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4591A - 통화기능을 갖는 마우스 - Google Patents

통화기능을 갖는 마우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4591A
KR19990014591A KR1019980050550A KR19980050550A KR19990014591A KR 19990014591 A KR19990014591 A KR 19990014591A KR 1019980050550 A KR1019980050550 A KR 1019980050550A KR 19980050550 A KR19980050550 A KR 19980050550A KR 19990014591 A KR19990014591 A KR 199900145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se
circuit
signal
voice
call fun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05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형곤
Original Assignee
박형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형곤 filed Critical 박형곤
Priority to KR10199800505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14591A/ko
Publication of KR199900145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4591A/ko

Links

Landscapes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화기를 사용함과 동시에 마우스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통화기능을 갖는 마우스를 개시한다. 종전에도 전화기 기능을 겸한 마우스가 제안된 바 있으나, 이러한 마우스는 전화로 전용(轉用)하는 경우에는 마우스의 기능을 전혀 사용할 수 없는 것이어서 사무 능률을 저하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마우스에 전화기 관련 부품을 내장하되 송화기와 수화기를 분리하여 외부에서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접속할 수 있도록 하여, 마우스의 사용과 동시에 전화기를 자유로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무능률을 크게 진전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으며, 자동응답기능과 녹음기능 등을 부여 함으로써 제품의 고급화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통화기능을 갖는 마우스
본 발명은 컴퓨터의 주변기기로 사용되는 마우스를 이용하여 통화가능한 통화기능을 갖는 마우스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히는 마우스를 사용함과 동시에 내장된 전화기회로와 외장된 헤드세트(head set)에 의하여 통화 가능하도록 한 통화기능을 갖는 마우스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마우스는 컴퓨터의 주변기기로서 특히 윈도우나 윈도우용 유틸리티 구동을 위하여 필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마우스를 이용하여 컴퓨터 작업을 하는 도중에 전화가 걸려 오면 컴퓨터와는 별체로 된 전화기를 사용하여 전화를 받게 되는 것이며, 이에 따라 전화를 받는 동안 컴퓨터 작업을 중지하여야 하는 것이다. 또한 이와 같이 별체로 된 전화기는 컴퓨터의 설치로 협소하게 된 공간을 더욱 협소하게 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최근에는 전화기 겸용 컴퓨터 마우스가 대한민국 실용신안 공고번호 97-02218(이하 인용고안이라 함)로 제안된 바 있으며, 이는 도 1로 보인 바와 같이 마우스회로기판 및 조작버튼(100)을 갖는 통상의 몸체(101) 상면에 다이얼링 버튼(102) 및 송화부(103)를 구성하고 그 상부에는 수화부(104) 및 일측에 접속판이 형성된 덮게(105)를 경첩(106)으로 절첩되게 마우스 몸체(101)와 결합하되 덮개(105)의 일측 양쪽으로는 공간부(107)를 두어 조작버튼(100)이 노출되게 하는 한편 마우스 몸체(101) 내측에는 전화기 회로기판 및 상기 접속판에 접속되는 후크버튼을 구성하여서 된 것이다.
이에 따라 인용고안 1은 컴퓨터용 마우스를 사용하다가 마우스로서의 사용을 중지하고 덮게(105)를 펼쳐 전화기로 사용할수 있게 되는 것이므로 전화기를 위한 별도의 설치공간이 불필요하며, 전화기를 추가로 구입하여야 하는 경제적 부담을 덜 수 있게 되는 잇점이 있는 것이다.
반면에 이러한 인용고안은 마우스로 사용하다가 전화기로의 전용이 가능한 것이며, 전화기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마우스를 전혀 사용할 수 없으므로 컴퓨터 작업이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아울러 최근에는 전화기 겸용 무선마우스가 대한민국 특허 제 0143812호(이하 인용발명이라 함)로 제안된 바 있으며, 이는 도 2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전화/마우스 기능선택 스위치(200)와, 전화 수신에 따라 입력되는 송화자의 음성신호를 처리하여 출력하는 수화기(201)와, 수신자의 음성신호를 처리하여 전송하는 송화기(202)와, 전화 통화에 따라 입력되는 전화번호에 해당하는 전기적인 신호를 출력하는 다이얼 입력부(203)와, 마우스 도악 수행에 따라 입력되는 신호를 해당하는 전기적인 신호로 출력하는 마우스 신호 입력부(204)와, 상기 전화/마우스 기능 선택스위치의 작동에 따라 선택된 전화기 기능이나 마우스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동작제어부(205)와, 상기 동작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다이얼 입력부(203)와 마우스 신호 입력부(204)를 통하여 입력되는 신호를 처리하여 전송하는 신호 처리 전송부(206)를 포함하여서 된 것이다.
그러므로 이는 컴퓨터와 마우스가 무선으로 연결되어 무선으로 마우스를 사용하다가 필요한 경우에는 전화기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컴퓨터에 무선전화기가 결합된 형태로 공간을 이동하면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잇점이 있는 것이다.
반면에 이러한 전화기 겸용 무선마우스 역시 전화기를 사용하는 동안은 마우스를 사용할 수 없는 구조이어서 전화기를 사용하는 동안은 컴퓨터 작업을 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마우스에 전화기 기능을 부여하되, 전화기를 사용하는 동안에도 마우스를 정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통화기능을 갖는 마우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전화기 겸용 컴퓨터 마우스를 보인 설명도.
도 2는 종래의 전화기 겸용 무선 마우스를 보인 설명도.
도 3은 본 발명을 보인 전체회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무선방식을 채택한 본 발명을 보인 회로도.
도 6은 모니터에 호출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를 보인 회로도.
도 7은 자동응답이 가능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인 회로도.
도 8은 자동응답과 자동녹음이 가능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인 회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2 : 볼
3 : 볼센서 4 : 마우스버튼
5 : 마이크로콘트롤러 6 : 링회로
7 : 훅스위치 8 : 숫자키패드
9 : DTMF회로 10: 라인구동회로
11: 저주파증폭기 12: 송화기
13: 수화기 14: 헤드세트
15: 잭 16: 플러그
17: 모국음성신호송신부 18: 모국음성신호수신부
19: 자국음성신호송신부 20: 자국음성신호수신부
21: 마이크 22: 음성합성회로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마우스에 전화기회로를 내장하되, 전화기의 송, 수화기가 외부의 헤드세트와 연결되도록 하여서 된 통화기능을 갖는 마우스를 제안한다.
상술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은 마우스를 정상적으로 사용함과 동시에 헤드세트를 이용하여 통화할 수 있게 되는 것이어서 사무능률을 크게 증진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3에서 본 발명의 회로를 도시하였으며, 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본체(1) 일측에 설치된 볼(2)과 볼(2)의 움직임에 의하여 소정의 신호를 출력시키도록 한 볼센서(3)와, 본체(1) 일측에 설치되어 조작되도록 한 마우스버튼(4)과, 볼센서(3)와 마우스버튼(4)의 신호값에 대응하여 좌표이동신호 및 크릭신호를 출력시키는 마이크로 콘트롤러(5)와, 이에 내장되어 컴퓨터의 모뎀과 연결된 링회로(6)와, 링회로(6)에 접속된 훅스위치(7)와, 전화번호를 누르기 위한 숫자키패드(8) 및 DTMF회로(9) 및 라인 구동회로(10) 그리고 송, 수화기(12, 13)에 출력을 공급하기 위한 저주파 증폭기(11)로 구성된 공지의 통화가능한 마우스에 있어서, 송화기(12) 및 수화기(13)가 마우스 본체(1)와 분리되어 외부에 설치된 것이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 4로 도시하였다. 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마우스본체(1)와 송화기(12) 및 수화기(13)가 일체로 된 헤드세트(14)가 분리되고, 마우스 본체(1)의 잭(15)과 헤드세트(14)의 플러그(16)에 의하여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은 마우스를 통상적인 방법으로 컴퓨터에 연결하고, 또한 마우스의 출력라인에 추가 설치된 전화선 라인이 모뎀에 연결되도록 한 상태에서 사용하면 마우스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전화가 걸려오면 모뎀을 통하여 마우스에 내장된 링회로(6)에 호출신호가 가하여 진다. 이에 따라 링회로(6)의 부져가 작동되어 호출음을 발생시키므로 사용자가 이러한 호출음을 듣고 숫자키패드(8)중 지정된 버튼을 조작하면 훅스위치(7)가 작동되어 착신상태로 된다. 이어서 사용자가 헤드세트(14)를 착용한 상태에서 송화기(12)로 음성을 내보내고 수화기(13)로 상대방의 음성을 듣게 됨으로써 정상적인 대화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대화과정에서 사용자는 마우스를 정상 사용위치에 놓고 이동시켜, 볼(2)이 이동되도록 함과 아울러 마우스버튼(4)을 조작함에 따라 마이크로 콘트롤러(5)가 컴퓨터의 마우스포트로 데이터를 전송하여 마우스와 컴퓨터의 정상적인 사용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종전의 전화기 기능을 겸한 인용고안이나 인용발명과는 달리 전화중에도 컴퓨터의 정상적인 사용이 가능하게 되는 잇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마우스와 헤드세트(14)간의 연결을 위하여 잭(15)과 플러그(16)가 아닌 무선방식으로 연결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에서는 도 5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마우스 본체(1)내부의 저주파증폭기(11)와 연결된 모국음성신호송신부(17) 및 모국음성신호수신부(18)와, 헤드세트(14)의 송화기(12)와 수화기(13)에 연결되는 자국음성신호송신부(19)와 자국음성신호수신부(20)를 구비함으로써 전화가 걸려 오면 모뎀을 통하여 마우스에 내장된 링회로(6)에 호출신호가 가하여 지고, 부져가 작동되어 호출음을 발생시키므로 사용자가 이러한 호출음을 듣고 숫자키패드(8)중 지정된 버튼을 조작하면 훅스위치(7)가 작동되어 착신상태로 된다. 이어서 사용자가 헤드세트(14)를 착용한 상태에서 송화기(12)에 대고 말을 하면 이는 자국음성신호송신부(19)에서 전파로 출력되고 모국음성신호수신부(18)로 입사되어 음성신호로 변환된후 저주파증폭부에서 증폭되고, 라인구동회로(10)를 거쳐서 모뎀으로 전달되는 것이며, 아울러 상대방의 음성은 모뎀에서 출력되어 라인구동회로(10)를 거쳐 저주파증폭기(11)에서 증폭된 다음 모국음성신호송신부(17)에서 전파로 출력되고, 자국음성신호수신부(20)에서 음성신호로 출력되어 헤드세트(14)의 수화기(13)로 음성이 나오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전술한 잭(15)과 플러그(16)로 연결된 예와 마찬가지로 정상적인 통화가 가능하게 됨과 아울러 이러한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헤드세트(14)를 착용한 상태에서 자유로이 이동가능하므로 사용이 편리하게 된다.
아울러 이러한 경우에도 본 발명은 마우스를 정상 사용위치에 놓고 이동시켜 볼(2)이 이동되도록 함과 아울러 마우스버튼(4)을 조작함에 따라 마이크로 콘트롤러(5)가 컴퓨터의 마우스포트로 데이터를 전송하여 마우스와 컴퓨터의 정상적인 사용이 가능하게 되어 사무 능률의 증진을 도모할수 있게 됨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은 도 6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링회로(6)와 마이크로 콘트롤러(5)의 입출력포트를 연결하고, 마이크로 콘트롤러(5)는 링회로(6)와 연결된 입출력포트의 신호가 반전되는 경우 즉각 마우스포트에 소정의 신호를 인가하도록 함으로써, 전화가 걸려와서 링회로(6)가 작동되는 경우 마우스포트를 경유하여 인터럽트 요청 신호를 발생시키며 이에 따라 컴퓨터 시스템과 모니터에 전화왔음을 메시지로 표시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전화가 걸려온 상태를 용이하게 인지하게 할 수도 있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외부에서 전화가 걸려오는 경우 필요에 따라 자동응답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의 편의성을 더욱 증진시킬 수 있는 것이다.
즉, 본 발명에서는 도 7로 보인 바와 같이 메모리에 음성을 녹음하기 위한 마이크(21)와, A/D변환 및 디지탈음성데이타를 수록하기 위한 메모리가 내장된 음성합성회로(22)와, 마우스의 기능을 제어함은 물론 음성합성회로(22)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탑재된 마이크로 콘트롤러(5)가 마우스 본체(1) 내부에 설치되도록 하였다.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은 먼저 키패드(8)를 조작하여 마이크로콘트롤러(5)가 음성녹음모드인 것으로 인식하도록 한 후, 마이크(21)를 통하여 말을 하게 되면 이는 즉시 음성합성회로(22) 내부에 인가되어 아날로그신호가 디지털로 변환되고 메모리에 수록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한 후, 전화가 걸려 오면 마이크로 콘트롤러(5)는 링회로(6)의 출력을 입출력포트로 공급받아 전화가 걸려온 것을 인지하고 음성합성회로(22)를 가동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음성합성회로(22)의 출력이 라인구동회로(10)를 거쳐서 모뎀에 자동응답내용을 송출하게 되는 것이어서 더욱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이러한 본 발명에서는 도 8로 보인 바와 같이 도 7의 회로에 마이크(21)와 모뎀의 라인이 선택적으로 음성합성회로(22)의 입력으로 되도록 함으로써 메모리에 미리 수록된 음성메세지가 송출되고 난 다음에는 음성합성회로(22)의 입력이 라인으로 전환되어 전화를 건 사람의 음성이 녹음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자동응답과 자동녹음이 이루어 질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모뎀을 통신 선로와 연결하는 통신접속수단으로 사용된 예를 보였으나, 이외에도 ISDN 단말기, XDSL(X Digital Subscriber Line), WLL(Wireless Local Loop)등의 통신접속수단을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은 마우스를 정상적으로 사용하면서 전화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으므로 통화를 위하여 마우스 사용을 중지하여야 할 필요가 없으므로 작업능률을 크게 증진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송화기(12)와 수화기(13)가 일체로 설치된 헤드세트(14)를 무선으로 사용할 수 도 있으므로 활동이 자유스럽게 되어 사용이 더욱 편리하게 되는 것이며, 또한 모니터로 전화가 걸려온 상태를 확인할 수도 있고, 자동응답과 자동 녹음기능을 부여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더욱 증진시킬수도 있게 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6)

  1. 본체(1) 일측에 설치된 볼(2)과, 볼(2)의 움직임에 의하여 소정의 신호를 출력시키도록 한 볼센서(3)와, 본체(1) 일측에 설치되어 조작되도록 한 마우스버튼(4)과, 볼센서(3)와 마우스버튼(4)의 신호값에 대응하여 좌표이동신호 및 크릭신호를 출력시키는 마이크로 콘트롤러(5)와, 이에 내장되어 컴퓨터의 모뎀 등 통신접속수단과 연결된 링회로(6)와, 링회로(6)에 접속된 훅스위치(7)와, 전화번호를 누르기 위한 숫자키패드(8) 및 DTMF회로(9) 및 라인 구동회로(10) 그리고 송, 수화기(12, 13)에 출력을 공급하기 위한 저주파 증폭기(11)로 구성된 공지의 것에 있어서, 송화기(12) 및 수화기(13)가 마우스 본체(1)와 분리되어 외부에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기능을 갖는 마우스.
  2. 제 1항에 있어서, 송화기(12)와 수화기(13)가 결합된 헤드세트(14)와, 마우스 본체(1)와 헤드세트(14)의 연결을 위한 잭(15)과 플러그(16)를 구비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기능을 갖는 마우스.
  3. 제 1항에 있어서, 마우스 본체(1)내부의 저주파증폭기(11)와 연결된 모국음성신호송신부(17) 및 모국음성신호수신부(18)와, 헤드세트(14)의 송화기(12)와 수화기(13)에 연결되는 자국음성신호송신부(19)와 자국음성신호수신부(20)를 구비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기능을 갖는 마우스.
  4. 제 1항에 있어서, 링회로(6)와 마이크로 콘트롤러(5)의 입출력포트를 연결하고, 링회로(6)의 출력이 발생되는 경우 마우스포트로 인터럽트 요청신호가 출력되도록 한 프로그램이 탑재된 마이크로 콘트롤러(5)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기능을 갖는 마우스.
  5. 제 1항에 있어서, 메모리에 음성을 녹음하기 위한 마이크(21)와, A/D변환 및 디지탈음성데이타를 수록하기 위한 메모리가 내장된 음성합성회로(22)와, 마우스의 기능을 제어함은 물론 음성합성회로(22)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탑재된 마이크로 콘트롤러(5)가 마우스 본체(1) 내부에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기능을 갖는 마우스.
  6. 제 5항에 있어서, 마이크(21)와 모뎀 등 통신접속수단의 라인이 선택적으로 음성합성회로(22)의 입력으로 되도록 함을 특징을 하는 통화기능을 갖는 마우스.
KR1019980050550A 1998-11-25 1998-11-25 통화기능을 갖는 마우스 KR199900145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0550A KR19990014591A (ko) 1998-11-25 1998-11-25 통화기능을 갖는 마우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0550A KR19990014591A (ko) 1998-11-25 1998-11-25 통화기능을 갖는 마우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4591A true KR19990014591A (ko) 1999-02-25

Family

ID=659486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0550A KR19990014591A (ko) 1998-11-25 1998-11-25 통화기능을 갖는 마우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14591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4496A (ko) * 2000-06-08 2000-09-05 김휘주 다기능 마우스 및 그를 이용한 전화, 시스템보안 및전자상거래 방법
KR100281033B1 (ko) * 1999-06-15 2001-01-15 최병규 전화기 마우스
KR20010103216A (ko) * 2000-05-08 2001-11-23 임재용 컴퓨터용 마우스를 이용한 핸즈프리
KR20020074357A (ko) * 2001-03-20 2002-09-30 성호정보통신(주) 전화기 겸용 컴퓨터 마우스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81033B1 (ko) * 1999-06-15 2001-01-15 최병규 전화기 마우스
KR20010103216A (ko) * 2000-05-08 2001-11-23 임재용 컴퓨터용 마우스를 이용한 핸즈프리
KR20000054496A (ko) * 2000-06-08 2000-09-05 김휘주 다기능 마우스 및 그를 이용한 전화, 시스템보안 및전자상거래 방법
KR20020074357A (ko) * 2001-03-20 2002-09-30 성호정보통신(주) 전화기 겸용 컴퓨터 마우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154621B1 (en) Mobile station for telecommunications system
KR19990014591A (ko) 통화기능을 갖는 마우스
JPH01213056A (ja) 電話機
US6339642B1 (en) Telephone apparatus with howling prevention function
JP2809651B2 (ja) 通信装置
KR20020057084A (ko) 통화 기능을 구비한 사운드 카드
JPH0279648A (ja) 電話装置
JPS6394748A (ja) コ−ドレス通話装置
CN201270549Y (zh) 一种无线电遥控求救电话
KR100450140B1 (ko) 메모리 버튼이 부착된 이어마이크와 이를 이용한이동통신단말기
JP3213817B2 (ja) コードレス電話機
JPH02214355A (ja) 電話装置
JPH089948Y2 (ja) コードレス電話機のインターフェイス
KR100218692B1 (ko) 훅크 스위치 자동 온/오프 전환기능을 갖춘 전화기
JP3218225B2 (ja) 音声応答機能付き親子電話機
KR200164770Y1 (ko) 전화기
KR100450139B1 (ko) 다수의 수발신 버튼이 부착된 이어마이크와 이를 이용한이동통신단말기
KR100244717B1 (ko) 자동응답기능을 갖춘 무선전화기
KR100197058B1 (ko) 전화기의 통화로 자동전환장치
JP2590458Y2 (ja) コードレス電話機
KR100323283B1 (ko) 이동전화 수신기
KR970000671B1 (ko) 응답전화기를 이용한 도어폰 시스템 및 그 신호처리방법
WO2000072555A1 (en) Telephone headset without off-hook handset requirement
JPS61281656A (ja) 電話機システム
KR0143813B1 (ko) 통화가 가능한 입력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