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1782Y1 - 접착테잎용 리필 - Google Patents

접착테잎용 리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1782Y1
KR200251782Y1 KR2020010022038U KR20010022038U KR200251782Y1 KR 200251782 Y1 KR200251782 Y1 KR 200251782Y1 KR 2020010022038 U KR2020010022038 U KR 2020010022038U KR 20010022038 U KR20010022038 U KR 20010022038U KR 200251782 Y1 KR200251782 Y1 KR 2002517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tape
refill
guide
roll
adhe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20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광 호 유
Original Assignee
광 호 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 호 유 filed Critical 광 호 유
Priority to KR20200100220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178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17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1782Y1/ko
Priority to CN 02103418 priority patent/CN1274571C/zh
Priority to JP2002050952A priority patent/JP2003038996A/ja

Links

Landscapes

  • Adhesive Tape Dispens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목적은 접착용 테잎롤과 그를 연속하여 인출되게 하는 데에 사용하는 치차와 가이드등의 부품을 하나의 프레임을 이루게 유닛(UNIT)화 하여 리필용으로 제작한 것에 의해, 접착용 테잎롤의 교환에 있어서 편리성 및 신속성을 갖게 한 접착테잎용 리필을 제공하는 데에 있는 것으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접착용 테잎롤을 수용 할 수 있는 크기를 이루게 형성되어 분리할 수 있게 결합되며, 어느 일측단에는 접착용 테잎롤의 접착테잎 인출구가 각각 형성된 한 쌍의 케이싱을 갖는 접착용구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 내부에 설치할 수 있도록 판 상으로 이루어지며 어느 일측단에는 상기 인출구측에 돌출되게 위치되어 접착 테잎을 그 인출구를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게 안내하는 접착테잎 가이드가 형성되며 그 접착테잎 가이드를 통해 상기 접착 테잎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돌기와 결합돌기들이 일체로 돌출 형성된 리필용 프레임; 및 상기 결합돌기들에 각각 회전되게 설치되어 접착용 테잎롤의 지지와 아울러 그 접착용 테잎롤로부터 풀리는 접착테잎의 피막을 감싸도록 된 적어도 2개의 치차를 포함하는 접착테잎용 리필에 있다.

Description

접착테잎용 리필{refill for glue tape}
본 고안은 봉투 등을 봉합하는 데에 사용하는 접착테잎용 리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케이싱으로부터 접착테잎의 교환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구성한 접착테잎용 리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봉투 등의 봉합에는 접착풀을 사용하여 봉합하고 있으나, 대체적으로 사용상의 편리성 및 용이성으로 인하여 접착풀이나 접착테잎 등의 접착용구를 사용하고 있음이 일반적이다. 그 중에서도 접착테잎은 접착풀과 같이 건조 시간이 요구되지 않게 되는 등의 장점으로 인하여 접착풀 보다는 더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접착테잎의 일예를 도 1에 표시하였다.
도 1은 기존의 접착테잎의 일예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로서, 이 접착테잎을 참조로 하여 구성 및 기능을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접착용구는 분할 할 수 있게 결합된 한 쌍으로 구성된 케이싱들(1a,1b)을 구비하고 있으며, 그 케이싱들(1a,1b)의 내부에는 어느 하나의 케이싱(1a)측으로 적어도 2개의 치차들(2,3)이 서로 치합된 상태로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제1치차(2)에는 접착용 테잎롤(4)이 제1치차(2)와 같이 회전되게 상기 제1치차(2)의 어느 일측으로 결합된다. 상기 접착용 테잎롤(4)로부터 인출된 접착테잎(14)의 선단부는 상기 케이싱(1a,1b)들의 어느 일단부에 형성할 접착테잎 인출구들(7a,7b)에 지지된 접착테잎 가이드(5)를 경유 후 상기 제2치차(3)측으로 고정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 접착테잎(14)은 피막과 그 피막의 어느 일측면으로 입혀진 점착성이 있는 접착물질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접착테잎(14)의 접착물질이 피접착물의 접착에 제공되며, 남게되는 피막은 상기 제1치차(2)와 같이 회전하게 되는 제2치차(3)의 어느 일측으로 연속적으로 감겨져서 그 피막의 회수를 용이하게 한다. 피접착물의접착에 제공되는 상기 접착용 테잎롤(4)이 소진되는 경우 그 접착용 테잎롤(4)만을 교환하게 되면 지속적으로 사용 할 수가 있으며, 상기 접착용 테잎롤(4)은 그 접착용 테잎롤(4)만을 교환 할 수 있도록 리필용으로 구성하여 별도로 판매하고 있다.
도면중 부호 (18)은 안내돌기를 각각 표시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접착용 테잎롤(4)을 교체하는 경우에는 별도 판매하는 리필용 접착용 테잎롤(4)을 상기 제1치차(2)측으로 결합하고, 그 접착용 테잎롤(4)로부터 인출되는 접착테잎(14)의 일단부를 안내돌기(18)와 접착테잎용 가이드(5)를 경유되게 한 후 상기 제2치차(3)측으로 일일히 결합하지 않으면 안된다.
특히 접착용 테잎(14)을 위치시에는 그 접착용 테잎(14)의 어느 일측면에 입혀진 접착물질이 바깥측으로 위치되게 하지 않으면 안되므로 상기 제1치차(2)의 접착용 테잎롤(4)로부터 인출되는 접착용 테잎(14)은 상기 안내돌기(18)로부터 가이드(5)측을 향하여 꼬이는 형태로서 비스듬하게 위치시키지 않으면 안 된다.
이 때문에 접착용 테잎롤(4)을 교환시 초보자는 물론이고 경험자라도 많은 시간과 노력을 소비하지 않으면 안 되는 등의 교환작업에 많은 어려움이 있고, 또한 접착용 테잎롤(4)의 교환시 부주의하게 되면 접착용 테잎(14)을 절단되게 하거나 혹은 심하게 엉클어지게 하여 사용 자체를 못하게 만드는 폐단을 유발시키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제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개발한 것으로, 그 목적은 접착용 테잎롤과 그를 연속하여 인출되게 하는 데에 사용하는 치차와 가이드등의 부품을 하나의 프레임을 이루게 유닛(UNIT)화 하여 리필용으로 제작한 것에 의해, 접착용 테잎롤의 교환에 있어서 편리성 및 신속성을 갖게 한 접착테잎용 리필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접착용 테잎롤을 수용 할 수 있는 크기를 이루게 형성되어 분리할 수 있게 결합되며, 어느 일측단에는 접착용 테잎롤의 접착테잎 인출구가 각각 형성된 한 쌍의 케이싱을 갖는 접착용구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 내부에 설치할 수 있도록 판 상으로 이루어지며 어느 일측단에는 상기 인출구측에 돌출되게 위치되어 접착 테잎을 그 인출구를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게 안내하는 접착테잎 가이드가 형성되며 그 접착테잎 가이드를 통해 상기 접착 테잎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돌기와 결합돌기들이 일체로 돌출 형성된 리필용 프레임; 및 상기 결합돌기들에 각각 회전되게 설치되어 접착용 테잎롤의 지지와 아울러 그 접착용 테잎롤로부터 풀리는 접착테잎의 피막을 감싸도록 된 적어도 2개의 치차를 포함하는 접착테잎용 리필에 있다.
상기에서 리필용 프레임에는 케이싱으로부터 쉽게 분리하기 위한 손잡이부를 더 설치하는 것이 좋다.
상기 리필용 프레임에는 래치를 형성하고, 그 래치에 의해 한쪽 방향으로만 회전되도록 하는 래치기어를 상기 접착용 테잎롤을 지지하는 치차의 배면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리필용 프레임은 수지물질로서 일체로 성형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 리필용 프레임의 외관형태는 접착테잎의 디자인 및 기능에 따라서 임의형태로 제조된다.
도 1은 기존의 접착테잎의 일예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의한 접착테잎용 리필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접착테이용 리필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접착테잎용 리필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리필용 프레임만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a,1b - 케이싱 100 - 접착테잎용 리필
110 - 리필용 프레임 112 - 접착테잎 가이드
114a,114b - 결합돌기 116 - 안내돌기
118 - 파지부 119 - 래치
120,130 - 치차 122 - 래치기어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본 고안에 따른 접착테잎용 리필의 보다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의한 접착테잎용 리필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사시도를,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접착테이용 리필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를,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접착테잎용 리필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를,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리필용 프레임만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를 각각 나타낸 것으로, 상기 도 1과 같은 부분에 대해서는 중복 설명을 피하기 위하여 동일 부호로서 표시하였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접착테잎용 리필(100)은 어느 일측의 케이싱(1a)에 상호 치합된 상태로서 회전되게 설치되어 접착용 테잎롤(4)을 설치하도록 된 2개의 치차들(120,130)을 하나의 몸체로 이루도록 설치하는 판 상의 리필용 프레임(110)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리필용 프레임(110)의 어느 일측단에는 접착테잎용 가이드(112)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치차들(120,130)을 일체화하도록 소정의 형태를 이루게 구성되며, 상기 리필용 프레임(110)의 각 결합부의 어느 일측으로는 상기 치차들(120,130)을 착탈 가능하게 결합 할 수 있도록 된 결합돌기들(114a,114b)과 그리고 안내돌기(116)가 돌출되는 형태로서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리필용 프레임(110)에는 그 리필용 프레임(110)의 제거에 손잡이로서 사용 되도록 한 파지부(118)가 일체로 형성 되어있다. 이 파지부(118)는 상기 리필용 프레임(110)의 상하부측에 돌출되는 형태로서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리필용 프레임(110)에는 취급시에 테잎 접착면이 손에 묻거나 케이싱(1a)(1b)에 묻지 않도록 하기 위한 차단판(119)이 선단 하부측에 돌출되는 형태로서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리필용 프레임(110)에는 래치(119)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이 래치(119)에 의해 한쪽 방향으로만 회전되도록 하는 래치기어(122)가 상기 접착용 테잎롤(4)을 지지하는 제1치차(120)의 배면에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리필용 프레임(110)은 수지물질로서 사출 성형됨에 의해 상기 접착테잎용 가이드(112), 안내돌기(116) 및 결합돌기들(114a,114b)을 하나의 몸체로서 일체로 성형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조립 일 예를 다시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의 리필용 프레임(110)에는 기히 제작되어 공급되는 치차들(120,130)이 서로 치합되는 상태를 이루게 결합되어 상기 제2치차(120)의 회전시 제1치차(130)가 같이 회전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1치차(130)의 배면에 형성한 래치기어(122)는 리필용 프레임(110)에 형성된 래치(119)와 맞물리도록 하여 상기 치차들(120,130)을 일방향으로만 회전하도록 하고, 반대 방향으로 역회전되지 않게 한다.
또한, 상기 제1치차(120)측으로 결합된 접착용 테잎롤(4)로부터 접착테잎(14)의 선단이 인출되고, 인출된 접착 테잎(14)은 접착테잎 가이드(112)와 안내돌기(116)를 따라서 경유되게 한 후 그 선단부에 형성된 접착면을 개재하여 상기 제2치차(130)의 주면부로 고정되어 있는 상태로 본 고안에 따른 접착테잎용 리필(100)의 조립이 완료되어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접착테잎용 리필(100)을 한 쌍의 케이싱(1a,1b)의 내부에 그대로 위치하도록 상기 리필용 프레임(110)을 간단하게 조립하는 것에 의해 완성된다. 상기 리필용으로 제공되는 리필(100)은 미 도시한 포장대에 포장되어 판매된다.
상기 리필용 프레임(110)은 일체로 형성된 결합돌기들(114a,114b)에 상기 치차들(120,130)이 결합된 상태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리필용 후레임(110)의 파지부(118)를 잡고서 약간의 힘을 가하게되면, 상기 케이싱(1a)으로부터 용이하게 제거 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분리된 리필용 프레임(110)은 수거하여 재활용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리필용 프레임(110)의 선단 하부측에 형성된 차단판(119)에 의해 테잎 접착면이 손이나 케이싱에 묻는 것은 방지한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리필을 접착테잎에 적용하는 경우에 대한 것을 일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그 밖에 수정테잎, 형광테잎, 하이라이드 테잎 및 양면테잎(일명 끈끈이 테잎)에도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음을 쉽게 이해할 수 가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접착용 테잎롤과 이 접착용 테잎롤의 인출과 아울러 감김에 사용하는 치차를 리필용 프레임에 의하여 하나의 몸체를 이루게 유닛화하여 접착테잎의 리필용으로 공급 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그 접착테잎의 완전 소진으로 인한 교환시에는 부품과 접착테잎과를 하나의 몸체를 이루게 형성한 리필만을 결합하면 되므로 종래에 비하여 접착테잎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교환 할 수가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에 따른 접착테잎의 구체적인 기술을 첨부도면과 같이 설명하였지만, 이는 본 고안에서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만을 일 예로 들어 설명한 것으로 이 기술내용이 본 고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접착용 테잎은 본 고안의 청구범위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모방할 수 있음은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고 하면 쉽게 이해 할 수가 있을 것이다.

Claims (4)

  1. 접착용 테잎롤을 수용 할 수 있는 크기를 이루게 형성되어 분리할 수 있게 결합되며, 어느 일측단에는 접착용 테잎롤의 접착테잎 인출구가 각각 형성된 한 쌍의 케이싱을 갖는 접착용구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 내부에 설치할 수 있도록 판 상으로 이루어지며 어느 일측단에는 상기 인출구측에 돌출되게 위치되어 접착 테잎을 그 인출구를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게 안내하는 접착테잎 가이드가 형성되며 그 접착테잎 가이드를 통해 상기 접착 테잎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돌기와 결합돌기들이 일체로 돌출 형성된 리필용 프레임; 및
    상기 결합돌기들에 각각 회전되게 설치되어 접착용 테잎롤의 지지와 아울러 그 접착용 테잎롤로부터 풀리는 접착테잎의 피막을 감싸도록 된 적어도 2개의 치차를 포함하는 접착테잎용 리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리필용 프레임에는 케이싱으로부터 쉽게 분리하기 위한 손잡이부가 더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테잎용 리필.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리필용 프레임에는 래치를 형성하고, 그 래치에 의해 한쪽 방향으로만 회전되도록 하는 래치기어를 상기 접착용 테잎롤을 지지하는 치차의 배면에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테잎용 리필.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필용 프레임은 수지물질로서 일체로 성형됨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테잎용 리필.
KR2020010022038U 2001-07-20 2001-07-20 접착테잎용 리필 KR2002517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2038U KR200251782Y1 (ko) 2001-07-20 2001-07-20 접착테잎용 리필
CN 02103418 CN1274571C (zh) 2001-07-20 2002-02-04 粘胶带
JP2002050952A JP2003038996A (ja) 2001-07-20 2002-02-27 接着テープ転写具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2038U KR200251782Y1 (ko) 2001-07-20 2001-07-20 접착테잎용 리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1782Y1 true KR200251782Y1 (ko) 2001-11-17

Family

ID=730821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2038U KR200251782Y1 (ko) 2001-07-20 2001-07-20 접착테잎용 리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178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97742A (en) Hand-held implements for transferring a film from a backing strip onto a substrate
KR100493473B1 (ko) 캐리어 테입으로부터 바탕재로의 필름 이전용 수동 장치
KR101892523B1 (ko) 테이프 카트리지
US6453968B1 (en) Dispensing device for double-face adhesive tape
WO2004101411A1 (ja) 粘着テープカッター
TW318812B (ko)
JP3747285B2 (ja) 接着テープ転写具
KR200251782Y1 (ko) 접착테잎용 리필
JP7341802B2 (ja) テープカッター
JP5314804B1 (ja) テープカッタ
JP2019137553A (ja) 養生接着テープホルダー
KR100226030B1 (ko) 수정테잎용 리필
US6945298B2 (en) Device for dispensing two sided adhesive tape pieces and a refill roll for the device
US20040033353A1 (en) Adhesive tape
JP2015142981A (ja) 修正テープ貼付具
JPH1172999A (ja) トナー供給用開口部のシール材
KR200272293Y1 (ko) 접착테잎
JP2002127682A (ja) 修正テープや粘着テープ等の転写具
JP7330496B2 (ja) 塗膜転写具
KR200260033Y1 (ko) 접착테잎
KR200436702Y1 (ko) 접착테이프 도포장치
KR200325399Y1 (ko) 롤러 테이프디스펜서
KR20140003549U (ko) 리필용 수정테이프 디스펜서
KR101023223B1 (ko) 접착테잎 도포구
JP2005059514A (ja) 塗膜転写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