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4981Y1 - 트랙볼 마우스에서의 웨이크 업 장치(apparatus for waking-up track ball mouse) - Google Patents

트랙볼 마우스에서의 웨이크 업 장치(apparatus for waking-up track ball mous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4981Y1
KR200174981Y1 KR2019960038509U KR19960038509U KR200174981Y1 KR 200174981 Y1 KR200174981 Y1 KR 200174981Y1 KR 2019960038509 U KR2019960038509 U KR 2019960038509U KR 19960038509 U KR19960038509 U KR 19960038509U KR 200174981 Y1 KR200174981 Y1 KR 20017498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rotation
wake
microprocessor
b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385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5684U (ko
Inventor
이근석
Original Assignee
이상영
세진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영, 세진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상영
Priority to KR20199600385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4981Y1/ko
Publication of KR1998002568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568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498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4981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06F1/3228Monitoring task completion, e.g. by use of idle timers, stop commands or wait comman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5Power saving in peripheral device
    • G06F1/3259Power saving in cursor control device, e.g. mouse, joystick, trackbal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9Trackb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트랙볼 마우스에 관한 것으로서, 트랙볼 마우스내의 볼의 회전을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회전 감지 회로(12)와, 회전 감지 회로(12)의 감지 신호에 따라 볼의 회전을 감지하며, 감지 신호가 소정 시간 동안 인가되지 않으면 슬립 모드를 행하고, 외부로부터의 웨이크 업 신호에 응답하여 웨이크 업되어 슬립 모드를 해제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11)와, 마이크로 프로세서(1l)에 소정 주기 마다 상기 웨이크 업 신호를 제공하는 발진부(14)를 구비한다.
즉, 본 고안은 트랙볼 마우스를 슬립 모드로 구동시키는 경우에 자동으로 발진부(14)의 발진 주기에 따다 웨이크 업시킬 수 있어 트랙볼 마우스가 작동하지 않을 때 전원의 낭비를 예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트랙볼 마우스에서의 웨이크 업 장치(APPARATUS FOR WAKING-UP TRACK BALL MOUSE)
본 고안은 전자 장치에서 사용되는 트랙볼 마우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트랙볼 마우스의 슬립 모드 제어 장치에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트랙볼 마우스는 컴퓨터 등의 전자 장치에서 입력 장치로 사용되는 키 보드의 기능 일부를 대치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트랙볼 마우스의 볼을 회전시키면 이 볼의 회전을 감지하여 회전 각에 대응하는 신호를 전자 장치에 송신하므로써 전자 장치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이다.
이러한 트랙볼 마우스는 볼의 회전에 따라 X 및 Y축 방향으로 구성된 창의 개폐가 제어되도록 구성하고, 창을 사이에 두고 발광 다이오드 및 수광 센서 즉 수광 트랜지스터가 장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볼의 회전에 따라 창이 계폐되고 이에 따라 발광 다이오드의 빛이 수광 트랜지스터에 수광되므로써 트랙볼 마우내의 마이컴이 볼의 회전을 감지하고, 이에 대응하는 신호를 송신하는 구성을 갖고 있다.
한편, 트랙볼 마우스에서는 트랙볼 마우스가 사용되지 않는 경우에 그 작동(볼의 회전을 감지하는)을 중지하고(파워 오프 상태의 슬립 모드로 진행하고), 소정시간 후에 다시 작동을 개시하여(웨이크 업(Wake-Up)하여) 사용자의 사용 여부를 확인하는 슬립 모드가 구성될 필요가 있으나, 종래의 트랙볼 마우스에는 이러한 슬립 모드가 구성되어 있지 않아, 트랙볼 마우스가 사용되지 않는 상태에서도 볼의 회전 여부률 계속하여 감지하여야 하므로 전력 낭비를 초래하고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트랙볼 마우스에서 슬립 모드의 수행 시에 자동으로 웨이크 업시킬 수 있는 트랙볼 마우스에서의 웨이크 업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트랙볼 마우스에서의 웨이크 업 장치는, 트랙볼 마우스내 볼의 회전을 감지하는 장치에 있어서, 트랙볼 마우스내의 볼의 회전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회전 감지 회로와, 회전 감지 회로의 감지 신호에 따라 볼의 회전을 감지하며, 감지 신호가 소정 시간 동안 인가되지 않으면 슬립 모드를 행하고, 외부로부터의 웨이크 업 신호에 응답하여 웨이크 업되어 슬립 모드를 해제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소정 주기 마다 상기 웨이크 업 신호를 제공하는 발진부를 구비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트랙볼 마우스에서의 웨이크 업 장치의 블록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마이크로프로세서 12 : 회전감지회로
14 : 발진부
이하,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트랙볼 마우스에서의 웨이크 업 장치의 회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크로 프로세서(11)는 키 트랙볼 마우스의 회전 감지 회로(12)에 연결되어 회전 감지 회로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볼의 회전을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본 고안의 마이크로 프로세서(11)는 회전 감지 회로(12)로부터 볼의 회전을 감지하였다는 신호가 소정 시간 동안 인가되지 않으면 슬립 모드 즉, 마이크로 프로세서(11)의 구동을 정지하는 모드를 행한다
그러나, 마이크로 프로세서(11)는 슬립 모드하에서 단자(P1 또는 P2)에 웨이크 업 신호가 제공되면 슬립 모드를 해제하고 회전 감지 회로(12)로부터의 볼 회전 신호를 감지하고 이에 대응하는 작동을 행한다. 여기서, 웨이크 업 신호를 입력할 단자(P1 또는 P2)는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마이크로 프로세서(11)내의 프로그램에 의하여 선택할 수 있음은 상세히 후술하였다.
또한, 본 고안의 마이크로 프로세서(11)의 단자(P1, P2)에는 발진부(14)가 연결되어 있으며, 발진부(14)는 발진용 캐패시터(C1) 및 저항(R3) 그리고, 저항(R3)과 마이크로 프로세서(11)의 단자(P1,P2)사이에 연결된 저항(R1,R2)로 구성되어 있다.
후술하는 설명으로부터 마이크로 프로세서(11)의 단자(P1,P2) 수와 단자(P1,P2)와 연결되는 저항(R1,R2)의 수를 가감할 수 있음은 본 고안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마이크로 프로세서(11)에 형성된 단자(P1, P2)들중 선택되지 않은 단자(P1 또는 P2)는 오픈 상태가 되므로 선택되지 않은 단자(P1 또는 P2)와 연결된 저항(R1 또는 R2)는 발진부(14)의 발진 주파수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즉, 마이크로 프로세서(11)에서 단자(P1)가 선택된 경우에 저항(R1)은 저항(R3)과 함께 합성 저항값을 형성하고, 이에 따라 발진부(14)는 이 합성 저항값과 캐패시터(C1)의 값에 의한 시정수에 대응하는 주기의 발진 신호(웨이크 업 신호)를 발진하여 마이크로 프로세서(11)에 제공하며, 이때 저항(R2)은 발진부(14)의 발진 주파수 즉, 시정수에는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따라서, 저항(R1, R2)의 값을 상이하게 설정한 경우에 마이크로 프로세서(11)의 단자(P1, P2)중 어느 단자(P1 또는 P2)를 선택하는냐에 따라 발진부(14)의 발진 주파수 즉, 웨이크 업 신호가 단자(P1 또는 P2)에 제공되는 주기가 상이하게 설정된다.
상술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서 마이크로 프로세서(11)는 회전 감지 회로(12)로부터 볼의 회전을 감지하였다는 신호가 소정 시간 동안 인가되지 않으면 슬립모드로 작동하고, 선택된 입력단(P1 또는 P2)에 웨이크 업 신호가 제공되면 슬립 모드를 해제하여 회전 감지 회로(12)로부터 볼의 회전을 감지하였다는 신호가 제공되는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볼의 회전을 감지하였다는 신호가 제공되면 연속하여 회전 감지 회로(12)의 신호를 입력 및 처리하나, 볼의 회전을 감지하였다는 신호가 제공되지 않으면 다시 슬립 모드로 작동하고, 이 슬립 모드는 입력단(P1 또는 P2)에 웨이크 업 신호가 제공될 때까지 계속될 것이다.
즉, 트랙볼 마우스가 연속하여 작동하지 않는 경우에 마이크로 프로세서(11)가 슬립 모드로 작동하게 되나, 이 슬립 모드는 발진부(14)로부터 웨이크 업 신호가 인가될 때마다 해제됨을 알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슬립 모드하에서 트랙볼 마우스의 볼이 회전한 경우에는 마이크로 프로세서(11)가 슬립 모드상태이므로 이를 감지할 수 없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그러나. 캐패시터(C2) 및 저항(R1 또는 R2)와 (R3)에 의한 발진부(14)의 발진 신호 발진 주기는 상당히 짧은 편이므로 트랙볼 마우스의 사용할 때 큰 문제가 발생하지는 않는다. 또한, 상술한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사용자는 마이크로 프로세서(11)의 웨이크 업 주기는 상기 저항(R1-R3) 및 캐패시터(C1)의 값을 이용하여 조절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조절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설정될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마이크로 프로세서(11)는 필요에 따라 즉, 슬립 모드의 수행 시간의 경과에 따라 선택된 단자(P1, P2)를 변경하도록 프로그램할 수도 있다. 예컨데, 저항(R1)에 의한 발진 신호의 주기가 저항(R2)에 의한 발진 신호의 주기보다 짧은 경우에 먼저, 저항(R1)에 의한 웨이크 업 신호에 의하여 웨이크 업 되다가, 계속적으로 볼의 회전이 감지되지 않으면 단자(P2)를 선택하므로써 저항(R2)에 의한 웨이크 업 신호를 선택하여 웨이크 업되는 시간을 연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트랙볼 마우스를, 슬립 모드로 구동시키는 경우에 자동으로 웨이크 업시킬 수 있게 되어 트랙볼 마우스가 작동하지 않을 때 전원의 낭비를 예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트랙볼 마우스내 볼의 회전을 감지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트랙볼 마우스내의 볼의 회전을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회전 감지 회로(12)와, 상기 회전 감지 회로(12)의 감지 신호에 따라 상기 볼의 회전을 감지하며, 상기 감지 신호가 소정 시간 동안 인가되지 않으면 슬립 모드를 행하고, 외부로부터의 웨이크 업 신호에 응답하여 웨이크 업되어 슬립 모드를 해제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11)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l1)에 소정 주기 마다 상기 웨이크 업 신호를 제공하는 발진부(14)를 구비하는 트랙볼 마우수에서의 웨이크 업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1)에는 상기 웨이크 업 신호를 입력하는 다수의 입력단(P1,P2)를 구성하고, 상기 다수의 입력단(P1,P2)들중 선택되지 않은 입력단(P1,P2)은 오프 상태가 되도록 구성하며, 상기 발진부(14)는, 캐패시터(C1)와, 상기 캐패시터(C1)와 연결된 저항(R3)과,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1)의 단자(P1,P2)와 상기 저항(R3) 사이에 연결된 저항(R1,R2)들로 구성되어, 상기 단자(P1,P2)들중 선택된 단자(P1,P2)와 연결된 저항(R1,R2)와 저항(R3)의 합성 저항값 및 상기 캐패시터(C3)의 캐패시턴스에 대응하는 주기의 상기 웨이크 업 신호를 상기 선택된 단자(P1,P2)에 제공하도록 구성된 트랙볼 마우스에서의 웨이크 업 장치.
KR2019960038509U 1996-11-05 1996-11-05 트랙볼 마우스에서의 웨이크 업 장치(apparatus for waking-up track ball mouse) KR20017498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8509U KR200174981Y1 (ko) 1996-11-05 1996-11-05 트랙볼 마우스에서의 웨이크 업 장치(apparatus for waking-up track ball mous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8509U KR200174981Y1 (ko) 1996-11-05 1996-11-05 트랙볼 마우스에서의 웨이크 업 장치(apparatus for waking-up track ball mous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5684U KR19980025684U (ko) 1998-08-05
KR200174981Y1 true KR200174981Y1 (ko) 2000-04-01

Family

ID=194728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38509U KR200174981Y1 (ko) 1996-11-05 1996-11-05 트랙볼 마우스에서의 웨이크 업 장치(apparatus for waking-up track ball mous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498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4139B1 (ko) * 2019-09-27 2020-05-22 삼성전기주식회사 절전기능을 갖는 이동체 센싱 제어 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4139B1 (ko) * 2019-09-27 2020-05-22 삼성전기주식회사 절전기능을 갖는 이동체 센싱 제어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5684U (ko) 1998-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23813B1 (ko) 시스템, 게임 포트 인터페이스, 게임 포트 인터페이스 폴링 장치 및 방법
US7158913B2 (en) Automatic activation of touch sensitive screen in a hand held computing device
US6269449B1 (en) Capacitive wake-up mechanism for hand held data entry unit
US4531198A (en) Operation mode monitor for microcomputer
US7945794B2 (en) Portable computer with a power control function
KR19990079584A (ko) 사용자 감지 장치를 갖는 저소비 전력용 컴퓨터 시스템 및 그의전원 공급 제어 방법
US5935254A (en) Computer system for cutting off power by key input signals or programming and having a reset switch for resetting and supplying power
GB2242043A (en) A microcomputer on a non-contact IC card
JPH04178114A (ja) 電子機器
KR200174981Y1 (ko) 트랙볼 마우스에서의 웨이크 업 장치(apparatus for waking-up track ball mouse)
JP2642541B2 (ja) キー入力回路およびキー入力検出方法
JP2503903B2 (ja) バッテリ駆動携帯型デ―タ機器
US9684368B2 (en) Event detection method for waking up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action sensor using same
KR100683347B1 (ko) 전력 소모 절감 장치와 그 방법
KR20030033849A (ko) 전원 관리 기능을 구비한 전자 잠금 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220255368A1 (en) Wireless charging device and wireless charging switching method
KR100449629B1 (ko) 자기-웨이크업기능을 갖는 광마우스 센서칩 및 이센서칩을 갖는 광마우스
KR200172902Y1 (ko) 스위칭센싱로직
KR200148402Y1 (ko) 전자식 도어록의 메세지기능 온/오프장치
JP2984175B2 (ja) 火災感知器
KR19990009451A (ko) 전압검출기 이용한 파워온리셋장치
KR940000967A (ko) 오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자동 리세트회로 및 방법
KR940001468B1 (ko) 전자레인지의 마이크로웨이브, 히이터 구동시 부저음 이원화방법
KR960010916B1 (ko) 순간정전시 써미스터입력신호 검출방법
KR920009604B1 (ko) Vcr 사용 통제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O032 Opposition [utility model]: request for opposition
O131 Decision on opposition [utility model]
O072 Maintenance of registration after opposition [utility model]: final registration of opposition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1100001873;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11011

Effective date: 20030930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11011

Effective date: 2003093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105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