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0660Y1 - 납골묘용 유골 봉안고 - Google Patents

납골묘용 유골 봉안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0660Y1
KR200250660Y1 KR2020010021543U KR20010021543U KR200250660Y1 KR 200250660 Y1 KR200250660 Y1 KR 200250660Y1 KR 2020010021543 U KR2020010021543 U KR 2020010021543U KR 20010021543 U KR20010021543 U KR 20010021543U KR 200250660 Y1 KR200250660 Y1 KR 2002506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ne
ashes
chamber
ossuary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15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인달
Original Assignee
노인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인달 filed Critical 노인달
Priority to KR20200100215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066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06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0660Y1/ko

Links

Landscapes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골함 재치대의 구조 단순화에 의한 유골 봉안고의 제작성 향상과 설치비 경감, 및 납골묘의 유골함 봉안수 극대화에 역점을 둔 서랍형 납골묘용 유골 봉안고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체(1) 내에 복수의 봉안실(2)을 형성하고, 각 봉안실(2)마다 외측단에 손잡이(6)가 부착된 유골함 재치대(3)를 수납한 납골묘용 봉안고에 있어서, 상기 본체(1)를 평면 직각사각형으로 하여 직선형 봉안실의 설치수를 늘리고, 상기 봉안실(2)은 봉분토에 대한 내력이 우수한 원형관으로 함과 동시에 상기 본체(1) 내에 일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하며, 상기 유골함 재치대(3)는 상기 봉안실(2)의 하반부를 레일 삼아 출납 가능한 하반원관(4)으로 하고 길이는 상기 봉안실(2)의 절반 이하로 형성한 납골묘용 유골 봉안고의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납골묘용 유골 봉안고{warehouse for enshrining a person's ashes for laying a person's ashes in the tomb}
본 고안은 유명을 달리한 고인의 유해를 화장한 유골을 안전하게 보관하기 위한 가족 납골묘용 유골함 봉안고에 관한 것이며, 봉안실의 구조 단순화에 의한 유골 봉안고의 제작성 개선과, 납골묘의 유골함 봉안수의 증대에 의한 납골묘 조성비용의 경감을 도모한 서랍형 납골묘용 유골 봉안고에 관한 것이다.
근래 들어 심각한 묘지난과 산림파괴현상이 사회적 문젯거리로 등장한 이래 시신의 화장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는 추세다. 묘지난을 덜고 산림보호효과도 거두기 위한 유일한 방안은 바로 화장이다. 사후 세계를 두려워하는 이가 적잖은 탓에 사후 화장을 꺼리는 경향이 있는데, 후대에게 안락한 자연을 물려주기 위해서는 화장은 누구나 한번쯤은 깊이 생각해 볼 여지가 있다.
화장 후에는 유골을 빻아 산이나 강에 뿌리든가 혹은 유골함에 담아 고인에게 모시게 된다. 유골함을 이용한 보관수단으로는 지방자치단체나 종교단체에서 관리하는 공공납골당과 가족 납골묘 등이 있다.
가족 납골당은 전통적인 형태의 봉분을 살려 고인에 대한 추모의 정을 충분히 표시할 수 있는 점에서 그 나름대로 의미가 있다. 이러한 가족 납골묘는 대개 유골함 봉안실을 여럿 설치하여 대대로 선대를 모시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족 납골묘용 유골 봉안고는 유골함 재치대의 형식에 따라 서랍식과 턴테이블식 두 가지가 있다. 이 가운데 서랍식 납골묘에 관한 선행기술로 공개실용신안공보 제99-15840호가 있는 데, 이것은 종횡으로 내부 공간을 4등분한 케이스내의 각 공간부 바닥에 좌우 대칭형 가이드 레일을 부착하여 서랍형 납골함 박스를 수납하고, 고인의 영정을 비치할 수 있는 지지부재를 가진 여닫이문을 상기 케이스의 납골함 박스 출입구에 설치한 것으로, 그 납골묘의 봉분은 전통적인 상반구형이다.
그러다보니 유골함을 납골묘의 정면에 두지 않을 수 없다. 납골묘도 일반 봉분묘처럼 그 앞쪽에 제단을 비치하는 수가 있는데, 봉분형 납골묘 바로 앞에 제단이 놓여 있으면 케이스의 여닫이문을 여닫을 때 제단이 거치적거릴 우려가 있다. 이를 피하려면 납골묘에서 상당히 떨어진 곳에 제단을 비치해야 한다. 그렇게 하자면 납골묘의 부지가 넓어지므로 납골묘 조성비가 늘어나는 것이 문제다.
또, 납골묘의 정면에만 유골함 재치대용 출입구를 두다보니 상기 선행기술처럼 유골함 케이스의 용적이 적어 봉분당 수용할 유골함의 수가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그렇다고 케이스를 납골묘의 전후 길이 전반에 걸쳐 무작정 길게 제작할 수 만도 없다. 장척의 케이스와 유골함 박스는 경시적으로 휘거나 뒤틀리는 등 변형이 일어날 가능성이 있고, 또 맨 뒤쪽에 모신 고인을 대하려면 유골함 박스를 길게 잡아 빼야하는 데 그 작업이 수고롭고, 또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단에 잡아 빼던 유골함 박스가 부딪혀서 더 이상 길게 잡아빼기도 곤란하거니와 그러다가 자칫 유골함 박스가 파손될 가능성도 있기 때문이다.
또한, 공간부, 즉 유골 봉안실 내에 유골함 박스용 레일을 별도로 부착하는 것은 제작난이도를 더하고 원가상승도 부추겨 수요자의 경제적 부담을 가중시킨다.
본 고안은 유골함 재치대의 구조를 단순화하여 유골 봉안고의 제작성을 높이고 납골묘의 조성비용도 경감하며, 납골묘의 유골 봉안수를 극대화할 수 있는 납골묘용 유골 봉안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체 내에 복수의 봉안실을 형성하고, 각 봉안실마다 외측단에 손잡이가 부착된 유골함 재치대를 수납한 납골묘용 봉안고에 있어서, 본 고안은 상기 본체를 평면 직각사각형으로 하여 직선형 봉안실의 설치수를 최대한 늘리고, 상기 봉안실은 봉분토에 대한 내력이 우수한 원형관으로 함과 동시에 상기 본체 내에 일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하여 보다 많은 수의 유골을 봉안할 수 있게 하며, 상기 유골함 재치대는 상기 봉안실의 하반부를 레일삼아 출납 가능한 하반원관으로 하되 상기 봉안실의 절반 이하의 길이로 정하여 유골함을 출납하기 편하게 구성한 납골묘용 유골 봉안고를 제공함으로서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납골묘용 유골 봉안고의 일부 분해 사시도
도 2는 납골묘용 유골 봉안고의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을 이용하여 조성한 납골묘의 측면도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
도 5는 도 3의 B-B선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2 : 봉안실
3 : 유골함 재치대 4 : 하반원관
5 : 덮개 7 : 리브
8 : 유골함
도 1에서, 본 고안에서 제안하는 납골묘용 유골 봉안고에 있어서, 본체(1)는 평면을 직각 사각형으로 형성한다. 이는 납골묘의 단위면적당 직선형 봉안실의 설치수를 늘리기 위한 것이다. 본체(1)의 내부에는 복수의 곧은 봉안실(2)을 앞뒤로 나란하게 설치한다. 모든 봉안실(2)은 규모가 동일한 원형 실린더이며, 좌 측단과 우측단을 완전히 틔워서 각 방면으로 유골함 재치대를 출납할 수 있게 하고, 유골함 재치대용 레일은 배제하는 대신 봉안실(2)의 하반부를 레일 대용으로 한다.
곧은 원형관 모양의 봉안실(2)은 종래의 사각관형에 비해 휨에 대한 응력과변형에 대한 저항력이 커 본체(1) 위에 봉분을 조성하더라도 그 토압에 대하여 높은 내구력을 갖는다, 그래서 납골묘를 조성한 후 오랜 세월이 경과하더라도 휘거나 뒤틀리는 등의 변화가 종래의 사각관형 유골 봉안실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다.
모든 유골함 재치대(3)는 상기 봉안실(2)의 하반부를 레일삼아 출납할 수 있게 한 하반원관(4)으로 하고, 그 외측단에 봉안실(2)의 입구를 막는 원판 모양의 덮개(5)를 부착하며, 상기 덮개(5)의 외면에는 손잡이(6)를 부착하여 유골함 재치대(3)의 출납편의를 도모한다. 또, 유골함의 무게에도 하반원관(4)이 벌어지거나 휘거나 뒤틀리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하반원관(4)의 내부 곳곳에 리브(7)로 보강할 수 있다. 그리고 유골함 재치대(3)의 길이는 본체(1)의 절반폭 이하로 줄여서 매 봉안실(2)마다 좌우측에서 각기 하나씩 장전하여 출납길이를 단축함으로서 출납편의를 도모한다.
그리고 리브(7)는 유골함 재치대(3)의 폭을 가로지르게 형성한다. 리브(7)는 유골함 재치대(3)의 길이를 따라 개별적으로 유골함을 질서있게 수용하기 알맞은 간격을 띄우고 형성하는 것이 유골함 재치대(3)의 강도 증대와 유골함의 안전 수납에 도움이 된다.
도 2는 유골함(8)을 안치한 유골함 재치대(3)가 수납된 본체(1)로 조성한 납골묘를 옆에서 본 것이고, 도 3은 그 일부를 절개한 평면도이다. 도 3에서 보듯이, 모든 봉안실(2)의 내부는 본체(1)의 대략 절반폭, 즉 봉안실(2)의 절반길이에 상당하는 좌우 한쌍의 유골함 재치대(3)가 절반씩 차지하도록 수납된다. 따라서 납골묘 참배시 추모코자하는 고인의 유골이 모셔진 봉안실(2) 앞으로 다가가 거기에 수납된 당해 유골함 재치대(3)를 수월하게 인출할 수가 있다. 이는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하던 종래 유골함 재치대에 대한 상대적인 인출편의를 뜻한다.
도 4와 도 5에서, 유골함 재치대(3)는 하반원관(4)이 봉안실(2)의 하반부내에 위치하여 출납시 그 부분을 미끄럼타고 드나들게 된다. 유골함 재치대(3)에 대한 이 같은 봉안실(2)의 미끄럼 안내작용에 따라 봉안실(2) 내에 따로 레일을 부착할 필요가 없다. 이 같이 봉안실(2)에서 레일이 배제됨에 따라 봉안실(2)의 내부 구조가 단조로와 제작이 용이하고, 레일에 상당하는 자재비와 그것을 부착하는 데 지출되던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는 여지가 생긴다.
또, 원통형 봉안실(2)은 봉분토의 토압에 대한 응력이 사각관형에 비해 월등하여 납골묘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봉안실(2)내에서 유골함 재치대(3)의 하반원관(4)은 봉안실(2)의 하반부 내면에 밀착되어 이중벽을 형성하게 된다. 이중벽은 단일벽에 비해 강도가 높다. 따라서 유골함(8)의 무게 때문에 유골함 재치대(3)의 바닥이 처지거나 유골함 재치대(3)가 뒤틀리는 따위의 변형은 전에 비해 현저히 줄어 이 유골 봉안고로 조성되는 납골묘는 조성 당시의 형태를 오래도록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대로, 본 고안의 납골묘용 봉안고는 레일이 없는 원형관 모양의 봉안고에 하반원관으로 된 서랍식 유골함 재치대를 수납함으로서 레일이 배제된 만큼 구조가 단순해져 유골함 재치대용 봉안실의 제작편의가 제공되는가 하면 제작비도 훨씬 경감된다.
또, 사각형 본체는 그 전후 길이 전반에 걸쳐 보다 많은 수의 봉안실을 설치할 수 있어 유골함의 보관수 확대와 납골묘의 소형화가 가능하고, 납골묘지 조성비용도 절약된다.
또한 유골함 재치대의 길이를 봉안실의 절반폭 이내로 단축함으로서 유골함 재치대의 출납길이가 짧아져 출납하기 편하다.

Claims (1)

  1. 본체(1) 내에 복수의 봉안실(2)을 형성하고, 각 봉안실(2)마다 외측단에 손잡이(6)가 부착된 유골함 재치대(3)를 수납한 납골묘용 봉안고에 있어서, 상기 본체(1)를 평면 직각 사각형으로 하여 직선형 봉안실의 설치수를 늘리고, 상기 봉안실(2)은 곧은 원형관으로 함과 동시에 상기 본체(1) 내에 일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하며, 상기 유골함 재치대(3)는 상기 봉안실(2)의 하반부를 레일삼아 출납 가능한 하반원관(4)으로 함과 동시에 상기 봉안실(2)의 절반 이하 길이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묘용 유골 봉안고.
KR2020010021543U 2001-07-16 2001-07-16 납골묘용 유골 봉안고 KR2002506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1543U KR200250660Y1 (ko) 2001-07-16 2001-07-16 납골묘용 유골 봉안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1543U KR200250660Y1 (ko) 2001-07-16 2001-07-16 납골묘용 유골 봉안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0660Y1 true KR200250660Y1 (ko) 2001-11-17

Family

ID=730678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1543U KR200250660Y1 (ko) 2001-07-16 2001-07-16 납골묘용 유골 봉안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066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03185B2 (en) Combined headstone and columbarium
US20080078074A1 (en) Storage container and display for cremated remains
EP0248894A1 (en) Storage and display system
US20070130736A1 (en) Combined headstone and columbarium
KR200250660Y1 (ko) 납골묘용 유골 봉안고
KR200467602Y1 (ko) 유골 함 보관장
US919126A (en) Burial-vault.
US20130212847A1 (en) Container for a Cemetery Mausoleum for Inurnment of Cremated Remains and designed to occupy a cavity between a sealed Crypt and its Decorative Facing
US11946272B1 (en) Outdoor burial system for urns
KR101614269B1 (ko) 다층식 공동묘
JP2001173272A (ja) 簡易墓石
KR200227846Y1 (ko) 가족 납골묘
KR200322828Y1 (ko) 납골묘
RU2335274C2 (ru) Механизм для опускания гроба в могилу
KR200200935Y1 (ko) 납골묘
KR200146075Y1 (ko) 납골묘
JP2006288421A (ja) 可搬式墓
JP3348065B2 (ja) 合祀墓
KR200234820Y1 (ko) 납골함이 내장된 종부도
KR200257753Y1 (ko) 납골당 도어구조
KR200250526Y1 (ko) 친목공간을 가지는 가족 납골당
KR200189920Y1 (ko) 한국형 납골당 가족묘 공원
KR200281240Y1 (ko) 유골함 케이스
KR200278391Y1 (ko) 납골묘
KR200223612Y1 (ko) 가족용 납골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919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