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9747Y1 - 단체급수용음수공급장치 - Google Patents

단체급수용음수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9747Y1
KR200249747Y1 KR2019980014378U KR19980014378U KR200249747Y1 KR 200249747 Y1 KR200249747 Y1 KR 200249747Y1 KR 2019980014378 U KR2019980014378 U KR 2019980014378U KR 19980014378 U KR19980014378 U KR 19980014378U KR 200249747 Y1 KR200249747 Y1 KR 20024974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drinking
storage tank
case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43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59685U (ko
Inventor
박종주
Original Assignee
박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주 filed Critical 박종주
Priority to KR20199800143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9747Y1/ko
Publication of KR1998005968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968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97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9747Y1/ko

Links

Landscapes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단체급수용 음수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단체급수용 음수대의 저수탱크와 원수 사이에 정수장치를 설치하여 저수탱크에 저수되는 원수에 포함된 잡균, 잔류 염소 및 악취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무색 ·무미 ·무취의 깨끗하고 정수된 음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구성되는 본 고안은 저수탱크에 저수된 음수가 빠져나가는 주관로, 주관로와 연결되어 음수대 케이스의 내측에 횡방향으로 설치된 분배관로 및 분배관로의 적정위치에 연결되어 음수대 케이스의 외측으로 연장설치된 다수의 취수관로로 이루어진 급수관로; 저수탱크의 하부 일측에 설치되어 저수탱크를 세척할 때 발생되는 세척물을 외부로 배수시키는 세척관로; 음수대 케이스의 하부로 설치되어 취수꼭지가 위치된 취수부로 부터 버려지는 물을 배수하는 배수관로; 음수대 케이스 일측 적소에 설치되어 원수로부터 저수탱크로 유입되는 원수에 포함된 염소 성분, 유기물 및 잡균을 제거하여 원수를 정수하는 다수의 정수필터; 주관로의 적소에 설치되어 저수탱크로부터 빠져 나오는 물을 냉 · 온수화시키는 냉 ·온수기; 및 주관로의 적소에 설치되어 냉 · 온수기에 의해 냉 · 온수화된 물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잡균을 살균하는 살균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단체급수용 음수 공급장치
본 고안은 단체급수용 음수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단체 급수를 필요로 하는 학교나 공장 내의 식당 및 기타 급수 장소에 설치되는 음수대에 정수장치를 설치하여 보다 정수되고 깨끗한 음수의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단체급수용 음수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학교나 공장과 같이 많은 인원이 생활하는 공동 집합체의 식당내에는 다수의 단체급수용 음수대가 설치되어 일시에 많은 인원에게 음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전수환 바와 같은 종래의 단체급수용 음수대의 구성을 살펴보면, 일정 크기의 음수대 케이스, 음수대 케이스의 상부 내측에 원수(原水)를 저장하는 저수탱크, 저수탱크로부터 음수대 케이스의 외측으로 연결된 급수관로 및 급수관로에 설치되어 저수탱크에 저수된 음수를 받아 마실 수 있도록 하는 취수꼭지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구성에서 음수대 케이스는 상단, 중단 및 하단 케이스가 일체로 이루어진 것으로, 상단 케이스 내측에는 저수탱크가 설치되고, 중단 케이스의 내 · 외측에는 급수관로와 취수꼭지가 설치되며, 하단 케이스는 그 내부가 공간으로 이루어져 컵 등을 보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저수탱크는 음수대의 상단 케이스 내측에 설치되고, 원수(原水)측과 관로를 통해 연결되어 저수탱크의 수위가 낮아지면 원수로부터 음수가 보충되도록 되어 있다.
전술한 급수관로는 저수탱크에 저수된 음수의 유로로서, 급수관로를 흐르는 음수는 저수탱크에 저수된 음수의 자연 하중에 의해 흐르게 된다.
그리고, 취수꼭지는 저수탱크에 저수된 음수를 받아 마실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음수대의 중단 케이스 외측으로 나온 각각의 급수관로 끝단에 설치된다. 한편, 취수꼭지에는 레버가 설치되어 있어 음수를 필요한 만큼만 받아 마실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단체급수용 음수대에서 취수꼭지의 레버를 젖히면 저수탱크에 저수된 음수가 자연 하중에 의해 급수관로를 통해 취수꼭지로 흘러나오게 된다. 한편, 단체급수용 음수대는 설치시 식수 용량과 사용 인원 등에 알맞게 다수개 설치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단체급수용 음수대는 원수로 수돗물을 연결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염소 성분이 함유된 수도물을 그대로 마실 수밖에 없다. 대부분이 염소 성분의 냄새를 싫어하기 때문에 수돗물 그대로를 마시는 것을 꺼려한다. 따라서, 단체급수용 음수대를 설치하는 그 취지가 무색하게 된다.
또한, 종래의 단체급수용 음수대는 수돗물에 함유된 유기물 등을 걸러 낼 수 있는 장치가 없기 때문에 수돗물은 정수되지 않은 상태로 단체급수용 음수대의 저수탱크에 저수된다. 특히, 단체급수용 음수대의 저수탱크에 저수된 물은 많은 인원이 마시기 때문에 정수된 깨끗한 물이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그렇지를 못하다.
한편, 종래 단체급수용 음수대의 저수탱크를 자주 청소하지 않는 경우에 각종 잡균에 오염된 물을 마시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단체급수용 음수대의 저수탱크와 원수 사이에 정수장치를 설치하여 저수탱크에 저수되는 원수에 포함된 잡균, 잔류 염소 및 악취를 제거할 수 함으로써 무색 · 무미 · 무취의 깨끗하고 정수된 음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한 단체급수용 음수 공급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단체급수용 음수대의 일측에 냉 · 온장치를 설치하여 계절에 알맞은 온도의 음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단체급수용 음수대의 일측에 살균장치를 설치하여 멸균된 상태의 음수가 공급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구성되는 본 고안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즉, 일정 크기의 음수대 케이스, 음수대 케이스의 상부측에 설치되어 원수로부터 유입 되는 물을 저수하는 일정 용량의 저수탱크, 저수탱크에 저수된 상기 음수의 급수통로인 급수관로 및 급수관로에 연결되어 상기 음수의 토출량을 조절하는 취수꼭지로 이루어진 단체급수용 음수 공급장치에 있어서, 급수관로는 저수탱크에 저수된 음수가 빠져나가는 주관로, 주관로와 연결되어 음수대 케이스의 내측에 횡방향으로 설치된 분배관로 및 분배관로의 적정위치에 연결되어 음수대 케이스의 외측으로 연장설치된 다수의 취수관로로 이루어지고, 저수탱크의 하부 일측에 설치되어 저수탱크를 세척할 때 발생되는 세척물을 외부로 배수시키는 세척관로; 음수대 케이스의 하부로 설치되어 취수꼭지가 위치된 취수부로부터 버려지는 물을 배수하는 배수관로; 음수대 케이스 일측 적소에 설치되어 원수로부터 저수탱크로 유입되는 원수에 포함된 염소 성분, 유기물 및 잡균을 제거하여 원수를 정수하는 다수의 정수필터; 주관로의 적소에 설치되어 저수탱크로부터 빠져나오는 물을 냉 · 온수화시키는 냉 · 온수기; 및 주관로의 적소에 설치되어 냉 · 온수기에 의해 냉 · 온수화된 물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잡균을 살균하는 살균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단체급수용 음수대를 보인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단체급수용 음수대를 보인 정면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단체급수용 음수대를 보인 측면도.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단체급수용 음수대의 취수 개요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음수대 케이스 12 : 상단 케이스
14 : 중단 케이스 16 : 하단 케이스
20 : 저수탱크 31 : 원수측 관로
32 : 주관로 33 : 분배관로
34 : 취수관로 35 : 세척관로
36 : 배수관로 40 : 취수꼭지
50 : 정수필터 60 : 살균기
70 : 냉 · 온수기 100 : 원수부
110 : 정수필터부 120 : 저수탱크부
130 : 냉 ·온수기부 140 : 살균기부
근래 들어 환경오염이 심화되고 있는 가운데 수돗물의 오염이 커다란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수돗물의 악취 문제는 수돗물의 원수인 호소나 하천의 부영양화 현상에 의한 수질 악화가 예상 이상으로 진행되었기 때문인 바,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각 정수장에서는 매년 분말활성탄을 투입하여 곰팡이 냄새의 원인 물질을 제거하고 있다.
근년에는 또한 암모니아성 질소 농도도 문제로 되고 있으며, 건강에 커다란 악영향을 끼친다고 추정되는 트리할로메탄(tri-halo methane)이 정수 과정에서 사용되는 염소 가스와 반응하여 발생하는 것이 명확해지는 등, 수돗물의 안전성이 일반 소비자로부터 악취 이상의 불안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이러한 점을 착안하여 위생상 안전하게 취수할 수 있도록 본 고안을 구성하였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른 단체급수용 음수 공급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단체급수용 음수대를 보인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단체급수용 음수대를 보인 정면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단체급수용 음수대를 보인 측면도이다.
제1도 내지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단체급수용 음수대는 크게 일정 크기의 음수대 케이스(10), 음수를 저장하는 저수탱크(20), 저수탱크(20)에 저수된 음수가 흐르는 급수관로, 급수관로에 연결되어 토출되는 음수의 양을 조절하는 취수꼭지(40) 및 원수로부터 저수탱크(20)로 유입되는 수돗물을 정수하는 정수필터(50)로 나눌 수 있다.
전술한 음수대 케이스(10)는 그 내부에 저수탱크(20), 급수관로 및 정수필터(50)를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 음수대 케이스(10)는 상단 케이스(12), 중단케이스(14) 및 하단 케이스(16)로 이루어진다.
음수대 케이스(10)의 상단 케이스(12) 내측에는 저수탱크(20)와 정수필터(50)가 설치되고, 중단 케이스(14) 측에는 후술할 분배관로(33) 및 취수관로(34)가 설치되며, 하단 케이스(16)에는 컵 등을 보관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이 구비된다.
한편, 저수탱크(20)는 원수(原水)를 저수하는 일정 크기의 용기로서, 이 저수탱크(20)는 음수대 케이스(10)의 상단 케이스(12) 내측에 설치되어 원수와 관로를 통해 연결된다. 이처럼 원수와 관로로 연결된 저수탱크(20)에는 그 내부에 저수된 음수의 수위가 일정 이하로 낮아지게 되면 원수로부터 음수가 보충되도록 되어 있다.
저수탱크(20)의 저수용량은 약 100 리터 정도로 1인 200cc를 취수 기준으로 했을 때 순간취수인원은 약 500명 정도이다.
전술한 구성의 급수관로는 음수의 유로로서, 이 급수관로에는 원수로부터 저수탱크(20)에 연결된 원수측 관로(31), 저수탱크(20)의 하부측에 연결되어 저수탱크(20)에 저수된 음수가 빠져나가는 주관로(32), 주관로(32)와 연결되어 음수대 케이스(10)의 중단 케이스(14) 내측에 횡방향으로 설치된 분배관로(33), 분배관로(33)의 적정 위치에 연결되어 중단 케이스(14)의 외측으로 연장 설치된 다수의 취수관로(34), 저수탱크(20)의 하부 일측에 연결되어 하향 설치된 세척관로(35) 및 취수꼭지(40)가 위치된 취수부(18)에 버려진 물을 배수하는 배수관로(36)로 이루어진다.
이처럼 설치된 급수관로에서의 물의 흐름을 살펴보면, 먼저 원수인 수돗물은 원수측 관로(31)를 통해 저수탱크(20)로 유입되어 저수된다. 저수탱크(20)에 저수된 음수는 자연 하중에 의해 주관로(32)를 흘러 분배관로(33)로 유입되고, 분배관로(33)로 유입된 음수는 각각의 취수관로(34)로 유입되어 취수꼭지(40)를 통해 토출된다.
한편, 세척관로(35)는 저수탱크(20)를 세척할 때 발생되는 세척물을 외부로 배수시키기 위한 것이고, 배수관로(36)는 취수부(18)의 하부측으로 설치되어 취수부(18)에 버려진 물을 하수구로 배수시키는 역할을 한다.
취수꼭지(40)는 음수의 토출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이 취수꼭지(40)는 각각의 취수관로(34)에 하나씩 설치된다. 취수꼭지(40)에는 레버(42)가 구비되어 있고, 이 레버(42)를 통해 음수의 토출을 조절하게 된다.
전술한 구성에서 정수필터(50)는 원수인 수돗물로부터 염소 성분이나 유기물 및 수돗물 속에 포함된 잡균을 제거할 목적으로 설치된 것으로서, 이 정수필터(50)는 원수와 저수탱크(20) 사이에 설치되어 원수가 정수필터(50)를 통해 정수된 후 저수탱크(20)에 저수되도록 한다.
즉, 음수대 케이스(10)의 상단 레이스(12) 일측에 정수필터(50) 설치하되 원수가 정수필터(50)를 통해 정수된 후 저수탱크(20)로 유입될 수 있도록 원수와 저수탱크(20) 사이의 설치된다. 따라서, 원수측 관로(31)는 정수필터(50)의 일측으로 연결된다.
정수필터는 대부분이 활성탄과 각종 필터를 조합하여 만들어지고 있는데, 이 중에서 활성탄은 수돗물 속에 포함된 잔류 염소나 유기물 등을 흡착 · 여과하고, 필터는 활성탄에 의해 제거되지 않은 잡균을 여과한다. 이러한 정수필터(50)는 역삼투압식이나 중공사막식 어느 것이나 사용이 가능하며, 이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설치 가능하다.
이처럼 정수필터(50)에 의해 염소성분과 유기물 및 잡균이 제거된 상태의 음수는 무색 · 무미 · 무취의 물로서 음수자에게 공급된다.
한편, 음수대 케이스(10)의 상부측에 설치되는 정수필터는 저수탱크(20)를 사이에 두고 양측에 각각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두 곳에 설치된 정수필터(50)는 두 개의 원수로부터 물을 공급받을 수 있음은 물론, 정수용량 또한 한 곳에 설치할 때 보다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단체급수용 음수 공급장치를 정리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즉, 일정 크기의 음수대 케이스(10), 음수대 케이스(10)의 상부측에 설치되어 원수로부터 유입되는 음수를 저수하는 일정 용량의 저수탱크(20), 저수탱크(20)에 저수된 음수의 급수 통로인 급수관로, 급수관로에 연결되어 음수의 토출량을 조절하는 취수꼭지(40) 및 음수대 케이스(10) 일측 적소에 설치되어 원수로부터 저수탱크(20)로 유입되는 물에 포함된 염소 성분, 유기물 및 잡균을 제거하여 물을 정수하는 정수펄터(50)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한 단체급수용 음수대는 1일 정수용량이 800 리터, 저수탱크용량이 약 100 리터, 1인 1회 취수용량을 200cc로 했을 때 순간취수인원은 약500으로, 단체급수용 음수대 1대로 최대 급수할 수 있는 능력은 1일 4,000명 정도이다.
제1도 및 제2도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단체급수용 음수 공급장치에서 음수대 케이스(10)의 상부 내측 중간 부분에는 원수로부터 유입되는 수돗물을 저수하는 저수탱크(20)가 설치되고, 저수탱크(20)의 양측에 정수필터(50)가 설치되어 원수측으로부터 저수탱크(20)로 유입되는 수돗물을 정수하게 된다.
한편,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수되어 저수탱크(20)에 저수된 음수는 급수관로 즉, 주관로(32), 분배관로(33), 취수관로(34)를 거쳐 취수꼭지(40)를 통해 토출된다.
취수부(18)로 버려진 물은 배수관로(35)를 통해 하수구로 배수되고, 저수탱크(20)를 세척할 때 발생되는 세척수는 세척관로(35)를 통해 하수시설로 배수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단체급수용 음수대에는 살균기(60)가 더 설치되어 정수필터(50)에 의해 제거되지 않은 잡균을 한 번 더 살균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의 살균기(60)는 저수탱크(20)와 분배관로(33)를 연결하는 주관로(32)에 설치되어 주관로(32)를 흐르는 음수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살균시킨다. 즉, 살균기(60)는 주관로(32)를 일부분에 흐르는 음수가 보일 수 있도록 연결한 유리관과 유리관을 통해 자외선을 조사할 수 있는 조명장치로 이루어진다.
이처럼 주관로(32)에 설치된 살균기(60)에 의해 주관로(32)를 통과한 음수는 미세한 잡균까지 살균되어 취수자에게 공급된다.
한편, 단체급수용 음수대에는 냉 · 온수기(70)가 더 설치되어 저수탱크(20)로 부터 빠져나오는 물을 계절에 맞도록 냉수 또는 온수화시킨다.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단체급수용 음수대의 취수 개요도이다.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단체급수용 음수대에는 계절에 알맞은 음수를 제공할 수 있도록 저수탱크부(120)에 저수된 음수를 냉 · 온수화시키는 냉 · 온수기부(130)가 구비된다.
즉, 저수탱크부(120)를 가열하거나 저온화시켜 저수탱크부(120) 내의 저수된 음수를 온수화시키거나 냉수화시킨다.
한편, 음수대 케이스의 하부 외측에는 냉 · 온수기부(130)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 스위치(72)가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비된다.
도면에서와 같이 단체급수용 음수대에서 취수까지의 절차는 먼저 원수부(100)로부터 원수가 저수탱크부(120)에 저수되기 전 정수필터부(110)를 거쳐 원수에 포함된 염소 성분, 유기물 및 잡균이 제거된다.
한편, 정수필터부(110)에 의해 정수되어 저수탱크부(120)에 저수된 음수는 냉 · 온수기부(130)에 의해 계절에 알맞은 온도로 저온화 및 가열되어 냉 · 온수화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냉 · 온수화된 음수는 정수필터부(110)에 의해 살균되지 않은 잡균이 살균기부(140)에 의해 살균되어 취수자에게 공급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음수대에 정수장치, 냉 · 온수장치 및 살균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염소 성분, 유기물 및 잡균이 제거된 상태의 보다 깨끗한 물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위생상 안전하고, 무색 · 무미 · 무취의 맛있는 음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단체급수용 음수대에 정수필터를 설치하여 원수인 수돗물에 포함된 염소 성분, 유기물 및 잡균을 제거함으로써 위생상 안전하고, 보다 깨끗한 음수를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단체급수용 음수대에 살균기를 설치함으로써 정수필터에 의해 제거되지 못한 잡균을 살균할 수 있게 되어 위생상 보다 안전을 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단체급수용 음수대에 냉 · 온수기를 설치함으로써 계절에 알맞은 온도의 음수를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일정 크기의 음수대 케이스, 상기 음수대 케이스의 상부측에 설치되어 원수로부터 유입되는 물을 저수하는 일정 용량의 저수탱크, 상기 저수탱크에 저수된 상기 음수의 급수통로인 급수관로 및 상기 급수관로에 연결되어 상기 음수의 도출량을 조절하는 취수꼭지로 이루어진 단체급수용 음수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급수관로는 상기 저수탱크에 저수된 음수가 빠져나가는 주관로, 상기 주관로와 연결되어 상기 음수대 케이스의 내측에 횡방향으로 설치된 분배관로 및 상기 분배관로의 적정위치에 연결되어 음수대 케이스의 외측으로 연장 설치된 다수의 취수관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저수탱크의 하부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저수탱크를 세척할 때 발생되는 세척물을 외부로 배수시키는 세척관로; 상기 음수대 케이스의 하부로 설치되어 상기 취수꼭지가 위치된 취수부로부터 버려지는 물을 배수하는 배수관로; 상기 음수대 케이스 적소에 설치되어 상기 원수로부터 상기 저수탱크로 유입되는 상기 원수에 포함된 염소 성분, 유기물 및 잡균을 제거하여 상기 원수를 정수하는 다수의 정수필터; 상기 주관로의 적소에 설치되어 상기 저수탱크로부터 빠져나오는 물을 냉 · 온수화 시키는 냉 · 온수기; 및 상기 주관로의 적소에 설치되어 상기 냉 · 온수기에 의해 냉 · 온수화된 물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잡균을 살균하는 살균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체급수용 음수 공급장치.
KR2019980014378U 1998-07-31 1998-07-31 단체급수용음수공급장치 KR20024974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4378U KR200249747Y1 (ko) 1998-07-31 1998-07-31 단체급수용음수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4378U KR200249747Y1 (ko) 1998-07-31 1998-07-31 단체급수용음수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9685U KR19980059685U (ko) 1998-10-26
KR200249747Y1 true KR200249747Y1 (ko) 2001-12-17

Family

ID=695046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4378U KR200249747Y1 (ko) 1998-07-31 1998-07-31 단체급수용음수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974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9563A (ko) 2015-05-28 2016-12-07 박종주 자성발생펌프가 구비된 대형음용수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6345A (ko) * 2002-03-22 2002-04-09 전영철 정수기가 내장된 급수대
KR102404587B1 (ko) * 2021-10-08 2022-05-31 김의환 동파방지 및 살균 기능을 포함하는 식수대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9563A (ko) 2015-05-28 2016-12-07 박종주 자성발생펌프가 구비된 대형음용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9685U (ko) 1998-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3938551U (zh) 一种多功能纳滤直饮机
KR200249747Y1 (ko) 단체급수용음수공급장치
KR100758020B1 (ko) 오존과 자외선을 이용한 수처리기
KR100715545B1 (ko) 오존과 자외선을 이용한 수처리기
KR20130024534A (ko) 플라즈마 살균세척기능을 지닌 정수기
CN205442920U (zh) 一种净水设备
CN214299734U (zh) 一种净化富氢办公区小分子直饮水设备
KR20100067074A (ko) 정수기 물탱크의 오염된 물 자동배수 처리장치
JPS61138587A (ja) 飲料用浄水器
KR200411393Y1 (ko) 버블러가 구비된 냉온 정수기
CN219950788U (zh) 家用式井水净化饮水装置
KR200327658Y1 (ko) 정수기의 물받이 구조
KR102196837B1 (ko) 정수기
KR100706775B1 (ko) 냉수 항균 및 살균장치
JPH09290252A (ja) 逆滲透冷・温浄水器の浄水及び循環システム
KR200333286Y1 (ko) 2차오염 방지 정수기
CN216303546U (zh) 水路系统、净水系统、净水机及饮水机
CN214530912U (zh) 一种管道直饮水供水系统
CN213680069U (zh) 一种新型直饮水快速净化杀菌装置
KR950002790B1 (ko) 냉, 온 정수 시스템
KR890002198Y1 (ko) 음료수 여과기
JPH10235337A (ja) 水分配機
KR960005046Y1 (ko) 정수기
KR950001016Y1 (ko) 온냉수 겸용 정수기
KR200329685Y1 (ko) 무동력 살균 여과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17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