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8313B1 - 통화내용저장기능을 갖춘 확장메모리장치와 이를 운용하는 전화 시스템 - Google Patents

통화내용저장기능을 갖춘 확장메모리장치와 이를 운용하는 전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8313B1
KR0158313B1 KR1019950033055A KR19950033055A KR0158313B1 KR 0158313 B1 KR0158313 B1 KR 0158313B1 KR 1019950033055 A KR1019950033055 A KR 1019950033055A KR 19950033055 A KR19950033055 A KR 19950033055A KR 0158313 B1 KR0158313 B1 KR 01583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lephone
call content
user
memory device
k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330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9283A (ko
Inventor
오윤환
Original Assignee
유기범
대우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기범, 대우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기범
Priority to KR10199500330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58313B1/ko
Publication of KR9700192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92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83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831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4Automatic arrangements for answering calls; Automatic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for absent subscribers; Arrangements for recording conversations
    • H04M1/65Recording arrangements for recording a message from the calling party
    • H04M1/656Recording arrangements for recording a message from the calling party for recording convers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4Automatic arrangements for answering calls; Automatic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for absent subscribers; Arrangements for recording conversations
    • H04M1/65Recording arrangements for recording a message from the calling party
    • H04M1/6505Recording arrangements for recording a message from the calling party storing speech in digital for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6Memories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전화기에 접속하여 간단한 키조작을 통해 통화내용을 저장할 수 있도록 된 외부확장형 메모리장치와 이 메모리장치를 운용하기 위한 전화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소정 용량의 데이터 메모리를 구비한 외부 확장메모리장치와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이를 접속하여 운용할 수 있도록 된 전화기를 구비한 전화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확장메모리장치에는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전화기 내부의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접속할 수 있도록 된 접속단자와, 소정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접속단자를 통해 인가되는 음성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메모리부, 및 소정 동작프로그램을 근거로 장치전반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가 구비되고; 상기 전화기에는 상기 확장메모리장치측 접속단자와 결합하기 위한 접속단자와, 통화내용 저장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기능선택키, 통화내용저장동작을 실행시키기 위한 통화내용저장키, 및 사용자에 의해 상기 기능선택키와 통화내용저장키가 순차적으로 눌려지게 되면 상기 네트워크회로에서 처리된 통화내용에 대한 음성신호가 상기 코덱과 디지탈신호처리 프로세서에서 처리되어 접속단자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통화내용저장기능을 갖춘 확장메모리장치와 이를 운용하는 전화 시스템
제1도는 마이크로프로세서가 내장된 일반적인 전화기의 내부구성을 나타낸 블럭구성도.
제2도는 본 발명의 1 실시예에 따른 확장메모리장치를 접속한 전화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기능블럭도.
제3도는 제2도에 도시된 전화기측 마이크로프로세서(120)의 통화내용 저장동작시 제어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접속예를 도시한 외부사시도.
제5도는 제2도에 도시된 확장메모리장치(B)측 마이크로프로세서(201)의 통화내용저장시 제어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전화기 B : 확장 메모리
1 : 국선 접속단자 2 : 링신호 감지부
3 : 링 발생부 4 : 루프(loop)회로
5 : 송수화기 6 : 훅크(hook) 스위치
7 : 네트워크(network)회로 8 : 음성입력부
9 : 음성출력부 10, 100 : 표시부
11 : 메모리 12, 120, 201 : 마이크로 프로세서
13 : 키패드
14 : DTMF(Dual Tone Multi-Frequency)발생회로
15 : 스피코 폰 구동부 16 : 음성데이터 저장부
17 : CODEC(coder-decoder)
18 : 디지탈 신호처리 프로세서(DSP)
41 : 국선 접속감지부 42, 160 : 인터페이스회로
51 : 송화부 52 : 수화부
81 : 마이크로 폰 82 : 마이크 인터페이스
91 : 스피커 92 : 버퍼(buffer)
93 : 스피커 증폭 인터페이스 101 : 발광표시부
102 : 표시구동부 130 : 키패드
132 : 기능선택키 133 : 통화내용 저장키
200 : 접속단자 202 : 프로그램 메모리
203 : 데이터 메모리
BF1∼BF8 : 양방향 버퍼(Bidirectional buffer)
본 발명은 전화기용 외부확장 메모리장치와 이를 이용한 전화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전화기에 접속하여 간단한 키조작을 통해 통화내용을 저장할 수 있도록 된 외부확장형 메모리장치와 이 메모리장치를 운용하기 위한 전화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재 일반 가정 및 회사를 비롯하여 우리의 생활공간 도처에 널리 보급되어 있는 전화기는 정보화시대를 맞이한 현대인의 가장 기본적인 생활필수품이라 할 수 있는 바, 최근에는 이러한 역할에 걸맞게 종래 제공되던 단순한 통화장치로서의 전화기 기능에서 벗어나 점차 다양하고 편리한 기능들이 추가되고 있다.
제1도는 마이크로프로세서가 내장된 일반적인 전화기의 내부구성을 나타낸 블럭구성도로, 도면에서 참조번호 1은 외부 국선 라인을 접속하기 위한 접속단자이고, 참조번호 2는 이 국선접속단자(1)을 통해 송화자측 단국장치로부터 인가되는 링신호를 감지하는 링신호 감지부이며, 3은 인가된 링신호를 근거로 수신자측에 전화벨소리를 출력하는 링 발생부, 4는 상대 단말기[이하, 대국(對局)이라 칭함]와의 접속여부 및 장치 내·외부로 입출력되는 통신신호 전반의 인터페이스 기능을 수행하는 루프(LOOP)회로로서, 이 루프회로(4)는 대국과의 접속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국선 접속 감지부(41)와 장치간 신호의 인터페이스 기능을 수행하는 인터페이스회로(42)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참조번호 5는 송수화기이고, 6은 사용자가 송수화기를 들거나 놓을 때 온/오프 되는 훅크스위치(HOOK SWITCH)로서, 사용자가 송수화기(5)를 들게 되면 이 훅크스위치가 온 상태(OFF HOOK)로 되면서 통화가능상태로 되게 된다.
참조번호 7은 상기 인터페이스회로(42)와 훅크스위치(6)를 거쳐 대국으로 부터 인가되게 되는 송신자의 음성신호 또는 송화시 송수화기로부터 인가되는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소정 레벨로 증폭함은 물론 측음(side tone)에 대한 신호처리 등을 수행하는 네트워크 회로이고, 8은 사용자가 상기 송수화기(5)의 송화부(51)를 통하지 않고 전화기 케이스 표면에 설치된 마이크로 폰(81)을 통해 음성을 곧뱌로 입력시키기 위한 음성입력부인 바, 이 음성입력부(8)는 사용자의 음성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로 폰(81)과 이 마이크로 폰(81)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장치 내부로 인터페이스시키기 위한 마이크 인터페이스 회로(82)로 구성된 것이다.
한편, 참조번호 9는 대국으로부터 전송되어 온 음성신호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송수화기(5)의 수화부(52)를 거치지 않고 스피커를 통해 직접 출력하는 음성출력부로서, 이 음성출력부(9)는 이후에 설명할 스피커 폰 구동부(10)로부터 인가되는 음성신호를 인터페이스하기 위한 스피커 증폭 인터페이스회로(93)와 이 인터페이스회로(93)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증폭하는 버퍼(92) 및 이 버퍼(92)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소정 레벨의 가청음성으로 변환 출력하는 스피커(91)로 구성되어 있다.
참조번호 15는 상기 네트워크회로(7)와 상기 음성입·출력부(8,9)간에 서로 주고 받게 되는 음성신호를 입출력형태에 맞게 처리하는 스피커 폰 구동부이고, 10은 전화기의 현재 동작상태를 사용자에게 알려주도록 된 표시부, 11은 전화기의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12는 상기 링신호 감지부 및 국선 접속 감지부(41)등을 통해 검지된 신호를 근거로 장치 전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로서의 마이크로 프로세서, 13은 사용자가 다이얼링을 하거나 특정 기능을 선택하는데 사용되는 숫자 및 기능키가 설치된 키패드, 14는 이 키패드(13)를 통해 입력된 소정 키입력에 대하여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2)의 제어명령에 따라 이에 대응되는 DTMF(Dual Tone Multi-Feequency)신호를 출력하는 DTMF발생회로이다.
또한, 참조번호 16은 음성 메세지 자동 수신 및 응답기능을 위한 소정 음성데이터를 부호화된 디지탈 코드데이터로 저장하는 음성데이터 저장부이고, 17은 이 음성데이터 저장부(16)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음성신호로 출력하거나 반대로 상기 네트워크회로(7)로부터 인가되는 음성신호를 코드화하는 코덱(CODEC; coder-decoder), 18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2)의 제어에 따라 코덱(17)으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탈신호를 처리하는 다지탈 신호처리 프로세서(DSP; digital signal processor)이다.
즉, 상기한 구성으로 된 종래의 일반적인 전화기는 대국 교신자와의 통상적인 통화기능 이외에도 사전에 입력해 놓은 전화번호를 저장하는 전화번호 저장기능, 저장되어 있는 전화번호를 근거로 사용자의 특정키 선택에 의해 자동으로 다이얼링을 실행하는 단축 다이얼기능, 및 부재중 자동 메세지 응답기능이나 자동메세지 수신기능 등을 실행하도록 되어 있다.
사용자는 통화중에 상대방이 다른 사람에게 전할 메모를 남기거나 업무상 상대방의 송신내용을 받아 적어야 할 필요가 있는 경우, 필기도구가 미처 준비되지 않아 들었던 내용을 나중에 기억하지 못하는 사례가 있고, 임시로 아무데나 적어놓아 필요한 때에 이를 찾지 못해 애를 태우는 사례가 종종 발생되기도 하며, 오기(誤記)로 인해 전달내용이 와전되거나 송신자가 자신의 신분을 밝히지 않은 경우 전화를 걸었던 사람이 누구인지 몰라 문제가 되는 일도 자주 발생되게 된다.
한편, 상술된 바와 같은 사용자의 불편을 덜기 위해 새로운 기능을 추가한다는 것은 곧 새로이 제공하고자 하는 기능을 위해 종래에는 구비하고 있지 않았던 장치적 또는 프로그램적 구성을 추가한다고 볼 수 있으며, 이는 갖가지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의 경우, 종래에 비해 용량이 확장되어야 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결국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은 추세로 미루어 볼때 메모리 용량의 확장, 특히 본체의 크기를 크게하지 않으면서, 휴대하기 용이하여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접속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된 외부확장형 메모리의 필요성이 갈수록 증대되고 있다고 하겠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전화기에 접속하고 간단한 키조작만을 통해 전화통화내용을 저장할 수 있도록 됨으로써 구태여 메모지에 기록하여 두지 않아도 되고 필요에 따라서는 통화했던 사실과 그 내용을 증거로 남길 수도 있도록 된 통화내용저장기능을 갖춘 확장메모리장치와 이를 운용하는 전화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통화내용저장기능을 갖춘 확장메모리장치와 이를 운용하는 전화 시스템은 소정 용량의 데이터 메모리를 구비한 외부 확장메모리장치와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이를 접속하여 운용할 수 있도록 된 전화기를 구비한 전화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확장메모리장치에는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전화기 내부의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접속할 수 있도록 된 접속단자와, 소정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접속단자를 통해 인가되는 음성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메모리부, 및 소정 동작프로그램을 근거로 장치전반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가 구비되고; 상기 전화기에는 상기 확장메모리장치측 접속단자와 결합하기 위한 접속단자와, 통화내용저장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기능선택키, 통화내용저장동작을 실행시키기 위한 통화내용저장키, 및 사용자에 의해 상기 기능선택키와 통화내용저장키가 순차적으로 눌려지게 되면 상기 네트워크회로에서 처리된 통화내용에 대한 음성신호가 상기 코덱과 디지탈신호처리 프로세서에서 처리되어 접속단자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한 구성으로 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전화기에 접속하고 간단한 키조작만을 통해 전화통화내용을 저장할 수 있도록 됨으로써 구태여 메모지에 기록하여 두지 않아도 되고 필요에 따라서는 통화했던 사실과 그 내용을 증거로 남길 수도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2도는 본 발명의 1 실시예에 따른 확장메모리를 접속한 전화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기능블럭도로, 제1도의 구성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2도에서 참조부호 A는 전화기측 내부구성이고, B는 본 발명에 따른 확장메모리장치의 주요구성을 나타낸 것으로, 참조번호 200은 상기 전화기(A) 측과 상기 확장메모리장치(B)측과의 신호선 접속을 위한 접속단자이고, 132는 통화내용 저장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기능선택키이고, 133는 통화내용 저장동작을 실행시키기 위한 통화내용 저장키이다.
또한, 참조번호 120은 상기 기능선택키(132)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표시부(10)를 구동제어하여 기능키(132)가 선택되었음을 사용자에게 확인시켜 줌과 동시에, 자체의 동작모드를 통화내용 저장모드로 변환함으로써 이 후 사용자가 통화내용 저장키(133)를 선택하게 되면 상기 네트워크회로(7)로 인가되는 송화자와 수화자의 음성신호를 CODEC(17) 및 DSP(18)를 통해 확장메모리(B)측으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전화기측 마이크로 프로세서이다.
한편, 참조번호 201은 상기 확장메모리장치(B)에 구비된 마이크로 프로세서로서, 이 마이크로 프로세서(201)는 충방전이 가능하도록 된 예컨대 배터리형태의 전원부(304)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되도록 된 것인 바, 상기 접속단자(200)를 통해 전화기(A)측으로부터 인가되는 디지탈 음성 데이터를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202)에 저장되어 있는 동작프로그램에 따라 데이터 메모리(203)에 저장하거나, 저장되어 있는 음성데이터를 상기한 과정의 역순으로 독출해내게 된다.
이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한 구성으로 된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제3도는 사용자에 의해 상기 기능선택키(132)가 늘려진 경우 전화기측 마이크로 프로세서(120)의 동작모드 전환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로, 먼저 마이크로 프로세서(120)는 상기 접속단자(200)측의 전위레벨을 근거로 확장메모리장치(B)측과의 접속여부를 수시로 체크(ST1)하여, 접속되었음이 확인되게 되면 확장메모리장치(B)측으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상태 확인데이터를 표시부(10)를 통해 출력(ST2)하게 된다.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전화기(A)측 접속단자(200)에 확장메모리장치(B)를 접속한 상태에서 기능선택키(132)를 누르게 되면, 상기 전화기측 마이크로 프로세서(120)는 기능선택키(132)가 눌려졌음을 확인(ST3)한 후, 전화기가 현재 온 훅(ON HOOK)상태인지를 판단(ST4)하게 되는 바, 오프 훅(OFF HOOK)즉, 통화중 상태에서 기능선택키(132)가 눌려진 경우에는 상기 표시부(10)를 통해 에러(ERR)메세지를 출력(ST5)하고, 온 훅(ON HOOK)즉, 통화중 상태가 아닌 경우, 기능선택키(132)가 눌려졌음을 표시부(10)를 통해 표시(ST6)한 후 , 동작모드를 통화내용 저장모드로 전환(ST7)함으로써, 이후 사용자가 키패드(13)를 통해 입력하게 되는 데이터의 저장 및 독출명령에 대해 그 제어대상을 내부의 메모리가 아닌 확장메모리장치로 전환하게 된다.
즉, 마이크로 프로세서(120)는 사용자에 의해 상기 기능선택키(132)가 한번 더 선택됨으로써 확장메모리를 이용한 통화내용 저장모드가 다시 해제될 때까지 이후의 모든 동작에 대하여 확장메모리장치(B)측 데이터 메모리(203)를 제어하게 된다.
이후에 진행되는 음성데이터의 처리과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대국으로부터 전송되어 온 송화자의 음성신호는 일반적인 전화기에서와 마찬가지로 상기 인터페이스회로(42)와 훅크스위치(6)를 거쳐 네트워크회로(7)로 인가되게 되고, 상대적으로 수화자에 해당되는 사용자의 음성은 상기 송수화기(5)내에 구비된 송화부(51) 또는 마이크로 폰(81)을 통해 역시 상기 네트워크회로(7)로 인가되게 되는 바, 마이크로 프로세서(120)는 통화내용저장키(133)가 선택되게 되면 이를 검지(ST8)하여 상기 네트워크회로(7)에서 처리된 음성신호가 후단에 접속된 코덱(CODEC)(17)으로 출력되도록 제어(ST9)하게 된다.
상기 코덱(17)은 네트워크회로(7)로부터 인가되는 아날로그 형태의 음성신호를 코드화하여 디지탈신호로 변환하게 되고, 디지탈신호로 변환된 음성신호는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20)의 제어에 따라 디지탈신호 처리 프로세서(DSP)(18)에서 처리되어 접속단자(200)측으로 출력(ST10)되게 된다.
이어, 제5도의 순서도를 참조하여 확장메모리장치(B)측 마이크로 프로세서(201)의 통화내용 저장시 제어동작을 설명한다.
마이크로 프로세서(201)는 먼저 접속단자(200)의 전위레벨을 근거로 전화기(A)측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상태인가를 점검(ST301)하여 접속된 상태임이 확인되게 되면, 상기 전원부(204)에 연결된 전원공급단자(P)의 전위레벨을 근거로, 상술된 바와 같이 전화기측 마이크로 프로세서(120)에 전원상태확인데이터를 전송(ST302)하게 되는 바, 여기서의 전원상태 확인데이터란 확장메모리장치(B)측 마이크로 프로세서(201)의 동작전원이 정상적으로 공급되고 있는 지를 나타내는 것으로써 이는 배터리의 방전상태를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것이다.
이후 마이크로 프로세서(201)는 상기 전화기측 디지탈신호 처리 프로세서(DSP)(18)로부터 데이터 입력이 있는지를 확인(ST303)하여 전송되는 데이터가 있으면 이를 데이터 메모리(203)에 저장(ST304)하고, 전송되는 데이터가 없으면 현재의 접속상태를 확인(ST305)하여 접속상태가 해제될 때까지 대기상태로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두 마이크로 프로세서(120, 201)간의 신호전송은 자세하게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예컨대 I2C버스를 이용하여 두 장치간의 접속여부는 물론 데이터 전송여부 확인이 가능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상기한 과정을 통해 확장메모리장치(B)측 데이터 메모리(203)에 저장된 음성데이터를 독출하는 과정은 사용자가 저장시와 마찬가지로 상기 전화기(A)측 키패드(13)에 설치된 기능선택키(132)를 선택한 후, 소정 기능키(도시되지 않음)을 조작함에 따라 상기 전화기측 마이크로 프로세서(120)가 저장시의 역순으로 상기 확장메모리장치(B)측 마이크로 프로세서(201)를 제어함으로써 진행되게 되는 일반적인 것이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즉,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송신자와 수신자간의 통화내용을 필요에 따라 휴대가 간편한 확장메모리장치(B)에 저장하거나 저장된 음성데이터를 재생시켜 볼 수 있게 됨으로써, 사용자는 확장메모리장치를 휴대하고 다니던 중 필요하면 언제든지 상기 확장메모리장치를 전화기에 접속하여 예컨대 연락처 전화번호나 약속장소가 저장된 통화내용을 간단히 재생시켜 볼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여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전화기에 접속하고 간단한 키조작만을 통해 전화통화내용을 저장할 수 있도록 됨으로써 구태여 메모지에 기록하여 두지 않아도 되고 필요에 따라서는 통화했던 사실과 그 내용을 증거로 남길 수도 있도록 된 통화내용저장기능을 갇춘 확장메모리장치와 이를 운용하는 전화시스템을 실현할 수 있게 된다.

Claims (2)

  1. 국선접속단자를 통해 인가되는 송신자측 음성신호 및 송수화기의 송화부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자신의 음성신호를 처리하는 네트워크회로와, 이 네트워크회로에서 처리된 음성신호를 코드화하여 디지탈신호로 변환 출력하는 코덱(CODEC), 소정 제어신호를 근거로 상기 코덱으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탈음성신호를 처리하는 디지탈신호 처리 프로세서(DSP)가 구비된 전자식 전화기에 있어서;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외부메모리를 접속할 수 있도록 된 접속단자와, 통화내용저장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기능선택키, 통화내용저장동작을 실행시키기 위한 통화내용저장키, 및 사용자에 의해 상기 기능선택키와 통화내용저장키가 순차적으로 눌려지게 되면 상기 네트워크회로에서 처리된 통화내용에 대한 음성신호가 상기 코덱과 디지탈신호처리프로세서에서 처리되어 접속단자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
  2. 소정 용량의 데이터 메모리를 구비한 외부 확장메모리장치와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이를 접속하여 운용할 수 있도록 된 전화기를 구비한 전화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확장메모리장치에는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전화기 내부의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접속할 수 있도록 된 접속단자와, 소정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접속단자를 통해 인가되는 음성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메모리부, 및 소정 동작프로그램을 근거로 장치전반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가 구비되고; 상기 전화기에는 상기 확장메모리장치측 접속단자와 결합하기 위한 접속단자와, 통화내용저장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기능선택키, 통화내용저장동작을 실행시키기 위한 통화내용저장키, 및 사용자에 의해 상기 기능선택키와 통화내용저장키가 순차적으로 눌려지게 되면 상기 네트워크회로에서 치리된 통화내용에 대한 음성신호가 상기 코덱과 디지탈신호처리 프로세서에서 처리되어 접속단자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시스템.
KR1019950033055A 1995-09-29 1995-09-29 통화내용저장기능을 갖춘 확장메모리장치와 이를 운용하는 전화 시스템 KR01583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33055A KR0158313B1 (ko) 1995-09-29 1995-09-29 통화내용저장기능을 갖춘 확장메모리장치와 이를 운용하는 전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33055A KR0158313B1 (ko) 1995-09-29 1995-09-29 통화내용저장기능을 갖춘 확장메모리장치와 이를 운용하는 전화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9283A KR970019283A (ko) 1997-04-30
KR0158313B1 true KR0158313B1 (ko) 1998-12-01

Family

ID=194286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33055A KR0158313B1 (ko) 1995-09-29 1995-09-29 통화내용저장기능을 갖춘 확장메모리장치와 이를 운용하는 전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5831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9283A (ko) 1997-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9332B1 (ko) 무선 전화기
GB2328835A (en) Remote access to telephone numbers stored in a telephone set
KR0158313B1 (ko) 통화내용저장기능을 갖춘 확장메모리장치와 이를 운용하는 전화 시스템
KR100188854B1 (ko) 전화기용 외부확장 메모리장치와 이를 운용하는 전화 시스템
KR100188855B1 (ko) 전화기용 외부확장 음성메모리장치와 이를 운용하는 전화 시스템
KR0158312B1 (ko) 자동응답기능을 갖춘 확장메모리장치와 이를 운용하는 전화시스템
KR100296986B1 (ko) 단축다이얼링방법
KR930009849B1 (ko) 부재시 수신 다이얼 디지트를 저장하는 전화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172848Y1 (ko) 전화기의 송수화기에 연결하여 핸드프리, 녹음등의기능을 갖는 장치
CN1077374C (zh) 通话过程中用双音多频信令接收装置显示电话号码的方法
KR200212093Y1 (ko) 전화기 대기음중 광고메시지 발생장치
KR100191342B1 (ko) 전화기의 예약시각 자동 알람방법
JP2797041B2 (ja) 接続装置
KR200197262Y1 (ko) 다기능이 구비된 하나로 키보드
KR19980052725A (ko) 전화단말기의 긴급 다이얼링 방법
KR100675953B1 (ko) 전화기용 외부 원터치 송신장치
KR19980035372A (ko) 자동 연속 재다이얼 기능을 갖춘 통신단말기
CN1065097C (zh) 电话拨号语音装置
KR100371575B1 (ko) 자동응답기능을 갖는 휴대용 음성녹음장치
JP2647647B2 (ja) 留守番電話装置
JP2001231065A (ja) 携帯端末
JP2004147266A (ja) 電話機用ブルートゥースアダプタ
KR200197263Y1 (ko) 다기능이 구비된 하나로 키보드
JP3093074B2 (ja) 留守番電話機
KR100218692B1 (ko) 훅크 스위치 자동 온/오프 전환기능을 갖춘 전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8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6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