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1438Y1 - 방화문 절곡 장치 - Google Patents

방화문 절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1438Y1
KR200251438Y1 KR2020010022010U KR20010022010U KR200251438Y1 KR 200251438 Y1 KR200251438 Y1 KR 200251438Y1 KR 2020010022010 U KR2020010022010 U KR 2020010022010U KR 20010022010 U KR20010022010 U KR 20010022010U KR 200251438 Y1 KR200251438 Y1 KR 20025143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door
frame
moving
fixed
ji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20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대신
강동신
Original Assignee
강대신
강동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대신, 강동신 filed Critical 강대신
Priority to KR20200100220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143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14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1438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방화문의 측면 날개부와 상하부의 보강부를 한번에 절곡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방화문 절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방화문이 눕혀져 길이방향으로 삽입홈에 삽입되게하고 상기 방화문의 측면과 상하부쪽으로 절곡지그와 평판절곡지그를 회동시키도록 하여 상기 절곡지그와 평판절고지그가 패널의 돌출부를 안쪽으로 밀면서 압착시킴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으로 방화문의 날개부와 보강부가 방화문을 이동시키는 수고없이 동시에 형성시킬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방화문 절곡 장치{Incendiary door vending machine}
본 고안은 방화문의 측면 날개부와 상하부의 보강부를 한번에 절곡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방화문 절곡장치에 관한 것이다.
방화문은 측면에 프레임 또는 고정문의 일부를 감싸는 날개부를 전면패널을 이용하여 절곡시켜 주어야 하고, 또한 상면과 하면에는 각각 전면패널과 배면패널을 내측으로 절곡하여 보강부를 형성시켜 주어야 한다.
방화문의 날개부와 보강부는 전면패널과 배면패널을 절곡하여 서로 결합시켜 방화문의 골격과 외형이 완성된 후에 전면패널을 절곡하여 날개부를 형성시키고 전면패널과 배면패널의 상하부를 절곡하여 보강부를 형성시키게 되며, 먼저 날개부를 형성시킨 후 다시 방화문을 이동시켜 보강부를 형성시키거나 이와는 반대로 보강부를 형성시킨 후 날개부를 형성시키게 되나, 통상 보강부와 날개부를 형성시키는 절곡장치가 별도로 구비되어 있어 상당한 크기와 무게를 갖는 방화문을 이동시켜가며날개부와 보강부를 따로 따로 절곡시키가 어려운 것이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점을 감안하여 방화문의 날개부와 보강부를 한번에 절곡시키도록 하므로써 방화문의 날개부와 보강부의 절곡에 따른 불편을 없애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방화문이 눕혀져 길이방향으로 삽입홈에 삽입되게하고 상기 방화문의 측면과 상하부쪽으로 절곡지그와 평판절곡지그를 회동시키도록 하여 상기 절곡지그와 평판절고지그가 패널의 돌출부를 안쪽으로 밀면서 압착시킴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으로 방화문의 날개부와 보강부가 방화문을 이동시키는 수고없이 동시에 형성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에서 바닥판을 분해 시킨 상태의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정면도
도 3 은 본 고안의 절곡지그 작동상태 설명도
도 4 는 본 고안의 절곡지그 작동전 상태도
도 5 는 본 고안의 절곡지그 작동후 상태도
도 6 은 본 고안의 A 부 상세도
도 7 은 본 고안의 평판절곡지그 작동상태 설명도
도 8 은 본 고안의 평판절곡지그 작동전 상태도
도 9 는 본 고안의 평판절곡지그 작동후 상태도
도 10 은 본 고안의 B 부 상세도
도 11 은 본 고안의 방화문 삽입상태 측면도
도 12 는 본 고안의 이동프레임 이동상태 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받침 프레임 2 : 고정프레임
3 : 이동프레임 5 : 삽입홈
7 : 지지프레임 8 : 돌턱
10,11 : 이동홈 21,22 : 절곡지그
25 : 평판절곡지그 30 : 방화문
30a : 날개부 30b : 보강부
31 : 지지봉 32 : 스프링
33 : 바닥판 34 : 결합봉
35 : 롤러
본 고안은 받침프레임(1)의 상부에 일정거리를 이격시켜 고정프레임(2)을 고정 설치하는 한편 이동프레임(3)을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며, 상기 이동프레임(3)은 받침프레임(1)에 슬라이딩가능하게 결합되어 유압실린더(4)의 작동에 의해 좌우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고정프레임(2)과 이동프레임(3)의 중간에는 수평방향으로 삽입홈(5)을 형성시키되 상기 고정프레임(2)과 이동프레임(3)의 중간에 상하 이동 가능한 이동판(10)(11)을 설치하고, 상기 이동판(10)(11)은 이동날개(12)에 삽입되어 상하 이동되게 한다.
이동판(10)(11)은 중간에 고정프레임(2)과 이동프레임(3)의 상부에 고정되는유압실린더(14)(15)를 설치하여 유압실린더(14)(15)의 작동에 의해 이동판(10)(11)이 상하 이동되게 한다.
상기 고정프레임(2)과 이동프레임(3) 및 이동판(10)(11)의 배면에는 적어도 두 개 이상씩의 유압실린더(16)(17)(18)(19)를 각각 설치하되 상기 유압실린더(16)(17)(18)(19)는 선단에 절곡지그(21)(22)가 고정된 절곡편(23)(24)을 결합시켜 유압실린더(16)(17)(18)(19)작동시 절곡지그(21)(22)가 삽입홈(5)쪽으로 회동되도록 한다.
즉 유압실린더(16)(17)(18)(19)는 각각 양측을 힌지 고정시켜 절곡지그(21)(22)가 결합된 상태에서 유압실린더(16)(17)(18)(19)를 작동시키면 절곡지그(21)(22)가 삽입홈(5)쪽으로 회동되는 것이다.
상기 삽입홈(5)의 배면쪽으로 지지프레임(7)을 설치하여 방화문(30)이 상기 지지프레임(7)의 상부에 걸쳐지도록 하되 상기 지지프레임(7)의 상부에 돌턱(8)을 주어 방화문(30)이 이탈되지 않고 걸쳐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지지프레임(7)의 배면에도 두 개의 유압실린더(9)를 설치하되 유압실린더(9)의 선단에 평판절곡지그(25)를 결합시켜 유압실린더(9)작동시 평판절곡지그(25)가 돌턱(8)쪽으로 회동되게 한다.
그리고 받침프레임(1)에는 지지봉(31)을 고정시키되 상기 지지봉(31)에는 스프링(32)을 외삽시키고 상기 지지봉(31)에는 바닥판(33)의 하부에 고정된 결합봉(34)이 외삽되어 스프링(32)에 탄지되도록 하며 상기 바닥판(33)의 상부에는 수개의 롤러(35)를 고정시켜 주도록 한다.
상기 바닥판(33)에 고정된 롤러(35)에는 방화문(30)이 올려지며 상기 방화문(30)의 하부가 결합홈(5)의 하부에 닿지 않을 정도로 높이를 조정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서 먼저 유압실린더(4)를 작동시켜 고정프레임(2)과 이동프레임(3)과의 사이거리를 방화문(30)의 폭 길이와 맞게 조절해 주어야 하며, 유압실린더(4)로 이동프레임(3)을 당기거나 밀어서 그 길이를 맞추게 되는 것으로 상기 이동프레임(3)은 받침프레임(1)의 상부에서 슬라이딩되며 이동되게 된다.
그리고 유압실린더(14)(15)를 작동시켜 이동판(10)(11)을 상부로 들어올리고 유압실린더(16)(17)(18)(19)(9)를 작동시켜 절곡지그(21)(22)와 평판절곡지그(25)가 도 3 과 도 7 에 점선으로 도시된바와 같이 들어주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날개부(30a)와 보강부(30b)가 형성되지 않은 방화문(30)을 삽입홈(5)으로 밀어넣되 방화문(30)의 폭방향으로 삽입홈(5)에 밀어 넣으며 상기 방화문(30)의 날개부(30a)는 지지프레임(7)의 돌턱(8)에 걸려지게 밀어 넣는다.
이때 방화문(30)은 바닥판(33)에 고정된 롤러(35)위에 올려져 롤러(35)를 타고 이동되므로 힘들이지 않고 방화문(30)을 삽입홈(5)에 밀어 넣을 수 있게 된다.
이같이 방화문(30)을 삽입홈(5)에 밀어 넣은 후 에는 유압실린더(14)(15)를 작동시켜 이동판(10)(11)을 하향 이동시킴으로써 이동판(10)(11)의 하부가 방화문(30)을 눌러 방화문(30)이 삽입홈(5)에 끼워진 채로 이동되지 않도록 한다.
이때 이동판(10)(11)이 방화문(30)을 누를 때 바닥판(33)은 스프링(32)을 압착시키면서 하향 이동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이동판(10)(11)으로 방화문(30)을 움직이지 않게 고정 시킨후에는 고정프레임(2)과 이동프레임(3) 및 이동판(10)(11)의 배면에 설치된 유압실린더(16)(17)(18)(19)를 작동시켜 도 4 와 같이 절곡지그(21)(22)를 삽입홈(5)쪽으로 회동시키도록 한다.
이때 삽입홈(5)에 끼워진 방화문(30)의 상하부에는 보강부(30b)를 형성하기 위하여 전면패널과 배면패널의 일부가 돌출 되어 있게 되고, 상기 절곡지그(21)(22)는 삽입홈(5)쪽으로 회동되면서 상기 전면패널과 배면패널의 돌출부를 안쪽으로 밀면서 압착시키게 되어 방화문(30)의 상,하부에 보강부(30b)가 형성되게 된다.
그리고 지지프레임(7)에 설치된 유압실린더(9)를 작동시키면 평판절곡지그(25)가 도 8 과 같이 돌턱(8)쪽으로 회동하게 되면서 돌턱(8)에 올려진 전면패널의 돌출부를 밀면서 압착시킴으로써 날개부(30a)를 형성시키게 된다.
여기서 평판절곡지그(25)는 유압실린더(9)에 의해 회동되는 것으로 돌턱(8)위에 올려진 전면패널의 돌출부를 안쪽으로 밀면서 압착시킴으로써 날개부(30a)를 형성시케 되는 것으로 방화문(3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날개부(30a)를 평판절곡지그(25)를 이용하여 형성시키게 된다.
이같이 방화문(30)의 날개부(30a)와 보강부(30b)를 방화문(30)의 이동 없이 형성시킨 후에는 유압실린더(16)(17)(18)(19)(9)를 작동시켜 절곡지그(21)(22)와 평판절곡지그(25)를 원위치 시키고 다시 유압실린더(14)(15)를 작동시켜 이동판(10)(11)을 상부로 들어올려 방화문(30)을 자유롭게 한 후 방화문(30)을 삽입홈(5)에서 꺼내면 작업이 종료된다.
본 고안은 방화문의 날개부와 보강부를 절곡작업으로 형성시킬 때 방화문을 이동시켜 가며 날개부와 보강부를 별도로 형성시키지 않고 한번에 날개부와 보강부를 형성시킴으로써 작업이 용이하고 방화문을 이동시키는 수고를 덜어줄 수 있는 것이다.

Claims (3)

  1. 받침프레임(1)의 상부 양측에 고정프레임(2)과 이동프레임(3)을 설치하되 상기 이동프레임(3)은 유압실린더(4)에 의해 받침프레임(1)을 타고 이동되게 하고, 상기 고정프레임(2)과 이동프레임(3)에는 중간에 삽입홈(5)을 형성시키되 삽입홈(5)의 상부에서 이동판(10)(11)이 유압실린더(14)(15)에 의해 상하 이동되게 구성하며, 상기 고정프레임(2)과 이동프레임(2) 및 이동판(10)(11)의 배면에는 유압실린더(16)(17)(18)(19)를 설치하되 상기 유압실린더(16)(17)(18)(19)는 작동시 절곡지그(21)(22)를 삽입홈(5)쪽으로 회동시키도록 구성하고, 상기 받침프레임(1)의 배면에는 지지프레임(7)을 설치하여 방화문(30)의 날개부(30a)가 돌턱(8)에 받쳐지게 하고, 상기 지지프레임(7)의 배면에는 유압실린더(9)를 설치하되 상기 유압실린더(9)는 작동시 평판절곡지그(25)가 돌턱(8)쪽으로 회동하게 구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문 절곡 장치.
  2. 제 1 항에서, 절곡지그(21)(22)는 삽입홈(5)에 끼워진 방화문(30)의 상하부에 돌출된 패널을 내측으로 밀면서 압착시켜 보강부(30b)를 형성시키고, 평판절곡지그(25)는 돌턱(8)에 올려진 방화문(30)의 측면에 돌출된 패널을 밀면서 압착시켜 날개부(30a)를 형성시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문 절곡 장치.
  3. 제 1 항에서, 받침프레임(1)의 상부에는 지지봉(31)을 고정시키되 상기 지지봉(31)에는 스프링(32)을 외삽시키고 상기 지지봉(31)에는 바닥판(33)의 하부에 고정된 결합봉(34)이 외삽되어 스프링(32)에 탄지 되도록 하며 상기 바닥판(33)의 상부에는 방화문(30)을 받쳐주는 수 개의 롤러(35)를 고정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문 절곡 장치.
KR2020010022010U 2001-07-20 2001-07-20 방화문 절곡 장치 KR20025143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2010U KR200251438Y1 (ko) 2001-07-20 2001-07-20 방화문 절곡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2010U KR200251438Y1 (ko) 2001-07-20 2001-07-20 방화문 절곡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1438Y1 true KR200251438Y1 (ko) 2001-11-17

Family

ID=731055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2010U KR200251438Y1 (ko) 2001-07-20 2001-07-20 방화문 절곡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1438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9634B1 (ko) * 2002-08-05 2005-02-05 장성만 방화문 제조 공정용 벤딩장치
KR101063734B1 (ko) 2011-06-29 2011-09-08 이옥례 방화문 엔씨티가공 스테인레스 철판 및 칼라철판 포밍절곡장치
KR101764143B1 (ko) * 2017-03-17 2017-08-02 한용운 시밍기 및 상기 시밍기를 이용한 도어의 제조방법
KR101845677B1 (ko) 2017-12-20 2018-04-05 곽준해 방화문 시밍 장치의 폭방향정렬기
KR101893304B1 (ko) 2017-07-27 2018-08-29 송준호 방화문 조립 벤딩 금형
KR20190074409A (ko) 2017-12-20 2019-06-28 곽준해 방화문 시밍 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9634B1 (ko) * 2002-08-05 2005-02-05 장성만 방화문 제조 공정용 벤딩장치
KR101063734B1 (ko) 2011-06-29 2011-09-08 이옥례 방화문 엔씨티가공 스테인레스 철판 및 칼라철판 포밍절곡장치
KR101764143B1 (ko) * 2017-03-17 2017-08-02 한용운 시밍기 및 상기 시밍기를 이용한 도어의 제조방법
KR101893304B1 (ko) 2017-07-27 2018-08-29 송준호 방화문 조립 벤딩 금형
KR101845677B1 (ko) 2017-12-20 2018-04-05 곽준해 방화문 시밍 장치의 폭방향정렬기
KR20190074409A (ko) 2017-12-20 2019-06-28 곽준해 방화문 시밍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2486B1 (ko) 방충창틀 조립방법 및 조립장치
KR200251438Y1 (ko) 방화문 절곡 장치
KR100704278B1 (ko) 외장패널의 테두리 절곡을 위한 모서리 컷팅장치
CN212664700U (zh) 具有调节功能的钢板用折弯工具
CN110560600A (zh) 一种叠合板浇注用钢筋折弯设备
CN207633942U (zh) 一种高度可调节的窗台板
KR101145016B1 (ko) 전후방향 절곡된 판넬의 좌우측 가장자리 자동절곡장치
CN114809663A (zh) 一种装用于配式建筑墙体安装设备
CN211862113U (zh) 升降桌
KR100821635B1 (ko) 문틀 프레임 절곡 장치
CN220305618U (zh) 一种柔性树脂版底曝光机
JPH0750014Y2 (ja) ウィングベンダー
CN201677397U (zh) 翻转机
CN105089448A (zh) 一种自动上下提升的卡置组合式窗体结构
CN210190841U (zh) 一种推拉式烫画机
CN208004525U (zh) 一种电梯内装饰板成型装置
KR20140006555A (ko) 창호 롤러 조립용 코킹장치
CN220295569U (zh) 一种大型金属板折弯机
KR20100006739U (ko) 절곡기용 가이드프레임 보강대
AU2019202220A1 (en) an auxiliary labor-saving mouse pad
CN214820865U (zh) 一种离型膜压纹装置
CN217726734U (zh) 一种装配式钢结构生产用板料折弯装置
CN218611199U (zh) 一种铝单板折痕压痕装置
CN217709884U (zh) 用于布料开袋的自动折袋装置改进结构
CN214399710U (zh) 一种建筑机电工程装配式安装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008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