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9754Y1 - 수직면이동용접장치 - Google Patents

수직면이동용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9754Y1
KR200249754Y1 KR2019980023835U KR19980023835U KR200249754Y1 KR 200249754 Y1 KR200249754 Y1 KR 200249754Y1 KR 2019980023835 U KR2019980023835 U KR 2019980023835U KR 19980023835 U KR19980023835 U KR 19980023835U KR 200249754 Y1 KR200249754 Y1 KR 20024975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lding
housing
moving
coupled
welding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38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1404U (ko
Inventor
상 인 한
Original Assignee
조선묵
삼흥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선묵, 삼흥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조선묵
Priority to KR20199800238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9754Y1/ko
Publication of KR2000001140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140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975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9754Y1/ko

Links

Landscapes

  • Butt Welding And Welding Of Specific Articl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직면 이동 용접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용접봉이 정위치에 고정되도록 하는 수단을 가지며, 상기 수단을 작업대상물의 용접작업선을 따라 이동시켜 용접봉이 이동되도록 하여 용접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용접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의 내부에 설치되며, 자계를 발생시켜 이동수단이 작업대상물에 이동가능하게 부착되도록 한 부착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면 이동 용접장치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주변의 특별한 가이드 장비가 없이도 수직면을 오르내리며 작업할 수 있도록 하여 가이드 장비의 설치에 따른 비용, 시간, 인력의 낭비를 해소시키고, 수평용접작업에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의 호환성이 높아지므로써 제품을 구입한 소비자의 신뢰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수직면 이동 용접장치
본 고안은 수직면 이동 용접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상세하게는 수직된 용접작업면을 이동장치가 마그네트의 자력에 의해 부착되어 오를 수 있도록 하여 수직면의 용접에 사용되던 주변의 장치물이 필요치 않도록 하고, 수평 작업면에도 이 장치가 적용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 용접장치는 작업부위를 용접하기 위한 용접봉과, 용접봉을 정위치에 지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클램프 및, 용접봉과 클램프를 정해진 궤도에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이동장치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이동 용접장치가 특히 수직면을 용접하며 승강되기 위해서는 이동장치의 주변에 이동장치를 승강시키기 위한 여러 가지 가이드 장치가 필요하게 된다.
상기의 이동장치가 가이드 장치와 결합되어 수직면 이동 용접장치로 구성되도록 하기 위한 종래의 기술을 몇가지 예시하면, 이동장치의 이동수단을 모타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 로울러로 구비하고, 이 로울러가 회전되며 승강되도록 하기 위한 가이드 장치로써 작업부위의 근접위치에 레일을 구비하여 로울러가 레일의 면에 접촉되어 회전되면서 상승 또는 하강되며 작업부분을 용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들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로울러를 스프로킷이나 피니언등으로 대체하고, 레일을 체인이나 레크등으로 바꾸어 장착한 것을 들 수 있으며, 또 다른 예시를 들자면, 작업부위의 상, 하로 와이어를 늘어뜨리고, 일 끝단을 이동장치에 다른 끝단을 동력장치에 연결시켜 동력장치가 기기를 끌어올리거나 내리는 동안 작업부위를 용접하는 것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수직면 이동 용접장치는 용접작업부위의 구간에 대응되는 가이드 장치(레일, 와이어)가 필요하게 되고, 이 가이드 장치들은 용접작업부위의 구간이 광범위해지면 이를 설치하기 위한 설치비용이 많이 소모된다.
또한, 수직면 용접작업이 여러곳에서 수행되어야 할 경우에는 작업구간 마다 가이드 장치를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이들을 설치하기 위한 인력의 소모도 간과할 수 없는 문제점이 된다.
뿐만아니라, 수직면을 용접하는 용접장치는 레일상에서만 이동되는 이동장치의 특성상 수평면용접작업에는 사용되지 못하여 수평면 작업만을 수행할 수 있는 용접장치를 구입 또는 제작하여야 하는 경제적인 부담이 생기게 된다.
이를 해소하고자 수직면 용접작업에 사용되는 용접장치를 적용시키고자 한다면, 수평작업부위의 부근에 레일등을 설치하고 작업을 수행해야 하기 때문에 결국 설치작업의 비용, 시간, 인력이 낭비된다는 문제점이 해결되지는 못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써, 주변의 가이드 장치가 없이도 수직된 용접작업부위에 용접을 할 수 있도록 하며, 따로 구비되는 장비가 없이도 이 이동장치가 수평용접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수직면 이동용접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수직면 이동 용접장치의 전체구성을 나타낸 일 측면도.
도 2는 도 1의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이동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위치설정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4의 각 물품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일 측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위빙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일 측단면도.
도 7은 도 6의 일부를 제외한 상태의 평면도.
도 8은 도 7의 일부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에 의한 수직면 이동 용접장치의 이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10은 본 고안에 의한 위빙장치의 일부 작동상태를 나타낸 개념도.
도 11은 도 10의 작동에 의해 용접봉이 작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이동장치 101: 몸체 110: 모터
120, 130: 차축 200: 위치설정장치 210: 제 1 하우징
220: 제 2 하우징 240: 결합구 300: 위빙장치
400: 부착장치 410: 레버 420: 지지판
430: 마그네트받침대 440: 마그네트
상기 목적을 달성시키기 위해 본 고안은 용접봉이 정위치에 고정되도록 하는 수단을 가지며, 상기 수단을 작업대상물의 용접작업선을 따라 이동시켜 용접봉이 이동되도록 하여 용접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용접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의 내부에 설치되며, 자계를 발생시켜 이동수단이 작업대상물에 이동가능하게 부착되도록 한 부착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은 용접봉이 정위치에 고정되도록 하는 수단을 가지며, 상기 수단을 작업대상물의 용접작업선을 따라 이동시켜 용접봉이 이동되도록 하여 용접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용접장치에 있어서, 상기 용접봉이 작업선상에서 이동되도록 하기 위한 이동장치; 상기 이동장치의 일끝단 상면에 장착되어 용접봉의 상, 하, 좌, 우의 위치를 설정해주기 위한 위치설정장치; 상기 위치설정장치와 용접봉의 사이에 간섭되도록 설치되고, 용접봉을 장착시킬 수 있는 클램프를 일측에 포함하며, 상기 클램프가 용접선상에서 좌, 우로 반복회전되도록 함으로써 용접봉이 위빙되도록 한 위빙장치; 상기 이동장치의 내부에 설치되며, 자계를 발생시켜 이동장치가 작업대상물에 이동가능하게 견고히 부착되도록 한 부착장치를 포함하는 것에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을 도면에 나타난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수직면 이동 용접장치(이하, 용접장치라 칭함)의 전체적인 외관구성을 나타낸 일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의한 용접장치는 용접봉(T)을 정위치에 지지시키기 위한 클램프(500)와, 용접봉(T)이 위빙(weaving)되도록 하기 위해 클램프(500)를 양측으로 일정각씩 반복 회전시켜주는 위빙장치(300)와, 용접봉(T)의 작업위치를 설정해주기 위해 위빙장치(300)를 위치이동 및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위치설정장치(200)와, 용접봉(T)이 용접선상에서 이동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된 모든장치를 탑제하고 이동되도록 하는 이동장치(100) 및 이동장치(100)의 내부에 내장되어 이동장치(100)가 용접선상에 부착되도록 하는 부착장치(400)로 이루어진다.
상기 이동장치(100)는 진행되는 방향의 전단측으로 용접작업의 끝단부분임을 감지하도록 한 리미트스위치(102)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이동장치(100)는 그 상면에 설치된 장치물을 보호하도록 하는 커버를 포함한다.
이하에서 기재될 전, 후, 좌, 우는 이해의 편이를 돕기위해 상기된 이동장치(100)상에서 리미트스위치(102)가 위치된 끝단을 전단으로 하여 기술할 것임을 밝혀둔다.
도 3은 이동장치의 내부 구성과 이동장치내에서 부착장치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여기서, 몸체(101)는 전체를 일점쇄선도로써, 그 내부가 투과되어 보이는 것임을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이동장치(100)는 몸체(101)의 전, 후단부의 소정위치에서 좌, 우를 관통하여 차축(120, 130)이 각각 평행하게 장착되고, 전단측의 차축(120) 상부에 해당되는 몸체(101)의 상면에는 동력발생수단으로 모터(110)가 장착되며, 상기 모터(110)와 차축(120)은 동력전달부재인 베벨기어(111, 121)로 상호 기어결합된다.
상기 몸체(101)의 좌, 우측 중 어느 한측의 내면에는 차축(120)이 상호 연결되는 선상보다 대략 상측에 스프로킷(140)이 지지축(144)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스프로킷(140)을 기준으로 전, 후방의 연장선상에 위치된 차축(120, 130)의 부분에는 각각 스프로킷(141, 142)이 장착되어 이들 스프로킷(140, 141, 142)은 체인(143)에 의해 결속된다.
상기 부착장치(400)는 차축(120, 130)의 사이에서 몸체(101)의 내부 바닥면에 저면이 근접되도록 구비된 마그네트받침대(430)에 마그네트(440)가 장착되며, 상기 마그네트받침대(430)의 전단하부에는 좌, 우를 관통하여 힌지축(401)이 장착되고, 이 힌지축(401)의 일단은 마그네트받침대(430)의 일측에 근접되도록 몸체(101)의 바닥면에 고정된 지지판(420)에 관통설치되고, 타측은 지지판(420)과 마그네트받침대(430)를 사이에 두고 대향되는 몸체(101)의 면을 관통하여 레버(410)의 끝단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 마그네트받침대(430)의 후단 상면에는 연장편(431)이 형성되고, 연장편(431)을 관통하여, 일 끝단이 힌지축(401)에 의해 관통된 몸체(101)의 면을 관통하여 레버(410)와 결합되는 지지축(402)이 장착되며, 지지축(402)에 의해 관통된 몸체(101)의 부분에는 일정한 곡률을 갖는 장공(104)이 형성된다.
상기 마그네트(440)는 일반적인 자연석의 것이어도 무방하며, 제작된 전자석이어도 무방하며, 전자석이 사용될 경우에는 도면에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자계의 단속을 위해 전기장치가 구비되는 것임은 당연하다. 여기서, 상기 전자석의 것일 경우에는 마그네트(440)를 유동시키기 위한 구성은 필요치 않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용접장치의 위치설정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위치설정장치의 각 구성물들을 결합한 상태의 일 측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위치설정장치(200)는 도 1에 나타난 것과 같이 몸체(101)의 후단부 상면에 장착되는 것으로써, 몸체(101)와 결합되는 지지대(201)를 내부에 간섭시킨 제 1 하우징(210)과, 제 1 하우징(210)의 상면에 장착되는 제 2 하우징(220)과, 제 2 하우징(220)의 전방으로 설치되는 한쌍의 결합구(240)와, 일측의 결합구(240)에 장착되어 위빙장치(300)와 결합되도록 하기 위한 클램프(250)로 이루어진 기본 구성을 갖는다.
상기 제 1 하우징(210)는 내부의 좌, 우를 가로지르며 한쌍의 가이더(211)가 장착되고, 가이더(211)의 사이에서 가이더(211)와 평행하게 이동력전달수단인 작동나사(212)가 장착되어 그 일 끝단이 하우징(210)의 외부로 돌출되고, 상기 지지대(201)가 가이더(211)에는 슬라이드 가능하게, 그리고 작동나사(212)와는 나사결합되며, 작동나사(212)의 돌출된 끝단에 노브(213)가 결합된다.
상기 제 2 하우징(220)에는 내부의 상, 하를 가로지르며 한쌍의 가이더(221)가 장착되고, 가이더(221)의 사이에서 가이더(221)와 평행하게 작동나사(222)가 장착되어 그 일 끝단이 하우징(220)의 상측으로 돌출되고, 돌출된 끝단에 노브(223)가 결합되며, 상기 가이더(221)에는 슬라이드 가능하게, 그리고 작동나사(222)와는 나사결합되며 소정위치에 전방으로 돌출대(231)가 돌출형성된 설치대(230)가 구비된다.
상기 한쌍의 결합구(240)는 좌, 우측을 관통하여 그 끝단이 너트(242)와 나사결합된 연결봉(243)에 의해 일체와되고, 일측의 결합구(240)는 돌출대(231)와 결합되며, 타측의 결합구(240)는 클램프(250)와 결합된다.
상기 클램프(250)는 위빙장치(300)의 일끝단 상면에 형성된 돌출대(302)와 결합되어 위빙장치(300)에 고정력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결합구(240)와 클램프(250)는 각각 설치될 대상물에 대응되는 결합공(241, 251)을 가지며, 각 결합공(241, 251)은 그 내면에서 부터 외면까지 트여지게 되어 결합구(240)는 연결봉(243)과 너트(242)에 의해, 클램프(250)는 볼트(252)에 의해 트여진 부분의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결합된 대상물을 결합 및 이탈시킬 수 있도록 한다.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용접장치의 위빙장치와 클램프의 내부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일 측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에 나타난 구성중 일부의 중요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8은 구성의 이해를 돕기위해 작동되는 주요구성부분을 입체적으로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위빙장치(300)는 도 1과 도 4에서와 같이 위치설정장치(200)의 클램프(250)에 하우징(301)의 상측으로 돌출된 돌출대(302)가 결합되는 것으로써, 하우징(301)의 내부 일측에 고정설치된 동력발생수단인 모터(311)와, 상기 모터(311)의 동력을 인가받아 전달시켜주기 위한 동력전달부(310)와, 동력전달부(310)의 동력을 전달받아 클램프(500)와 클램프(500)에 의해 위치고정된 용접봉(T)을 위빙시켜주기 위한 위빙작동부(320)와, 위빙작동부(320)의 위빙구간을 조절하기 위한 유동중심부(330)로 이루어진다.
상기 동력전달부(310)는 모터(311)에 장착된 워엄(311a)과 기어결합되는 휠부(312)가 하단에 형성되고 그 상측으로 워엄(313)이 형성되며 하우징(301)에 일단이 지지되며 돌출된 축(315)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2단기어(314)와, 상기 2단기어(314)의 워엄(313)과 기어결합되는 휠기어(316)가 소정위치에 장착되는 캠축(317)과, 캠축(317)의 일 끝단에 장착되며 캠축(317)의 자전중심선상에서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장착되어 자전가능하게 구비된 캠돌기(319)를 포함하는 캠부재(318)로 이루어진다.
상기 위빙작동부(320)는 상기 캠돌기(319)와 대응결합되는 캠홈(322)을 갖는 가동레버(321)와, 상기 가동레버(321)의 캠홈(322)이 형성된 끝단의 반대측 끝단에 그 끝단이 힌지축(325)에 의해 힌지결합되는 피동레버(324)로 이루어지며, 가동레버(321)와 힌지결합된 끝단과 반대쪽의 끝단에 클램프(500)가 지지되기 위해 결합되는 회전부재(326)를 포함한다.
상기 유동중심부(330)는 가동레버(321)의 저면에 일정구간 형성된 안내홈(323)에 자전가능한 중심부재(333)가 장착되고, 중심부재(333)는 하우징(301)에서 돌출형성된 레일(335)에 안내되어 유동되는 가이더(331) 상에 형성된 지지축(332)에 결합되며, 가이더(331)는 나사봉(334)에 관통되고, 나사봉(334)의 일 끝단은 하우징(301)에 지지되며 하우징(301)의 외부로 돌출되어 돌출된 부분은 노브(336)와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구성물중 모터(311)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물품은 각각 베어링을 포함하여 작동이 원할하게 수행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에 나타난 클램프(500)는 위빙작동부(300)의 피동레버(324)에 포함된 회전부재(326)와 결합되는 고정편(510)과, 이 고정편(510)의 일측에 힌지결합되어 고정편(510)에 대해 일정각도 회전되는 유동편(520)과, 고정편(510)이 유동편(520)과 힌지결합된 일측과 반대측에 일정각도 회전되도록 힌지결합되어서, 이와 대응되는 유동편(520)의 부분을 관통하여 잠금너트(522)와 기어결합되는 잠금볼트(513)로 이루어지며, 유동편(520)과 고정편(510)의 대향된 면에는 용접봉(T)이 장착되도록 한 장착홈(511, 512)이 각각 형성된다.
도 1 및 도 2에서 미설명된 부호 150은 바퀴이고, 103는 리미트스위치의 감지부분이 되는 감지구이며, 도 4 및 도 8에서 미설명된 부호 214, 224, 327, 337은 각 결합물의 고정력을 제공하기 위한 세트스크류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용접장치의 작동상태 및 이때 발생되는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수직된 용접작업부위를 갖는 금속재의 작업대상물(M)에 용접작업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우선 용접봉(T)을 클램프(500)에 장착시켜야 하는데 이를 설명하면, 클램프(500)의 유동편(520)을 고정편(510)과의 힌지결합부분을 기준으로 회전시켜 용접봉(T)을 장착홈(511)의 사이에 위치시키고, 유동편(520)을 고정편(510)측으로 회전시킨 다음 잠금너트(522)를 조여 유동편(520)과 고정편(510)의 장착홈(511)이 용접봉(T)의 외면에 밀착되어 지지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용접봉(T)의 장착이 완료되면, 용접장치를 수직된 용접작업면을 갖는 작업대상물(M)에 부착시키고, 이동장치(100)의 모터(110)와 위빙장치(300)의 모터(311)를 구동시켜 이동장치(100)가 용접작업구간을 진행하는 동안 용접봉(T)이 위빙되며 작업부분을 용접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용접장치가 작동될 때, 용접장치를 구성하는 각 장치의 작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이동장치(100)는 모터(110)가 구동됨으로 인해 이와 베벨기어(111, 121)로 기어결합된 차축(120)은 모터(11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고, 차축(120)이 회전됨으로 인해 차축(120)의 양단에 결합된 바퀴(150)가 회전되며, 일측의 차축(120)이 회전됨에 의해 이와 스프로킷(140, 141, 142) 및 체인(143)으로 연결된 타측의 차축(130)도 회전되어 4륜구동의 방식이 된다.
상기 4륜구동의 방식은 용접장치의 무게에 대해 안정적인 이동력을 갖도록 하는 것이며, 이동장치(100)의 이동에 무리가 없다면 스프로킷(140, 141, 142)이나 체인(143)을 연결시키지 않고 2륜구동의 방식을 취해도 무방하다.
상기 이동장치(100)가 작업대상물(M)에 부착될 수 있도록 하는 작용은 부착장치(400)의 작용에 의하게 되는데, 도 9를 참조하여 이를 설명하면, 부착장치(400)는 이동장치(100)의 하우징(101) 바닥면에서 자계를 발생시켜 작업대상물(M)과 이동장치(100)가 부착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자계의 발생은 마그네트(440)가 수행하게 되는 데, 마그네트(440)가 전기적인 장치에 의하는 전자석일 경우, 전기의 공급 및 차단에 의해 자계발생을 단속하게 된다.
상기 마그네트(440)가 자연석의 것일 경우에는 작업자가 레버(410)를 일점쇄선도의 상태와 같이 회전시켜 마그네트받침대(430)가 힌지축(401)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되도록 하면, 마그네트받침대(430)에 장착된 마그네트(440)가 작업대상물(M)에서 멀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마그네트(440)에서 발생되는 자계는 작업대상물(M)에 그 영향을 끼치지 않거나, 끼친다 하더라도 미미하게 작용되어 작업자가 이동장치(100)를 작업대상물(M)상에서 이탈시킬 수 있게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위치설정장치(200)의 작동은 제 1 및 제 2 하우징(210, 220)의 노브(213, 223)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써, 제 1 하우징(210)의 노브(213)를 회전시키게 되면, 이와 결합된 작동나사(212)도 자전되고 작동나사(212)가 자전됨에 의해 작동나사(212)와 나사결합된 지지대(201)가 유동되어야 하지만 지지대(201)는 이동장치(100)에 고정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그 반작용으로 제 1 하우징(210)이 도면의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유동된다.
상기와 같이 제 1 하우징(210)이 유동되면, 이와 결합된 제 2 하우징(220)과 위빙장치(300)는 함께 유동되며, 제 2 하우징(220)의 노브(223)를 회전시키면, 이와 결합된 작동나사(222)가 자전되며 작동나사(222)가 자전됨에 의해 작동나사(222)와 나사결합된 설치대(230)가 가이더(221)에 안내되어 상측 또는 하측으로 유동된다.
상기와 같이 설치대(230)가 유동되면, 설치대(230)의 전방에 설치된 위빙장치(300)가 상측 또는 하측으로 유동되며, 결국 제 1 하우징(210)의 유동으로 위빙장치(300)에 결합된 용접봉(T)의 좌, 우측의 위치를 설정하게 되며, 제 2 하우징(220)의 설치대(230)가 유동됨으로 인해 용접봉(T)의 상, 하측의 위치를 설정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위빙장치(300)의 작동상태 및 작용을 설명하면, 모터(311)에 전원이 인가되어 모터(311)가 구동되면, 모터(311)와는 다수의 기어(311a, 314, 316)로 연결된 캠축(317)이 회전되고, 캠축(317)과 결합된 캠부재(318)도 따라서 회전된다.
상기 캠부재(318)가 회전되면, 도 7에 일점쇄선도로 나타낸 것과 같이 캠부재(318)의 일측에 장착된 캠돌기(319)는 캠축(317)의 중심에서 소정거리 이격되어 원형의 궤적을 그리며 회전되고, 캠돌기(319)와 결합된 가동레버(321)가 소정의 각도로 왕복회전된다.
상기 가동레버(321)가 왕복회전되는 중심은 유동중심부(330)의 중심부재(333)가 회전되는 회전중심이 되며, 가동레버(321)의 끝단과 힌지결합된 피동레버(324)도 도 10에 나타낸 것과 같이 가동레버(321)의 왕복회전궤적에 대응하여 소정각도로 왕복회전된다.
상기 피동레버(324)가 왕복회전되는 중심은 하우징(301)의 내, 외면을 관통하여 자전가능하게 구비된 회전부재(326)의 회전중심이 되는 것이며, 이 회전부재(326)가 소정의 각도로 왕복자전하여 클램프(500) 및 클램프(500)에 장착된 용접봉(T)도 회전부재(326)의 회전궤적에 대응되어 유동된다.
위에서와 같이 작동되는 위빙장치(300)중 유동중심부(330)는 도 6에 나타낸 것과 같이 노브(336)를 회전시켜 가이더(331)가 나사봉(334)의 나사산에 밀려지도록 하여 레일(335)에 안내되어 유동되도록 하면, 가동레버(321)의 안내홈(323)에서 가이더(331)의 이동과 동일하게 중심부재(333)가 이동되어 가동레버(321)가 소정의 간격으로 회전되는 중심이 변화될 수 있도록 하므로써, 왕복회전되는 폭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11은 상기의 위빙장치(300)에 의해 용접봉(T)의 토출구가 위빙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전술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용접장치는 수직면 뿐만 아니라 수평면에서도 상기와 동일한 작동상태로 용접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이 때, 부착장치(400)는 이동장치(100)가 작업대상물(M)에 보다 견고한 결합력을 가지며 놓여지도록 한다.
또한, 상기 위빙장치(300)를 제거하고 위치설정장치(200)의 클램프(250)에 용접봉(T)을 장착시켜 이동 용접작업을 수행해도 무방하며, 클램프(250)까지 제거한다면, 클램프(250)가 결합되던 결합구(240)를 연결봉(243)을 중심으로 하여 전방상측의 적정한 각도로 회전시켜 결합구(240)에 용접봉(T)을 장착시킴으로써 용접작업에 필요한 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용접봉(T)의 위빙작동은 수행되지 못하며, 이 작업은 작업대상물(M)의 용접되기 위한 슬롯(slot)이 좁을 경우에 많이 수행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것과 같이 본 고안은, 주변의 특별한 가이드 장비가 없이도 수직면을 오르내리며 작업할 수 있도록 하여 가이드 장비의 설치에 따른 비용, 시간, 인력의 낭비를 해소시키고, 수평용접작업에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의 호환성이 높아지므로써 제품을 구입한 소비자의 신뢰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4)

  1. 용접봉이 정위치에 고정되도록 하는 수단을 가지며, 상기 수단을 작업대상물의 용접작업선을 따라 이동시켜 용접봉이 이동되도록 하여 용접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용접장치에 있어서,
    상기 용접봉이 작업선상에서 이동되도록 하기 위한 이동장치;
    상기 이동장치의 일끝단 상면에 장착되어 용접봉의 상,하,좌,우의 위치를 설정해주기 위한 위치설정장치;
    상기 위치설정장치와 용접봉의 사이에 간섭되도록 설치되고, 용접봉을 장착시킬수 있는 클램프를 일측에 포함하며, 상기 클램프가 용접선상에서 좌,우로 반복회전되도록 함으로써 용접봉이 위빙되도록 한 위빙장치;
    상기 이동수단의 내부에 설치되며, 자계를 발생시켜 이동수단이 작업대상물에 이동가능하게 부착되도록 한 부착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면 이동 용접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장치는
    이동장치의 몸체 일측방에 구비된 레버;
    상기 레버에서 몸체측으로 소정거리 이격되어 몸체 내부의 바닥면에 고정설치되고, 레버의 끝단에 일 끝단이 지지되어 하우징을 관통한 힌지축의 타측 끝단을 지지하도록 한 지지판;
    상기 이동장치 몸체의 내부에서 힌지축에 의해 양면이 관통되며, 일 끝단은 레버에 그리고 타측 끝단은 몸체상에서 소정의 곡률을 갖도록 형성된 장공을 관통하여 힌지축과 대략 평행하게 구비된 지지축의 상기 타측 끝단과 결합되고, 내부에 마그네틱이 장착되도록 한 마그네틱받침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면 이동 용접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장치는
    진행되는 방향을 전방으로 하여 전, 후단부의 소정위치에서 좌, 우를 관통하여 차축이 각각 평행하게 장착된 몸체;
    전단측의 차축 상부에 해당되는 상기 몸체의 상면에 장착된 동력발생수단;
    상기 동력발생수단의 동력이 차축에 전달되도록 하기 위해 동력발생수단과 차축에 각각 장착된 동력전달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면 이동 용접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설정장치는
    상기 몸체와 결합되는 지지대를 내부에 간섭시키고, 내부의 좌, 우를 가로지르며 한쌍의 가이더가 장착되며, 가이더의 사이에서 가이더와 평행하게 이동력전달수단인 작동나사가 장착되어 그 일 끝단이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되고, 상기 지지대가 가이더에는 슬라이드 가능하게, 작동나사와는 나사결합되며, 작동나사의 돌출된 끝단에 노브가 결합된 제 1 하우징;
    상기 제 1 하우징의 상면에 장착되며, 내부의 상, 하를 가로지르며 한쌍의 가이더가 장착되고, 가이더의 사이에서 가이더와 평행하게 작동나사가 장착되어 그 일 끝단이 하우징의 상측으로 돌출되고, 돌출된 끝단에 노브가 결합되며, 상기 가이더에는 슬라이드 가능하게, 작동나사와는 나사결합되며, 소정위치에 전방으로 돌출대가 돌출형성된 설치대가 구비된 제 2 하우징;
    상기 설치대의 전방으로 한쌍이 구비되어 연결봉이 좌, 우를 관통하여 결합되어 일체화되고, 일측의 것은 설치대의 돌출대와 결합되며, 타측의 것에는 위빙장치가 결합되도록 하기 위한 클램프가 결합된 결합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면 이동 용접장치.
KR2019980023835U 1998-12-02 1998-12-02 수직면이동용접장치 KR20024975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3835U KR200249754Y1 (ko) 1998-12-02 1998-12-02 수직면이동용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3835U KR200249754Y1 (ko) 1998-12-02 1998-12-02 수직면이동용접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1404U KR20000011404U (ko) 2000-07-05
KR200249754Y1 true KR200249754Y1 (ko) 2001-12-17

Family

ID=695096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3835U KR200249754Y1 (ko) 1998-12-02 1998-12-02 수직면이동용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975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6807B1 (ko) 2016-06-20 2018-03-0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산업용 이송 캐리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8831B1 (ko) * 2007-07-03 2009-05-22 주식회사 덕천 자동용접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6807B1 (ko) 2016-06-20 2018-03-0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산업용 이송 캐리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1404U (ko) 2000-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4960B1 (ko) 강관 연결 시공용 포터블 타입 티그(tig) 자동용접장치
WO2018153164A1 (zh) 千斤顶揿手自动焊接装置
KR101880883B1 (ko) 용접부재용 가변 지지장치
KR100893874B1 (ko) 수평위빙 구동장치를 갖는 강관 티그(tig) 자동용접장치
KR200249754Y1 (ko) 수직면이동용접장치
KR200456283Y1 (ko) 자동이송 용접장치의 용접토치 홀딩장치
WO2013002068A1 (ja) トーチ調整装置
US2777937A (en) Welding apparatus
WO1985003658A1 (en) Welding carriage
CN109396604A (zh) 一种双工位弧焊工作站
US3473001A (en) Welding machine carriage and track assembly
KR100264686B1 (ko) 가공 대차
KR20000011405U (ko) 회전용접장치
CN211162568U (zh) 一种管类自动焊接装置
KR20130051215A (ko) 무레일 용접장치
KR102003490B1 (ko) 용접 캐리지
KR101233309B1 (ko) 용접 캐리지
KR200288996Y1 (ko) 원둘레석 가공장치
CN215200605U (zh) 一种全位置磁力爬行焊接打磨装置
KR102388574B1 (ko) 터닝 컨베이어장치
CN219582006U (zh) 一种无轨道磁力吸附焊接小车
CN220921332U (zh) 一种用于分体式剪切焊接设备的被动端防护罩
CN217291617U (zh) 一种化工钢管外圆面修磨装置
CN215789985U (zh) 一种装配式拖链型生产机器人
CN219665494U (zh) 一种电气柜焊接防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27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