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6837B1 - 정수기 - Google Patents

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6837B1
KR102196837B1 KR1020200043555A KR20200043555A KR102196837B1 KR 102196837 B1 KR102196837 B1 KR 102196837B1 KR 1020200043555 A KR1020200043555 A KR 1020200043555A KR 20200043555 A KR20200043555 A KR 20200043555A KR 102196837 B1 KR102196837 B1 KR 1021968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unit
screen
sterilizing
water pur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35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광필
Original Assignee
(주)베스트라이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베스트라이프 filed Critical (주)베스트라이프
Priority to KR10202000435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68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68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68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7Cleaning beverage-dispensing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6Filters making use of electricity or magnet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57Cool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95Heat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7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7Cleaning beverage-dispensing apparatus
    • B67D2001/075Sanitising or sterilising the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02Purifying means
    • B67D2210/00005Filters
    • B67D2210/0001Filters for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02Purifying means
    • B67D2210/00013Sterilising means
    • B67D2210/00015UV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02Purifying means
    • B67D2210/00013Sterilising means
    • B67D2210/0002Distillato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정수기는, 외부에서 공급된 상수를 정수하여 냉각 또는 가열한 음용수를 공급하는 정수기에 있어서, 상수를 정수하는 필터부(110); 상기 필터부(110)에서 정수된 물을 가열하는 가열부(120); 상기 필터부에서 공급된 물을 냉각하는 냉각부(130); 상기 필터부(110)에서 정수된 물에 전기를 가하여 살균수가 생성되도록 하는 살균모듈(140); 상기 가열부(120)에서 가열된 온수와, 상기 냉각부(130)에서 냉각된 냉수를 각각 외부에 급수하는 정수기 코크(21)가 구비된 수전부(20); 상기 필터부(110)와, 가열부(120) 및 냉각부(130)가 내부에 배치되는 본체(10); 상기 수전부(20)의 하부인 상기 본체(10)에 구비되며, 상기 수전부(20)에서 하부로 유출되는 유출수를 모아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부(31)가 구비된 급수대(30); 상기 수전부(20)의 상부에 상기 본체(10)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어 구비되는 상부돌출부(40); 상기 상부돌출부(40)의 하부면에 구비되며 상기 수전부(20) 및 상기 급수대(30)로 상기 살균모듈(140)에서 생성된 살균수를 분사되도록 하여 상기 수전부(20) 및 상기 급수대(30)를 살균하는 살균수 분사부(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정수기{Water Purifier}
본 발명은 사용이 잦은 구내식당이나 단체급식소 등에서 사용되는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살균모듈에서 발생된 살균수를 정수기 코크 및 급수대에 분사되도록 하여 살균되도록 함으로써 살균소독을 자동으로 수행되도록 하는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수기는 수돗물 등의 원수를 음용에 적합하도록 정수하여 공급하는 장치를 말한다. 상기 정수기는 정수를 저수조에 저장한 후에 저장된 정수를 공급하는 정수기와, 정수를 저장하지 않고 바로 배출시키는 정수기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정수기의 내부에는 정수가 유동하기 위한 배관이 구비되며, 배관에 밸브, 취수구 등이 구비된다. 상기 정수기를 장시간 사용하는 경우에는 배관, 밸브, 취수구 등에는 물에 함유된 이물질이 끼일 수 있고, 세균, 미생물 등이 번식할 수도 있다.
종래에는 이러한 정수기의 유로 등을 세척하기 위해서는, 정수기의 본체를 개방하여, 각종 배관들을 연결하고, 세척약이 든 캐니스터를 장착하여 세척을 수행하였다. 이러한 세척방법은 정수기의 유로를 세척하기에는 유용한 방법이다.
하지만, 정수의 공급 및 차단을 위하여 외부로 노출된 코크와, 코크의 하부에 이격되어 배출수를 배수하기 위한 급수대 등은 관리자가 주기적으로 세척액을 사용하여 깨끗한 천 등으로 닦는 방법으로 세척하는 방법이 일반적이다.
이와 같이, 코크, 급수대 등은 관리자가 주기적으로 세척하여야 하나, 관리자의 부재, 게으름 등의 관리소홀로 인해 청결을 유지하지 못하게 되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외부로 노출된 코크, 급수대 등의 세척을 자동으로 수행하도록 하여 효율적인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정수기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로 노출된 코크, 급수대 등의 살균을 자동으로 수행하도록 하여 효율적인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이 적은 시간대에 살균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이 되지 않는 시간대에 자외선램프를 이용하여 외부로 노출된 코크, 급수대 등의 살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정수기는, 외부에서 공급된 상수를 정수하여 냉각 또는 가열한 음용수를 공급하는 정수기에 있어서, 상수를 정수하는 필터부(110); 상기 필터부(110)에서 정수된 물을 가열하는 가열부(120); 상기 필터부에서 공급된 물을 냉각하는 냉각부(130); 상기 필터부(110)에서 정수된 물에 전기를 가하여 살균수가 생성되도록 하는 살균모듈(140); 상기 가열부(120)에서 가열된 온수와, 상기 냉각부(130)에서 냉각된 냉수를 각각 외부에 급수하는 정수기 코크(21)가 구비된 수전부(20); 상기 필터부(110)와, 가열부(120) 및 냉각부(130)가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수전부(20)가 설치되는 본체(10); 상기 수전부(20)의 하부인 상기 본체(10)에 구비되며, 상기 수전부(20)에서 하부로 유출되는 유출수를 모아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부(31)가 구비된 급수대(30); 상기 수전부(20)의 상부에 상기 본체(10)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어 구비되는 상부돌출부(40); 상기 상부돌출부(40)의 하부면에 구비되며 상기 수전부(20) 및 상기 급수대(30)로 상기 살균모듈(140)에서 생성된 살균수를 분사되도록 하여 상기 수전부(20) 및 상기 급수대(30)를 살균하는 살균수 분사부(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돌출부(40)의 하면에는 상기 수전부(20)와 상기 급수대(30)에 자외선을 방출하여 살균소독하는 자외선램프(6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본체(10) 또는 상기 상부돌출부(40)에는 사용자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자외선램프(60)를 작동시키며, 사용자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자외선램프(60)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감지센서(7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살균수 분사부(50)에 의해 분사되는 시간을 설정되도록 하는 타이머(150)와, 상기 타이머(150)에 의해 설정된 시간에 맞춰 개폐되어 상기 살균수 분사부(50)에 의한 살균수의 분사를 제어하는 살균수 분사용 솔레노이드 밸브(16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살균모듈(140)에서 생성된 살균수의 일부를 상기 냉각부(130) 및 상기 수전부(20)로 공급하여 이들을 살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정수기는, 살균모듈에서 생성된 살균수를 이용하여 외부로 노출된 코크, 급수대 등에 분사시켜 자동살균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효율적인 관리가 이루어지고 청결을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항상 깨끗한 음용수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사용이 되지 않는 시간대에 자외선램프를 이용하여 외부로 노출된 코크, 급수대 등의 살균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세균이나 미생물의 번식을 억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자외선 램프의 조사에 의해 발생되는 오존 등을 밀폐된 공간에서 외부로 노출된 코크, 급수대 등과 접촉하도록 함으로써 살균력을 크게 하여 효율적인 세균이나 미생물의 번식 억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정수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다른 형태의 정수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정수기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정수기의 동파방지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정수기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정수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다른 형태의 정수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정수기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정수기의 동파방지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의한 정수기는, 일반적인 정수기와 마찬가지로, 외부에서 공급된 상수를 정수하여 냉각 또는 가열한 음용수를 공급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정수기는, 필터부(110); 가열부(120); 냉각부(130); 살균모듈(140); 수전부(20); 본체(10); 급수대(30); 상부돌출부(40); 살균수 분사부(50);로 이루어진다.
상기 필터부(110)는, 상수를 정수하는 것으로 이미 공지된 것이다.
상기 가열부(120)는, 상기 필터부(110)에서 정수된 물을 가열하는 것으로 이미 공지된 것이다.
상기 냉각부(130)는, 상기 필터부에서 공급된 물을 냉각하는 것으로 이미 공지된 것이다.
상기 살균모듈(140)는, 상기 필터부(110)에서 정수된 물에 전기를 가하여 살균수가 생성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미 공지된 것이다.
상기 살균모듈(140)에서 생성된 살균수는 후술할 살균수 분사부(50)에 의해 수전부(20) 및 급수대(30)로 분사되어 이를 살균하게 된다.
수전부(20) 및 급수대(30)의 살균시 상기 살균모듈(140)에서 생성된 살균수의 일부를 냉수 공급라인, 즉, 상기 냉각부(130) 및 상기 수전부(20)로 공급하여 냉수 공급라인을 살균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수전부(20)는, 상기 가열부(120)에서 가열된 온수와, 상기 냉각부(130)에서 냉각된 냉수를 각각 외부에 급수하는 정수기 코크(21)가 구비된다. 상기 정수기 코크(21)는 컵을 밈으로써 개방되고 컵을 제거하면 원위치로 복귀되어 폐쇄되도록 하는 것으로 이미 공지된 것이다.
상기 본체(10)는, 상기 필터부(110)와, 가열부(120) 및 냉각부(130)가 내부에 배치되며(도 5 참조),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본체(10)의 상부부위에는 상부돌출부(40)가 구비되고, 상기 본체(10)의 중간부위에는 수전부(20)가 구비되며, 상기 수전부(20)의 하부에는 급수대(30)가 구비된다.
상기 급수대(30)는, 상기 수전부(20)의 하부인 상기 본체(10)에 구비되며, 상기 수전부(20)에서 하부로 유출되는 유출수를 모아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부(31)가 구비된다. 상기 급수대(30)에는 음수대용 버블코크(3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부돌출부(40)는 상기 수전부(20)의 상부에 상기 본체(10)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어 구비된다. 상기 상부돌출부(40)의 하부면에는 살균수 분사부(50)가 구비된다.
상기 살균수 분사부(50)는, 상기 상부돌출부(40)의 하부면에 구비되며(도 2 참조), 상기 수전부(20) 및 상기 급수대(30)로 상기 살균모듈(140)에서 생성된 살균수를 분사되도록 하여 상기 수전부(20) 및 상기 급수대(30)를 살균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살균수 분사부(50)는 분사노즐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분사공이 형성된 파이프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살균수 분사부(50)에 의해 살균수를 분사하여 상기 수전부(20) 및 상기 급수대(30)를 살균하게 되면, 청결을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항상 깨끗한 음용수를 제공할 수 있게 되며, 세균번식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살균수 분사부(50)에 의한 살균시에는 사용이 적은 시간대에 분사되도록 하여 상기 수전부(20) 및 상기 급수대(30)의 살균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타이머(150)와 살균수 분사용 솔레노이드 밸브(160)가 구비되도록 한다(도 5 참조).
상기 타이머(150)는 관리자에 의해 설정되도록 하며, 사용자의 사용이 적은 시간대에 살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살균수 분사부(50)에 의해 분사되는 시간을 설정되도록 한다.
상기 살균수 분사용 솔레노이드 밸브(160)는 상기 타이머(150)에 의해 설정된 시간에 맞춰 개폐되어 상기 살균수 분사부(50)에 의한 살균수의 분사를 제어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사용자의 사용이 적은 시간대로 타이머(150)의 세팅에 의해 외부로 노출된 정수기 코크, 급수대를 자동으로 살균하도록 하여 효율적인 관리가 이루어지고 청결을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항상 깨끗한 음용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된 본 발명의 정수기는, 평상시에는 원수가 공급되어 필터부(110)를 거친 정수가 가열부(120) 또는 냉각부(130)를 거쳐 온수 또는 냉수를 공급하는 일반적인 정수기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필터부(110)를 거친 정수의 일부가 살균모듈(140)을 거쳐 살균수가 생성되게 되는데, 사용자의 사용이 적은 시간대로 관리자에 의해 세팅된 타이머(150)에 의해 살균수 분사용 솔레노이드 밸브(160)를 개방시키게 되며 살균모듈(140)을 거치게 되어 살균수가 생성되게 된다. 살균모듈(140)에 의해 생성된 살균수는 살균수 분사부(50)를 통해 분사되어 수전부(20) 및 급수대(30)를 살균하게 된다. 이때, 일부의 살균수는 냉수 공급라인으로 공급되어 냉각부(130) 및 수전부(20)를 살균하게 된다(도 5 참조).
아울러, 상기 상부돌출부(40)의 하면에는 상기 수전부(20)와 상기 급수대(30)에 자외선을 방출하여 살균소독하는 자외선램프(60)가 더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도 2 참조).
상기 자외선램프(60)를 이용하여 외부로 노출된 정수기 코크, 급수대의 살균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세균이나 미생물의 번식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자외선램프(60)의 작동은, 사용자가 정수기를 사용하는 경우 자외선램프(60)의 작동을 정지시키고, 사용자가 정수기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자외선램프(60)를 작동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감지센서(70)를 채택한다.
상기 감지센서(70)는, 상기 본체(10) 또는 상기 상부돌출부(40)에 구비되며, 사용자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자외선램프(60)를 작동시키며, 사용자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자외선램프(60)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감지센서(70)는 공지된 근접센서를 채택하도록 한다.
상기 자외선램프(60)의 조사에 의해 발생되는 오존 등에 의해 외부로 노출된 정수기 코크, 급수대의 살균이 이루어지게 되나, 개방된 공간에서는 살균효과가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정수기 코크(21) 및 급수대(30)의 살균을 위한 폐쇄된 공간을 형성하도록 하기 위해, 본 발명은 도 3에서와 같이, 측면커버부(210)와, 롤스크린(220)과, 스크린 안내부(230) 및 스크린 고정부(240)를 채택하도록 한다.
상기 측면커버부(210)는, 상기 본체(10)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되, 상기 급수대(30)의 양측으로부터 상기 상부돌출부(40)의 양측을 서로 연결하며 한쌍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롤스크린(220)은, 상기 상부돌출부(40)의 전면(前面) 또는 상기 상부돌출부(40)의 전면(前面) 하부에 구비된다. 상기 롤스크린(220)은, 스크린(221)을 당김으로써 펼쳐지고 스크린을 놓으면 스프링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되게 되는 것으로 공지된 것이다. 스크린(221)의 단부에는 스크린(221)을 급수대(30)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고리(221a)가 구비된다.
상기 스크린 안내부(230)는, 서로 마주보는 상기 측면커버부(210)의 전면(前面)부위 내측면에 구비되며 상기 급수대(30)와 상기 측면커버부(210) 및 상기 상부돌출부(40)에 의해 폐쇄된 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롤스크린(220)의 스크린(221)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스크린 고정부(240)는, 상기 급수대(30)의 상부부위 정면에 구비되며 상기 롤스크린(220)의 스크린(221) 단부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측면커버부(210)와, 롤스크린(220)과, 스크린 안내부(230) 및 스크린 고정부(240)를 채택하여 정수기 코크(21) 및 급수대(30)의 살균을 위한 폐쇄된 공간을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자외선 램프의 조사에 의해 발생되는 오존 등이 밀폐된 공간에서 외부로 노출된 정수기 코크, 급수대 등과 접촉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되어 살균력을 크게 하여 효율적인 세균이나 미생물의 번식 억제 효과를 발휘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롤스크린(220)과, 스크린 고정부(240)는 수동식으로 되며, 롤스크린(220)의 스크린을 수동으로 잡아 당겨 스크린의 단부를 스크린 고정부(240)에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롤스크린(220)의 스크린(221)을 자동으로 펼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하여, 스크린용 회전모터(250)를 채택한다(도 4 참조).
상기 스크린용 회전모터(250)는, 롤스크린(220)의 스크린을 권취 또는 풀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스크린용 회전모터(250)가 정회전되면 롤스크린(220)의 스크린(221)을 펼치도록 하여 상기 급수대(30)와 상기 측면커버부(210) 및 상기 상부돌출부(40)에 의해 정수기 코크(21) 및 급수대(30)의 살균을 위한 폐쇄된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스크린(221)은 자중에 의해 하부로 이동되어 펼쳐지게 된다. 상기 스크린용 회전모터(250)가 역회전되면 롤스크린(220)의 스크린(221)이 권취되어 폐쇄된 공간을 개방하게 된다.
상기 롤스크린(220)의 스크린 내측면에는 반사면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반사면은 상기 롤스크린(220)의 스크린 내측면에 코팅되어 형성되며 상기 자외선램프(60)에 의해 조사된 자외선을 상기 급수대(30)와 상기 측면커버부(210)와 상기 상부돌출부(40) 및 롤스크린(220)의 스크린(221)에 의한 폐쇄된 공간으로 반사되도록 하여 자외선의 조사량을 늘림으로써 살균력을 더 크게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통상 대용량 정수기는 학교의 복도, 대형식당, 산업현장 등 동파에 취약한 곳에 설치된다. 따라서, 동계에 낮기온이 영하의 온도가 3일 이상 지속되면 정수기 호스, 필터, 냉각부 등의 배관이 파손될 가능성이 높게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동파를 방지하도록 하기 위해, 도 6에서와 같이, 원수로부터 정수기와 연결되는 배관에 열선(171)을 설치하고 정수기의 내부, 즉, 본체(10) 내부에는 세라믹 램프 등의 발열램프(172)와 온도센서(173)를 설치하여 정수기 내부 온도가 영하로 떨어지는 것을 온도센서(173)가 감지하면 발열램프(172)가 작동되도록 컨트롤박스(174)에 의해 제어되도록 하여 동파를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하여 기술적 사상을 해석해서는 안된다.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업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된다.
10 : 본체 20 : 수전부
30 : 급수대 31 : 배수부
32 : 버블코크 40 : 상부돌출부
50 : 살균수 분사부 60 : 자외선램프
70 : 감지센서 110 : 필터부
120 : 가열부 130 : 냉각부
140 : 살균모듈 150 : 타이머
160 : 살균수 분사용 솔레노이드 밸브 171 : 열선
172 : 발열램프 173 : 온도센서
174 : 컨트롤박스 210 : 측면커버부
220 : 롤스크린 221 : 스크린
221a : 고정고리 230 : 스크린 안내부
240 : 스크린 고정부 250 : 스크린용 회전모터

Claims (5)

  1. 외부에서 공급된 상수를 정수하여 냉각 또는 가열한 음용수를 공급하는 정수기에 있어서,
    상수를 정수하는 필터부(110);
    상기 필터부(110)에서 정수된 물을 가열하는 가열부(120);
    상기 필터부에서 공급된 물을 냉각하는 냉각부(130);
    상기 필터부(110)에서 정수된 물에 전기를 가하여 살균수가 생성되도록 하는 살균모듈(140);
    상기 가열부(120)에서 가열된 온수와, 상기 냉각부(130)에서 냉각된 냉수를 각각 외부에 급수하는 정수기 코크(21)가 구비된 수전부(20);
    상기 필터부(110)와, 가열부(120) 및 냉각부(130)가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수전부(20)가 설치되는 본체(10);
    상기 수전부(20)의 하부인 상기 본체(10)에 구비되며, 상기 수전부(20)에서 하부로 유출되는 유출수를 모아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부(31)가 구비된 급수대(30);
    상기 수전부(20)의 상부에 상기 본체(10)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어 구비되는 상부돌출부(40);
    상기 상부돌출부(40)의 하부면에 구비되며 상기 수전부(20) 및 상기 급수대(30)로 상기 살균모듈(140)에서 생성된 살균수를 분사되도록 하여 상기 수전부(20) 및 상기 급수대(30)를 살균하는 살균수 분사부(50);
    상기 상부돌출부(40)의 하면에는 상기 수전부(20)와 상기 급수대(30)에 자외선을 방출하여 살균소독하는 자외선램프(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10)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되, 상기 급수대(30)의 양측으로부터 상기 상부돌출부(40)의 양측을 서로 연결하며 한쌍으로 이루어지는 측면커버부(210)와,
    상기 상부돌출부(40)의 전면(前面) 또는 상기 상부돌출부(40)의 전면(前面) 하부에 구비되며, 단부에 급수대(30)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고리(221a)가 구비된 스크린(221)이 구비되고, 스크린(221)을 당김으로써 펼쳐지고 스크린을 놓으면 스프링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되는 롤스크린(220)과,
    서로 마주보는 상기 측면커버부(210)의 전면(前面)부위 내측면에 구비되며 상기 급수대(30)와 상기 측면커버부(210) 및 상기 상부돌출부(40)에 의해 폐쇄된 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롤스크린(220)의 스크린(221)을 안내하는 스크린 안내부(230)와,
    상기 급수대(30)의 상부부위 정면에 구비되며 상기 롤스크린(220)의 스크린(221) 단부를 고정시키는 스크린 고정부(240)로 이루어져, 상기 정수기 코크(21) 및 급수대(30)의 살균을 위한 폐쇄된 공간을 형성하여 상기 자외선램프(60)의 조사에 의해 발생되는 오존에 의한 상기 정수기 코크(21) 및 급수대(30)의 접촉효율을 높여 살균력을 크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 또는 상기 상부돌출부(40)에는 사용자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자외선램프(60)를 작동시키며, 사용자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자외선램프(60)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감지센서(7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수 분사부(50)에 의해 분사되는 시간을 설정되도록 하는 타이머(150)와,
    상기 타이머(150)에 의해 설정된 시간에 맞춰 개폐되어 상기 살균수 분사부(50)에 의한 살균수의 분사를 제어하는 살균수 분사용 솔레노이드 밸브(16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5. 제 1 항, 제 3 항 내지 제 4 항에서 선택되는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모듈(140)에서 생성된 살균수의 일부를 상기 냉각부(130) 및 상기 수전부(20)로 공급하여 이들을 살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KR1020200043555A 2020-04-09 2020-04-09 정수기 KR1021968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3555A KR102196837B1 (ko) 2020-04-09 2020-04-09 정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3555A KR102196837B1 (ko) 2020-04-09 2020-04-09 정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6837B1 true KR102196837B1 (ko) 2020-12-30

Family

ID=74087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3555A KR102196837B1 (ko) 2020-04-09 2020-04-09 정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683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47585A (ko) * 2007-11-08 2009-05-13 주식회사 웰테크놀러지 저수조 및 수 라인을 자동으로 소독하는 정수기 및 그정수기의 소독방법
KR20140090079A (ko) * 2013-01-08 2014-07-16 박종하 살균수 세척수기
KR101910487B1 (ko) * 2018-03-21 2018-10-22 박종주 폐열회수기능이 부가된 절전형 냉온정수기
KR20190065580A (ko) * 2017-12-04 2019-06-12 김현석 자외선엘이디 살균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47585A (ko) * 2007-11-08 2009-05-13 주식회사 웰테크놀러지 저수조 및 수 라인을 자동으로 소독하는 정수기 및 그정수기의 소독방법
KR20140090079A (ko) * 2013-01-08 2014-07-16 박종하 살균수 세척수기
KR20190065580A (ko) * 2017-12-04 2019-06-12 김현석 자외선엘이디 살균장치
KR101910487B1 (ko) * 2018-03-21 2018-10-22 박종주 폐열회수기능이 부가된 절전형 냉온정수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9558B1 (ko) 멸균 냉온수 공급기기
US5147532A (en) Domestic grey water purifier using diverter and UV filter treater with preheater
KR100843313B1 (ko) 순환식 정수기
DK2323952T3 (en) A disinfection device with the power supply means and the liquid outlet
EP1852131B1 (en) Water dispenser with disinfection circuit
KR20100066115A (ko)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를 갖는 정수기
KR102196837B1 (ko) 정수기
KR100622574B1 (ko) 가열냉각식 음수대 및 그 사용방법
KR20090021233A (ko) 정수기의 살균장치
KR100906512B1 (ko) 간이화장실의 좌변기 세척장치
JP2003072896A (ja) 飲料用温水・冷水器
JP3099926U (ja) 飲料水用サーバー
KR20040073732A (ko) 단파살균램프가 장착된 생수기
KR20030035196A (ko) 자외선 살균기
KR200249747Y1 (ko) 단체급수용음수공급장치
KR101032200B1 (ko) 냉수와 온수의 순환교류방식에 따른 급수시스템
KR0118339Y1 (ko) 냉, 온수기
KR950001016Y1 (ko) 온냉수 겸용 정수기
JPH10235337A (ja) 水分配機
KR100454044B1 (ko) 항균기능을 갖는 냉온수공급기기
KR200411393Y1 (ko) 버블러가 구비된 냉온 정수기
CN217230308U (zh) 一种uv-led饮用水消毒系统
KR20070074069A (ko) 식기세척 및 자외선살균장치를 장착한 냉온정수기
KR100313366B1 (ko) 본체와 취수대 분리형 급수장치
KR101899060B1 (ko) 정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