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0227Y1 - 재단용 양날칼 - Google Patents
재단용 양날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50227Y1 KR200250227Y1 KR2020010020040U KR20010020040U KR200250227Y1 KR 200250227 Y1 KR200250227 Y1 KR 200250227Y1 KR 2020010020040 U KR2020010020040 U KR 2020010020040U KR 20010020040 U KR20010020040 U KR 20010020040U KR 200250227 Y1 KR200250227 Y1 KR 200250227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utting
- blade
- cutting blade
- cut
- double
- Prior art date
Links
Landscapes
- Kni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공업용으로 사용되는 재단용 양날칼에 관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의류, 운동화, 구두, 가방등에 적용되는 가죽제품이나 직물의 재단시에 사용되는 재단용 양날칼로서 특히, 짝을 이루게되는 신발이나 장갑등의 재단에 적합하며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좌우대칭을 이루고 하면의 좌우측 단부를 제외하고는 편평한 면을 이루게 되고 상면은 중앙부(13)가 일정두께를 가지고 좌우측은 두께가 감소되는 슬로프면(14)을 이루는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하면 좌우측 단부는 상면을 향해 비스듬히 경사지게되고 상면은 상기 슬로프면(14)의 단부로부터 하면을 향해 비스듬히 경사지면서 뾰족한 날을 이루게되는 에지부(2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연속적인 양날을 가지게 됨을 기술적 요지로 함으로서 좌우측 짝을 이루는 제품을 만들기 위한 재단작업시에 좌우측의 구별없이 하나의 금형에 상하로 컷팅날을 성형함으로서 정확한 치수로 재단이 가능하게 되고 작업성도 향상되는 이점을 가지게 되는 재단용 양날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각종 산업분야에 사용되는 재단용 양날칼에 관한 것이며, 특히 짝을 이루게 되는 신발류나 장갑등과 같은 제품에 사용되는 가죽등의 원소재를 적정한 크기로 재단할 수 있도록 금형을 제작하기 위한 재단용 양날칼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재단용 양날칼은 일정한 형태를 가지도록 가죽등의 소재를 절단하기 위해 다양한 형상으로 벤딩시켜 금형을 제작하여 사용하게 되며 하나의 금형으로 좌우측의 한쌍으로 이루어지는 제품을 재단하기 위한 금형의 원자재로 사용된다.
종래에는 재단용 칼로서 한쪽면에만 칼날부가 형성되는 단날칼이 사용되었으며, 따라서 좌우측의 한쌍으로 이루어지는 제품의 재단시에는 좌우측 두개의 금형을 제조하여야만 목적하는 소재를 재단할 수 있었다.
이하에서는 종래기술에 따른 상기 단날칼 및 이에의해 성형되는 금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상기 종래기술에 따른 단날칼의 사시도 및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 2는 이를 이용하여 한쌍의 금형을 성형시킨 예시도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재단용 단날칼은 일측면에만 뾰족한 칼날(1)이 형성되는 것으로서 하면은 편평한 면을 이루게 되고 칼날(1)이 형성되는 단부만이 상부를 향해 경사지게 연마되어진다. 반면에 상면은 일정구간 수평면을 이루다가 경사진 슬로프면(2)이 형성되고 상기 슬로프면(2)의 끝단으로부터 하면을 향해 경사지게 연마되어져 뾰족한 칼날(1)을 이루게 된다.
상기 단날칼에 있어서 칼날(1)이 형성되는 면의 반대측 상면에는 타 요소와의 결합을 도와주는 홈이 연속적으로 형성되어져 있다.
한편, 상기 도 2는 상기 도 1에 보이는 단날칼을 벤딩시켜 원하는 형상으로 소재를 절단하기 위해 제조된 금형을 보여주는 것으로 좌우측 한쌍을 이루는 제품의 경우에 있어서의 2개의 금형을 나타내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한쌍을 이루는 제품을 제조하기 위해 소재를 절단할 때에는 좌우측의 2개의 금형을 별도로 제작하여야만 했다. 이렇게 됨으로서 단날칼의 일측면만을 이용하게되어 2개의 금형이 필요하므로 재료의 낭비, 생산성의 저하 및 금형제작 가격의 상승요인 등의 문제점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고안은 하나의 판상재료에 양날이 구비되는 재단용 양날칼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양날 재단칼을 사용함으로써 작업성을 높이고 보다 정확한 치수의 제품을 재단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원가절감을 실현하도록 함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하고 있다.
도 1 - 종래기술에 따른 단날칼의 사시도 및 단면도.
도 2 - 도 1의 단날칼을 이용하여 금형을 성형시킨 예시도.
도 3 -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단용 양날칼에 대한 사시도.
도 4 - 도 3에 있어서의 에이에이(A-A)선 단면도.
도 5 -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단용 양날칼을 이용한 금형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면에 사용된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0 : 몸체 13 : 중앙부
14 : 슬로프면 20 : 에지부
30 : 금형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달성을 위한 본 고안은, 좌우대칭을 이루면서 하면은 좌우측 단부를 제외하고는 편평한 면을 이루게 되고 상면은 중앙부가 일정두께를 가지고 좌우측은 두께가 감소되는 슬로프면을 이루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하면 좌우측 단부는 상면을 향해 비스듬히 경사지게되고 상면은 상기 슬로프면의 단부로부터 하면을 향해 비스듬히 경사지면서 뾰족한 날을 이루게되는 에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연속적인 양날을 가지게 됨을 기술적 요지로 하는 재단용 양날칼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재단용 양날칼은 재료의 이용률을 극대화 시킬 수 있으며 종래에 두개의 금형이 짝을 이루던 제품의 재단시에는 작업성을 높이고 보다 정확한 치수의 제품을 재단할 수 있으며, 원가절감을 실현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지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의한 재단용 양날칼에 대해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하고자 하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단용 양날칼에 대한 사시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시된 것처럼, 본 고안에 따른 재단용 양날칼은 몸체(10)와 에지부(20)로 구성되어지며 상기 몸체(10)부는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중앙부(13)와 상면이 하방으로 경사지게 되는 슬로프면(14)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에지부(20)는 하면과 상면의 각 단부가 날카롭게 연마되어져 뽀족한 날을 이루게 된다.
상기 재단용 양날칼은 급격한 벤딩부없는 금형의 형태로 사용될 수도 있으나 일반적으로 재단하고자 하는 제품의 형태에 가깝게 소재를 절단해야 하므로 깊은각의 벤딩을 요구하는 금형으로 제작되며 이에 따라 상기 재단용 양날칼은 우수한 벤딩성을 보유해야 함과 동시에 소재를 직접 절단하게되는 에지부(20)는 충분한 경도가 구비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상기 에지부(20)는 고주파 경화열처리가 행하여 지고, 벤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몸체(10)부 특히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중앙부(13)의 경도는 에이취알씨(HRC) 32 ∼ 38 정도의 값을 가지도록 열처리를 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에지부(20)의 고주파경화깊이는 0.6 ∼ 0.9 밀리미터(mm)로 유지함과 동시에 경도는 에이치알씨(HRC) 50 ±1로 함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상기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재단용 양날칼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을 하고자 한다.
상기 도 4는 상기 도 3에 있어서의 에이에이(A-A)선 단면도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상술한 것처럼 몸체(10)와 에지부(20)가 구비된다. 상기 몸체(10)의 하면은 에지부(20)가 형성되는 양단부를 제외하고는 편평한 평면을 이루게 되고 상면은 중앙부(13)와 슬로프면(14)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중앙부(13)는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영역이며 상기 슬로프면(14)은 하면을 향해 비스듬히 경사를 이루면서 그 두께가 점차 감소하게 된다. 상기 중앙부(13)는 벤딩성을 좌우하게 되는 부분으로서 바람직하게는 그 경도값이 에이취알씨 32 ∼ 38 을 유지토록 함이 적합하다. 그리고 상기 재단용 양날칼의 재질로는 탄소강이나 합금강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은 경도치를 얻고 벤딩성을 높이기 위한 열처리로서 오스템퍼링(austempering)을 실시한다.
다음으로 에지부(20)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상기 에지부(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단면형상이 날카로운 날을 이루고 있다. 상기 에지부(20)는 상기 몸체(10)의 양단부에 좌우대칭으로 형성되는 부위이며 상기 몸체(10)의 하면의 양단부로부터 상면을 향해 경사지게 연마되고 상면의 슬로프면(14)의 끝단으로부터 재차 하면을 향해 경사를 이루면서 연마되어져 예리한 날을 이루게되는 것이다.
상기 에지부(20)는 재단작업시 직접 소재와 맞닿으면서 절단작업을 수행하게 되는 부위이며 이에 따라 높은 경도 뿐만 아니라 내마모성과 내충격성이 요구되는 특성을 가지게 된다. 상기 에지부(20)에는 고주파경화열처리가 행하여지게 되며 그 경화깊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0.6 ∼ 0.9 밀리미터(mm)로 함과 동시에 그 경도값은 에이취알씨(HRC) 50 ±1로 함이 적합하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단용 양날칼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였으며, 이어서는 상기 재단용 양날칼을 이용하여 소재를 절단하게 되는 금형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상기 금형(30)은 상기 재단용 양날칼을 벤딩시켜 이루어지는 것이다.
첨부되는 도 5는 상기 금형의 일 실시형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신발의 깔창을 제작하는 양날 재단용 금형을 보여주고 있다.
상기 금형(30)은 상하단부에 동일한 에지부(20)가 형성되어져 있음으로 짝을 이루게 되는 신발의 깔창을 재단할 시에 하면으로 일측의 깔창을 제조하고 이를 뒤집어 소재를 가압하게되면 타측의 깔창이 만들어지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재단용 양날칼을 사용함으로서 정확한 치수로 재단이 가능하게 되고 1개의 재단칼로 좌우측을 재단함으로 작업성의 향상과 원가절감을 실현하게 된다는 이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고안은, 하나의 몸체 양측면에 에지부를 형성시킴으로서 단날칼을 사용할때에 비해 금형비가 적게들게 되고 생산성 및 제품의 치수도 정확하게 된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 좌우대칭을 이루면서 하면의 좌우측 단부를 제외하고는 편평한 면을 이루게 되고, 상면은 중앙부(13)가 일정두께를 가지고 좌우측은 두께가 감소되는 슬로프면(14)을 이루는 몸체(10)와;상기 몸체(10)의 하면 좌우측 단부는 상면을 향해 비스듬히 경사지게되고 상면은 상기 슬로프면(14)의 단부로부터 하면을 향해 비스듬히 경사지면서 뾰족한 날을 이루게되는 에지부(2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연속적인 양날을 가지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재단용 양날칼.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지부(20)는,고주파경화열처리 깊이가 0.6 ∼ 0.9 밀리미터(mm)로 하고 경도는 에이치알씨(HRC) 50 ±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단용 양날칼.
-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부(13)는,벤딩성이 향상되도록 경도치가 에이취알씨(HRC) 32 ∼ 38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단용 양날칼.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10020040U KR200250227Y1 (ko) | 2001-07-03 | 2001-07-03 | 재단용 양날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10020040U KR200250227Y1 (ko) | 2001-07-03 | 2001-07-03 | 재단용 양날칼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50227Y1 true KR200250227Y1 (ko) | 2001-11-16 |
Family
ID=73104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10020040U KR200250227Y1 (ko) | 2001-07-03 | 2001-07-03 | 재단용 양날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50227Y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465326A (zh) * | 2018-12-26 | 2019-03-15 | 无锡易和精机科技有限公司 | 一种边切子模双刃结构 |
-
2001
- 2001-07-03 KR KR2020010020040U patent/KR200250227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465326A (zh) * | 2018-12-26 | 2019-03-15 | 无锡易和精机科技有限公司 | 一种边切子模双刃结构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3411208A (en) | Cutting strips, cutting die knives, cutting rules and the like | |
CN111343882B (zh) | 鞋类物品的鞋底结构和相关方法 | |
EP1243390A2 (en) | Composite blade for a tire curing mould | |
CN110653581B (zh) | 用于制造带钢刀的方法和用于刀具的带钢刀 | |
US20190160697A1 (en) | Low Sticking Friction Knife Blade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Same | |
US3824887A (en) | Stamping knife | |
KR200250227Y1 (ko) | 재단용 양날칼 | |
CN206104645U (zh) | 修边带冲孔模具机构 | |
CN108883671A (zh) | 轮胎模型以及轮胎 | |
US3866491A (en) | Stamping knife | |
BR112012018370B1 (pt) | Ferramenta de puncionar e processo de produção para uma ferramenta de puncionar | |
US3728792A (en) | Cutting blades for powered carving knives | |
CS200164B2 (en) | Method of producing die with self-acting discharge | |
CN103624813B (zh) | 一种民用剪及其制造方法 | |
CN106077227A (zh) | 一种c100拨叉切边模 | |
CN206393676U (zh) | 不粘材料的刀 | |
KR200347159Y1 (ko) | 지그재그형 재단용 칼 | |
KR100898057B1 (ko) | 장식 시트 제조용 고주파 금형 | |
US2293086A (en) | Cutting die | |
JP3084873U (ja) | トムソン刃における切断レベルが高低差のある抜型 | |
KR19980066407A (ko) | 수술용 봉합침의 제조방법 | |
KR200347464Y1 (ko) | 솔 재단용 요철형 재단칼 | |
US689880A (en) | Manufacture of knife-blades. | |
US1056448A (en) | Cutting-die. | |
KR200287259Y1 (ko) | 샌들중창 성형용 프레스 철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00913 Year of fee payment: 10 |
|
EXPY | Expiration of ter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