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0039U - 도어 개폐형 폴딩 박스 - Google Patents

도어 개폐형 폴딩 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0039U
KR20240000039U KR2020220001608U KR20220001608U KR20240000039U KR 20240000039 U KR20240000039 U KR 20240000039U KR 2020220001608 U KR2020220001608 U KR 2020220001608U KR 20220001608 U KR20220001608 U KR 20220001608U KR 20240000039 U KR20240000039 U KR 2024000003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door
side wall
support body
folding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200016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국태
김혜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올리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올리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올리빙
Priority to KR20202200016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00039U/ko
Publication of KR2024000003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0039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 B65D11/18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collapsible, i.e. with walls hinged together or detachably connected
    • B65D11/1833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collapsible, i.e. with walls hinged together or detachably connected whereby all side walls are hingedly connected to the base pan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01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side-by-side
    • B65D21/02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side-by-side and loosely interengaged by integral complementary sha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6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with movable parts adapted to be placed in alternative positions for nesting the containers when empty and for stacking them when fu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igid Containers With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펼쳐서 조립한 언폴딩 상태에서 일면에 구비된 도어의 개폐가 가능하고, 견고하고 다단의 수납공간을 갖는 폴딩 박스를 제공할 수 있고, 언폴딩 상태에서 최대한 부피를 줄일 수 있는 폴딩 구조로 구현하여 보관 및 운반이 매우 용이한 도어 개폐형 폴딩 박스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받침 바디; 상기 받침 바디의 좌우 양측에서 하단부를 축으로 회동가능하게 구비되어 펼침 시 박스의 좌우 측벽을 형성하는 제1 측벽체와 제2 측벽체; 상기 받침 바디의 전방 측에서 하단부를 축으로 회동가능하게 구비되고, 개폐가능한 도어를 갖는 도어 구비 벽체; 상기 받침 바디의 후방 측에서 하단부를 축으로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후방 벽체; 및 상기 제1 측벽체와, 제2 측벽체와, 도어 구비 벽체 및 후방 벽체가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제1 측벽체와 제2 측벽체와 도어 구비 벽체 및 후방 벽체의 상단에 조립되어 박스의 상측 개방부를 커버하도록 구비되는 마감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측벽체와, 제2 측벽체와, 도어 구비 벽체 및 후방 벽체는 상기 받침 바디에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조를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측벽체와 제2 측벽체는 중첩되게 적층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폐형 폴딩 박스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도어 개폐형 폴딩 박스 {FOLDING BOX CAPABLE OF OPENING AND CLOSING DOOR}
본 고안은 도어 개폐형 폴딩 박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펼쳐서 조립한 언폴딩 상태에서 일면에 구비된 도어의 개폐가 가능하고, 견고하고 다단의 수납공간을 갖는 폴딩 박스를 제공할 수 있고, 언폴딩 상태에서 최대한 부피를 줄일 수 있는 폴딩 구조로 구현하여 보관 및 운반이 매우 용이한 도어 개폐형 폴딩 박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폴딩 박스라 함은 플라스틱 등의 합성수지재 접이식 상자를 일컫는다.
통상적으로, 폴딩 박스는 바닥판의 가장자리 상측으로부터 전면판과 후면판 및 양쪽의 측면판 하단이 각기 힌지 결합되어 상기 바닥판의 상측으로 이들 전면판과 후면판 및 양쪽의 측면판이 수평 상태로 접혀져 보관 및 운반되거나, 이들 전면판과 후면판 및 양쪽의 측면판을 바닥판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세워 다양한 물품의 수납이 가능한 상자 형태로 전개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들어져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폴딩박스는 최소의 점유 공간을 갖도록 접어 보관 및 휴대하다가 필요시 빠르고 간편하게 전개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가정이나 다양한 상업 및 공업 분야에서 다양한 물품의 보관이나 운반의 목적으로 널리 애용되고 있다.
이러한 폴딩박스는 일 예로 공개특허 제10-2012-0050129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에서 폴딩 박스는 장측판, 단측판, 밑판 및 상부프레임을 포함하되; 내용물로의 손쉬운 접근을 방지하기 위한 시건수단을 포함하여 만들어지는 것으로, 상기 시건수단은 상기 단측판이 상기 제1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되지 못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단측판 내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단측판의 측단 또는 하단 가장자리로부터 외부를 향해 돌출될 수 있도록 잠금구가 설치되며, 상기 단측판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잠금구의 선단이 끼워질 수 있는 끼움공이 상기 장측판의 내면 또는 상기 밑판의 상면에 마련되도록 구성된 접이식 포장상자가 안출된 바 있는 것으로, 접혀진 상태에서의 부피를 대폭 줄일 수 있도록 개선된 바 있다.
또한, 등록특허 제10-1831840호의 경우 밑판 및 상기 밑판의 좌측 및 우측 모서리부에서 각각 직립되어 있으며. 상부 모서리에 복수개의 측면 프레임 체결부가 마련되어 있는 좌측 지지대 및 우측 지지대, 그리고, 상기 밑판의 전면 및 후면 모서리부에서 각각 직립되어 있으며 상부 모서리에 복수개의 전후면 프레임 체결부가 마련되어 있는 전면 지지대 및 후면 지지대를 갖는 밑판 프레임, 제1측판 및 상기 제1측판의 네 모서리부에 각각 마련되어 있는 제1상부 외곽 프레임부, 하부를 향해 돌출되어 상기 측면 프레임 체결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복수개의 제1지지대 체결부재를 갖는 제1하부 외곽프레임부, 그리고 복수개의 프레임 체결 돌기가 구비된 제1측면 외곽프레임부를 각각 갖는 좌측면 프레임 및 우측면 프레임, 그리고 제2측판과 상기 제2측판의 네 모서리부에 각각 마련되어 있는 제2상부 외곽프레임부, 하부를 향해 돌출되어 상기 전후면 프레임 체결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복수개의 제2지지대 체결부재를 갖는 제2 하부 외곽프레임부 및 상기 프레임 체결 돌기를 수용 결합하는 복수개의 프레임 체결 돌기 결합공이 구비된 제2측면 외곽프레임부를 각각 갖는 전면 프레임 및 후면 프레임을 포함하여 된 접이식 상자가 안출 및 등록된 바 있다.
그러나 기존의 폴딩박스 혹은 접이식 상자의 경우에는 바닥플레이트로부터 사방의 패널이 더욱 용이하게 회전하여 빠르게 접이 상태 또는 전개 상태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개선한 것에 불과한 것이고, 다양한 구조 및 형태의 잠금 수단을 기존의 폴딩박스 혹은 접이식 박스에 부과한 것이 지나지 않는 것이다.
즉, 기존의 폴딩박스 혹은 접이식 상자는 기본적으로 전면판과 후면판 및 양쪽의 측판 하단이 바닥플레이트의 선단에 각기 힌지 결합된 구성을 바탕으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이들 플레이트와 패널 간의 힌지 결합구조에 대한 단순한 개선 또는 상호 교차 방향으로 끝단이 면접하는 패널 간의 잠금 구조에 대한 단순한 개선 또는 이들 패널에 대한 접이 상태에서의 점유 공간 축소 구조 등 지극히 제한적인 구조에 한정된 상태로 개선되어 오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소비자는 다양한 구조 및 형태의 폴딩박스 혹은 접이식 상자(이하, 모두 폴딩박스라 칭함)가 무수히 출시 및 제공됨에도 불구하고 모두 대동소이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는 문제점을 갖는 것으로, 각 판매자 혹은 제조사에는 가격 경쟁력 이외의 뚜렷한 기능상의 경쟁력을 전혀 갖고 있지 않은 것이고 이에 따라 상호 가격 경쟁에서 오는 경제성 악화 및 원자재와 물류비 증가 등에 대한 압박이 지속됨에 따라 기존의 폴딩박스와는 차별화된 기능적 특징 및 작용상의 특징을 갖는 효율적인 폴딩박스가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2-0050129(2012.05.18.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9-0118255(2019.10.18. 공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996188(2019.07.08.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212322(2012.12.13.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947238(2010.03.11. 공고)
따라서,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펼쳐서 조립한 언폴딩 상태에서 일면에 구비된 도어의 개폐가 가능하고, 견고하고 다단의 수납공간을 갖는 폴딩 박스를 제공할 수 있고, 언폴딩 상태에서 최대한 부피를 줄일 수 있는 폴딩 구조로 구현하여 보관 및 운반이 매우 용이한 도어 개폐형 폴딩 박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본 고안의 목적들 및 다른 특징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관점에 따르면, 전후 및 좌우 측이 접혀진 상태에서 펼쳐서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는 폴딩 박스로서, 받침 바디; 상기 받침 바디의 좌우 양측에서 하단부를 축으로 회동가능하게 구비되어 펼침 시 박스의 좌우 측벽을 형성하는 제1 측벽체와 제2 측벽체; 상기 받침 바디의 전방 측에서 하단부를 축으로 회동가능하게 구비되고, 개폐가능한 도어를 갖는 도어 구비 벽체; 상기 받침 바디의 후방 측에서 하단부를 축으로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후방 벽체; 및 상기 제1 측벽체와, 제2 측벽체와, 도어 구비 벽체 및 후방 벽체가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제1 측벽체와 제2 측벽체와 도어 구비 벽체 및 후방 벽체의 상단에 조립되어 박스의 상측 개방부를 커버하도록 구비되는 마감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측벽체와, 제2 측벽체와, 도어 구비 벽체 및 후방 벽체는 상기 받침 바디에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조를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측벽체와 제2 측벽체는 중첩되게 적층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폐형 폴딩 박스가 제공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받침 바디는 받침대부, 및 상기 받침대부의 좌우 양측에서 상방(上方)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받침 측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대부는 하면 가장자리를 따라 조립 홈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1 측벽체와 제2 측벽체와 도어 구비 벽체 및 후방 벽체 각각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조립 돌부에 끼움 결합되게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측벽체 및 제2 측벽체는 판상의 벽체부, 및 상기 벽체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일측으로 절곡 형성되는 절곡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벽체, 제2 측벽체, 도어 구비 벽체, 및 후방 벽체 각각의 하단부와 상기 받침 바디 간은 조립 결합부를 통해 결합되되, 상기 조립 결합부는, 하단부에서 하방으로 연장하는 하나 또는 평행하는 한 쌍의 연장 로드; 상기 연장 로드의 끝단에 직교하게 형성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이 형성되는 위치에 상응하는 위치의 상기 받침 바디의 내벽에서 상단에서 하부 측으로 절개 형성되는 장착홈; 및 상기 장착홈에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축 지지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연장 로드는 상기 제1 측벽체의 연장 로드와 좌측 벽체의 연장 로드 중 하나는 상대적으로 다른 하나보다 길게 형성되고, 상기 장착홈은 상기 연장 로드의 길이에 상응하는 깊이를 갖고 형성되며, 상기 회전축 지지 돌기는, 상기 장착홈의 일측에 형성되되 상단 일측부가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가이드 돌기부, 및 상기 장착홈의 내벽에서 상기 가이드 돌기부 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회전축 지지돌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 지지돌기부의 하면과 상기 회전축의 하면은 면 접촉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은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제1 측벽체, 제2 측벽체, 도어 구비 벽체, 및 후방 벽체 각각이 상기 받침 측벽부와 동일 평면인 상태에서 상방을 향하는 측이 평편(flat)하게 형성되며, 상기 회전축 지지돌기부의 하면은 평편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벽체, 제2 측벽체, 도어 구비 벽체, 및 후방 벽체 각각의 상단부와 상기 받침 바디 간에는 요철 결합되는 장착 결합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 측벽체, 제2 측벽체, 도어 구비 벽체, 및 후방 벽체 중 적어도 2개 이상의 상단부와 상기 마감 커버 간에는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보조 조립 결합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장착 결합부는, 상기 제1 측벽체, 제2 측벽체, 도어 구비 벽체, 및 후방 벽체 각각의 상단부와 상기 받침 바디 중 하나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장착 돌기부, 및 상기 제1 측벽체, 제2 측벽체, 도어 구비 벽체, 및 후방 벽체 각각의 상단부와 상기 받침 바디 중 다른 하나에 상기 장착 돌기부에 상응하게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장착 홈부를 포함하며, 상기 보조 조립 결합부는, 상기 제1 측벽체, 제2 측벽체, 도어 구비 벽체, 및 후방 벽체 중 2개 이상의 벽체와 상기 마감 커버 중 하나에 형성되는 걸림 후크, 및 상기 제1 측벽체, 제2 측벽체, 도어 구비 벽체, 및 후방 벽체 중 2개 이상의 벽체와 상기 마감 커버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 후크가 걸림 고정 및 해제되는 결합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도어 구비 벽체는, 중앙부가 개구된 도어 프레임, 및 상기 도어 프레임의 개구 부에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는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의 하단부 양측에는 힌지축이 형성되고, 상기 도어 프레임에는 상기 힌지축이 상하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동가능한 장공이 형성되며, 상기 도어의 상단부 내면 양측에는 후크형 제1 걸림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도어 프레임의 상단부 양측에는 상기 도어를 상방으로 이동 시 상기 후크형 제1 걸림 돌기가 걸림 해제되고, 하방으로 이동 시 상기 후크형 제1 걸림 돌기에 걸림되는 후크형 제2 걸림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본 고안에 따른 도어 개폐형 폴딩 박스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본 고안은 동일한 부피의 폴딩된 상태에서 펼쳤을 때 상대적으로 큰 수납 공간을 갖는 폴딩 박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본 고안은 접이식 폴딩박스이면서도 박스 형태로 조립된 상태에서 일면에서 도어의 개폐가 가능한 폴딩박스를 제공할 수 있어 제품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본 고안은 다단 구조의 수납공간을 형성할 수 있으면서 견고한 폴딩 박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도어 개폐형 폴딩 박스가 1단으로 접혀진(폴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도어 개폐형 폴딩 박스가 2단으로 접혀진(폴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도어 개폐형 폴딩 박스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도어가 폐쇄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도어 개폐형 폴딩 박스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도어 개폐형 폴딩 박스에 포함되는 도어 및 도어프레임을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도어 개폐형 폴딩 박스에 포함되는 도어 프레임과 도어 간의 착탈 결합부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도어 개폐형 폴딩 박스에 포함되는 받침 바디와 벽체 간의 조립 결합부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도어 개폐형 폴딩 박스에 포함되는 받침 바디와 벽체 간의 조립 결합부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도어 개폐형 폴딩 박스에 포함되는 받침 바디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도어 개폐형 폴딩 박스에 포함되는 측벽체의 하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도어 개폐형 폴딩 박스에 포함되는 측벽체와 마감 커버를 분리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고안에 따른 도어 개폐형 폴딩 박스에 포함되는 측벽체와 마감 커버를 결합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 내지 도 15는 본 고안에 따른 도어 개폐형 폴딩 박스를 박스 형태로 형성하기 위한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6은 본 고안에 따른 도어 개폐형 폴딩 박스를 시제작한 제품을 촬영한 사진이다.
본 고안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고안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고안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은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해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도어 개폐형 폴딩 박스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도어 개폐형 폴딩 박스가 1단으로 접혀진(폴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도어 개폐형 폴딩 박스가 2단으로 접혀진(폴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도어 개폐형 폴딩 박스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도어가 폐쇄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도어 개폐형 폴딩 박스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도어 개폐형 폴딩 박스에 포함되는 도어 및 도어프레임을 나타내는 배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도어 개폐형 폴딩 박스에 포함되는 도어 프레임과 도어 간의 착탈 결합부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도어 개폐형 폴딩 박스에 포함되는 받침 바디와 벽체 간의 조립 결합부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도어 개폐형 폴딩 박스에 포함되는 받침 바디와 벽체 간의 조립 결합부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도어 개폐형 폴딩 박스에 포함되는 받침 바디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도어 개폐형 폴딩 박스에 포함되는 측벽체의 하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도어 개폐형 폴딩 박스에 포함되는 측벽체와 마감 커버를 분리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고안에 따른 도어 개폐형 폴딩 박스에 포함되는 측벽체와 마감 커버를 결합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 내지 도 15는 본 고안에 따른 도어 개폐형 폴딩 박스를 박스 형태로 형성하기 위한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며, 도 16은 본 고안에 따른 도어 개폐형 폴딩 박스를 시제작한 제품을 촬영한 사진이다.
아래에서 설명되는 전후 좌우의 의미는 설명을 명확히 하고, 구성부를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 해당 방향을 특정하고 그 방향으로만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에 따른 도어 개폐형 폴딩 박스는, 전후 및 좌우 측이 접혀진(폴딩된) 상태에서 펼쳐서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는 폴딩 박스로서, 도 1 내지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크게 받침 바디(100)와, 우측 벽체(제1 측벽체)(210)와, 좌측 벽체(제2 측벽체)(220)와, 전방 벽체(도어 구비 벽체)(300)와, 후방 벽체(400), 및 마감 커버(50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본 고안에 따른 도어 개폐형 폴딩 박스는, 전후 및 좌우 측이 접혀진(폴딩된) 상태에서 펼쳐서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는 폴딩 박스로서, 도 1 내지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향하는 좌우 양측이 소정 높이의 받침 측벽부(120)로 형성되고, 전후 양측은 개방되게 형성되는 받침 바디(100); 상기 받침 바디(100)의 좌우 양측 중 일측에서 하단부를 축으로 회동가능하게 구비되어 펼침 시 박스의 일측벽(우측벽)을 형성하는 우측 벽체(제1 측벽체)(210); 상기 받침 바디(100)의 좌우 양측 중 타측에서 하단부를 축으로 회동가능하게 구비되어 펼침 시 박스의 타측벽(좌측벽)을 형성하는 좌측 벽체(제2 측벽체)(220); 상기 받침 바디(100)의 전방 측에서 하단부를 축으로 회동가능하게 구비되어 펼침 시 박스의 전방벽을 형성하고, 개폐가능한 도어(320)를 갖는 전방 벽체(또는 도어 구비 벽체)(300); 상기 받침 바디(100)의 후방 측에서 하단부를 축으로 회동가능하게 구비되어 펼침 시 박스의 후방벽을 형성하는 후방 벽체(400); 및 상기 제1 측벽체(210)와, 상기 제2 측벽체(220)와, 상기 전방 벽체(300) 및 상기 후방 벽체(400)가 내측으로 접힌(폴딩된) 상태에서 상기 받침 바디(120)의 받침 측벽부(120)에 조립되고, 상기 제1 측벽체(210)와, 상기 제2 측벽체(220)와, 상기 전방 벽체(300) 및 상기 후방 벽체(400)가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제1 측벽체(210)와, 상기 제2 측벽체(220)와, 상기 전방 벽체(300) 및 상기 후방 벽체(400)의 상단에 조립되어 박스의 상부 개방부를 마감하도록 구비되는 마감 커버(500);를 포함하며, 폴딩(접힌) 상태에서 상기 제1 측벽체(210)와, 상기 제2 측벽체(220)와, 상기 전방 벽체(300) 및 상기 후방 벽체(400)는 받침 바디(100)의 내측에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조를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측벽체(210)와 제2 측벽체(220)는 중첩되게 적층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받침 바디(100)는 대향하는 좌우 양측이 소정 높이의 받침 측벽부(120)로 형성되고, 상기 좌우 양측과 직교하는 방향의 전후 양측은 개방되게 형성되는 구성부이다.
상기 받침 바디(100)는 정면에서 바라볼 때 "U"자형으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받침 바디(100)는 받침대부(110), 및 상기 받침대부(110)의 대향하는 양측(좌우 양측)에서 상방(上方)으로 소정 높이를 갖고 일체로 형성되는 받침 측벽부(120)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받침대부(110)는 그 하면 가장자리를 따라 조립 홈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1 측벽체(210)와, 상기 제2 측벽체(220)와, 상기 전방 벽체(300) 및 상기 후방 벽체(400) 각각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조립 돌부(611)에 끼움 결합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의 도어 개폐형 폴딩 박스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단의 수납공간을 갖는 박스로 조립될 수 있다. 이때, 최상단의 제1 측벽체(210)와, 제2 측벽체(220)와, 전방 벽체(300) 및 후방 벽체(400)에 의해 형성되는 상부 개방부는 이들 각각의 조립 돌부(611)에 조립 결합되는 조립 홈부(612)를 갖는 마감 커버(500)에 의해 마감된다. 물론, 상기 조립 돌부(611)와 조립 홈부(612)는 반대로 형성될 수 있다.
아래에서 설명하겠지만, 상기 받침 바디(100)의 좌우 양측과 전후 양측에는 회동체인 제1 측벽체(210)와, 제2 측벽체(220)와, 전방 벽체(300) 및 후방 벽체(400) 각각의 하단부가 조립되고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구성부인 조립 결합부가 형성된다.
계속해서, 상기 우측 벽체(제1 측벽체)(210) 및 좌측 벽체(제2 측벽체)(220)는 각각 상기 받침 바디(100)의 좌우 양측에 조립되고, 하단부를 축으로 회동가능하게 구비되어 펼침 시 박스의 우측벽과 좌측벽을 형성하는 구성부들이다.
상기 우측 벽체(제1 측벽체)(210) 및 좌측 벽체(제2 측벽체)(220)는 동일 구조이므로 하나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상기 제1 측벽체(210)는 판상의 벽체부(211), 및 상기 벽체부(211)의 가장자리를 따라 일측(내측)으로 절곡 형성되는 판상의 절곡부(212)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단 측의 상기 절곡부(212)에는 상기한 조립 돌부(611)가 형성된다.
또한, 하단 측의 상기 절곡부(212)와 받침 바디(100)의 받침 측벽부(120) 간에는 제1 측벽체(210)가 받침 측벽부(120)에 조립되고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조립 결합부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립 결합부는 하단 측의 상기 절곡부(212)의 하면으로부터 평행하는 연장되는 한 쌍의 연장 로드(621)와, 상기 한 상의 연장 로드(621)의 끝단에 직교하게 형성되는 회전축(622)과, 상기 받침 측벽부(120)의 상단에서 하부 측으로 절개 형성되는 장착홈(623), 및 상기 장착홈(623)에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622)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축 지지 돌기(624, 625)를 포함한다.
상기 연장 로드(621)는 단일의 로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연장 로드(621)에 있어서, 상기 우측 벽체(210)의 연장 로드(621)와 좌측 벽체(220)의 연장 로드(621) 중 하나는 상대적으로 다른 하나보다 길게 형성된다. 도면에서는 좌측 벽체(210)의 연장 로드(621)가 길게 형성되는 것으로 나타내고 있다.
또한, 상기 장착홈(623)은 좌우측 상기 연장 로드(621)의 길이에 상응하는 길이(깊이)를 갖고 형성된다.
이와 같이 연장 로드(621)의 길이와 장착홈(623)의 깊이를 달리함으로써 우측 벽체(210)와 좌측 벽체(220)를 접을 시 동일 평면 상으로 접히지 않고 상단부가 중첩되게 접히게 되고, 이는 박스 형태로 펼칠 때 그 중첩되는 폭만큼 벽체의 높이를 높게 할 수 있다.
상기 회전축 지지 돌기(624, 625)는 상기 장착홈(623)의 바닥 개방단부에 돌출 형성되되, 상단 내측부가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가이드 돌기부(624), 및 상기 장착홈(623)의 내벽에서 상기 가이드 돌기부(624) 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회전축 지지돌기부(625)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축 지지돌기부(625)는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축(622)의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갖고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우측 벽체(210)가 펼쳐진 상태(즉, 받침 측벽부(120)와 동일 평면인 상태)에서 상기 회전축 지지돌기부(625)의 하면과 회전축(622)의 하면은 면접촉되게 형성된다.
즉, 상기 회전축(622)은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우측 벽체(210)가 펼쳐진 상태(즉, 받침 측벽부(120)와 동일 평면인 상태)에서 상방을 향하는 면은 평편(flat)하게 형성되며, 상기 회전축 지지돌기부(625)의 하면은 평편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우측 벽체(210)의 하단 측의 상기 절곡부(212)와 받침 바디(100)의 받침 측벽부(120) 상단에는 우측 벽체(210)가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받침 바디(100)의 받침 측벽부(120)에 대한 우측 벽체(210)의 기립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키도록 요철 결합되는 장착 결합부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장착 결합부는 받침 바디(100)의 받침 측벽부(120)의 상단과 상기 절곡부(212)의 대향면 중 하나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장착 돌기부(631), 및 상기 장착 결합부는 받침 바디(100)의 받침 측벽부(120)의 상단과 하단 측의 상기 절곡부(212)의 대향면 중 다른 하나에 상기 장착 돌기부(631)에 상응하게 형성되어 상기 장착 돌기부(631)가 탈장착되게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장착 홈부(632)를 포함한다. 도면에서 받침 측벽부(120)에 장착 돌기부(631)가 형성되고, 절곡부(212)에 장착 홈부(632)가 형성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앞서 언급하였지만, 장착홈(623)의 깊이와 연장 로드(621)의 길이만 다를 뿐, 상기한 설명에서 우측 벽체(210)에 형성되는 구성부들은 좌측 벽체(220)와 그에 상응하는 받침 측벽부(120)에도 동일하게 형성된다.
상기 장착 결합부는 전방 벽체(300)(도어 프레임(310)) 및 후방 벽체(400)와 받치 바디(100) 간에도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전방 벽체(또는 도어 구비 벽체)(300)는 상기 받침 바디(100)의 전방 측에서 하단부를 축으로 회동가능하게 구비되어 펼침 시 박스의 전방벽을 형성하고, 개폐가능한 도어(320)를 갖고 형성되는 구성부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방 벽체(300)는 중앙부가 뚫린 도어 프레임(310), 및 상기 도어 프레임(310)의 중앙부에 구비되며, 하단부를 축으로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도어(320)를 포함한다.
상기 도어 프레임(310)의 하단 저면 및 받침 바디(100)의 전방부에는 앞서 우측 벽체(210)에서 설명한 조립 결합부가 형성되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도면에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함).
그리고 상기 도어 프레임(310)과 도어(320) 간의 구성에 있어서, 도어(320)는 하단부를 축으로 회동가능하게 구비되고, 상단부에는 도어 프레임(310)와 도어 프레임(320) 간이 착탈가능하게, 즉 록킹 결합 및 결합해제되게 하는 착탈 결합부가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도어(320)의 하단부 양측에는 힌지축(321)이 형성되고, 상기 도어 프레임(310)에는 상기 힌지축(321)이 상하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동가능한 장공(322)이 형성된다.
또한, 도어 프레임(310)과 도어(320) 간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착탈 결합부로서, 상기 도어(320)의 상단부 내면 양측에는 후크형 제1 걸림 돌기(323)가 형성되고, 상기 도어 프레임(310)의 상단부 양측에는 상기 도어(320)를 상방으로 이동 시(상기 장공(322)의 길이만큼 이동 시) 상기 후크형 제1 걸림 돌기(323)가 걸림 해제되고, 하방으로 이동 시(자중) 상기 후크형 제1 걸림 돌기(323)에 걸림되는 후크형 제2 걸림 돌기(324)가 형성된다.
계속해서, 상기 후방 벽체(400)는 상기 받침 바디(100)의 후방 측에서 하단부를 축으로 회동가능하게 구비되어 펼침 시 박스의 후방벽을 형성하는 구성부이다.
상기 후방 벽체(400)는 우측 벽체(210)와 상응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후방 벽체(400)의 하단 저면 및 받침 바디(100)의 후방부에는 앞서 우측 벽체(210)에서 설명한 조립 결합부가 형성되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도면에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함).
다음으로, 상기 마감 커버(500)는 하면 가장자리가 이중 프레임의 구조로 형성되고, 이중 프레임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좌우측 벽체(210, 220)와 전방 벽체(300) 및 후방 벽체(400)의 상단에 형성되는 조립 돌부(611)와 조립되는 조립 홈부(612)가 형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마감 커버(500)는 좌우측 벽체(210, 220)와 전방 벽체(300)(전방 벽체의 도어 프레임(310)) 및 후방 벽체(400) 중 2개 이상의 벽체와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는 보조 조립 결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보조 조립 결합부는 상기 마감 커버(500)의 내측과 상기 좌우측 벽체(210, 220)와 전방 벽체(300)(전방 벽체의 도어 프레임(310)) 및 후방 벽체(400) 중 2개 이상의 벽체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걸림 후크(641), 및 상기 마감 커버(500)의 내측과 상기 좌우측 벽체(210, 220)와 전방 벽체(300)(전방 벽체의 도어 프레임(310)) 및 후방 벽체(400) 중 2개 이상의 벽체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 후크(641)가 걸림 고정 및 해제되는 결합구(642)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도어 개폐형 폴딩 박스에 의하면, 동일한 부피의 폴딩된 상태에서 펼쳤을 때 상대적으로 큰 수납 공간을 갖는 폴딩 박스를 제공할 수 있고, 박스를 형성한 상태에서 일면에서 도어의 개폐가 가능한 폴딩박스를 제공할 수 있어 제품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다단 구조의 수납공간을 형성할 수 있으면서 견고한 폴딩 박스를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고안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고안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받침 바디
110: 받침대부
120: 받침 측벽부
210: 우측 벽체(제1 측벽체)
211: 벽체부
212: 절곡부
220: 좌측 벽체(제2 측벽체)
300: 전방 벽체(도어 구비 벽체)
310: 도어 프레임
320: 도어
321: 힌지축
322: 장공
323: 후크형 제1 걸림 돌기
324: 후크형 제2 걸림 돌기
400: 후방 벽체
500: 마감 커버
611: 조립 돌부
612: 조립 홈부
621: 연장 로드
622: 회전축
623: 장착홈
624: 가이드 돌기부
625: 회전축 지지돌기부
631: 장착 돌기부
632: 장착 홈부
641: 걸림 후크
642: 결합구

Claims (9)

  1. 전후 및 좌우 측이 접혀진 상태에서 펼쳐서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는 폴딩 박스로서,
    받침 바디;
    상기 받침 바디의 좌우 양측에서 하단부를 축으로 회동가능하게 구비되어 펼침 시 박스의 좌우 측벽을 형성하는 제1 측벽체와 제2 측벽체;
    상기 받침 바디의 전방 측에서 하단부를 축으로 회동가능하게 구비되고, 개폐가능한 도어를 갖는 도어 구비 벽체;
    상기 받침 바디의 후방 측에서 하단부를 축으로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후방 벽체; 및
    상기 제1 측벽체와, 제2 측벽체와, 도어 구비 벽체 및 후방 벽체가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제1 측벽체와 제2 측벽체와 도어 구비 벽체 및 후방 벽체의 상단에 조립되어 박스의 상측 개방부를 커버하도록 구비되는 마감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측벽체와, 제2 측벽체와, 도어 구비 벽체 및 후방 벽체는 상기 받침 바디에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조를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측벽체와 제2 측벽체는 중첩되게 적층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폐형 폴딩 박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 바디는 받침대부, 및 상기 받침대부의 좌우 양측에서 상방(上方)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받침 측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대부는 하면 가장자리를 따라 조립 홈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1 측벽체와 제2 측벽체와 도어 구비 벽체 및 후방 벽체 각각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조립 돌부에 끼움 결합되게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측벽체 및 제2 측벽체는 판상의 벽체부, 및 상기 벽체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일측으로 절곡 형성되는 절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폐형 폴딩 박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벽체, 제2 측벽체, 도어 구비 벽체, 및 후방 벽체 각각의 하단부와 상기 받침 바디 간은 조립 결합부를 통해 결합되되,
    상기 조립 결합부는,
    하단부에서 하방으로 연장하는 하나 또는 평행하는 한 쌍의 연장 로드;
    상기 연장 로드의 끝단에 직교하게 형성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이 형성되는 위치에 상응하는 위치의 상기 받침 바디의 내벽에서 상단에서 하부 측으로 절개 형성되는 장착홈; 및
    상기 장착홈에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축 지지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폐형 폴딩 박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 로드는 상기 제1 측벽체의 연장 로드와 좌측 벽체의 연장 로드 중 하나는 상대적으로 다른 하나보다 길게 형성되고,
    상기 장착홈은 상기 연장 로드의 길이에 상응하는 깊이를 갖고 형성되며,
    상기 회전축 지지 돌기는, 상기 장착홈의 일측에 형성되되 상단 일측부가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가이드 돌기부, 및 상기 장착홈의 내벽에서 상기 가이드 돌기부 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회전축 지지돌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폐형 폴딩 박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 지지돌기부의 하면과 상기 회전축의 하면은 면 접촉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폐형 폴딩 박스.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은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제1 측벽체, 제2 측벽체, 도어 구비 벽체, 및 후방 벽체 각각이 상기 받침 측벽부와 동일 평면인 상태에서 상방을 향하는 측이 평편(flat)하게 형성되며,
    상기 회전축 지지돌기부의 하면은 평편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폐형 폴딩 박스.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벽체, 제2 측벽체, 도어 구비 벽체, 및 후방 벽체 각각의 상단부와 상기 받침 바디 간에는 요철 결합되는 장착 결합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 측벽체, 제2 측벽체, 도어 구비 벽체, 및 후방 벽체 중 적어도 2개 이상의 상단부와 상기 마감 커버 간에는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보조 조립 결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폐형 폴딩 박스.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결합부는, 상기 제1 측벽체, 제2 측벽체, 도어 구비 벽체, 및 후방 벽체 각각의 상단부와 상기 받침 바디 중 하나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장착 돌기부, 및 상기 제1 측벽체, 제2 측벽체, 도어 구비 벽체, 및 후방 벽체 각각의 상단부와 상기 받침 바디 중 다른 하나에 상기 장착 돌기부에 상응하게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장착 홈부를 포함하며,
    상기 보조 조립 결합부는, 상기 제1 측벽체, 제2 측벽체, 도어 구비 벽체, 및 후방 벽체 중 2개 이상의 벽체와 상기 마감 커버 중 하나에 형성되는 걸림 후크, 및 상기 제1 측벽체, 제2 측벽체, 도어 구비 벽체, 및 후방 벽체 중 2개 이상의 벽체와 상기 마감 커버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 후크가 걸림 고정 및 해제되는 결합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폐형 폴딩 박스.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구비 벽체는, 중앙부가 개구된 도어 프레임, 및 상기 도어 프레임의 개구 부에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는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의 하단부 양측에는 힌지축이 형성되고, 상기 도어 프레임에는 상기 힌지축이 상하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동가능한 장공이 형성되며,
    상기 도어의 상단부 내면 양측에는 후크형 제1 걸림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도어 프레임의 상단부 양측에는 상기 도어를 상방으로 이동 시 상기 후크형 제1 걸림 돌기가 걸림 해제되고, 하방으로 이동 시 상기 후크형 제1 걸림 돌기에 걸림되는 후크형 제2 걸림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폐형 폴딩 박스.
KR2020220001608U 2022-06-30 2022-06-30 도어 개폐형 폴딩 박스 KR2024000003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1608U KR20240000039U (ko) 2022-06-30 2022-06-30 도어 개폐형 폴딩 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1608U KR20240000039U (ko) 2022-06-30 2022-06-30 도어 개폐형 폴딩 박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0039U true KR20240000039U (ko) 2024-01-08

Family

ID=895118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20001608U KR20240000039U (ko) 2022-06-30 2022-06-30 도어 개폐형 폴딩 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00039U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7238B1 (ko) 2001-01-13 2010-03-11 다렌 사라비스 조립식 모듈 수납장치
KR20120050129A (ko) 2010-11-10 2012-05-18 주식회사 에프엔씨 시건수단을 갖는 접이식 포장상자
KR101212322B1 (ko) 2012-04-13 2012-12-13 지한상 다단으로 적층이 가능한 조립식 수납박스
KR101996188B1 (ko) 2018-11-22 2019-07-08 송재호 접이식 상자
KR20190118255A (ko) 2018-04-10 2019-10-18 주식회사 광동 다단 적재형 조립식 박스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7238B1 (ko) 2001-01-13 2010-03-11 다렌 사라비스 조립식 모듈 수납장치
KR20120050129A (ko) 2010-11-10 2012-05-18 주식회사 에프엔씨 시건수단을 갖는 접이식 포장상자
KR101212322B1 (ko) 2012-04-13 2012-12-13 지한상 다단으로 적층이 가능한 조립식 수납박스
KR20190118255A (ko) 2018-04-10 2019-10-18 주식회사 광동 다단 적재형 조립식 박스
KR101996188B1 (ko) 2018-11-22 2019-07-08 송재호 접이식 상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8524A (en) Packing-case.
AU756030B2 (en) Collapsible container for transporting a liquid
US6581769B2 (en) Corrugated shipping container with self-hinged door
US9301603B1 (en) Collapsible storage cabinet
US6938789B1 (en) Collapsible storage container
US7032765B2 (en) Container with over center corner latches
KR100845324B1 (ko) 접철식 컨테이너
US20090206002A1 (en) Collapsible product display container
CA2985972A1 (en) Collapsible container
US3096923A (en) Moving and storage container and strengthening frame therefor
KR20240000039U (ko) 도어 개폐형 폴딩 박스
US2780382A (en) Collapsible container
US20120234711A1 (en) Insert ring for a pallet box and pallet box
KR200457548Y1 (ko) 절첩식 상자
CN110356678A (zh) 可折叠箱
KR101541468B1 (ko) 회수용 박스 파렛트
GB2450929A (en) A collapsible tray
US2087496A (en) Collapsible box or case
KR20150065459A (ko) 회수용 박스 파렛트
US999207A (en) Folding box.
KR102523660B1 (ko) 박스용 테두리 부재보강부재와 에셈블리컨테이너 원터치크립이 포함된 박스
KR101318873B1 (ko) 이동가능한 접이식 수납함
KR102328833B1 (ko) 조립식 파레트
KR102661430B1 (ko) 폴딩박스에 대한 사용성 확장유닛
KR200433342Y1 (ko) 물품 적재용 크레이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