될 염려가 있을 때는 아예 배기구에 공기가 배출되기는 해도 유입이 불가능한 체크밸브를 장치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내부의 압력 유지나 기체의 원활한 흐름을 위해 상기 흉부 배액 장치는 고정되어 있어야 하므로 환자의 체위 변동이 어려워 환자에게 불편을 초래하며, 또한 환자의 이송중에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의 문제점을 보완하고자 근래에 들어 휴대가 가능한 흉부 배액병이 개발되어 사용되는 바, 이는 일방향 밸브인 하임리크 밸브(Heimlich valve)를 이용한 것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부가 막혀있는 원형관상의 몸체(10)와, 이 몸체(10) 상부 중앙을 관통하여 형성된 연결관(12)과, 상기 몸체(10) 내부의 연결관(12) 하단에 형성된 판막(14) 및, 상기 판막(14)이 중앙의 절개부(16)에 끼워져 있고 바깥면이 몸체(10) 내면과 밀착되어 고정된 원판상의 탄성체(18)로 이루어진 구조이다.
그리고, 상기 몸체(10)는 하부몸체(20)의 상단 내면과 상부몸체(22)의 하단 외면이 나사결합되며, 상기 몸체(10)는 투명한 플라스틱 재질의 것을 사용하여 내부를 육안으로 관찰할 수 있고, 상기 연결관(12)의 몸체 외부 끝단에 환자와 연결되는 연결관을 끼워 사용할 수 있으며, 몸체 내부 끝단은 판막(14)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판막(14)은 혈액이나 늑막액, 불순물 등의 응고 접착을 막을 수 있는 실리콘 재질의 것을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의 흉부 배액병의 경우 환자의 폐에서 공기가 미량 나올 경우에는 이를 확인할 수가 없고, 환자의 상태에 상관없이 항상 일정한 흉부 배액병을 달고 다녀야 하기 때문에 사용상의 불편함이 있으며, 통원치료를 받는 환자가 휴대하면서 다른 업무를 보기에는 그 부피가 클 뿐만아니라 간섭을 일으키게 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의 사정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휴대가 간편함과 더불어 그 사용이 편리함으로써 환자의 불편을 최소화하면서도 효율적으로 폐의 공기 및 혈액을 집적할 수 있도록 한 소기흉병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내부에 공기나 혈액 등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가짐과 더불어 그 상부에 유입구가 형성된 원통형의 몸체와, 이 몸체의 유입구 하부에 연결설치됨과 더불어 그 하단에 판막이 형성됨으로써 공기 및 혈액을 하부로 배출하면서도 역류가 방지되는 드레인 밸브와, 상기 몸체의 일측 하부에 형성되어 몸체에 수용된 공기 및 혈액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된 배출관 및, 이 배출관의 하부에 탈부착이 가능하게 설치됨과 더불어 그 내부에 늑막액을 신속히 흡수저장할 수 있는 흡수용 탈지면이 내장된 수용팩으로 이루어진 구조이다.
즉, 상기 몸체의 유입구에 유입관을 삽입시켜 환자의 폐에 연결하게 되면, 환자의 폐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와 혈액이 상기 몸체 내부의 드레인 밸브로 유입되고, 상기 드레인 밸브를 거쳐 몸체 내부 공간에 공기와 혈액이 모이게 되며, 상기 몸체에 모인 혈액이 과다할 경우나 환자의 움직임으로 인해 몸체가 기울어질 경우 상기 배출관을 통해 하부에 설치된 수용팩으로 공기나 혈액이 배출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그리고, 미량의 공기가 배출되는 것을 확인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상기 몸체에 생리식염수를 20cc 정도 투입하여 상기 드레인 밸브가 생리식염수에 잠수되게 하고, 이로 인하여 공기 누출시 공기방울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환자의 상태에 따라 늑막액의 배출이 거의 없는 경우 수용팩을 분리하여 사용함으로써 환자에게 편의를 줄 수 있고, 소기흉병의 휴대 및 그 사용이 간편하기 때문에 환자가 보다 원활하게 활동할 수 있으며, 환자의 폐로부터 배출되는 미량의 공기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의사가 환자의 상태를 쉽게 파악할 수 있고, 환자의 체위 변동에도 늑막액이 배출되는 염려가 없기 때문에 환자의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흉부 배액병을 나타낸 상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소기흉병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소기흉병의 구조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소기흉병에 생리식염수가 담겨진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소기흉병 2 : 유입구
3 : 몸체 4 : 판막
5 : 드레인 밸브 6 : 배출관
7 : 흡수용 탈지면 8 : 수용팩
9 : 유입관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소기흉병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소기흉병의 구조를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소기흉병에 생리식염수가 담겨진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상기한 도면들에 의해 본 고안의 구조를 설명하면, 환자의 폐에서 배출되는 공기나 혈액을 집적할 수 있도록 된 소기흉병(1)이 구비되되, 이 소기흉병(1)은 내부에 공기나 혈액 등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가짐과 더불어 그 상부에 유입구(2)가 형성된 원통형의 몸체(3)와, 이 몸체(3)의 유입구(2) 하부에 연결설치됨과 더불어 그 하단에 판막(4)이 형성됨으로써 공기 및 혈액을 하부로 배출하면서도 역류가 방지되는 드레인 밸브(5)와, 상기 몸체(3)의 일측 하부에 형성되어 몸체(3)에 수용된 공기 및 혈액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된 배출관(6) 및, 이 배출관(6)의 하부에 탈부착이 가능하게 설치됨과 더불어 그 내부에 늑막액을 신속히 흡수저장할 수 있는 흡수용 탈지면(7)이 내장된 수용팩(8)으로 이루어진 구조이다.
여기서, 상기 소기흉병(1)의 특징은 그 몸체(3)와 수용팩(8)이 분리가능하도록 된 것에 있는 바, 환자의 상태에 따라 공기 및 혈액의 배출량이 많을 경우에는 상기 몸체(3)에 수용팩(8)을 설치하여 사용하고, 반면에 공기 및 혈액의 배출량이 극미할 경우에는 상기 몸체(3)만을 이용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몸체(3)의 일측에 설치된 배출관(6)을 통해 몸체(3) 내부의 공기나 혈액이 상기 수용팩(8)으로 전달되는 바, 상기 배출관(6)이 몸체(3)의 내측에 설치됨으로써 혈액의 과도한 배출을 막아주거나 혹은 미량의 공기를 확인하기 위해 몸체(3) 내부에 투입된 물의 유출을 막아줄 수 있으며, 환자의 체위가 변하더라도 혈액 등과 같은 내용물이 밖으로 쉽게 배출되는 것을 제어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몸체(3)의 유입구(2)에 유입관(9)을 삽입시켜 환자의 폐에 연결하게 되면, 환자의 폐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와 혈액이 상기 몸체(3) 내부의 드레인 밸브(5)로 유입되고, 상기 드레인 밸브(5)를 거쳐 몸체(3) 내부 공간에 공기와 혈액이 모이게 되며, 상기 몸체(3)에 모인 혈액이 과다할 경우나 환자의 움직임으로 인해 몸체(3)가 기울어질 경우 상기 배출관(6)을 통해 하부에 설치된 수용팩(8)으로 공기나 혈액이 배출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즉, 상기 드레인 밸브(5)를 통과하는 공기와 혈액은 하부의 판막(4)에 의해 배출되기는 하지만 다시 유입되지 못하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상기 몸체(3)에 배출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수용팩(8)의 내부에 늑막액을 신속히 흡수 저장할 수 있는 흡수용 탈지면(7)이 구비되어, 상기 몸체(3)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와 혈액을 수용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상기 수용팩(8)을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수용팩의 흡수력은 대략 100cc - 200cc 정도인 것이다.
따라서, 상기의 소기흉병(1)에 의해 환자가 입원하지 않고 자기의 볼일을 보면서도 폐의 공기나 혈액을 보다 간편하게 배출시킬 수 있으며, 값싼 가격으로 환자가 손쉽게 구입할 수 있기 때문에 그 만큼 환자의 부담을 줄여줄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소기흉병에 의하면, 환자의 상태에 따라 늑막액의 배출이 거의 없는 경우 수용팩을 분리하여 사용함으로써 환자에게 편의를 줄 수 있고, 소기흉병의 휴대 및 그 사용이 간편하기 때문에 환자가 보다 원활하게 활동할 수 있으며, 환자의 폐로부터 배출되는 미량의 공기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의사가 환자의 상태를 쉽게 파악할 수 있고, 환자의 체위 변동에도 늑막액이 배출되는 염려가 없기 때문에 환자의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내부에 공기나 혈액 등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가짐과 더불어 그 상부에 유입구(2)가 형성된 원통형의 몸체(3);와
    상기 몸체(3)의 유입구(2) 하부에 연결설치됨과 더불어 그 하단에 판막(4)이 형성됨으로써 공기 및 혈액을 하부로 배출하면서도 역류가 방지되는 드레인 밸브(5);와
    상기 몸체(3)의 일측 하부에 형성되어 몸체(3)에 수용된 공기 및 혈액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된 배출관(6) 및
    상기 배출관(6)의 하부에 탈부착이 가능하게 설치됨과 더불어 그 내부에 늑막액을 신속히 흡수저장할 수 있는 흡수용 탈지면(7)이 내장된 수용팩(8);으로 이루어진 소기흉병.
KR2020000024093U 2000-08-25 2000-08-25 소기흉병 KR2002160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4093U KR200216095Y1 (ko) 2000-08-25 2000-08-25 소기흉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4093U KR200216095Y1 (ko) 2000-08-25 2000-08-25 소기흉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6095Y1 true KR200216095Y1 (ko) 2001-03-15

Family

ID=730878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4093U KR200216095Y1 (ko) 2000-08-25 2000-08-25 소기흉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609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7069B1 (ko) 흡입 펌프 유닛
CA3098569C (en) Fluid collectio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JP7406557B2 (ja) 移動式陰圧創傷治療装置のためのキャニスタ
US8529530B2 (en) Drainage pump unit
TW201143831A (en) Reduced-pressure, multi-orientation, liquid-collection canister
KR102604065B1 (ko) 음압 상처 치료 시스템용 커넥터 장치
US5641144A (en) Dialyzer holder
TW201217017A (en) Reduced-pressure, multi-orientation, liquid-collection canister
KR20200020430A (ko) 배액주머니
US20050101922A1 (en) Suction canister and drainage of same
KR200216095Y1 (ko) 소기흉병
KR200494056Y1 (ko) 흡인 카테터의 포장 용기
KR200252125Y1 (ko) 흉부배액병
KR200289919Y1 (ko) 소기흉병
KR100471368B1 (ko) 소기흉병
KR200240488Y1 (ko) 소기흉병
JP2003164518A (ja) 胸腔レギュレーター用使い捨てウォーターシール
KR100471366B1 (ko) 소기흉병
US20050027241A1 (en) Wound and eye irrigator
WO2024046609A1 (en) Postoperative chest drainage device
JPH05208046A (ja) 体液吸引集液器
JPS6318512B2 (ko)
JP2007300954A (ja) 吸引用貯留器および吸引用貯留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41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