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2077Y1 - 디티엠에프 신호에 따른 인형구동기능을 갖는 전화기 - Google Patents

디티엠에프 신호에 따른 인형구동기능을 갖는 전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2077Y1
KR200252077Y1 KR2020010022830U KR20010022830U KR200252077Y1 KR 200252077 Y1 KR200252077 Y1 KR 200252077Y1 KR 2020010022830 U KR2020010022830 U KR 2020010022830U KR 20010022830 U KR20010022830 U KR 20010022830U KR 200252077 Y1 KR200252077 Y1 KR 2002520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ll
telephone
dtmf
data line
coupling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28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황우
Original Assignee
이황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황우 filed Critical 이황우
Priority to KR20200100228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207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20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2077Y1/ko

Links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화기에 결합된 인형을 상대방 전화기로부터 인가되는 DTMF신호를 근거로 동작제어하도록 된 DTMF신호에 따른 인형구동기능을 갖는 전화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DTMF신호에 따른 인형구동기능을 갖는 전화기는, 소정 동작전원을 근거로 각 부분부분이 독립적으로 움직이도록 구성되는 인형과, 인형의 각 부분부분과 결합되는 다수의 제2 데이터라인으로 구성되는 전화기결합포트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인형부와, 상기 인형부의 전화기결합포트에 구비된 제2 데이터라인에 대응되도록 제1 데이터라인을 구비하여 구성되는 인형결합포트와, 상대 전화기와의 통화로를 온/오프설정하기 위한 통화로접속부, 상대 전화기로부터 인가되는 DTMF신호를 수신하는 DTMF수신회로, 상기 결합포트로 소정 동작전원을 제공하기 위한 전원부, DTMF신호에 대응되는 인형구동을 위한 제1 데이터라인선택정보가 저장되는 인형구동정보저장부 및, 상대 전화기와의 통화로가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DTMF수신회로로부터 소정의 DTMF수신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인형구동정보저장부에서 해당 DTMF수신신호에 대응되는 제1 데이터라인선택정보를 독출하여 상기 인형결합포트의 해당 제1 데이터라인으로 소정 동작전원을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마이크로 콘트롤러를 포함되는 전화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디티엠에프 신호에 따른 인형구동기능을 갖는 전화기{Telephone having a function of model-action control by DTMF signal}
본 고안은 전화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화기에 인형을 결합시켜 상대방 전화기로부터 인가되는 DTMF신호를 근거로 인형의 동작제어하도록 된 DTMF신호를 이용한 인형구동기능을 갖는 전화기에 관한 것이다.
현재, 전화기는 대중화된 통화수단으로서, 그 사용상의 편의를 위해 다양한 부가기능이 제안되어 사용화되고 있다. 예컨대, 최근에는 사용자의 부재중 전화에 대한 궁금증을 해소해주기 위해 발신자표시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전화기의 착신상태표시에 대한 기능도 다양화되고 있다.
즉, 전화기에 소정의 발광소자를 결합하여 착신상태를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취향에 따른 벨소리를 선택, 또는 녹음하여 착신상태에 따른 벨소리종류를 변경하는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전화기를 통해 상대방과의 통화중에 제공되는 서비스나 기능은 거의 전무한 상태이다.
또한 현재에는 상기한 전화기가 점차 소형화되면서 하나의 생활 악세사리로서 자리잡아 나가고 있고, 새로운 변화를 선호하는 신세대들은 이색적인 전화기를 요구하고 있는 바, 전화기에 대한 신선한 변화가 필요하게 된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전화기에 소정의 인형을 결합하여, 상대방과의 통화중에 상대방으로부터 인가되는 소정 DTMF신호를 근거로 인형의 다양한 움직임이 연출되도록 소정 구동전원을 인형으로 제공함으로써, 상대방과의 이색적인 통화환경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된 DTMF신호에 따른 인형구동기능을 갖는 전화기를 제공함에 그 기술적 목적이 있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DTMF신호에 따른 인형구동기능을 갖는 전화기의 요부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2는 도1에 도시된 전화기(10)의 내부구성을 기능적으로 분리하여 나타낸 기능블록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전화기(10)의 외관형상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간단한 설명 ******
10 : 전화기, 100 : 인형결합포트,
110 : 제1 데이터라인, 200 : 전화기결합포트,
210 : 제2 데이터라인, 300 : 인형,
310 : 지지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DTMF신호에 따른 인형구동기능을 갖는 전화기는, 소정 동작전원을 근거로 각 부분부분이 독립적으로 움직이도록 구성되는 인형과, 인형의 각 부분부분과 결합되는 다수의 제2 데이터라인으로 구성되는 전화기결합포트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인형부와, 상기 인형부의 전화기결합포트에 구비된 제2 데이터라인에 대응되도록 제1 데이터라인을 구비하여 구성되는 인형결합포트와, 상대 전화기와의 통화로를 온/오프설정하기 위한 통화로접속부, 상대 전화기로부터 인가되는 DTMF신호를 수신하는 DTMF수신회로, 상기 결합포트로 소정 동작전원을 제공하기 위한 전원부, DTMF신호에 대응되는 인형구동을 위한 제1 데이터라인선택정보가 저장되는 인형구동정보저장부 및, 상대 전화기와의 통화로가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DTMF수신회로로부터 소정의 DTMF수신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인형구동정보저장부에서 해당 DTMF수신신호에 대응되는 제1 데이터라인선택정보를 독출하여 상기 인형결합포트의 해당 제1 데이터라인으로 소정 동작전원을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마이크로 콘트롤러를 포함되는 전화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전화기에 인형을 결합하기 위한 소정 결합포트를 구비하여, 상대 전화기로부터 인가되는 DTMF신호를 근거로 결합포트에 결합된 인형의 특정부분을 움직이기 위한 동작전원을 인형으로 제공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인형의 움직임을 통해 상대방과의 소정 의사소통이 가능하게 됨은 물론, 새로운 전화통화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DTMF신호에 따른 인형구동기능을 갖는 전화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즉,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전화기(10)는 인형부와 결합하기 위한 인형결합포트(100)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인형부는 전화기와 결합하기 위한 전화기결합포트(200) 및 인형(300)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인형(300)은 그 인형의 부분부분, 예컨대 인형의 팔, 다리, 머리, 눈, 코, 입등이 각각 독립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되고, 이 인형(300)은 소정의 지지대(310)를 통해 전화기 결합포트(200)에 고정결합 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인형(300)은 사람, 동물과 같이 움직임이 가능한 각종 모형을 총칭하는 것으로, 예컨대 연예인 인형이나 토끼인형, 외계인, 만화주인공등이 이에 해당될 수 있다. 또한 인형(300)의 내부에는 각 부분 부분을 움직이기 위한 소정 모터 및 기어가 구비되어 구성되는데, 이는 일반적인 움직이는 인형의 구성이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화기(10)에 구성되는 인형결합포트(100)는 상기 인형결합포트(200)를 안내 체결하기 위해 양단에 소정의 가이드홈을 구비하여 구성됨과 더불어, 전화기결합포트(200)로 소정의 동작전원을 제공하기 위한 다수의 제1 데이터라인(110)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또한, 인형(300)과 결합되는 전화기결합포트(200)는 그 저면에 상기 인형결합포트(100)에 구비되는 제1 데이터라인(110)과 대응되도록 다수의 제2 데이터라인(210)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전화기결합포트(200)의 상면에는 인형(300)을 고정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310)가 위치결합되어 구성된다.
즉, 인형(300)이 결합된 전화기결합포트(200)는 전화기(10)에 구비된 인형결합포트(100)에 슬라이드식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되며, 이때 인형결합포트(100)에 구성되는 제1데이터라인(110)과 전화기결합포트(200)에 구성되는 제2 데이터라인(210)이 물리적으로 결합됨으로써, 데이터라인을 통한 전화기(10)와 인형(300)간의 전기적 통신, 예컨대 전화기(10)로부터 인형(300)으로의 동작전원 제공처리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전화기(10)는 상대 전화기로부터 수신되는 DTMF신호에 대응되도록 인형결합포트(100)에 구비된 해당 제1 데이터라인(110)으로 소정 전원을 제공하며, 이에 따라 인형(300)의 전화기결합포트(200)에 구비된 해당 제2 데이터라인(210)을 통해 인형(300)의 특정 부분을 구동하기 위한 모터에 전원이 공급되게 된다.
한편, 도2는 도1에 도시된 전화기(10)의 내부구성을 기능적으로 분리하여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도면에서 참조번호 11은 외부 국선라인을 접속하기 위한 국선접속포트이고, 12는 이 국선접선포트(11)에서 인가되는 링 신호를 감지하는 링검출부, 13은 상기 국선접속포트(11)를 통해 인가되는 링 신호를 근거로 소정의 벨소리를 출력하는 링 발생부, 14는 통화로의 접속여부 및 장치 내·외부로 입출력되는 통신신호 전반의 인터페이스 기능을 수행하는 인터페이스 회로이다.
또한, 참조번호 15는 송수화기이고, 16은 이후에 설명할 마이크로 콘트롤러(26)의 제어신호에 따라 통화로의 연결여부를 단속함과 더불어 기계적으로온/오프상태를 전환하도록 제어하는 통화로 접속부, 17은 상기 인터페이스 회로(14)와 통화로접속부(16)를 거쳐 상대 전화기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일정레벨로 증폭하는 기능과 측음(side tone)에 대한 신호처리 등을 수행하는 네트워크 회로, 18은 사용자가 상기 송수화기(15)를 들거나 놓음에 따라 이와 함께 연동되게 되는 훅스위치(HS : hook switch)의 온 또는 오프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훅검출부이다.
그리고, 참조번호 19는 단축다이얼기능 등 전화기의 통상적인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이고, 20은 사용자가 다이얼링을 하거나 특정기능 실행명령을 입력하는데 사용되는 숫자키 및 기능키가 설치된 키패드, 21은 상기 키패드(20)의 입력키에 대응되는 DTMF(Dual Tone Multi-Frequency)신호를 출력하는 DTMF발생회로, 22는 상기 국선접속포트(11)를 통해 인가되는 DTMF신호를 입력받아 그에 대응되는 소정 코드신호를 출력하는 DTMF수신회로이다.
또한, 참조번호 23은 본 전화기(10) 및 인형부(50)로 소정의 동작전원을 제공하기 위한 전원부이고, 24는 상기 전원부(24)로부터 인가되는 동작전원을 인형결합포트(100)의 각 제1 데이터라인(110)으로 제공하되, 이후에 설명할 마이크로 콘트롤러(26)로부터 인가되는 제어신호를 근거로 해당 제 1데이터라인(110)으로의 전원공급을 스위칭하는 스위칭부로서, 각 제1 데이터라인(110)과 결합되는 다수의 스위치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참조번호 25는 상기 DTMF수신회로(22)로부터 인가되는 코드신호에 대응되도록 인형(300)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1 데이터라인선택정보, 예컨대제1 데이터라인(110)과 결합된 상기 스위칭부(24)의 스위칭정보가 저장되는 인형구동정보저장부이다. 이는 키패드에 구비된 각 키입력에 대응되는 DTMF코드신호 및 키의 조합에 대응되는 DTMF신호에 대한 스위칭부(24)의 스위칭정보가 저장되는 것이 가능하다. 예컨대 상대방이 ' #키와 2키'를 함께 입력하는 경우에는 스위칭부(24)의 제2 및 제12 스위치를 온시켜 이에 해당하는 인형(300)의 팔과 목이 움직이도록 구성하여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참조번호 26은 본 고안에 따른 전화기(1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마이크로 콘트롤러로서, 특히 상대 전화기와의 통화로가 설정된 상태에서 DTMF수신회로(22)로부터 소정의 코드신호가 인가되면, 인형구동정보저장부(25)에서 해당 코드신호에 대응되는 스위칭정보를 독출하여, 이를 근거로 스위칭부(25)를 통한 인형결합포트(100)로의 전원공급을 스위칭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도3은 상기한 구성으로 된 DTMF신호에 따른 인형구동기능을 갖는 전화기 외관형상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3에서 (A)는 전화기 평면도, (B)는 정면도, (C)는 측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즉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화기(10)의 상면에 인형(300)을 결합하기 위한 소정 인형결합포트(100)을 구비하여 구성되고, 소형화를 위해 송수화기(15)는 최근 소형 전화기에 구성되는 이어마이크폰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이 이어마이크폰의 수화기내부에는 소정의 자석(151)을 구비하고, 이 이어마이크폰에 구비된 자석(151)에 의해 훅스위치(SW)가 온/오프되도록 예컨대 소정 간격을 두고 구성되는 두개의 도전편으로 훅검출부(18)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3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전화기(10)는 볼륨을 조절하기 위한 볼륨조절수단과, 국선라인과 접속하기 위한 국선접속포트, 외부로부터 소정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전원포트등을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때, 상기한 전화기(10)는 그 크기가 소형이기 때문에 키패드(20)도 작게 구성된다. 따라서 이 전화기(10)에 구비된 키패드(20)의 이용이 불편할 수 있으므로, 일반 전화기와 결합하기 위한 소정의 일반전화기 결합포트를 구비하여, 상대방에게 전화를 걸고자 하는 경우에는 일반전화기에 구비된 키패드를 이용하도록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어, 상기한 구성으로 된 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우선 전화기(10)의 인형결합포트(100)에 인형부를 결합시켜 놓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대방과의 통화로를 형성하여 통화로접속부(16)가 온상태로 되게 되면, 마이크로 콘트롤러(26)는 이를 근거로 스위칭부(25)를 제어하여 인형(300)의 입이 움직이도록 인형결합포트(100)의 해당 제1 데이터라인(110)으로 전원공급을 제공하도록 제어하게 된다.
즉, 마이크로 콘트롤러(26)는 인형(300)의 입을 움직이게 하는 모터(도시되지않음)와 결합된 전화기결합포트(200)의 제2 데이터라인(210)과 결합되는 인형결합포트(100)의 제1 데이터라인(110)으로 소정 구동전원이 인가되도록 스위칭부(25)를 제어하게 된다.
이때, 마이크로 콘트롤러(26)는 상대방과의 통화로가 해지되지 전까지 인형(300)의 입을 움직이도록 스위칭부(25)를 제어하게 되며, 이는 상대 전화기로부터 인가되는 DTMF신호에 관계없이 반복적으로 수행제어하게 된다.
한편, 상대 전화기와의 통화로가 형성된 상태에서 국선접속포트(11)를 통해 상대 전화기로부터 소정의 DTMF신호가 인가되고, DTMF수신회로(22)를 통해 상대 전화기로부터 인가되는 DTMF신호에 대응되는 코드신호가 마이크로 콘트롤러(26)로 인가되면, 마이크로 콘트롤러(26)는 인형구동정보저장부(25)에서 DTMF수신회로(22)로부터 인가되는 해당 코드에 대응되는 스위칭정보를 독출하여, 이를 근거로 스위칭부(25)를 제어하게 된다.
예컨대, DTMF수신회로(22)로부터 인가되는 코드에 대응되는 스위칭정보가 '3'인 경우, 마이크로 콘트롤러(26)는 스위칭부(24)의 세번째 스위치를 온시키고, 이에 따라 전원부(23)의 구동전원이 스위칭부(24)를 통해 세번째 제1 데이터라인(110) 및 세번째 제2 데이터라인(210)으로 인가된다. 그리고, 세번째 제2 데이터라인(210)과 결합된 인형(300)의 모터를 통해 인형(300)의 특정부분, 예컨대 팔이 움직이게 된다.
이때, 상대 전화기로부터 인가되는 DTMF신호에 따라 인형(300) 팔의 움직임 종류, 예컨대 두 팔을 올리거나, 앞으로 나란히 한다거나, 한 팔만 든다거나하는 등의 세분화된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26)는 상대방 전화기로부터 인가되는 DTMF신호를 근거로 인형의 얼굴부분, 예컨대 웃는표정, 우는표정등을 표현하도록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는 다양한 DTMF신호의 조합을 통해 실시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전화통화중에 상술한 바와 같은 키패드를 조작하여 상대방인형을 움직이게 함으로써, 연속적인 인형의 동작을 통해 상대방과 간단한 의사소통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전화기에 인형을 결합하기 위한 소정 결합포트를 구비하여, 상대 전화기로부터 인가되는 DTMF신호를 근거로 결합포트에 결합된 인형의 특정부분을 움직이기 위한 동작전원을 인형부로 제공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전화통화자간에 음성이 아닌 인형의 동작을 통한 통화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대방과의 통화중 전화기에 결합된 인형의 움직임을 통해 참신한 전화통화환경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전화기에 인형을 결합하기 위한 소정 결합포트를 구비하여, 상대 전화기로부터 인가되는 DTMF신호를 근거로 결합포트에 결합된 인형의 특정부분을 움직이기 위한 동작전원을 인형으로 제공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인형의 움직임을 통해 상대방과의 소정 의사소통이 가능하게 됨은 물론, 새로운 전화통화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3)

  1. 소정 동작전원을 근거로 각 부분부분이 독립적으로 움직이도록 구성되는 인형과, 인형의 각 부분부분과 결합되는 다수의 제2 데이터라인으로 구성되는 전화기결합포트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인형부와,
    상기 인형부의 전화기결합포트에 구비된 제2 데이터라인에 대응되도록 제1 데이터라인을 구비하여 구성되는 인형결합포트와, 상대 전화기와의 통화로를 온/오프설정하기 위한 통화로접속부, 상대 전화기로부터 인가되는 DTMF신호를 수신하는 DTMF수신회로, 상기 결합포트로 소정 동작전원을 제공하기 위한 전원부, DTMF신호에 대응되는 인형구동을 위한 제1 데이터라인선택정보가 저장되는 인형구동정보저장부 및, 상대 전화기와의 통화로가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DTMF수신회로로부터 소정의 DTMF수신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인형구동정보저장부에서 해당 DTMF수신신호에 대응되는 제1 데이터라인선택정보를 독출하여 상기 인형결합포트의 해당 제1 데이터라인으로 소정 동작전원을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마이크로 콘트롤러를 포함되는 전화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TMF신호에 따른 인형구동기능을 갖는 전화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기는 상기 전원부 및 상기 인형결합포트의 각 제1 데이터라인과 결합되어 상기 마이크로 콘트롤러로부터 인가되는 제어신호를 근거로 상기 전원부의동작전원을 해당 제1 데이터라인으로 제공되도록 스위칭하는 스위칭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인형구동정보저장부는 DTMF신호에 대응되는 스위칭수단의 스위칭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TMF신호에 따른 인형구동기능을 갖는 전화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기의 마이크로 콘트롤러는 상대 전화기와의 통화로가 형성되는 동안 인형의 입을 구동하기 위한 상기 인형결합포트의 해당 제1 데이터라인으로 소정의 동작전원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TMF신호에 따른 인형구동기능을 갖는 전화기.
KR2020010022830U 2001-07-27 2001-07-27 디티엠에프 신호에 따른 인형구동기능을 갖는 전화기 KR2002520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2830U KR200252077Y1 (ko) 2001-07-27 2001-07-27 디티엠에프 신호에 따른 인형구동기능을 갖는 전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2830U KR200252077Y1 (ko) 2001-07-27 2001-07-27 디티엠에프 신호에 따른 인형구동기능을 갖는 전화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2077Y1 true KR200252077Y1 (ko) 2001-11-23

Family

ID=73106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2830U KR200252077Y1 (ko) 2001-07-27 2001-07-27 디티엠에프 신호에 따른 인형구동기능을 갖는 전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207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8839B1 (ko) * 2002-08-29 2005-03-25 엘지전자 주식회사 통신단말기의 시각적 착신알림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8839B1 (ko) * 2002-08-29 2005-03-25 엘지전자 주식회사 통신단말기의 시각적 착신알림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52801C (zh) 能不操作按钮输入电话号码的移动电话和向其输入电话号码的方法
US7613483B2 (en) Portable radiotelephone for automatically dialing a central voice-activated dialing system
KR20090103078A (ko) 휴대폰 합체 로봇 및 원격 제어 방법
EP1230781B1 (en) Configurable switch for a wireless headset
JPH05316189A (ja) 音声アダプタ
KR200252077Y1 (ko) 디티엠에프 신호에 따른 인형구동기능을 갖는 전화기
JPH01213056A (ja) 電話機
JPH01180164A (ja) 通信装置
KR200293071Y1 (ko) 캐릭터가 움직이는 핸드폰 케이스
KR19990014591A (ko) 통화기능을 갖는 마우스
JP2002247237A (ja) サウンド機能が内装されたインターネット電話インタフェースカード
KR100392063B1 (ko) 전자신호에 의한 음성다이얼 기능을 가진 휴대폰용 리모콘
KR200172848Y1 (ko) 전화기의 송수화기에 연결하여 핸드프리, 녹음등의기능을 갖는 장치
JP3513789B2 (ja) 電話機
KR200311152Y1 (ko) 음성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는 작동 인형
CN201039265Y (zh) 盲人电话拨号器
KR0150042B1 (ko) 키폰 내선 그룹별 링신호 제어방법
KR200368356Y1 (ko) 유선전화기를 이용한 무선통화제공장치
KR20020045408A (ko) 듀얼(Dual) 키패드를 이용한 일반전화 겸용 인터넷 전화기
KR200313355Y1 (ko) 휴대폰의 톤음을 이용한 전화기
CN106686201A (zh) 一种盲用电话的制备方法
KR100188855B1 (ko) 전화기용 외부확장 음성메모리장치와 이를 운용하는 전화 시스템
JPS6272257A (ja) 電話回線の制御方式
KR0158313B1 (ko) 통화내용저장기능을 갖춘 확장메모리장치와 이를 운용하는 전화 시스템
KR0125317Y1 (ko) 통화로 자동연결용 전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