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0282Y1 - 골프용 퍼터 - Google Patents

골프용 퍼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0282Y1
KR200250282Y1 KR2020010020923U KR20010020923U KR200250282Y1 KR 200250282 Y1 KR200250282 Y1 KR 200250282Y1 KR 2020010020923 U KR2020010020923 U KR 2020010020923U KR 20010020923 U KR20010020923 U KR 20010020923U KR 200250282 Y1 KR200250282 Y1 KR 2002502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unit
shaft member
putter
unit shaf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09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정식
Original Assignee
주정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정식 filed Critical 주정식
Priority to KR20200100209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028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02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0282Y1/ko

Links

Landscapes

  • Golf Club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골프용 퍼터에 관한 것으로서 길이 방향에 따라 일측에서 타측으로 점진적으로 경사지고 내부가 빈 환봉으로 이루어진 N(N은 2 이상의 자연수)개의 단위샤프트가 끼워져 연결되어 다단으로 접혀지며 펼친 상태에서 소정의 길이를 갖는 샤프트부재와, 상기 N개의 단위샤프트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샤프트부재가 펼쳐진 상태에서 퍼팅시 회전에 의한 접힘을 방지하는 록킹부재와, 상기 샤프트부재의 일측에 고무재질로 끼워지게 형성된 손잡이와, 상기 샤프트부재의 타측에 연결 고정된 헤드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골프용 퍼터{Putter for golf}
본 고안은 골프용 퍼터(putter)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샤프트(shaft)가 복수 개의 짧은 단위 샤프트로 이루어져 보관 및 휴대가 용이한 퍼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골프채(Golf Club)는 손잡이와 샤프트 및 헤드 등의 부분으로 구성되며 드라이버(driver), 우드(wood), 아이언(iron) 및 퍼터(putter) 등의 네가지 종류로 구분이 된다.
상기에서 우드는 헤드(head)가 나무로 이루어진 것으로 골프 공의 비거리를 멀리하는 데 사용되며, 아이언은 헤드가 금속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골프 공의 비행 방향을 정확하게 하는 데 사용된다.
또한, 퍼터는 우드 및 아이언과 달리 근거리용으로 골프 공을 그린에서 최종적으로 컵(cup) 안으로 넣기 위한 퍼팅(putting)에 사용된다. 그러므로, 퍼터는 퍼팅시 골프 공을 비교적 작은 힘으로 타격하여 정확한 방향과 거리로 이동시켜야 한다.
상기에서 퍼터는 골프 공을 정확한 방향과 거리로 이동시키기 위해 비교적 작은 힘으로 타격하여야 하기 때문에 협소한 공간에서도 퍼팅 연습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많은 골프 애호가들은 가정이나 사무실 등과 같은 좁은 실내의 연습에 의해 퍼팅 감각을 유지한다.
상기 퍼터는 우드 또는 아이언과 마찬가지로 긴 샤프트에 헤드가 견고히 연결되게 설치된다. 그러므로, 퍼터는 길이가 길어 출장이나 외출시 항시 휴대가 불편한 단점이 있다. 또한, 긴 퍼터는 가방이나 책상과 같은 수납공간에 수납이 곤란하여 사무실에 그냥 방치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미관상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관리가 소홀로 인한 손상 등의 문제점이 있다.
그러므로, 샤프트를 조립할 수 있는 복수 개로 하여 보관 또는 휴대가 용이한 퍼터가 개발되었다.
종래 기술에 따른 휴대가 용이한 퍼터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 20-0164303 호(등록일자 : 1999. 10. 06)에 개시되어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휴대가 용이한 퍼터는 일측에 고무재질의 그립이 끼워져 형성된 손잡이부를 가지며 길이 방향으로 일단으로 부터 점진적으로 경사지고, 그 내부는 중공된 환봉으로 형성되며, 손잡이부의 일측으로 부터 일단이 작은 직경 순서로 수용되어 일방향으로 다단으로 접혀지거나 빼내어 소정 길이를 갖는 복수 개의 단위 샤프트로 이루어진 샤프트부와, 이 각각의 단위 샤프트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각각의 단위 샤프트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록킹부를 갖는다.
상기에서 록킹부는 각각의 단위 샤프트의 길이 방향으로 안내홈이 형성되며, 이 각각의 단위 샤프트는 이 안내홈을 따라 접히거나 빼내어지도록 형성된다.
상술한 퍼터는 샤프트부를 이루는 각각의 단위 샤프트를 접어 보관 또는 휴대하며, 또한, 빼내어 퍼팅시 사용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샤프트부를 각각의 단위 샤프트로 접어 보관 또는 휴대할 수 있므로 보관 및 휴대가 용이하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 기술에 따른 퍼터는 퍼팅시 샤프트부를 이루는 각각의 단위 샤프트는 록킹부에 의해 회전되는 것이 방지되나 접혀지는 것을 방지할 수 없어 샤프트부의 길이가 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퍼팅시 펼쳐진 샤프트부재로 길게 연결된 단위 샤프트들이 결합이 풀어져 접혀지는 것에 의해 샤프트부재의 길이가 변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퍼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퍼터는 길이 방향에 따라 일측에서 타측으로 점진적으로 경사지고 내부가 빈 환봉으로 이루어진 N(N은 2 이상의 자연수)개의 단위샤프트가 끼워져 연결되어 다단으로 접혀지며 펼친 상태에서 소정의 길이를 갖는 샤프트부재와, 상기 N개의 단위샤프트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샤프트부재가 펼쳐진 상태에서 퍼팅시 회전에 의한 접힘을 방지하는 록킹부재와, 상기 샤프트부재의 일측에 끼워지게 형성되어 퍼터시 미끌림을 방지하는 손잡이와, 상기 샤프트부재의 타측에 연결 고정된 헤드부재를 포함한다.
상기에서 록킹부재는 상기 단위샤프트의 일측 끝단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모서리가 형성된 2개의 제 1 요홈을 가지며 상기 길이 방향 양 끝단에 돌출된 가이드가 형성된 축부와, 상기 축부의 가이드 사이에 외주면과 접촉되어 마찰되면서 좌우로 회전될 수 있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 1 요홈을 모두 덮을 수 있는 크기를 갖되 회전시 상기 제 1 요홈 중 어느 하나가 개방시키는 고정부와, 상기 단위샤프트의 타측 끝단의 내주면에 삽입되게 설치된 받침부로 이루어진다.
또한, 고정부는 일측이 90°정도의 경사를 갖는 걸림턱을 가지며 타측이 완만한 경사를 갖는다.
그리고, 헤드부재는 퍼팅시 골프 공과 접촉되는 좌측 및 우측에 비취석, 옥, 대리석, 금, 은 또는 동의 연질 재료로 이루어진 접촉부분이 형성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고안에 따른 퍼터의 사시도.
도 2는 샤프트부재가 펼친 상태일 때 고정부 부분을 절개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 샤프트부재 13 : 록킹부재
15 : 축부 17 : 제 1 요홈
21 : 가이드 23 : 고정부
25 : 제 2 요홈 27 : 걸림턱
29 : 받침부 31 : 헤드부재
35 : 손잡이부재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고안에 따른 퍼터의 사시도로, 도 1a은 샤프트부재가 펼친 상태, 도 1b는 샤프트부재가 접힌 상태를 도시하며, 도 2는 샤프트부재가 펼친 상태일 때 고정부 부분을 절개한 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퍼터는 샤프트부재(11), 록킹부재(13), 헤드부재(31) 및 손잡이부재(35)를 포함한다.
상기에서 샤프트부재(11)는 길이 방향에 따라 일측에서 타측으로 점진적으로 경사지고 내부가 빈 환봉으로 이루어지며 일측과 타측의 직경이 서로 다른 N(N은 2 이상의 자연수)개, 예를 들면, 제 1 , 제 2 및 제 3 단위샤프트(11-1)(11-2)(11-3)로 형성된다. 상기에서 샤프트부재(11)가 일측의 직경이 타측의 직경 보다 크다면, 제 1, 제 2 및 제 3 단위샤프트(11-1)(11-2)(11-3) 각각은 일측의 직경이 타측의 직경 보다 크다. 그리고, 제 1 및 제 2 단위샤프트(11-1)(11-2)의 타측 끝단에 제 2 및 제 3 단위샤프트(11-2)(11-3)의 일측 끝단이 끼워지게 형성된다.
록킹부재(13)는 결합된 제 1, 제 2 및 제 3 단위샤프트(11-1)(11-2)(11-3) 사이가 퍼팅시 회전 및 접힘을 방지하는 것으로 축부(15), 고정부(23) 및 받침부(29)로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축부(15)는 제 2 및 제 3 단위샤프트(11-2)(11-3)의 일측 끝단에 삽입 및 고정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며 입구에 모서리(19)가 형성된 2개의 제 1 요홈(17)을 갖는다. 또한, 축부(15)는 길이 방향 양 끝단에 돌출된 가이드(21)가 형성된다.
고정부(23)는 축부(15)의 가이드(15) 사이에 일 부분를 제외한 외주면과 접촉되어 마찰되면서 좌우로 회전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즉, 고정부(23)는 축부(15)에 형성된 2개의 제 1 요홈(17)을 모두 덮되 회전된 경우에는 2개의 제 1요홈(17) 중 어느 하나가 개방될 정도의 크기를 갖도록 설치된다.
또한, 고정부(23)는 일측의 소정 부분에 제 2 요홈(25)이 형성된다. 상기에서 제 2 요홈(25)은 일측이 급격한 경사, 바람직하기는 90°정도의 경사를 갖는 걸림턱(27)을 가지며 타측이 완만한 경사를 갖는 데, 제 2 요홈(25)이 형성된 부분은 형성되지 않은 부분 보다 얇게 된다. 걸림턱(27)은 고정부(23)가 회전되어 축부(15)의 모서리(19)와 결합되면 일측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이 방지된다.
받침부(29)는 제 2 및 제 3 단위샤프트(11-2)(11-3) 일측 끝단과 대응하는 제 1 및 제 2 단위샤프트(11-1)(11-2) 타측 끝단의 내주면에 삽입되어 부착되게 설치된다. 상기에서 받침부(29)는 제 2 및 제 3 단위샤프트(11-2)(11-3)의 일측이 제 1 및 제 2 단위샤프트(11-1)(11-2)의 타측을 통해 빠지는 것에 의해 제 1, 제 2 및 제 3 단위샤프트(11-1)(11-2)(11-3) 각각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헤드부재(31)는 제 3 단위샤푸트(11-3)의 타측에 고정되게 연결된다. 상기에서 헤드부재(31)는 퍼팅시 골프 공과 접촉되는 좌측 및 우측의 표면에 접촉부분(33)이 형성된다. 접촉부분(33)은 헤드부재(31)의 측면에 삽입되어 평탄한 표면을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에서 헤드부재(31)는 알루미늄, 황동, 티타늄, 주석 또는 철 등의 금속으로 형성되며, 접촉부분(33)은 비취석, 옥, 대리석, 금, 은 또는 동의 연질 재료로 형성된다. 그러므로, 접촉부분(33)은 퍼팅시 골프 공과 접촉이 부드러워 타격감이 좋고 거리 조절이 용이하다.
손잡이부재(35)는 고무재질 또는 인조가죽 등으로 이루어져 제 1 단위샤프트(11-1)의 일측에 끼워지게 형성되는 것으로 퍼팅시 퍼터가 손으로 부터미끌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상술한 구성의 본 고안에 따른 퍼터의 작동을 설명한다.
상기에서 샤프트부재(11)를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펼친 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해, 즉, 제 1 및 제 2 단위샤프트(11-1)(11-2)의 타측 끝단에 제 2 및 제 3 단위샤프트(11-2)(11-3)의 일측 끝단이 끼워져 접히지 않고 펼친 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해 고정부(29)가 축부(15)에 형성된 2개의 제 1 요홈(17) 중 어느 하나를 개방시켜야 한다. 즉, 제 1, 제 2 및 제 3 단위샤프트(11-1)(11-2)(11-3)를 완전히 펼친 상태에서 고정부(29)의 제 2 요홈(25) 바닥면이 축부(15)의 측면과 접촉되지 않아 제 2 및 제 3 단위샤프트(11-2)(11-3)의 일측 끝단의 직경이 커진 것과 같은 효과를 갖도록 한다. 그러므로, 제 1 및 제 2 단위샤프트(11-1)(11-2)의 타측 끝단과 제 2 및 제 3 단위샤프트(11-2)(11-3)의 일측 끝단이 단단히 끼여지도록 한다. 그러므로, 퍼팅시 제 1, 제 2 및 제 3 단위샤프트(11-1)(11-2)(11-3)의 결합이 풀어져 접혀지는 것에 의해 샤프트부재(11)의 길이가 변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샤프트부재(11)의 제 1, 제 2 및 제 3 단위샤프트(11-1)(11-2)(11-3) 모두, 또는,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및 제 3 단위샤프트(11-2)(11-3)의 결합이 풀려 접혀지는 것은 회전에 의해 고정부(23)의 제 2 요홈(25) 바닥면을 축부(15)의 측면에 접촉되도록 하므로써 이룬다. 그러므로, 제 2 및 제 3 단위샤프트(11-2)(11-3)의 일측 끝단의 직경이 작아진 것과 같은 효과를 가져 고정부(23)의 제 2 요홈(25)이 형성되지 않은 면이 제 1 및 제 2 단위샤프트(11-1)(11-2)(11-3)의 타측 끝단과 이격된다. 그러므로, 퍼팅시 제 2 및 제 3 단위샤프트(11-2)(11-3)의 결합이 풀어져 접혀지는 것에 의해 샤프트부재(11)의 길이가 변화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퍼터는 제 1, 제 2 및 제 3 단위샤프트 사이에서 고정부가 축부에 형성된 2개의 제 1 요홈 중 어느 하나를 개방시켜 고정부의 제 2 요홈 바닥면이 축부의 측면과 접촉되지 않아 제 2 및 제 3 단위샤프트의 일측 끝단의 직경이 커진 것과 같은 효과를 갖도록 하므로써 제 1 및 제 2 단위샤프트의 타측 끝단에 단단히 끼여지도록 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퍼터는 샤프트부재를 이루는 N(N은 2 이상의 자연수)개의 단위 샤프트가 펼쳐진 상태에서 단단히 결합되어 퍼팅시 결합이 풀어져 접혀지지 않도록 하여 샤프트부재의 길이가 변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Claims (4)

  1. 길이 방향에 따라 일측에서 타측으로 점진적으로 경사지고 내부가 빈 환봉으로 이루어진 N(N은 2 이상의 자연수)개의 단위샤프트가 끼워져 연결되어 다단으로 접혀지며 펼친 상태에서 소정의 길이를 갖는 샤프트부재와,
    상기 N개의 단위샤프트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샤프트부재가 펼쳐진 상태에서 퍼팅시 회전에 의한 접힘을 방지하는 록킹부재와,
    상기 샤프트부재의 일측에 끼워지게 형성되어 퍼터시 미끌림을 방지하는 손잡이와,
    상기 샤프트부재의 타측에 연결 고정된 헤드부재를 포함하는 골프용 퍼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록킹부재는,
    상기 단위샤프트의 일측 끝단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모서리가 형성된 2개의 제 1 요홈을 가지며 상기 길이 방향 양 끝단에 돌출된 가이드가 형성된 축부와,
    상기 축부의 가이드 사이에 외주면과 접촉되어 마찰되면서 좌우로 회전될 수 있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 1 요홈을 모두 덮을 수 있는 크기를 갖되 회전시 상기 제 1 요홈 중 어느 하나가 개방시키는 고정부와,
    상기 단위샤프트의 타측 끝단의 내주면에 삽입되게 설치된 받침부로 이루어진 골프용 퍼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일측이 90°정도의 경사를 갖는 걸림턱을 가지며 타측이 완만한 경사를 갖는 제 2 홈이 형성된 골프용 퍼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재는 퍼팅시 골프 공과 접촉되는 좌측 및 우측에 비취석, 옥, 대리석, 금, 은 또는 동의 연질 재료로 이루어진 접촉부분이 형성된 골프용 퍼터.
KR2020010020923U 2001-07-11 2001-07-11 골프용 퍼터 KR2002502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0923U KR200250282Y1 (ko) 2001-07-11 2001-07-11 골프용 퍼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0923U KR200250282Y1 (ko) 2001-07-11 2001-07-11 골프용 퍼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0282Y1 true KR200250282Y1 (ko) 2001-11-17

Family

ID=731049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0923U KR200250282Y1 (ko) 2001-07-11 2001-07-11 골프용 퍼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028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0738B1 (ko) 2006-03-31 2007-10-26 유서희 골프채 샤프트와 그 제조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33053U (ko) * 1974-08-31 1976-03-11
JPS61188772U (ko) * 1985-05-17 1986-11-25
JPS6442074U (ko) * 1987-09-07 1989-03-14
JPH0492682A (ja) * 1990-08-09 1992-03-25 Katsumasa Hirabayashi ゴルフ・パター
KR19990002293U (ko) * 1997-06-26 1999-01-25 이재성 조립식 골프채
KR19990009278U (ko) * 1997-08-20 1999-03-15 한수철 골프채 퍼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33053U (ko) * 1974-08-31 1976-03-11
JPS61188772U (ko) * 1985-05-17 1986-11-25
JPS6442074U (ko) * 1987-09-07 1989-03-14
JPH0492682A (ja) * 1990-08-09 1992-03-25 Katsumasa Hirabayashi ゴルフ・パター
KR19990002293U (ko) * 1997-06-26 1999-01-25 이재성 조립식 골프채
KR19990009278U (ko) * 1997-08-20 1999-03-15 한수철 골프채 퍼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0738B1 (ko) 2006-03-31 2007-10-26 유서희 골프채 샤프트와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99551B2 (ja) 分離可能なゴルフクラブ
US6575854B1 (en) Automatic adjusting device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center of gravity of an object
US6371866B1 (en) Compact golf club set
US5595544A (en) Putter grip with stabilizing members
KR101097565B1 (ko) 골프 클럽 헤드 및 샤프트를 위한 해제 가능하고 상호 교환 가능한 연결부
JP5345763B2 (ja) ゴルフパター
US20060183564A1 (en) Golf club head having a variable loft angle
US6095929A (en) Universal putter lie angle adapter for golf club
USD424145S (en) Golf putter head
US6679793B2 (en) Golf tee structure
CA2371705A1 (en) Putter grip
JP2007313304A5 (ko)
JP2002186301A (ja) 芝修理具
GB2225725A (en) Improvements in golf clubs
CA2136405A1 (en) Combined putter and wedge golf club
US3995856A (en) Tennis racket grip
US5306010A (en) Extensible exercise golf club
KR200250282Y1 (ko) 골프용 퍼터
USD544934S1 (en) Combined putter grip and ball retriever
US6454669B1 (en) Annulus golf tee with removable penetration cone
KR102174054B1 (ko) 스윙 연습용 골프클럽
JP2004255179A (ja) 改良されたゴルフクラブシャフト及びグリップ及びゴルフクラブをグリップするための方法
KR20090039518A (ko) 골프클럽용 그립
US20050233821A1 (en) Adjustable putter for dual handed use
KR20040026023A (ko) 골프 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3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