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9726Y1 - 적층식 수납박스 - Google Patents

적층식 수납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9726Y1
KR200249726Y1 KR2020010021691U KR20010021691U KR200249726Y1 KR 200249726 Y1 KR200249726 Y1 KR 200249726Y1 KR 2020010021691 U KR2020010021691 U KR 2020010021691U KR 20010021691 U KR20010021691 U KR 20010021691U KR 200249726 Y1 KR200249726 Y1 KR 2002497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storage box
side wall
sides
stack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16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동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각기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각기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각기계
Priority to KR20200100216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972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97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9726Y1/ko

Links

Landscapes

  • Stackable Containers (AREA)

Abstract

본고안은 박스의 단변측 측벽에는 박스의 적층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하부에 각각 끼움구와 끼움홈을 형성한 걸이편을 중첩 설치함으로써 내용물이 담긴 박스의 강성 보강과 함께 다수의 박스들을 보다 용이하게 적층하여 운반, 보관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다수의 절첩선(3)에 의해 절첩되도록 한 수납박스(A)에 있어서, 박스 본체(1)의 바닥판(11) 양측으로 측벽(12)(13)을 연장 형성하되, 장변측 측벽(12)에는 양측으로 끼움공(14a)을 형성한 덮개(14)를 연장 형성하고, 절첩시 장변측 측벽(12) 양측으로 연장 형성된 부착편(15)에 부착되는 단변측 측벽(13)측 바닥판(11)에는 결합공(11a)을 형성함과 동시에 단변측 측벽(13)에는 상면에 다수의 끼움구(21)를 형성하고 하면에는 다수의 끼움홈(22)을 형성한 걸이편(2)을 각각 중첩되게 설치하여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식 수납박스이다.

Description

적층식 수납박스{pile up type storage box}
본고안은 적층식 수납박스에 관한것으로, 더욱상세하게는 박스의 단변측 측벽에는 박스의 적층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하부에 각각 끼움구와 끼움홈을 형성한 걸이편을 중첩 설치함으로써 내용물이 담긴 박스의 강성 보강과 함께 다수의 박스들을 보다 용이하게 적층하여 운반, 보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과일이나 기타 덩이 뿌리 식물등을 담아 포장, 운반하기 위해 다양한 형태의 박스가 사용되고 있는 실정인바, 이들 사용되고 있는 박스는 골판지등으로 되어 절첩 가능한 상태로 전개된 본체를 절첩선을 이용하여 박스 형태로 접어서 되는 것으로, 이들 박스는 상판 및 하판을 별도의 테이프로 부착하여 박스를 이루도록 하거나 상면이 개방되는 박스의 경우는 단순히 측판을 접어 서로 중첩되게 한 후 측판상에 또 다른 동일 규격의 박스가 얹혀져 적층될 수 있도록 하고 있는 것이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상면이 개방된채 다수 적층되도록 하는 박스의 경우는 측벽에 가해지는 상부 박스의 하중으로 인해 박스의 측벽이 상부에 다수 얹혀지는 박스의 무게를 견디지 못하고 주저 앉게 되므로 박스와 함께 내용물까지도 손상되는 경우가 발생될 뿐만 아니라, 다수 적층되는 박스를 서로 결합시키기 위한 박스 간의 연결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다수 적층되는 박스의 적층상태가 불안정하게 되는 문제가 있는 것이었다.
근래들어 다수 적층되는 박스의 적층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박스의 상단 양측에 걸림돌기를 형성하고 박스의 하단 양측에는 걸림공을 각각 형성한 실용신안등록 제192331호의 '수납용 박스'(이하 선등록고안이라 함)가 안출, 사용되고 있는 실정인바, 상기한 선등록고안의 수납용 박스는 박스가 다수 적층되는 과정에서 걸림돌기가 걸림공에 결합되게 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적층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그 걸림돌기와 걸림공이 서로 대향 설치되는 측판에 하나씩 형성되는 것이므로 결합상태가 안정적이지 못할 뿐만 아니라, 상기 선등록고안의 박스는 양 측벽 내부에 양지지판이 일정 부분 중첩되게 하여 지지벽면과 측벽에 의해 상면이 개방된 박스 형태를 이루도록 하고 있는 것이어서 측벽에 대한 보강재 역할이 한겹의 지지판에 의해서만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지지벽면도 단순히 그 자체만으로 벽면을 형성하고 있는 것이므로 수납박스가 그 내부에 내용물이 담긴채 적층되는 과정에서 측벽과 지지벽면에 과도한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 측벽과 지지벽면이 주저앉아 박스와 함께 그 내부에 담겨 포장된 내용물이 손상을 입게 되는등의 문제가 있는 것이었다.
따라서 본고안의 목적은 단순히 홀겹으로 되는 측벽을 가질 뿐만 아니라 단수의 걸림구에 의해 적층되는 다수의 박스가 서로 결합되어 적층 상태를 유지토록 하는 종래의 수납박스가 지닌 제반문제점을 해결하기위하여, 박스의 장변측 측벽에는 각각 덮개를 연장 설치하고 단변측 측벽에는 별도의 걸이편을 중첩 설치하는 것에 의해 박스 측벽에 대한 강도를 높여 내용물을 확실하게 보호함과 동시에 박스의 사용 수명을 연장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걸이편에 형성되는 끼움구와 끼움홈에 의해 다수의 박스를 순차적으로 적층할 수 있게 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다수의 박스를 운반, 보관할 수 있게 한 적층식 수납박스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박스의 일부 조립 상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박스의 일부 분해 사시도.
도 3a는 본 고안에 의한 박스를 이루는 박스 본체의 전개도.
도 3b는 본 고안에 의한 박스를 이루는 걸이편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박스의 사용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박스 본체 2 : 걸이편 3 : 절첩선
11 : 바닥판 11a : 결합공 12,13 : 측벽 14 : 덮개
14a : 끼움공 15 : 부착편 21 : 끼움구 22 : 끼움홈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적층식 수납박스는, 다수의 절첩선(3)에 의해 절첩되도록 한 수납박스(A)에 있어서, 박스 본체(1)의 바닥판(11) 양측으로 측벽(12)(13)을 연장 형성하되, 장변측 측벽(12)에는 양측으로 끼움공(14a)을 형성한 덮개(14)를 연장 형성하고, 절첩시 장변측 측벽(12) 양측으로 연장 형성된 부착편(15)에 부착되는 단변측 측벽(13)측 바닥판(11)에는 결합공(11a)을 형성함과 동시에 단변측 측벽(13)에는 상면에 다수의 끼움구(21)를 형성하고 하면에는 다수의 끼움홈(22)을 형성한 걸이편(2)을 각각 중첩되게 설치하여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본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적층식 수납박스의 구성을 나타내는 일부 조립 상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적층식 수납박스의 구성을 나타내는 일부 분해 사시도이며, 도 3a는 본 고안에 의한 적층식 수납박스를 이루는 박스 본체의 전개도이고, 도 3b는 본 고안에 의한 적층식 수납박스를 이루는 걸이편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적층식 수납박스의 사용 상태도로서, 그 구성은 박스 본체(1)와 걸이편(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박스 본체(1)는 다수의 절첩선(3)으로 연결되는 바닥판(11)과 단벽측 측벽(12)(12) 및 장벽측 측벽(13)(13)으로 되는 것으로, 절첩선(3)을 이용하여 바닥판(11) 네변측의 측벽(12)(13)을 절첩함으로써 덮개(14)를 갖는 일정 크기의 박스(A)를 얻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 바닥판(11)의 단변측 측벽(12)(12) 절첩부에는 다수의 결합공(11a)을 형성함과 동시에 장변측 측벽(13)(13)의 덮개(14) 절첩부에는 다수의 통기공(14a)을 형성하여 내부에 담겨지는 과일등의 내용물이 신선함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상기 덮개(14)의 양측에는 후술하는 걸이편(2)의 끼움구(21)에 끼워지는 끼움공(14a)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한 걸이편(2)은 상기 본체(1)의 단변측 측벽(12)(12) 내측에 각각 설치되어 수납박스(A)의 전체적인 강성을 높일 뿐만 아니라 다수의 수납박스(A)를 보다 용이하고 견고한 상태로 적층하여 운반, 보관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그 상단에는 장변측 측벽(12)에 연장되어 절첩되는 덮개(14)의 끼움공(14a)이 끼워져 결합되는 다수의 끼움구(21)를 돌출 설치하고, 그 하단에는 상기 끼움구(21)와 대응하는 위치에 하측에 위치되는 또 다른 수납박스(A)의 걸이편(2)에 형성되는 끼움구(21)가 끼워져 결합되는 다수의 끼움홈(22)을 요입 형성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되는 본고안에 의한 적층식 수납박스(A)의 실시 사용 상태에 대해 설명한다.
전개상태인 본체(1)의 바닥판(11)을 기준으로 절첩선(3)을 이용하여 각 측벽(12)(13)을 일으켜 세우면서 장변측 측벽(12) 양단의 부착편(15)을 접어 그 외면에 단변측 측벽(13)의 내면이 부착되게 접첩하여 세운 상태에서 상기 세워진 단변측 측벽(13)내면에 걸이편(2)을 중첩상태로 덧대어 설치하는 것으로, 이때 걸이편(2) 하면의 끼움홈(22)은 바닥판(11)에 형성되는 결합공(11a) 직상부에 위치되게 설치된다.
이와같이하여 본체(1)의 단변측 측벽(13) 내측으로 별도로 걸이편(2)을 중첩되게 설치한 상태에서 절첩되어 세워진 장변측 측벽(12)에 절첩선(3)에 의해 절첩가능하게 연장 형성되는 덮개(14)를 절첩하면서 덮개(14) 양측으로 형성된 끼움공(14a)이 단변측 측벽(13) 내측으로 중첩 설치되는 걸이편(2) 상단의 끼움구(21)에 각각 끼워져 결합되게 하면 하나의 적층식 수납박스(A)로서 조립 결합이 완료되게 되는데, 이때 본고안의 수납박스(A)는 단변측 측벽(13)에는 별도의 걸이편(2)이 중첩 설치됨으로 인해 수납박스(A)의 자체 강성을 높게 유지할 수 있어 보다 완벽하게 내용물을 보호할 수 있게 됨과 동시에 걸이편(2) 상, 하단에 형성되는 끼움구(21)와 끼움홈(22)에 의해 다수의 수납박스(A)를 보다 완벽하고 용이하게 적층, 보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수납박스(A)는 덮개(14)가 덮힌 상태가 수납박스(A)의 상면을 완전히 밀폐시키지 않고 덮개(14)와 덮개(14) 사이에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하고 있음으로 인해 외부에서 수납박스(A)내에 담겨진 내용물의 파악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장변측 측벽(12)에 형성되는 다수의 통기공(12a)과 함께 수납박스(A) 내부 공간에 대한 외부 공기의 순환이 원할하게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내용물을 장기간 동안 신선하게 보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본체(1)를 이루는 장변측 측벽(12)과 단변측 측벽(13)에 각각 연관되는 구성을 상기 설명한 구성예와는 달리 단변측 측벽(13)에 덮개(14)가 연장 형성되게 하고 장변측 측벽(12)에 별도의 걸이편(2)을 중첩 설치하는 식으로 변형 실시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고안은 비록 상기의 실시예에 한하여 설명하였지만 반드시 여기에만 한정되는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범주와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의 설명에서 분명히 알수있듯이 본고안의 적층식 수납박스에 의하면, 수납박스를 이루는 본체의 단변측 측벽에는, 끼움구와 끼움홈을 갖는 걸이편을 중첩 설치하고 장변측 측벽에는 양단이 걸이편의 끼움구에 결합되는 덮개를 연장 설치함으로써 수납박스의 측벽에 대한 강도를 높여 내용물의 보호와 함께 박스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일측벽에 설치되는 걸이편의 끼움구와 끼움홈에 의해 다수의 박스를 순차적으로 적층할 수 있게 하여 박스 내부에 대한 외기 순환이 가능한 상태에서 보다 안정적으로 다수의 수납박스를 운반, 보관할 수 있게 되므로 보다 효율적으로 수납박스를 사용할 수 있게 되는등의 유용한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1)

  1. 다수의 절첩선(3)에 의해 절첩되도록 한 수납박스(A)에 있어서,
    본체(1)의 바닥판(11) 양측으로 측벽(12)(13)을 연장 형성하되, 장변측 측벽(12)에는 양측으로 끼움공(14a)을 형성한 덮개(14)를 연장 형성하고, 절첩시 장변측 측벽(12) 양측으로 연장 형성된 부착편(15)에 부착되는 단변측 측벽(13)측 바닥판(11)에는 결합공(11a)을 형성함과 동시에 단변측 측벽(13)에는 상면에 다수의 끼움구(21)를 형성하고 하면에는 다수의 끼움홈(22)을 형성한 걸이편(2)을 각각 중첩되게 설치하여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식 수납박스.
KR2020010021691U 2001-07-18 2001-07-18 적층식 수납박스 KR2002497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1691U KR200249726Y1 (ko) 2001-07-18 2001-07-18 적층식 수납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1691U KR200249726Y1 (ko) 2001-07-18 2001-07-18 적층식 수납박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9726Y1 true KR200249726Y1 (ko) 2001-11-17

Family

ID=731052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1691U KR200249726Y1 (ko) 2001-07-18 2001-07-18 적층식 수납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972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232373U (ja) 生鮮商品運送用で、優れた熱絶縁性と水密性を有し、箱の最終シール工程用の粘着テープの貼り付けを容易にし、以下を特徴とする段ボール箱
US4402452A (en) Foldable reusable shipping carton
US7261231B2 (en) Pizza box
WO1996036540A1 (en) Package for fragile goods
CN214876318U (zh) 包装箱及具有其的包装集合体
US7837089B2 (en) Bulk material box
KR200249726Y1 (ko) 적층식 수납박스
US10829266B2 (en) Foldable clamshell carton
KR200457548Y1 (ko) 절첩식 상자
KR20180090921A (ko) 계란 포장용 상자
KR200249727Y1 (ko) 탈, 부착식 측판을 갖는 적층식 수납박스
KR200240523Y1 (ko) 적층식 수납 박스
KR20200044865A (ko) 골판지의 누출방지 및 액밀 포장 박스 및 그 제조 방법
CN211711310U (zh) 物流筐
KR20130002501U (ko) 과일 포장박스
US5263636A (en) Produce carton strenghening bracket and produce carton
KR20190118255A (ko) 다단 적재형 조립식 박스
JP3210971U (ja) 仕切付き折畳箱
KR200235392Y1 (ko) 포장용 박스
US5421511A (en) Produce carton strengthening bracket and produce carton
CN214493677U (zh) 包装箱及设有其的包装设计结构
KR200406280Y1 (ko) 포장박스
JPS5910032Y2 (ja) 瓶輸送箱
KR102426598B1 (ko) 녹다운형 카톤박스
KR200440735Y1 (ko) 휴대폰 포장 상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90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