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4587B1 - 동파방지 및 살균 기능을 포함하는 식수대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동파방지 및 살균 기능을 포함하는 식수대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4587B1
KR102404587B1 KR1020210134132A KR20210134132A KR102404587B1 KR 102404587 B1 KR102404587 B1 KR 102404587B1 KR 1020210134132 A KR1020210134132 A KR 1020210134132A KR 20210134132 A KR20210134132 A KR 20210134132A KR 102404587 B1 KR102404587 B1 KR 1024045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manufacturing
main body
plate material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41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의환
Original Assignee
김의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의환 filed Critical 김의환
Priority to KR10202101341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45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45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45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9/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drawing-off water
    • E03B9/02Hydrants; Arrangements of valves therein; Keys for hydrants
    • E03B9/20Pillar fountains or like apparatus for dispensing drinking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 C02F1/3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with ultraviolet light
    • C02F1/325Irradiation devices or lamp constru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9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E03B7/10Devices preventing bursting of pipes by freezing
    • E03B7/12Devices preventing bursting of pipes by freezing by preventing freez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152Water filtr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Toxic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파방지 및 살균 기능을 포함하는 식수대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판재를 구비하는 단계; 주문에 따라 도면을 설계하고, 상기 설계 사양에 따라 상기 판재를 절단, 절곡, 천공, 사상 중 적어도 하나의 공정을 이용하여 상기 판재를 가공하는 판재가공단계; 상기 판재가공단계를 통해 가공된 판재를 용접하여 중간제품을 제조하는 중간제품제조단계; 상기 중간제품과 수전을 조립하여 본체를 제조하되, 상기 본체의 일부에 동파방지 시스템이 안착되는 안착부가 형성되도록 제조하는 본체 제조단계; 및 상기 안착부에 기 제조된 동파방지 시스템을 적재하고, 상기 본체의 내부를 모니터링하도록 상기 동파방지 시스템을 설치하는 동파방지 시스템 설치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동파방지 및 살균 기능을 포함하는 식수대 제조방법{METHOD FOR DRINKING WATER INCLUDING FREEZE PREVENTION AND STERILIZATION FUNCTION}
본 발명은 동파방지 및 살균 기능을 포함하는 식수대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수대라 함은 학교 운동장이나 대형 식당 등에 비치되어 언제 든지 물을 음용 할 수 있도록 마련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식수대를 사용하는 시간대를 보면, 학교의 경우에는 수업시간을 제외한 나머지 시간 즉, 쉬는 시간, 점심 시간 등에 주로 많이 사용하고, 그 외에 시간은 방과 후 시간에 식수대를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고 대형식당의 경우 식사시간을 제외한 나머지 시간에는 식수대를 사용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이 식수시간 외에 불필요하게 물이 낭비되는 경우가 발생하는데, 예를 들어 학생들의 경우 식수대를 사용하고, 물을 틀어놓은 상태 그대로 교실로 이동함에 따라 불필요하게 물이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UV(ultraviolet, 자외선)의 에너지는 미생물의 DNA 및 RNA를 파괴함으로서 미생물의 신진대사를 방해하여 미생물의 번식을 막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UV의 살균 효과는 주로 200nm ~ 280nm 사이 영역에서 발생하는데, 특히, 모든 살균에 유효하고, 피조사물(被照射物)에 거의 변화를 주지 않으며, 사용방법이 간단하다는 장점으로 인해 정수기의 살균 시스템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야외에 설치되는 식수대에서는 사용이 제한적이다.
또한, 겨울철 배관의 동파를 방지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동파 방지 장치가 개발되고 있으며, 대표적인 동파 방지 장치로는 배관에 국부적으로 설치되어 배관에 열을 전달하는 메탈 히터가 있다.
이와 같은, 메탈 히터는 배관의 외면에 설치되어 배관에 열을 전달하는 금속 하우징과, 금속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고, 열을 발산하여 금속 하우징으로 열을 전달하는 발열체를 포함한다.
그러나, 종래의 메탈 히터는 금속 하우징이 복수의 파트로 마련되어 볼트 등과 같은 별도의 체결부재를 통해 상호 결합되는 구조를 갖고, 개별적으로 주물 혹은 다이캐스팅을 통해 제작됨에 따라, 제조 공정이 복잡하여 생산성이 저하됨은 물론, 다수의 부품을 필요로 하여 제조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배관의 동파 및 누수를 사전에 확인하고, 배관 내부에 존재하는 물을 살균하기 위한 동파방지 및 살균 기능을 포함하는 식수대 제조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002987호(2009.01.09. 공개)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 주문된 도면에 따라 판재를 설계 사양에 따라 절단, 절곡, 용접, 천공, 사상 중 적어도 하나의 공정을 거쳐 제조하여 다품종 소량생산이 가능하다.
또한, 자재를 입고할 때, 주문자의 요구에 따라 도면 설계를 다르게 하고, 설계된 도면에 따라 일부의 자재를 미리 가공하여 입고시킴으로써, 자재의 손실을 줄일 수 있으며, 재료비 절감에 의해 도어 수납장의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그리고 배관의 동파 및 누수를 사전에 확인하고, 배관 내부에 존재하는 물을 살균함으로써, 식수대의 유지보수 기간을 증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판재를 구비하는 단계; 주문에 따라 도면을 설계하고, 상기 설계 사양에 따라 상기 판재를 절단, 절곡, 천공, 사상 중 적어도 하나의 공정을 이용하여 상기 판재를 가공하는 판재가공단계; 상기 판재가공단계를 통해 가공된 판재를 용접하여 중간제품을 제조하는 중간제품제조단계; 상기 중간제품과 수전을 조립하여 본체를 제조하되, 상기 본체의 일부에 동파방지 시스템이 안착되는 안착부가 형성되도록 제조하는 본체 제조단계; 및 상기 안착부에 기 제조된 동파방지 시스템을 적재하고, 상기 본체의 내부를 모니터링하도록 상기 동파방지 시스템을 설치하는 동파방지 시스템 설치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식수대의 외측에는 상기 수전(水栓)이 형성되고, 상기 식수내의 내측에는 상기 수전에 연결되는 복수의 제1 배관, 상기 복수의 제1 배관이 연결되는 메인배관을 포함하고, 상기 수전으로부터 수직으로 이격되는 위치에 물 받침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동파방지 시스템은, 상기 안착부에 설치되며, 상기 본체의 내부, 외부 및 상기 메인배관의 내부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와, 상기 제1 배관과 상기 메인배관의 내부에 설치되어 유속을 측정하는 유속 측정센서, 상기 측정된 온도와 유속을 이용하여 상기 배관의 동파여부 또는 누수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감지된 결과에 따라 관리자에게 알람을 제공하는 알람부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부는, 상기 온도센서를 통해 측정된 상기 본체의 외부 온도와 상기 메인배관의 내부 온도와의 차의 절대 값을 연산하고, 상기 본체의 외부 온도가 0℃이하이고, 상기 연산된 절대 값이 기준값 보다 크고, 상기 측정된 유속이 기준 유속 값보다 작으면, 상기 메인배관이 동파 되거나 누수가 진행되는 것으로 감지할 수 있다.
상기 메인배관은 상기 복수의 제1 배관과 연결되는 연결부에 UV 살균기가 결합되고, 상기 UV 살균기는 상기 메인배관으로부터 상기 복수의 제1 배관으로 흐르는 물의 방향으로 UV 필터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단계 및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주문된 도면에 따라 설계되어 식수대를 오차 없이 제조할 수 있으며, 주문에 따라 설계하고 판재를 설계 사양에 따라 절단, 절곡, 용접, 천공, 사상 중 적어도 하나의 공정을 거쳐 제조함으로써, 다품종 소량생산이 가능하다.
또한, 동파방지 시스템을 이용하여 식수대의 동파 및 누수를 방지할 수 있으며, UV 살균기를 통해 식수대의 물을 정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수대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조된 식수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절단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전의 후면에 연결된 배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UV 살균기가 부착된 배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다양한 식수대의 설치 형상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절곡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수대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고,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조된 식수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서 나타낸 것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수대 제조방법은 판재 구비단계(S110), 판재가공 단계(S120), 중간제품제조 단계(S130), 본체 제조단계(S140) 및 동파방지 시스템 설치단계(S150)를 포함한다.
도 2a에서 나타낸 것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수대는 식수대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되며, 도 2에서 나타낸 식수대의 형상은 일예를 나타낸 형상이며, 서로다른 형태 또는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그리고 도 2에서 나타낸 것처럼, 식수대(1)는 수전(2), 물 받침대(3) 및 망사형 물 받침대(3)를 포함하며 각각의 형상은 서로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2b에서 나타낸 것과 같은 형태로 제작될 수 있으며, 주문자의 설계를 반영하여 다른 형태로 제작할 수 있다.
먼저, 식수대(1)를 제조하기 위해 판재구비 단계(S110)는 복수의 크기 및 두께를 가지는 판재를 구비할 수 있으며, 식수대(1)의 설계에 따라 판재를 입고할 경우, 판재 일부는 도면의 설계에 따라 재단된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렇게 재단된 상태로 입고됨에 따라 판재의 가공이 원활해지며, 판재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다음으로, 판재가공 단계(S120)는 구비된 판재를 설계된 도면의 사양에 따라 절단 공정, 절곡 공정, 천공 공정 또는 사상 공정의 장비에 투입하여 가공한다.
이때, 도면의 설계는 도면사가 설계하고, 도어 수납장 주문자의 요구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식수대(1)에 설치될 수전(2)의 개수, 식수대의 형상등이 결정한 후, 해당 결정에 따른 식수대(1)를 설계할 수 있다.
여기서, 절단 공정은 절단기(100)를 이용하여 입고된 판재를 절단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설명에 따른 절단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서 나타낸 것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절단기(100)는 판재를 거치하는 작업대(110), 작업대(110)의 상부에 이격되어 판재를 작업대(110)에 밀착시키기 위해 압력을 가하는 유압프레스(120) 및 판재를 절단하는 유압나이프(130)를 포함하고, 유압프레스(120)는 복수의 원통형 프레스(121)를 포함하고, 원통형 프레스(121)는 판재를 작업대(110)에 밀착시킨다.
그러면, 작업자는 유압나이프(130)를 수직 방향으로 진행시켜 작업대(110)에 밀착된 판재를 절단하여 가공재를 제작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절곡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가공재(11)를 절곡기(200)에 투입하여 설계된 도면과 동일한 치수를 가지도록 절곡공정을 진행한다. 또한, 천공 공정 및 사상 공정도 천공기 및 사장 장비를 이용하여 설계된 도면과 동일한 치수를 가지도록 판재(10) 또는 가공재(11)를 가공한다.
다음으로, 중간제품제조 단계(S130)는 판재가공단계(S120)를 통해 가공된 판재를 용접하여 중간제품(12)을 제조한다.
본체 제조단계(S140)는 중간제품과 수전(2)을 조립하여 본체(1-1)를 제조하고, 본체(1-1) 내부의 일부에 동파방지 시스템(S)이 안착되는 안착부(1-2)가 형성되도록 제조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전의 후면에 연결된 배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본체 제조단계(S140)는 코팅, 도장 중 적어도 하나의 공정을 이용하여 본체(1-1)를 후처리한다. 이러한 후처리는 코팅, 후가공, 열처리 등 다양한 작업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동파방지 시스템 설치단계(S150) 안착부(1-2)에 기 제조된 동파방지 시스템(S)을 적재하고, 본체(1-1)의 내부를 모니터링하도록 동파방지 시스템(S)을 설치한다.
여기서, 동파방지 시스템(S)은 배관내에 유동되는 유속 및 내,외부 온도를 측정하여 배관내부에 동파여부 또는 누수여부를 판단한다. 또한, 동파방지 시스템(S)은 도 4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메인배관(M)과 복수의 제1 배관(M-1)이 연결되는 연결부에 UV살균기(S-1)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도 4에서 나타낸 것처럼, 복수의 제1 배관(M-1)의 표면을 단열재로 보강할 수 있다.
먼저 동파방지 시스템(S)은 본체(1-1)의 내부, 외부 및 메인배관(M)의 내부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미도시)와, 제1 배관(M-1)과 메인배관(M)의 내부에 설치되어 유속을 측정하는 유속 측정센서(미도시), 측정된 온도와 유속을 이용하여 메인배관(M)의 동파여부 또는 누수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미도시), 감지된 결과에 따라 관리자에게 알람을 제공하는 알람부(미도시)를 포함한다.
먼저, 동파방지 시스템(S)은 온도센서를 통해 본체(1-1)의 내부, 외부 및 메인배관(M)의 온도를 측정한다. 이때, 측정된 온도는 무선 또는 유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감지부에 제공되고, 감지부는 측정된 온도에 따라 메인배관(M)의 동파 여부를 감지한다.
예를 들어, 본체의 외부 온도가 0℃보다 큰 경우, 감지부는 동파가 발생하지 않는 상황으로 판단하여 해당 감지결과를 알람부에 제공하지 않는다. 반면에 본체의 외부 온도가 0℃이하인 경우, 감지부는 동파가 발생할 수 있는 상황으로 판단하고, 본체(1-1)의 내부 및 메인배관(M)의 온도를 측정한다.
이때, 본체(1-1)의 외부 온도가 0℃보다 큰 경우는 현재 배관이 동파가 진행되지 않아 본체(1-1)의 내부 및 메인배관(M)의 온도를 측정하지 않으며, 이는 식수대(1)의 전기 사용량을 절약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즉, 감지부는 본체(1-1)의 외부 온도에 따라 본체(1-1) 내부와 메인배관(M)의 온도를 수집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메인배관(M)에 온도센서가 부착되어 있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온도센서는 복수의 제1 배관(M-1) 각각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동파방지 시스템(S)은 메인배관(M) 및 제1 배관(M-1)에 흐르는 물의 유속을 측정하기 위해 메인배관(M) 및 제1 배관(M-1)의 내부에 유속측정 센서를 더 포함한다.
이때, 메인배관(M)과 제1 배관(M-1)에서 흐르는 물의 유속의 차이가 존재하는 경우, 메인배관(M)과 제1 배관(M-1)의 유속이 작은 위치에 누수가 있는 것으로 감지하고, 감지부는 알람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누수 여부를 제공한다.
그러면, 알람부는 감지부로부터 입력받은 누수여부 및 동파여부를 실시간으로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기 또는 관리서버로 제공한다.
또한, 후처리된 중간제품(12)과 수전(2)를 조립하여 식수대(1)를 제조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전의 후면에 연결된 배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서 나타낸 것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수전(2)의 후면에 각각 제1 배관(M-1)의 일측이 연결된다. 이때, 각각의 제1 배관(M-1)의 타측은 메인배관(M)의 일측에 연결된다. 이렇게 배관이 연결됨으로써, 식수대의 수질을 원할히 관리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UV 살균기가 부착된 배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러한, 식수대의 수질을 관리하기 위해 복수의 제1 배관(M-1)과 메인배관(M)이 연결되는 위치에 UV 살균기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UV 살균기는 자외선 살균 필터 또는 자외선 살균 램프를 이용하여 배관에서 흐르는 물을 살균한다.
이때, UV 살균기는 물을 정수하기 위한 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필터는 원수 중의 입자를 여과하는 세디먼트 필터(sediment filter), 원수 중의 염소 성분이나 냄새를 제거하는 프리카본 필터(pre-carbon filter), 0.001μm 정도의 극미세 입자를 제거하는 역삼투압 멤브레인 필터(reverse omosis membrane filter) 및 역삼투압 멤브레인 필터를 통과한 물 중에 포함된 색소 또는 냄새를 제거하는 포스트카본 필터(post-carbon filter)등의 다수 필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여기서 역삼투압멤브레인 필터 대신에 UF 필터 또는 NF 필터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도 2a 및 도 2b에서 나타낸 것처럼, 식수대(1)는 수전(2)의 수직한 위치에 일정 반경의 망사형 물 받침대(3)를 포함함으로서, 수전(2)으로부터 나오는 물이 식수대(1)의 외부로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다양한 식수대의 설치 형상을 나타낸 사진이다.
즉, 도 6에서 나타낸 것처럼, 식수대(1)는 주문자의 설계 및 도면을 제공받아 복수의 형태로 제조되어 다양한 지역 또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식수대(1) 제조시 절곡 공정에 있어서 스프링백 현상이 나타나게되며, 스프링백 현상으로 판재(10)를 정확한 수치로 가공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도 6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절곡기를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싱예에 따른 절곡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따라서 도 7에서 나타낸 것처럼, 스프링 백 현상을 줄이기 위해 본 발명의 절곡기(P)는 작업대(P1), 압력 부재(P2) 및 복수의 지지부재(P3)를 포함한다.
먼저, 작업대(P1)는 도 6과 같이 상부측에 원재료를 거치하기 위해 반원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나타내었으나, 설계 사양에 따라 서로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다음으로, 압력 부재(P2)는 작업대(P1)의 상부에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하 이동을 통해 작업대(P1)에 거치된 원재료에 압력을 가하여 프레싱 작업을 수행한다.
이때, 압력 부재(P2)는 유압을 이용하여 작업대(P1)에 거치된 원재료에 압력을 가할 수 있다.
압력 부재(P2)를 통해 원재료에 압력이 가해진 상태에서, 지지부재(P3)는 원재료의 외 측면을 지지하여 원재료를 고정시킨다.
즉, 지지부재(P3)는 원재료가 압력 부재(P2)를 통해 변형된 후, 원래의 형상으로 회귀하려는 스프링 백 현상을 줄이기 위해 원재료에 압력이 가해진 상태에서 원재료의 측면을 지지한다.
이때, 지지부재(P3)는 도 7에서 나타낸 것처럼, 원재료의 외 측면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팁(P31), 지지대(P32), 결합부(P33)를 포함할 수 있으며, 팁(P31)의 외측에는 냉각물질을 포함하는 냉각 탱크(P31-1)를 포함하고, 지지대(P32)의 외측에는 수용액을 포함하는 수용액 탱크(P32-1)와 온열 장치(P32-2)를 포함하고, 냉각 탱크(P31-1)와 수용액 탱크(P32-1)를 연결하는 배관(P32-3)을 포함한다.
먼저, 팁(P31)은 원재료의 외 측면의 형상에 따라 교체할 수 있다.
또한, 수용액 탱크(P32-1)의 하면은 냉각 탱크(P31-1)하면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된다.
그리고, 수용액 탱크(P32-1)와 냉각 탱크(P31-1)의 상면에는 각각 냉각물질과 수용액을 보충할 수 있도록 개폐될 수 있는 주입부가 설치된다.
또한, 배관(P32-3)은 수용액 탱크(P32-1)의 하면에 일측이 부착되며, 타측은 냉각 탱크(P31-1)의 하면에 설치되어 수용액 탱크(P32-1)에서 생성된 물이 냉각 탱크(P31-1)로 유입되도록 경사진 형태로 설치된다.
이때, 배관(P32-3)은 수용액 탱크(P32-1)에서 생성된 물만 냉각 탱크(P31-1)로 유입시키기 위해 필터(P3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온열 장치(P32-2)는 수용액 탱크(P32-1)의 측면에 부착되어, 수용액 탱크(P32-1)의 온도를 50℃ 이상 100℃이하로 유지시킨다.
다음으로, 냉각물질은 물과 반응하여 팁(P31)과 원재료를 냉각시키기 위해 말산 20 중량부, 탄산수소나트륨 30 중량부 및 알긴산나트륨 1.5 중량부로 조성된다.
말산은 물과 흡열반응을 일으키는 유기산으로, 본 발명에 따른 냉각물질에 말산은 20 중량부가 포함될 수 있으며, 말산이 20 중량부 미만인 경우, 물과의 흡열반응성이 저하되며, 말산이 2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팁(P31)의 표면을 부식시키킬 수 있는 단점이있다.
그리고, 탄산수소나트륨은 물과 흡열반응을 일으키는 무기염으로, 본 발명에 따른 냉각물질에 탄산수소나트륨은 30 중량부가 포함될 수 있으며, 탄산수소나트륨이 30 중량부 미만이거나 초과하는 경우, 물과의 흡열반응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잇다.
알긴산나트륨은 물과 흡열반응성을 증대시키는 유기산으로, 본 발명에 따른 냉각물질에 알긴산나트륨은 1.5 중량부가 포함될 수 있으며, 알긴산나트륨이 1.5 중량부 미만이거나 초과하는 경우, 물과의 흡열반응성을 저해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다음으로, 수용액은 아미노실란화 수산화알루미늄 2 중량부,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수지 10 중량부, 폴리(옥시프로필렌)디아민 3 중량부로 조성될 수 있다.
여기서, 아미노실란화 수산화알루미늄은 열에 의해 휘발되지 않으며, 아미노실란화 수산화알루미늄이 2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수용액이 난연성, 자가냉각성을 발현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으며, 아미노실란화 수산화알루미늄이 2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 수용액의 기계적 물성이 저하될 수 있고, 제조단가가 과도하게 상승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아미노실란화 수산화알루미늄은 온도가 50℃ 이상 100℃이하인 경우에 물을 방출하는 특성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수용액은 아미노실란화 수산화알루미늄을 2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수지는 내마모성, 내유성, 방수성등을 나타내어 코팅제 또는 라이닝제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수용액은 내마모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수지를 10 중량부를 포함한다.
이때,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수지의 중량부가 10 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본 발명에 따른 코팅조성물로 형성되는 코팅층으로 충분한 내마모성을 부여할 수 없는 문제가 있고, 중량부가 1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본 발명에 따른 코팅조성물의 점도가 과도하게 높아 코팅에 적합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수용액은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수지는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의 수용액은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수지를 포함하는 것으로 나타내었으나, 비스페놀 F형 에폭시 수지, 비스페놀 AF형과 같은 비스페놀계 에폭시 수지 또는 노볼락 에폭시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폴리(옥시프로필렌)디아민은 수용액을 저온에서 경화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수용액이 폴리(옥시프로필렌)디아민 3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하는 경우, 수용액의 경화가 원활히 진행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수용액이 폴리(옥시프로필렌)디아민 3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수용액의 경화를 제어하기 힘들며, 미반은된 경화제에 의한 물성저하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수용액은 폴리(옥시프로필렌)디아민 3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수용액은 아미노실란화 수산화알루미늄 2 중량부,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수지 10 중량부, 폴리(옥시프로필렌)디아민 3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냉각물질은 말산 20 중량부, 탄산수소나트륨 30 중량부 및 알긴산나트륨 1.5 중량부로 조성되며, 냉각물질은 수용액을 통해 생성된 물과 흡열반응을 통해 팁(P31)의 온도를 낮추어 원재료의 스프링 백 현상을 줄일 수 있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은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청구범위를 통해 한정되지 않은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식수대 1-1: 본체
1-2: 안착부 2: 수전
3: 물 받침대 3-1: 망사형 물 받침대
M: 메인배관 M-1: 제1 배관
S: 동파방지 시스템
100: 절단기 110: 작업대
120: 유압프레스 121: 원통형 프레스
130: 유압나이프 P1: 작업대
P2: 압력 부재 P3: 지지부재
P31: 팁 P31-1: 냉각탱크
P32: 지지대 P32-1: 수용액 탱크
P32-2: 온열장치 P32-3: 배관
P32-4: 필터 P33: 결합부

Claims (4)

  1. 판재를 구비하는 단계;
    주문에 따라 도면을 설계하고, 상기 설계 사양에 따라 상기 판재를 절단, 절곡, 천공, 사상 중 적어도 하나의 공정을 이용하여 상기 판재를 가공하는 판재가공단계;
    상기 판재가공단계를 통해 가공된 판재를 용접하여 중간제품을 제조하는 중간제품제조단계;
    상기 중간제품과 수전을 조립하여 본체를 제조하되, 상기 본체의 일부에 동파방지 시스템이 안착되는 안착부가 형성되도록 제조하는 본체 제조단계; 및
    상기 안착부에 기 제조된 동파방지 시스템을 적재하고, 상기 본체의 내부를 모니터링하도록 상기 동파방지 시스템을 설치하는 동파방지 시스템 설치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판재 가공단계는,
    절단 공정을 통해 절단된 판재를 거치하며, 상기 설계된 사양에 따른 홈을 포함하는 작업대, 상기 작업대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하 이동을 통해 상기 판재에 압력을 가하는 압력 부재, 상기 판재에 압력이 가해진 후, 상기 판재의 외 측면을 지지하여 상기 판재를 고정시키는 복수의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절곡기를 이용하여 상기 절단된 가공재를 절곡하고,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판재의 외 측면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팁과 팁을 지지하는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팁의 외부에는 물에 반응하는 냉각물질이 포함된 냉각 탱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대의 외부에는 물을 생성하는 수용액을 포함하는 수용액 탱크와 온도를 상승시키는 온열 장치, 상기 냉각 탱크와 수용액 탱크를 연결되어, 상기 냉각 탱크로 물을 보내기위한 배관을 포함하며,
    상기 수용액은 아미노실란화 수산화알루미늄 2 중량부,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수지 10 중량부, 폴리(옥시프로필렌)디아민 3 중량부로 조성되며, 상기 수용액은 상기 팁의 수용액 탱크의 내부 온도가 50℃ 이상 100℃이하인 경우, 물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물은 상기 배관을 통해 상기 냉각탱크로 인입되고,
    상기 냉각물질은, 말산 20 중량부, 탄산수소나트륨 30 중량부 및 알긴산나트륨 1.5 중량부로 조성되며, 상기 생성된 물과 반응하여 상기 팁과 판재를 냉각시켜 상기 판재의 스프링 백 현상을 감소시키는 식수대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식수대의 외측에는 상기 수전(水栓)이 형성되고, 상기 식수내의 내측에는 상기 수전에 연결되는 복수의 제1 배관, 상기 복수의 제1 배관이 연결되는 메인배관을 포함하고, 상기 수전으로부터 수직으로 이격되는 위치에 물 받침대가 형성되는 식수대 제조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동파방지 시스템은, 상기 안착부에 설치되며, 상기 본체의 내부, 외부 및 상기 메인배관의 내부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와, 상기 제1 배관과 상기 메인배관의 내부에 설치되어 유속을 측정하는 유속 측정센서, 상기 측정된 온도와 유속을 이용하여 상기 메인배관의 동파여부 또는 누수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감지된 결과에 따라 관리자에게 알람을 제공하는 알람부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부는,
    상기 온도센서를 통해 측정된 상기 본체의 외부 온도와 상기 메인배관의 내부 온도와의 차의 절대 값을 연산하고, 상기 본체의 외부 온도가 0℃이하이고, 상기 연산된 절대 값이 기준값 보다 크고, 상기 측정된 유속이 기준 유속 값보다 작으면, 상기 메인배관이 동파 되거나 누수가 진행되는 것으로 감지하는 식수대 제조방법.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메인배관은 상기 복수의 제1 배관과 연결되는 연결부에 UV 살균기가 결합되고, 상기 UV 살균기는 상기 메인배관으로부터 상기 복수의 제1 배관으로 흐르는 물의 방향으로 UV 필터가 설치되는 식수대 제조방법.
KR1020210134132A 2021-10-08 2021-10-08 동파방지 및 살균 기능을 포함하는 식수대 제조방법 KR1024045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4132A KR102404587B1 (ko) 2021-10-08 2021-10-08 동파방지 및 살균 기능을 포함하는 식수대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4132A KR102404587B1 (ko) 2021-10-08 2021-10-08 동파방지 및 살균 기능을 포함하는 식수대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4587B1 true KR102404587B1 (ko) 2022-05-31

Family

ID=81787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4132A KR102404587B1 (ko) 2021-10-08 2021-10-08 동파방지 및 살균 기능을 포함하는 식수대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458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9685U (ko) * 1998-07-31 1998-10-26 박종주 단체급수용 음수 공급장치
KR200201294Y1 (ko) * 2000-05-25 2000-11-01 정만석 다용도 절전형 급수대
KR101552495B1 (ko) * 2013-09-11 2015-09-11 주식회사 상민이엔지 동파 방지 시스템 및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동파 방지 시스템의 알람 및 유지보수 장치와 방법
KR102114132B1 (ko) * 2019-11-27 2020-05-25 박민재 컵 회수부재가 구비된 음수대 및 이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9685U (ko) * 1998-07-31 1998-10-26 박종주 단체급수용 음수 공급장치
KR200201294Y1 (ko) * 2000-05-25 2000-11-01 정만석 다용도 절전형 급수대
KR101552495B1 (ko) * 2013-09-11 2015-09-11 주식회사 상민이엔지 동파 방지 시스템 및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동파 방지 시스템의 알람 및 유지보수 장치와 방법
KR102114132B1 (ko) * 2019-11-27 2020-05-25 박민재 컵 회수부재가 구비된 음수대 및 이의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ong et al. Direct contact membrane distillation-based desalination: novel membranes, devices, larger-scale studies, and a model
CN202204160U (zh) 一种多用途家用承压热水箱
WO2012065174A2 (en) Heat exchanger system and method of use
KR102404587B1 (ko) 동파방지 및 살균 기능을 포함하는 식수대 제조방법
JP2013525729A (ja) ダクトを流れる廃水から熱を取り出すための方法、熱交換器、及び該方法を実施するためのシステム
WO2009051735A3 (en) High efficiency, corrosion resistant heat exchanger and methods of use thereof
CN108562509A (zh) 一种带压冲刷腐蚀试验装置
Flodman et al. Brine reuse in ion‐exchange softening: Salt discharge, hardness leakage, and capacity tradeoffs
US10279375B2 (en) Process for coating the interior surface of non-metallic pipes with metal valves and metal fittings
KR102404586B1 (ko) 식수대 제조방법
CN102583786A (zh) Njtj系列中央空调水处理药剂配方
US20220324735A1 (en) Uv lamp and anti-scale water treatment water heater apparatus with sanitation loop
LV15374A (lv) Notekūdeņu siltuma rekuperācijas iekārta
JP2021172847A (ja) 温泉供給システム
CN207050492U (zh) 一种废水余热回收系统
Singley et al. Water treatment
CN203215108U (zh) 流体输送管
CN214360526U (zh) 一种具有水质监测功能的软化水设备
Bhardwaj Reservoirs, towers, and tanks
WO2019134051A1 (en) Heat recovery unit for gray water
CN219415787U (zh) 一种冷却塔水位平衡装置
US9169136B1 (en) Water purification and softening system and method for beverage dispenser
Guo et al. Case investigation in safety and reliability of a family heat supply system: Fallstudie zur Sicherheit und Zuverlässigkeit eines Familien‐Wärmeversorgungssystems
US20210253448A1 (en) Assembly for a device for disinfecting a fluid, production method, disinfecting device, and device for dispensing a disinfected fluid at a point of consumption
CN208617691U (zh) 一种tft-lcd基板玻璃通道法兰冷却用独立循环冷却水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