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8255A - 다단 적재형 조립식 박스 - Google Patents

다단 적재형 조립식 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8255A
KR20190118255A KR1020180041382A KR20180041382A KR20190118255A KR 20190118255 A KR20190118255 A KR 20190118255A KR 1020180041382 A KR1020180041382 A KR 1020180041382A KR 20180041382 A KR20180041382 A KR 20180041382A KR 20190118255 A KR20190118255 A KR 201901182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wing
wall
parts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13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익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광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광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광동
Priority to KR10201800413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18255A/ko
Publication of KR201901182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82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09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one-upon-the-other in the upright or upside-down position
    • B65D21/0213Containers presenting a continuous stacking profile along the upper or lower edge of at least two opposite side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22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8Handles
    • B65D25/30Hand h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Stackable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단 적재형 조립식 박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박스 모서리 부분에 코너캡을 설치하지 않고도 박스를 다단으로 적재 가능함으로써 공간을 작게 차지할 뿐만 아니라 작업이 용이하도록 하는 다단 적재형 조립식 박스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상부가 개방되도록 조립되는 박스에 있어서, 사각 판상의 바닥부; 바닥부의 좌우측에 형성되어 수직으로 접혀 세워지는 한 쌍의 측부; 바닥부의 전후측에 형성되어 수직으로 접혀 세워지는 한 쌍의 벽부; 벽부의 양측에 측부와 이격되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연장 형성되는 것으로, 벽부가 세워진 후 측부를 감싸 부착되는 날개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박스는, 측부의 상단이 날개부의 상단보다 상대적으로 낮게 형성되고, 측부의 하단이 날개부의 하단보다 상대적으로 함몰 형성됨으로써, 상하로 다단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적재형 조립식 박스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다단 적재형 조립식 박스{Self-assembly box capable of loading in a multilayer}
본 발명은 다단 적재형 조립식 박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박스 모서리 부분에 코너캡을 설치하지 않고도 박스를 다단으로 적재 가능함으로써 공간을 작게 차지할 뿐만 아니라 작업이 용이하도록 하는 다단 적재형 조립식 박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물을 차량 또는 선박 또는 항공기 등의 운송수단을 이용해 장거리 수송할 때는 규격화된 크기의 컨테이너를 이용하게 되는데, 이때 화물은 통상 박스 내부에 수용되도록 포장한 후 컨테이너 내부에 다단으로 적재된 상태로 수송된다.
이렇게 박스를 다단으로 적재할 때, 적재되는 박스의 하부를 지지하기 위하여 박스의 상부 모서리에 코너캡이 마련된다.
코너캡과 관련된 종래 기술인 '포장용 박스 적층용 받침대(등록번호: 20-0345356)'를 살펴보면, 박스를 다단으로 적재하기 위하여 박스 상부의 모서리 부분에 끼워지는 삽입부(1)를 갖도록 내벽과 외벽에 각각 밀착 지지되는 내측의 격벽(3)과 외측의 지지부재(2)로 이루어지고, 지지부재(2)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되어 격벽(3)의 상단 부위 사이를 연장 연결하는 받침날개(5)가 형성된 받침대를 제시한바 있다.
하지만 필요에 따라 박스 상부의 모서리 부분에 받침대를 설치했다가 설치해제하는 작업을 반복하게 되면 받침대가 분실되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으므로, 별도의 받침대를 사용하지 않고도 박스 자체만으로 안전하고 용이하게 다단 적재가 가능하도록 하는 새로운 기술개발 연구가 절실히 요구되는 시점이다.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45356호, 2004.03.08.자 등록.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박스 모서리 부분에 코너캡을 설치하지 않고도 박스를 다단으로 적재 가능함으로써 공간을 작게 차지할 뿐만 아니라 작업이 용이하도록 하는 다단 적재형 조립식 박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부가 개방되도록 조립되는 박스에 있어서, 사각 판상의 바닥부; 상기 바닥부의 좌우측에 형성되어 수직으로 접혀 세워지는 한 쌍의 측부; 상기 바닥부의 전후측에 형성되어 수직으로 접혀 세워지는 한 쌍의 벽부; 및 상기 벽부의 양측에 상기 측부와 이격되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연장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벽부가 세워진 후 상기 측부를 감싸 부착되는 날개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박스는, 상기 측부의 상단이 상기 날개부의 상단보다 상대적으로 낮게 형성되고, 상기 측부의 하단이 상기 날개부의 하단보다 상대적으로 함몰 형성됨으로써, 상하로 다단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적재형 조립식 박스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박스는, 상기 측부의 상단과 상기 날개부의 내면 사이에 일정한 폭과 높이를 가진 제1끼움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측부의 하단과 상기 날개부의 하단 사이에 일정한 폭과 높이를 가진 제2끼움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벽부는, 상기 바닥부의 전후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연결부에 의해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날개부는, 상기 벽부의 양단에 형성되는 제1날개판; 및 상기 제1날개판의 외측에 상기 벽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어 상기 측부와 부착되는 제2날개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한 본 발명에 따른 다단 적재형 조립식 박스는, 박스 모서리 부분에 코너캡을 설치하지 않고도 박스를 다단으로 적재 가능함으로써 공간을 작게 차지할 뿐만 아니라 작업이 용이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적재되는 과정.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적재된 박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박스는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바닥부(100), 측부(200), 벽부(300), 날개부(400) 및 연결부(500)로 이루어져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상부가 개방되도록 조립됨을 확인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적재되는 과정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적재된 박스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조립이 완료된 박스가 다단으로 적층되는 과정을 도시한 것임을 알 수 있고, 도 4를 참조하면 다단으로 적재가 완료된 박스들의 모습을 도시한 것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도 3 및 도 4를 통하여 본 발명은 박스를 적층하기 위한 별도의 코너캡이 박스 모서리에 설치되지 않더라도 다수 개의 박스를 안전하고 용이하게 다단으로 적재 가능하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임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닥부(100)는 사각 판상으로 이루어진 구성이다.
말하자면 바닥부(100)는 직사각형 형상의 평판형인 것으로, 지면에 접촉되어 박스 내부에 수용되는 화물을 받치는 작용을 한다.
단,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바닥부(100)를 직사각형 형상으로 도시하였지만, 반드시 직사각형 형상에 한정되는 것만은 아니고 정사각형으로도 형성 가능하다.
본 발명의 측부(200)는 바닥부(100)의 좌우측에 한 쌍으로 형성되어 수직으로 접혀 세워지는 구성이다.
즉 사각 판상의 바닥부(100) 좌우측단에는 제1접힘선(L1)을 기준으로 측부(200)가 연장 형성됨으로써,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제1접힘선(L1)을 따라 측부(200)를 바닥부(100)와 수직되게 상향으로 접어 세워지도록 하여 박스 내부의 좌우측을 폐쇄하는 작용을 한다.
여기서 한 쌍의 측부(200)에는 손잡이홈(210)이 관통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박스를 쉽게 들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손에 상처를 입히지 않도록 타원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손잡이홈(210)은 반드시 타원형으로 이루어지는 것만은 아니라 다양한 형상으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추가적으로, 손잡이홈(210)에는 손잡이보호링(211a), 제1가드편(211b) 및 제2가드편(211c)으로 이루어진 손잡이보호부재(211)가 설치될 수 있다.
손잡이보호링(211a)은 손잡이홈(210)의 내주면에 접촉되게 설치되는 것으로, 손잡이홈(210)을 형성할 때 만들어지는 단프라시트 사이의 공간에 날카로운 부분에 의해 손을 다치지 않도록 해주는 구성이다.
제1가드편(211b)은 손잡이보호링(211a) 일측의 상하부에 손잡이보호링(211a)과 수직되게 절곡 형성되는 것으로, 측부(200)의 외면에 밀착되어 손잡이홈(210)의 내주면에 밀착된 손잡이보호링(211a)이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막아주는 구성이다.
제2가드편(211c)은 손잡이보호링(211a) 타측의 좌우부에 손잡이보호링(211a)과 수직되게 절곡 형성되는 것으로, 제1가드편(211b)과 마찬가지로 측부(200)의 내면에 밀착되어 제1가드편(211b)과 함께 손잡이홈(210)의 내주면에 밀착된 손잡이보호링(211a)이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막아주는 구성이다.
본 발명의 벽부(300)는 바닥부(100)의 전후측에 한 쌍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수직으로 접혀 세워지는 구성이다.
벽부(300)를 설명하기 전에, 바닥부(100)의 전후측단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연결부(500)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연결부(500)는 측부(200)와 제1날개판(410) 사이에 이격된 공간을 만들어주기 위한 것으로, 제1접힘선(L1)을 기준으로 바닥부(100)와 수직되게 접혀 세워지도록 한다.
만약 연결부(500)가 형성되어있지 않으면, 제2끼움공간(S2)이 형성될 수 없기 때문에 다수 개의 박스를 다단으로 안정되게 적층할 수 없게 된다.
이어서 연결부(500)의 끝단에 벽부(300)가 연장 형성될 수 있는데, 즉 벽부(300)는 바닥부(100)의 전후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연결부(500)에 의해 연결 형성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날개부(400)는 벽부(300)의 양측에 측부(200)와 이격되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연장 형성되는 것으로, 벽부(300)가 세워진 후 측부(200)를 감싸 부착되는 구성이다.
즉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날개부(400)는 벽부(300)의 양측에 추가적으로 연장 형성된 것으로, 제2접힘선(L2)을 기준으로 벽부(300)를 바닥부(100)와 수직되게 세워 접은 후, 벽부(300)와 제1날개판(410) 사이의 제3접힘선(L3)을 기준으로 측부(200)의 외면을 감싸 측부(200)의 강성을 보강해주고 조립된 박스 모양을 안정적으로 지지해주는 작용을 한다.
내용인즉 날개부(400)는 벽부(300)의 좌우측단에 제3접힘선(L3)을 접히는 제1날개판(410)과, 제1날개판(410)의 외측에 벽부(3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돌출 형성되는 제2날개판(420)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측부(200)의 외면에 장착된 제1벨크로(V1)와, 제2날개판(420)의 내면에 장착된 제2벨크로(V2)가 상호 부착되어 측부(200)와 결합되는 것이다.
특히 도 3을 살펴보면, 박스가 다단으로 적재되는 모습임을 확인할 수 있는데, 즉 조립이 완성된 박스는 측부(200)의 상단이 날개부(400)의 상단보다 상대적으로 낮게 형성되고, 측부(200)의 하단이 날개부(400)의 하단보다 상대적으로 함몰 형성됨으로써, 상하로 다단 적층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측부(200)와 날개부(400)를 통하여 박스가 다단으로 적층 또는 적재되는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측부(200)의 상단과 날개부(400)의 내면 사이에 일정한 폭과 높이를 가진 제1끼움공간(S1)이 형성되고, 측부(200)의 하단과 날개부(400)의 하단 사이에 일정한 폭과 높이를 가진 제2끼움공간(S2)이 형성됨이 확인 가능하다.
더욱 상세하게는, 측부(200)의 상단과 날개부(400)의 내면 사이에는 일정 높이(a1)와 일정 폭(b1)을 가진 제1끼움공간(S1)이 형성되고, 측부(200)의 하단과 날개부(400)의 하단 사이에 일정 높이(a2)와 일정 폭(b2)을 가진 제2끼움공간(S2)이 형성될 수 있다.
쉽게 말하여, 제1끼움공간(S1) 및 제2끼움공간(S2)은 측부(200)와 날개부(400) 사이에 형성되는 단턱만으로 박스를 다단으로 적층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연결부(500)는 바닥부(100)의 전후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것으로, 바닥부(100)와 벽부(300)를 연결하는 구성이다.
즉 연결부(500)는 도 1에 도시된 전개도에서 보는 것과 같이, 측부(200)와 제1날개판(410) 사이에 이격되는 공간을 만들어주어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것과 같이, 제2끼움공간(S2)을 만들어주기 위한 것이다.
단, 연결부(500)는 상기의 벽부(300)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이미 기술한 바이므로, 더이상의 설명은 여기서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도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바닥부
200: 측부
210: 손잡이홈
211: 손잡이보호부재
211a: 손잡이보호링
211b: 제1가드편
211c: 제2가드편
300: 벽부
400: 날개부
410: 제1날개판
420: 제2날개판
500: 연결부
L1: 제1접힘선
L2: 제2접힘선
L3: 제3접힘선
S1: 제1끼움공간
S2: 제2끼움공간
V1: 제1벨크로
V2: 제2벨크로

Claims (4)

  1. 상부가 개방되도록 조립되는 박스에 있어서,
    사각 판상의 바닥부;
    상기 바닥부의 좌우측에 형성되어 수직으로 접혀 세워지는 한 쌍의 측부;
    상기 바닥부의 전후측에 형성되어 수직으로 접혀 세워지는 한 쌍의 벽부; 및
    상기 벽부의 양측에 상기 측부와 이격되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연장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벽부가 세워진 후 상기 측부를 감싸 부착되는 날개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박스는,
    상기 측부의 상단이 상기 날개부의 상단보다 상대적으로 낮게 형성되고, 상기 측부의 하단이 상기 날개부의 하단보다 상대적으로 함몰 형성됨으로써, 상하로 다단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적재형 조립식 박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는,
    상기 측부의 상단과 상기 날개부의 내면 사이에 일정한 폭과 높이를 가진 제1끼움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측부의 하단과 상기 날개부의 하단 사이에 일정한 폭과 높이를 가진 제2끼움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적재형 조립식 박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벽부는,
    상기 바닥부의 전후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연결부에 의해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적재형 조립식 박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는,
    상기 벽부의 양단에 형성되는 제1날개판; 및
    상기 제1날개판의 외측에 상기 벽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어 상기 측부와 부착되는 제2날개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적재형 조립식 박스.
KR1020180041382A 2018-04-10 2018-04-10 다단 적재형 조립식 박스 KR201901182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1382A KR20190118255A (ko) 2018-04-10 2018-04-10 다단 적재형 조립식 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1382A KR20190118255A (ko) 2018-04-10 2018-04-10 다단 적재형 조립식 박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8255A true KR20190118255A (ko) 2019-10-18

Family

ID=684625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1382A KR20190118255A (ko) 2018-04-10 2018-04-10 다단 적재형 조립식 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1825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00039U (ko) 2022-06-30 2024-01-08 주식회사 올리빙 도어 개폐형 폴딩 박스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5356Y1 (ko) 1999-03-18 2004-03-19 김강철 포장용 박스 적층용 받침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5356Y1 (ko) 1999-03-18 2004-03-19 김강철 포장용 박스 적층용 받침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00039U (ko) 2022-06-30 2024-01-08 주식회사 올리빙 도어 개폐형 폴딩 박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72122B2 (en) Container with a reinforcement structure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US11267609B2 (en) Stackable pallet display
JP6290234B2 (ja) センタリングタブを有する段ボール箱、そのような箱を作るためのブランク、ブランクの組及び方法
US10730656B2 (en) Crate in the form of a flap-adhesively-bonded box composed of cardboard
EP3031739A1 (en) Package box
CN205098606U (zh) 一种连体自锁式折叠包装箱
JP2016502482A5 (ko)
JP2010111421A (ja) 紙製収容箱
KR100781612B1 (ko) 종이 포장상자
KR20190118255A (ko) 다단 적재형 조립식 박스
US20160229580A1 (en) Blank of sheet material having centring tabs, box and method implementing such a blank
AU2015201241B2 (en) Cross Stackable Trays and Blanks Therefor
CN212739090U (zh) 循环包装箱
CN111348303A (zh) 一种双层纸盒
RU159340U1 (ru) Складной лоток
KR101782111B1 (ko) 포장용 박스
CN204660223U (zh) 一种可折叠可堆叠式纸箱及其组件
CN214690725U (zh) 一种堆叠式水果包装盒
CN216784164U (zh) 一种易于折叠回收的包装箱
KR200443133Y1 (ko) 포장박스
KR200249726Y1 (ko) 적층식 수납박스
KR200440735Y1 (ko) 휴대폰 포장 상자
CN105438596A (zh) 组装式单元箱用l字形套筒及具备其的组装式单元箱
CN203793824U (zh) 正方形折叠式包装盒
CN203793823U (zh) 长方形折叠式包装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