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9469Y1 - 정보리더기 - Google Patents

정보리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9469Y1
KR200249469Y1 KR2019980026797U KR19980026797U KR200249469Y1 KR 200249469 Y1 KR200249469 Y1 KR 200249469Y1 KR 2019980026797 U KR2019980026797 U KR 2019980026797U KR 19980026797 U KR19980026797 U KR 19980026797U KR 200249469 Y1 KR200249469 Y1 KR 20024946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ntral processing
processing unit
information
button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67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3585U (ko
Inventor
김유진
Original Assignee
김유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유진 filed Critical 김유진
Priority to KR20199800267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9469Y1/ko
Publication of KR2000001358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358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94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9469Y1/ko

Links

Landscapes

  • Power Sour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정보를 갖고 있는 버튼(button)을 리더기에 접촉시키면 그 버튼의 접촉에 의하여 일정시간 동안 전원이 온(on)되고, 그 리더기의 중앙처리장치가 작동하여 버튼이 가지고 있는 정보를 읽어 내어 저장하므로써 순찰 등의 경비업무에 이용할 수 있도록하는 정보 리더기에 관련된 것이다.
본 고안의 정보리더기는 평상시에 오프 상태로 있다가 버튼(10)의 체크포인트(15)와 접촉감지부(25)가 접촉되면 버튼(10)의 정보를 중앙처리장치(55)가 읽어들일 수 있도록 스위칭수단(53)에 의하여 중앙처리장치(55)에 전원이 공급되고, 상기 스위칭수단(53)이 중앙처리장치의 정보처리 종료신호를 감지하면 전원이 차단되도록 하므로써 전력 소모를 줄이도록한다.

Description

정보리더기
본 고안은 접촉식 자동 파워온(power on) 기능을 갖고 있는 접촉식 정보 리더기에 관련된 것으로써, 더 상세히는 정보를 갖고 있는 버튼(botton)을 리더기에 접촉시키면 그 버튼의 접촉에 의하여 일정시간 동안 전원이 온(on)되고, 그 리더기의 중앙처리장치가 작동하여 버튼이 가지고 있는 정보를 읽어 내어 저장하므로써 순찰 등의 경비업무에 이용할 수 있도록하는 정보리더기에 관련된 것이다.
본 고안의 시스템은 도 1에서와 같이 원격지에 버튼(10)이 고정 설치되어 있고, 정보리더기(20)를 휴대한 순찰자가 원격지의 버튼이 있는 곳에 도착하여 정보리더기의 접촉감지부(25)를 버튼의 접촉포인트칩(15)에 접촉시킴으로써, 그 버튼(10)에 내장되어 있는 정보를 정보리더기의 중앙처리장치에 입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의 정보리더기는 리더기의 중앙처리장치나 그 주변회로가 항상 작동하고 있는 상태, 즉 전원이 온되어 있는 상태에서 버튼의 접촉을 감지하고 버튼이 가지고있는 정보를 읽어내는 방식이기 때문에 전류가 많이 소모되어 건전지를 자주 교체해 주어야 하거나 충전을 자주 실시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정보리더기의 전력 소모를 줄여 장시간 건전지를 교체하지 않거나 충전하지 않아도 되는 정보리더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고안의 정보리더기는 평상시에 오프(off) 상태로 있다가 정보리더기의 접촉감지부에 버튼의 접촉감지부가 접촉되면 정보리더기의 온/오프 스위칭용 트랜지스터의 작동에 의하여 정보리더기의 중앙처리장치와 주변회로에 전원이 공급되고, 중앙처리장치는 버튼이 가지고 있는 정보를 읽어내어 저장하고, 상기 중앙처리장치의 프로그램이 종료되면 전원이 차단되도록 시스템을 구성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정보리더기의 작동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정보리더기의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정보리더기의 요부 회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버튼 15 - 접촉포인트칩
20 - 정보리더기 25 - 접촉감지부
53 - 스위칭수단 55 - 중앙처리장치
56 - 비휘발성 메모리(정보저장장치)
61 - 접촉감지수단
본 고안의 정보리더기는 버튼이 가지고 있는 소정의 정보를 읽어내는 중앙처리장치와, 상기 중앙처리장치가 읽어들인 정보를 저장하는 정보저장장치와, 상기 버튼과의 접촉을 감지하는 접촉감지수단과, 상기 접촉감지수단에 의하여 상기 버튼과의 접촉여부를 감지하여 적어도 중앙처리장치에 공급되는 전원을 컨트롤하는 스위칭수단을 포함하여 구비하고,
상기 스위칭수단은 상기 접촉감지수단이 상기 버튼에 접촉되었을 때 상기 버튼의 정보를 상기 중앙처리장치가 읽어들여 처리할 때 까지는 전원을 계속공급하고, 상기 중앙처리장치의 처리 종료신호가 검출되었을 때 전원 공급을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본 고안의 정보리더기는 도 2의 블록도에 의하여 구성할 수 있고, 상기 블록도는 도 3의 등가회로에 의하여 구성된다.
본 고안의 블록도의 부호 (51)은 베터리 전원이고, (52)는 전원공급부이고, (53)은 전원 스위칭수단이고, (54)는 포트로 구성된 접촉감지수단(61)의 신호제공수단, 에 의하여 정보를 읽고 전원 스위칭수단(53)에 신호를 제공하는 수단이다. (55)는 중앙처리장치, (56)은 비휘발성 메모리(정보저장장치)이고, (57)은 시계용 칩, (58)은 음향발생회로, (59)는 문자표시회로, (60)은 베터리체크회로, (61)은 접촉감지수단이다.
본 고안의 정보리더기의 동작을 설명하면 버튼의 접촉포인트(15)에 포트등으로 구성되는 접촉감지수단(61)을 접촉시키면 펄스신호가 전원 온오프 스위칭수단 (53)에 공급된다. 이 스위칭수단(53)은 전원공급부(52)의 전원을 온시켜 중앙처리장치(55)와 그 주변회로에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전원공급부(52)로 부터의 전원 공급에 따라 중앙처리장치(55)에 내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이 실행되고, 이 프로그램은 접촉감지수단의 신호제공수단(54)과 접촉감지수단(61)을 통해 버튼(10)에 내장되어 있는 정보를 읽어들이도록 작용한다.
또, 중앙처리장치(55)는 시계용칩(57)이 가지고 있는 리얼 시간정보를 읽어 버튼(10)의 정보와 함께 비휘발성 메모리(56)에 저장시킨다. 또한, 정보의 읽기과정을 통해 얻은 정보의 정상 및 오류 여부를 음향발생회로(58) 및 문자표시회로(59)를 통해 표시한다.
그리고, 중앙처리장치는 모든 과정을 처리한 후, 문자표시회로(59)에 파워 오프신호를 표시하고, 스위칭수단(53)의 회로에 있는 온 상태의 스위칭용 트랜지스터를 오프시켜 중앙처리장치(55) 및 그 주변회로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한다. 상기와 같은 동작은 버튼의 접촉포인트(15)에 접촉감지수단(61)이 접촉될 때마다 반복한다.
본 고안의 정보 리더기에 있어서, 접촉포인트칩(15)에 접촉감지수단(61)이 접촉되지 않은 상태의 회로작동은 전원공급부(52)와 스위칭수단(53)의 회로구성에서 알 수 있는 것처럼 전원 스위치용 트랜지스터 Q1의 오프에 의해 주 전원 VCC는 공급되지 않는다. 저항 R7을 통한 VDC의 풀-업 상태로 저항 R6을 통해 NAND게이트 U5B의 5번핀에 H(High)신호가 입력된다. 또한 트랜지스터 Q9의 에미터에는 VCC가 공급되지 않아 트랜지스터 Q9는 베이스의 신호에 관계없이 오프상태를 유지하며, NAND게이트 U5A의 1번핀에 L(Low)신호가 가해져 NAND게이트 논리에 따라 U5A의 3번핀에는 'H' 신호가 출력된다.
이 'H' 신호는 다시 NAND게이트 U5B의 4번핀에 공급되며 이 신호는 5번핀의 'H' 신호와 함께 NAND게이트 논리상태에 따라 6번핀을 통해' L'신호가 출력된다.
이 신호는 다시 NAND게이트 U5C의 9번핀과 10번핀에 공급되고, 8번핀을 통해 'H'신호가 출력된다.
이 'H'신호는 저항 R2를 통해 트랜지스터 Q1의 베이스에 가해진다.
트랜지스터 Q1의 베이스에 'H'신호가 가해지면 에미터-컬렉터 경로가 오프되어 VCC전원이 차단된다. 결국 중앙처리장치(55)와 주변에 공급되는 전원이 오프상태가 된다.
상기의 상태에서 접촉포인트칩(15)에 접촉감지수단(61)이 접촉되면, 트랜지스터 Q1의 온에 의해 주전원 VCC가 공급된다.
상기 주 전원 VCC의 공급과정은 이하에 설명한다.
버튼(10)의 접촉포인트칩(15)이 BP1 및 BP2와 접촉되면 일정 기간동안 'L'신호가 발생한다.
이 'L'신호는 저항 R6을 통해 NAND게이트 U5B의 5번핀에 공급된다. 상기 'L' 신호는 NAND게이트 U5B의 4번핀의 'H'신호와 함께 NAND게이트 논리에 따라 6번핀을 통해 'H'신호가 출력된다.
이 'H'신호는 다시 NAND게이트 U5C의 9번핀과 10번핀에 공급되고, 8번핀을 통해 'L' 신호가 출력된다.
상기 'L'신호는 저항 R2를 통해 트랜지스터 Q1의 베이스에 가해진다.
트랜지스터 Q1의 베이스에 'L'신호가 가해지면 에미터-컬렉터 경로가 온되어 VCC 전원이 공급된다.
결국 중앙처리장치와 주변회로에 공급되는 VCC전원에 의해 중앙처리장치(55)와 주변회로가 구동된다.
VCC에 의해 NAND게이트 U5B의 5번핀에는 다이오드 D2를 통해 'H'신호가 가해지고, 중앙처리장치 U1은 16번핀을 통해 'L'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L'신호는 트랜지스터 Q9의 베이스에 가해지고 트랜지스터 Q9는 동작한다.
트랜지스터 Q9의 에미터-커렉터 온에 의해 'H'신호가 NAND게이트 U5A의 1번핀에 가해지고, NAND게이트 U5A의 2번핀의 'H' 신호에 따라 U5A의 3번핀에 'L'신호가 출력된다.
이 'L'신호는 NAND게이트 U5B의 4번핀에 공급되며 U5B의 5번핀 'H'신호와 결합되어 U5B의 6번핀으로 'H'신호가 출력된다. 이 'H'신호는 다시 U5C의 9번핀과 10번핀으로 전달되며 8번핀으로 'L'신호가 출력된다.
상기 'L'신호는 저항 R2를 통해 트랜지스터 Q1에 가해지고, 트랜지스터 Q1의 에미터-컬렉터가 온되어 VCC가 계속해서 공급된다.
한편, 접촉포인트칩(15)과 접촉감지수단(61)의 접촉에 관계없이 시스템의 구동이 종료되어 주전원 VCC가 차단된 상태에서는 중앙처리장치(55)는 16번핀을 통해 트랜지스터 Q9의 베이스에 'H'신호를 공급한다. 트랜지스터 Q9는 베이스의 'H'신호에 의해 에미터-컬렉터가 오프되어 NAND게이트 U5A의 1번핀에 'L'신호가 가해진다. 상기 'L'신호에 따라 U5A의 2번핀의 'H,L'신호에 관계없이 NAND게이트 논리상태에 의하여 3번핀에 'H'신호가 출력된다.
상기 'H'신호는 NAND게이트 U5B의 4번핀에 가해지고, 5번핀의 'H'신호와 결합되어 6번핀으로'L'신호가 출력된다.
상기 'L'신호는 NAND게이트 U5C의 9번핀과 10번핀에 가해지고 NAND게이트 논리상태에 따라 8번핀에 'H' 신호가 출력되고, 저항 R2를 통해 트랜지스터 Q1의 베이스에 가해진다. 트랜지스터 Q1은 베이스의 'H'신호에 의하여 오프되고 VCC전원은 차단상태가 된다.
VCC의 차단으로 중앙처리장치 및 주변회로가 오프상태가 된다.
본 고안의 정보리더기는 중앙처리장치 및 그 주변회로의 주 전원인 VCC의 공급/차단을 버튼의 접촉포인트(15)와의 접촉과 스위칭수단(53)의 스위칭용 트랜지스터의 온오프에 따라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한다.
상기와 같이 주 전원의 제어에 따라 접촉포인트칩(15)이 접촉감지부(25)와 접촉될 경우에만 전원을 공급하고, 접촉포인트칩(15)이 접촉감지부(25)와 접촉되지 않거나 시스템의 프로그램이 종료되었을 때는 주전원을 차단시킴으로써 전원용 베터리의 소모를 줄일 수 있다.

Claims (1)

  1. 원격지에 설치되어 있는 버튼의 접촉포인트칩에 접촉하는 포트로 구성된 접촉감지수단과, 상기 접촉감지수단이 상기 접촉포인트칩에 접촉되면 상기 버튼에 내장되어 있는 정보를 입력받아 처리하고 정보저장장치에 저장을 하게 되는 중앙처리장치와, 상기 중앙처리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중앙처리장치에서 수행된 수행결과를 표시하는 표시장치를 포함하는 정보리더기에 있어서,
    상기 정보리더기는 상기 접촉감지수단이 버튼의 접촉포인트칩에 접촉하게 되면 그 접촉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전원공급부가 상기 중앙처리장치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전원공급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칭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중앙처리장치는 전원이 공급되면 정보를 처리하여 상기 표시장치를 통하여 외부로그 수행상황을 표시한 다음 완료신호를 상기 스위칭수단으로 출력하여 전원이 차단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리더기.
KR2019980026797U 1998-12-28 1998-12-28 정보리더기 KR20024946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6797U KR200249469Y1 (ko) 1998-12-28 1998-12-28 정보리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6797U KR200249469Y1 (ko) 1998-12-28 1998-12-28 정보리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3585U KR20000013585U (ko) 2000-07-15
KR200249469Y1 true KR200249469Y1 (ko) 2001-12-28

Family

ID=695034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6797U KR200249469Y1 (ko) 1998-12-28 1998-12-28 정보리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946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3585U (ko) 2000-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62599B1 (ko) 단순한 전원 제어 기능을 갖는 컴퓨터 시스템
KR960035228A (ko) 칩인 카드에 의한 사용방지 기능을 가진 퍼스널 컴퓨터의 카드 리드/라이트 콘트롤러
US11500645B2 (en) Boot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US6557107B1 (en) Power-saving mode release error detection and recovery logic circuit for microcontroller devices
KR960009756A (ko) 에러 보정하기 위한 자동 턴 오프/온 장치
RU99112484A (ru) Способ сохранения служебной информации
KR200249469Y1 (ko) 정보리더기
US6687830B2 (en) Energy-saving control interface and method for power-on identification
KR100240349B1 (ko) 컴퓨터용 온/오프 제어장치
JP2004227251A (ja) 電子機器
JP2001230859A (ja) 携帯電話機
JP2504502B2 (ja) 集積回路カ―ド
KR20030033849A (ko) 전원 관리 기능을 구비한 전자 잠금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0134250Y1 (ko) 데이타 유실 방지회로
KR0132475B1 (ko) 피엘씨(plc)의 릴레이 수명 감지방법 및 그 장치
KR900010796Y1 (ko) 무정전 차임벨 앰프
JP2008011690A (ja) 電源スイッチ回路
KR0130785Y1 (ko) 휴대용 컴퓨터의 피씨엠씨아이에이 카드 교체시 자동 감지장치
KR200174981Y1 (ko) 트랙볼 마우스에서의 웨이크 업 장치(apparatus for waking-up track ball mouse)
KR0170673B1 (ko) 터치 센서를 이용한 캠코더의 자동 절전 장치 및 그 방법
KR940017365A (ko) 셀룰라폰의 소비전원절감회로 및 그 방법
KR940006295Y1 (ko) 이피롬 라이터 기능을 내장한 프로그램 로더
JPH0629902A (ja) 移動無線機電源オン/オフ制御回路
KR100351617B1 (ko) 무선제어기에서의식별정보생성회로
JP2583328B2 (ja) 自動販売機のデータ保持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5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