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7956Y1 - Structure of concrete block having supporting hole - Google Patents

Structure of concrete block having supporting ho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7956Y1
KR200247956Y1 KR2020010017800U KR20010017800U KR200247956Y1 KR 200247956 Y1 KR200247956 Y1 KR 200247956Y1 KR 2020010017800 U KR2020010017800 U KR 2020010017800U KR 20010017800 U KR20010017800 U KR 20010017800U KR 200247956 Y1 KR200247956 Y1 KR 2002479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concrete block
lower concrete
present
r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7800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용운
Original Assignee
박용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용운 filed Critical 박용운
Priority to KR20200100178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7956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79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7956Y1/en

Links

Landscapes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지지부를 가지는 호안블록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호안블록을 경사면에서 고정 할 수 있도록 철제핀등을 삽입하여 토양에 호안블록을 고정할 수 있도록 한 호안블록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ructure of a raft block having a support, the purpose is to provide a raft block structure that can be fixed to the soil by inserting iron pins to fix the raft block on the inclined surface.

본 고안의 구성은 강, 하천, 해변가, 도로 또는 공원등지의 경사면에 시공되도록 상부 및 하부 콘크리트 블록체(11)(12)가 일체로 형성되고, 하부 콘크리트 블록체(12)의 내부에 배근된 철근(13) 구조물로부터 돌출된 'U'자 형상으로 형성된 블록 연결구(14)가 모서리부근에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 콘크리트 블록체(12)에 배근된 철근과 철근사이의 일부면을 천공하여 식재공간부(17)가 형성된 호안 블록(1)에 있어서, 상기 호안블록(1)을 상하로 관통하는 다수개의 지지홀(15)을 형성하여, 토양에 고정되는 지지봉(16)이 삽입되도록 한 구조를 특징으로 한다.The constru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upper and lower concrete block body 11, 12 is integrally formed so as to be installed on the slopes of rivers, rivers, beaches, roads, parks, etc., are arranged inside the lower concrete block body 12 Block connector 14 formed in a 'U' shape protruding from the structure of the reinforcing bar (13) is formed at the corners, and the planting space by drilling a part of the surface between the reinforcing bar and the reinforcing bar reinforced to the lower concrete block body (12) In the raft block (1) formed with a portion 17, a plurality of support holes (15) penetrating the raft block (1) up and down, so that the support rod (16) fixed to the soil is inserted into It features.

Description

지지홀을 가지는 호안블록의 구조{Structure of concrete block having supporting hole}Structure of concrete block having supporting hole

본 고안은 강, 하천, 해변가, 도로 또는 공원등지의 경사면에 시공되는 호안블록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호안블록을 다양한 종류의 식물을 식재할 수 있도록 제작하여 이를 경사면에서 흘러내리지 않도록 호안블록의 하부구조를 개량한 지지홀을 가지는 호안블록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ructure of a raft block which is constructed on a slope of a river, a river, a beach, a road, or a park, and more particularly, a raft block is manufactured so that various kinds of plants can be planted so that it does not flow from the slop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ructure of a rake block having a support hole in which a substructure of the rake block is improved.

일반적으로 강, 하천, 해변가, 도로 또는 공원등지의 경사면에는 제방의 역할이나 도로의 유실 또는 보도의 유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다수개의 호안블록을 연결하여 시공한다.In general, the slopes of rivers, rivers, beaches, roads, and parks are constructed by connecting a number of raft blocks to prevent the loss of roads or sidewalks or the role of a levee.

이러한 호안블록의 시공시 사용되는 블록 등을 보면 전체가 판상의 콘크리트 구조를 가지고 있어서 자연경관과의 조화를 살리지 못하여 부자연스럽고, 시공시 블록 서로간의 이음매를 치밀하게 연결하여 블록이 덮고 있는 하부 땅에 대한 햇빛의 공급을 막아, 식물의 성장을 방해함으로서 땅의 사막화를 초래하고, 블록 서로간의 연결이 연속적인 배열에 의한 고정방법이라 빠른 유속에 의해 하류쪽에서는 홍수로 인한 범람 및 침수피해가 종종 있어 왔다.When looking at the blocks used in the construction of the revetment block, the whole structure has a plate-like concrete structure, so it is not natural to harmonize with the natural landscape, and when the construction is performed, the joints of the blocks are closely connected to each other in the lower ground covered by the block. Blocking the supply of sunlight to the sun, disrupting the growth of plants, resulting in desertification of the land, and the connection between blocks is a fixed arrangement by a continuous arrangement. come.

또한 제방 구조물을 인위적으로 고정시키지 않으면 빠른 유속으로 콘크리트블록의 하부 구조물이 함몰되어 연속적으로 상부 구조물까지 붕괴되는 취약한 연결 구조로 되어 있다.In addition, if the embankment structure is not artificially fixed, it is a weak connection structure in which the lower structure of the concrete block is depressed at a high flow rate and continuously collapses to the upper structure.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의 일반적인 콘크리트 블록을 사용한 시공방법에서는 물의 유속을 저감시킬 수 있는 풀이나 나무의 성장공간에 없다는 단점과, 블록 하부에 대한 햇빛의 투과가 불가능하여 땅이 사막화가 진행된다는 단점과, 개개의 블록을 경사면에서 단단히 고정할 구조가 없다는 단점이 있었다.Therefore, in the conventional construction method using a conventional concrete block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e growth space of the grass or trees that can reduce the flow rate of the water, and the disadvantages that the soil is deserted because the sunlight is not transmitted to the lower part of the block and However,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re is no structure to secure the individual blocks firmly on the slope.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호안블록을 경사면에서 고정 할 수 있도록 철제핀등을 삽입하여 토양에 호안블록을 고정할 수 있도록 한 호안블록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to provide a relief block structure that can be fixed to the soil by inserting iron pins to fix the relief block on the inclined surface.

도 1은 본 고안의 호안블록 중 식물식재 공간부가 작게 형성된 블록을 보인 모델링도이고,1 is a modeling diagram showing a block formed small plant plant space portion of the revetment b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a는 도 1과 같은 블록에 추가로 지지홀이 형성된 블록을 보인 모델링도,1A is a modeling diagram showing a block in which a support hole is formed in addition to a block as shown in FIG. 1;

도 2는 본 고안의 호안블록중 식물식재 공간부가 크게 형성된 블록을 보인 모델링도이며,Figure 2 is a modeling diagram showing a block formed large plant plant space part of the revetment b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a는 도 2와 같은 블록에 추가로 지지홀이 형성된 블록을 보인 모델링도,FIG. 2A is a modeling diagram showing a block in which support holes are formed in addition to the block as shown in FIG. 2;

도 3은 도 1의 호안블록 안에 배근된 철근을 보인 호안블록의 평면도이고,3 is a plan view of a revetment block showing a reinforcing bar in the revetment block of Figure 1,

도 4는 도3의 A-A선 단면도이며,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도 5는 도 2에 형성된 지지홀에 지지부재를 삽입하는 단계를 보인 예시도이며,5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ep of inserting a support member into the support hole formed in FIG.

도 6은 도5에 도시된 지지부재가 블록을 관통하여 토양에 고정된 후, 블록을 복토한 것을 보인 단면 예시도이고,6 is an exemplary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at the support member shown in FIG. 5 penetrates the block and is fixed to the soil and then covers the block.

도 7은 본 고안의 서로 다른 식물식재 공간을 가진 블록을 배열한 모습을 보인 예시도이며,7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arrangement of blocks having different planting spa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고안의 각각의 호안 블록을 결합하는 부위를 상세하게 나타내는 도면이고,8 is a view showing in detail the portion joining each eosinophil b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고안의 결합부재를 상세하게 나타내는 도면이며,9 is a view showing in detail the coupling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고안의 또 다른 결합부재의 실시예도이고,10 is an embodiment of another coupling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다양한 결합부재를 사용하여 결합한 후 복토한 모습을 보인 예시도이다.1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of covering after combining using a variety of coupling members.

도 12는 본 고안의 호안블록에 요부 및 철부가 형성된 것을 보인 모델링도이며,12 is a modeling diagram showing that the recessed portion and the convex portion is formed in the repose b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은 상기 도12의 호안블록을 사용하여 배열한 모습을 보인 예시도이다.FIG. 1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arrangement using the eye block shown in FIG.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호안 블록 (2, 3) : 결합부재(1): Shore block (2, 3): Joining member

(11) : 상부 콘크리트 블록체 (12) : 하부 콘크리트 블록체(11): upper concrete block body 12: lower concrete block body

(13) : 철근 (14) : 블록 연결구(13): rebar (14): block connector

(15) : 지지홀 (16) : 지지봉(15): support hole (16): support rod

(17, 17') : 식재공간부 (18) : 요부(17, 17 '): Planting space department (18): main body

(19) : 철부 (21) : 결합봉(19): convex portion 21: bonding rod

(22) : 결합판 (23, 33) : 너트(22): coupling plate (23, 33): nut

(30a) : 일측단 (31) : 체인30a: one end 31: chain

(31a) : 일측단 (32) : 볼트(31a): One end 32: Bolt

(221) : 관통홀(221): through hole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 종래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한 과제를 수행하는 본 고안은 강, 하천, 해변가, 도로 또는 공원등지의 경사면에 시공되도록 상부 및 하부 콘크리트 블록체가 일체로 형성되고, 하부 콘크리트 블록체의 내부에 배근된 철근 구조물로부터 돌출된 'U'자 형상으로 형성된 블록 연결구가 모서리부근에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 콘크리트 블록체에 배근된 철근과 철근사이의 일부면을 천공하여 식재공간부가 형성된 호안 블록에 있어서,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and to perform the problem for eliminating the conventional defects is formed in the upper and lower concrete block body integrally formed on the slopes of rivers, rivers, beaches, roads or parks, the lower concrete Block connector formed in the shape of 'U' protruding from the reinforcement structure reinforcement inside the block body is formed in the corner portion, and the planting space part is formed by drilling a part of the surface between the reinforcing bar and the reinforcement reinforced in the lower concrete block body In the raft block,

상기 호안블록을 상하로 관통하는 다수개의 지지홀을 형성하여, 토양에 고정되는 지지봉이 삽입되도록 하고, 요부 및 철부를 형성시켜 물흐름을 우회토록 한 구조를 특징으로 한다.Forming a plurality of support holes penetrating the raft block up and down, so that the support rod is fixed to the soil is inserted, and the recessed portion and the iron portion is formed to bypass the water flow.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인 구성과 그 작용을 첨부도면에 연계시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the opera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고안의 호안블록 중 식물 식재 공간부가 작게 형성된 블록을 보인 모델링도를 도시하고 있는데, 본 고안에 사용되는 호안 블록(1)은 상부 및 하부 콘크리트 블록체(11)(12)를 일체로 형성하되,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하부 콘크리트 블록체(12)의 내부에 배근된 철근(13) 구조물로부터 돌출된 'U'자 형상으로 형성된 블록 연결구(14)를 모서리부근에 형성하여 구성하고, 하부 콘크리트 블록체(12)에 배근된 철근과 철근사이의 일부면을 천공하여 식재공간부(17)를 형성하여 식물 식재가 가능하도록 하였다.Figure 1 shows a modeling diagram showing a block formed by the plant plant space portion of the revetment b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vetment block (1)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gral with the upper and lower concrete block body (11, 12) As shown in FIG. 3, the block connector 14 formed in a 'U' shape protruding from the reinforcing bar 13 structure disposed inside the lower concrete block body 12 is formed near the corner. It was configured, and the planting space portion 17 was formed by drilling a part of the surface between the reinforcing bar and the reinforcement in the lower concrete block 12 to enable planting.

상기 하부 콘크리트 블록체(12)의 각 모서리부는 모따기 가공되어 서로 인접하는 블록과 만나면 마름모 형상이 된다.Each corner portion of the lower concrete block body 12 is chamfered to meet a block adjacent to each other to have a rhombus shape.

상기 상부 콘크리트 블록(11)은 다양한 형태로 주형을 제작하여 형성될 수 있는 관계로 이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upper concrete block 11 may be formed by manufacturing a mold in various forms, so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a는 도 1과 같은 블록에 추가로 지지홀이 형성된 블록을 보인 모델링도로서 블록을 관통한 지지홀(15)이 보인다.FIG. 1A is a modeling diagram showing a block in which support holes are formed in addition to the block shown in FIG.

도 2는 본 고안의 호안블록 중 식물 식재 공간부가 크게 형성된 블록을 보인 모델링도인데, 도 1과 같은 구조로 형성하되 하부 콘크리트 블록체(12)에 형성된식재공간부(17')를 크게 형성하여 구성함으로써 도 1의 호안블록 식재공간부(17)에 식재되는 블록보다 큰 식물을 식재 할 수 있다.FIG. 2 is a modeling diagram showing a block in which a plant planting space part is largely formed among the revetment block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formed in the same structure as in FIG. 1, but the planting space part 17 ′ formed in the lower concrete block body 12 is largely formed. By constructing, the plant larger than the block planted in the lakeside block planting space 17 of FIG. 1 can be planted.

도 2a는 도 2와 같은 블록에 추가로 지지홀이 형성된 블록을 보인 모델링도로서 블록을 관통한 지지홀(15)이 보인다.FIG. 2A is a modeling diagram showing a block in which support holes are formed in addition to the block shown in FIG.

도 3은 도 1의 호안블록 안에 배근된 철근을 보인 호안블록의 평면도인데, 하부 콘크리트 블록체(12)의 내부에 배근되는 철근(13)을 각각의 모서리부에서 반대방향 모서리까지 중심부에서 서로 교차 시키고 서로간의 철근을 다시 내부에 위치한 연결용 철근으로 배근하였다.3 is a plan view of a reinforcement block showing the reinforcing bars in the revetment block of FIG. 1, the reinforcing bar 13 reinforcement in the interior of the lower concrete block body 12 cross each other at the center from each corner to the opposite corner The reinforcing bars were then reinforced with connecting bars located inside.

하부 콘크리트 블록체(12)의 각 모서리에는 배근된 철근(13)을 'U'자 형태로 꺽어 하부 콘크리트 블록체(12) 외부로 돌출시켜 블록 연결구(14)를 형성하였다.At each corner of the lower concrete block body 12, the reinforcing bar 13 was bent in a 'U' shape to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lower concrete block body 12 to form a block connector 14.

도 4는 도3의 A-A선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는데, 호안 블록을 관통하여 형성된 지지홀(15)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 지지홀(15)에 지지봉(16)을 상부에서 관통시켜 토양에 고정시켜 경사면에서의 고정 지지력을 발휘하도록 한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ure 3, there is shown a support hole 15 formed through the revetment block, through the support rod 16 through the support hole 15 from the top to be fixed to the soil Ensure a fixed bearing force on the slope.

도 5는 도 1에 형성된 지지홀과 여기에 삽입되는 지지부재간의 결합 단계를 보인 예시도인데, 지지홀(15)에 삽입되는 지지봉(16)은 도면에서는 간단한 봉상의 형태를 취하여 삽입 결합되나, 이러한 삽입뿐만 아니라 지지홀 내부 및 지지봉의 외부 둘레에 나사산등과 같은 결합방법으로 변형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5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coupling step between the support hole formed in FIG. 1 and the support member inserted therein, the support rod 16 inserted into the support hole 15 is inserted and coupled to take the form of a simple rod in the drawing. In addition to such insertion, it is a matter of course that the deformation can be carried out by a coupling method such as a screw thread around the inside of the support hole and the outside of the support rod.

또한 상기 지지홀의 위치 및 개수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addition, the position and number of the support holes may be variously modified.

도 6은 도5에 도시된 지지부재가 블록을 관통하여 토양에 고정된 후, 블록을 복토한 것을 보인 단면을 예시하고 있는데, 본 고안에서 호안블록을 설치하는 방법은 먼저 다양한 호안블록을 경사지에 배열 후, 배열시 일정 간격마다 설치한 지지홀(15)이 형성된 호안블록에 지지봉(16)을 상부방향에서 하부방향으로 관통시켜 토양에 고정시킨 후, 흙을 일정높이 바람직하게는 하부콘크리트 블록체가 안보일정도의 높이까지 복토를 하면 된다.Figure 6 illustrate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at the support member shown in Figure 5 through the block is fixed to the soil, and then covered the block,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of installing the revetment block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 variety of revetment block on the slope After arranging, the support rod 16 is fixed to the soil by penetrating the support rod 16 from the upper direction to the lower direction on the rake block formed with the support holes 15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during the arrangement, and then the soil is fixed to a certain height. You can cover it to an invisible height.

도 7은 본 고안의 서로 다른 식물식재 공간을 가진 블록을 배열한 모습을 보인 예시도이며, 개개의 호안블록을 도 6에서 설명한 것처럼 미리 정리된 경사지에 호안블록을 배열한 후 일정간격마다 지지홀(15)이 형성된 호안블록을 배열한다.Figure 7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arrangement of blocks having different planting spaces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of the revetment block as shown in Figure 6 after arranging the revetment block on a pre-arranged slope to support holes at regular intervals Arrange the relief block formed with (15).

이때 모든 지지홀을 가진 호안블록은 이웃하는 호안블록 등에 지지력을 발휘할 수 있을 정도로 배열하면 된다.At this time, the revetment block having all the support holes may be arranged so as to exert the supporting force to the neighboring revetment block.

이때 하천등의 물과 먼쪽에는 식재공간부(17')가 큰 것을 배열하고, 하천의 물과 가까운쪽에는 식재공간부(17)가 작은 것을 배열한다.At this time, the planting space portion 17 'is arranged at the far side of the water such as a river, and the planting space portion 17 is arranged at the side close to the water of the river.

상기와 같이 호안블록을 배열하면 인접하는 호안블록간의 블록 연결구(14)가 마름모꼴로 배열되는데, 그 이유는 콘크리트 블록체(12)의 모서리부를 미리 모따기하여 형성하였기 때문이다.Arranging the revetment blocks as described above, the block connector 14 between the adjacent revetment blocks are arranged in a rhombus, because the edge portion of the concrete block body 12 is formed by chamfering in advance.

도 8은 본 고안의 각각의 호안 블록을 결합하는 부위를 상세하게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9는 본 고안의 결합부재를 상세하게 나타내는 도면을 도시하고 있는데, 도 7과 같은 작업이 끝난 후 인접하는 호안블록간을 결합부재(2)를 사용하여 고정시킨다.Figure 8 is a view showing in detail the portion of the respective joints of the revetment b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shows a view showing the detail of the coupling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djacent revetment after the operation as shown in FIG. The blocks are fixed using the coupling member 2.

상기 결합부재(2)는, 전체적으로 U'자 형상을 가지고, 일측부에서 'L'자 형상으로 절곡된 결합봉(21)과, 양측에 두 개의 관통홀(221)을 형성한 결합판(22), 상기 결합봉(21)에 형성되는 볼트부에 결합되는 너트(23)로 구성되는데, 그 결합방법은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봉에서 볼트부가 형성되지 않은쪽을 마름모꼴로 인접하는 4개의 블록연결구중 2개의 블록 연결구를 동시에 걸고, 볼트부가 형성된 나머지 절곡부쪽을 사용하여 다른 2개의 블록 연결구에 위치시킨 후 상부에 형성된 볼트부에 두 개의 관통홀(221)을 가진 결합판(22)을 끼우고, 다시 너트(23)를 사용하여 결합시킨다.The coupling member 2 has a U 'shape as a whole, a coupling rod 21 bent in an' L 'shape at one side, and a coupling plate 22 having two through holes 221 at both sides. ), And the nut 23 is coupled to the bolt portion formed in the coupling rod 21, the coupling method of the four block connector adjacent to the lozenge adjacent to the side where the bolt portion is not formed in the coupling rod as shown Of the two block connectors at the same time, using the remaining bent portion formed with the bolt portion, and placed in the other two block connectors, and then inserting the coupling plate 22 having two through holes 221 in the bolt portion formed at the top. Then, use the nut 23 to combine.

도 10은 본 고안의 또 다른 결합부재의 실시예도를 도시하고 있는데, 본 고안의 또 다른 결합부재(3)는 일측단(30a)에 볼트(32)가 일체로 용접형성된 체인(31)을 구성하여 상기 체인(31)을 이용하여 상기 블록 연결구(14)들을 건 다음 일측단(31a)에 형성한 볼트(32)에 타측단(31b)을 건 다음 너트(33)를 볼트(32)에 체결하여 연결토록 구성된다.10 shows an embodiment of another coupling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yet another coupling member 3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titutes a chain 31 in which a bolt 32 is integrally welded to one side end 30a. The other end 31b to the bolt 32 formed at one end 31a of the block connector 14, and then the nut 33 to the bolt 32. It is configured to be connected.

이와 같은 결합 부재를 이용하면 호안블록의 조립시 서로간에 약간의 유격이 생기더라도 체인의 움직임이 자유로와서 블록 연결구(14)들을 연결하기가 용이하다.Using such a coupling member, even when a slight clearance between each other when assembling the revetment block, the movement of the chain is free to easily connect the block connector (14).

도 11은 다양한 결합부재를 사용하여 결합한 후 복토한 모습을 보인 예시도인데, 상기 도 7에서 배열한 지지홀이 형성된 호안블록에 삽입된 지지봉(16)이 도시되어 있으며, 복토를 하부 콘크리트 블록체가 보이지 않을 정도로 하고, 식재공간부에 다양한 크기의 식물을 식재할 수 있도록 준비된 모습을 보이고 있다.Figure 1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cover after the coupling using a variety of coupling members, the support rod 16 is inserted into the raft block formed with the support holes arranged in Figure 7 is shown, the lower concrete block body It is invisible and ready to plant plants of various sizes in the planting space.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물과 가까운 쪽의 식재공간부에는 크기가 작은 식물을 심고, 물과 먼 쪽의 식재공간부에는 나무 등과 같이 큰 식물을 심는다.At this time, a small plant is planted in the planting space part near the water, and a large plant such as a tree is planted in the planting space part far from the water.

도 12는 본 고안의 호안블록에 요부 및 철부가 형성된 것을 보인 모델링도이며, 도 13은 상기 도12의 호안블록을 사용하여 배열한 모습을 보인 예시도를 도시하고 있는데, 호안블록을 배열하여 시공시 호안블록의 형상을 요부(18) 및 철부(19)를 가지도록 형성시켜 물의 흐름을 우회토록 하여 호안블록을 지나는 물의 유속을 제어함으로써 물 도랑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고, 토양의 유실을 방지토록 한 것을 예시하고 있다.12 is a modeling diagram showing that the recess and the convex portion is formed in the revetment b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3 show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arrangement using the revetment block of Figure 12, construction by arranging the revetment block To prevent the formation of water grooves and to prevent the loss of soil by controlling the flow rate of the water passing through the lake block by bypassing the flow of water by forming the shape of the lake bank block to have a recess (18) and convex (19). To illustrate.

상기와 같은 시공방법에 의해 제방등을 건설하면 환경 친화적으로 제방등이 건설되어, 식물에 의한 마찰 및 토양으로의 흡수에 의해 유속의 저감을 가지고 올수 있고, 자연적인 제방처럼 보여 미관에도 좋을 뿐만 아니라, 블록 하부에 있는 땅에 햇빛이 도달될 수 있어 토양의 사막화를 막을 수 있다.By constructing the levees by the above construction method, the levees are constructed in an environmentally friendly way, which can bring about the reduction of the flow rate by the friction of plants and the absorption into the soil. For example, sunlight can reach the land below the block, preventing desertification of the soil.

또한 물이 잠길정도의 깊이에 시공된 호안블록의 식재 공간부에서 자라는 식물(수생식물)이 하천의 물을 자정하기 때문에 콘크리트만으로 구성된 호안블록에 비하여 환경 오염을 복원하는 기능까지 가지게 된다.In addition, since plants (aquatic plants) growing in the planting space part of the revetment block constructed at the depth enough to submerge the water self-clean the water of the river, they have the function of restoring environmental pollution compared to the revetment block composed of concrete only.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specific preferred embodiments, and any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make various modific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Of course, such changes will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호안블록은 지지봉이 삽입되는 지지홀이 형성되어 있어서, 콘크리트 블록체로 상,하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관계로 고중량이기 때문에 강, 하천, 해변가, 도로 또는 공원등지의 경사면에 시공시 흘러내리는 것을 지지하는 호안블록을 더욱더 견고하게 경사지에서 지지력을 발휘하도록 해줌으로써 제방의 유실등을 막아주는 효과가 있다.The revetment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upport hole into which a supporting rod is inserted, and is constructed on slopes of rivers, rivers, beaches, roads, parks, etc., because the upper and lower parts are integrally formed with concrete blocks. It is effective to prevent the loss of the dike by making the raft block that supports the flow of the city more firmly to exert its support on the slope.

Claims (1)

강, 하천, 해변가, 도로 또는 공원등지의 경사면에 시공되도록 상부 및 하부 콘크리트 블록체(11)(12)가 일체로 형성되고, 하부 콘크리트 블록체(12)의 내부에 배근된 철근(13) 구조물로부터 돌출된 'U'자 형상으로 형성된 블록 연결구(14)가 모서리부근에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 콘크리트 블록체(12)에 배근된 철근과 철근사이의 일부면을 천공하여 식재공간부(17)가 형성된 호안 블록(1)에 있어서,The upper and lower concrete block bodies 11 and 12 are integrally formed so as to be installed on a slope of a river, a river, a beach, a road, a park, etc., and the rebar 13 structure is disposed inside the lower concrete block body 12. Block connector 14 formed in the shape of a 'U' protruding from the corner is formed in the corner, and the planting space portion 17 by drilling a part surface between the reinforcing bar and the reinforcement reinforced on the lower concrete block body 12 In the formed bank block 1, 상기 호안블록(1)을 상하로 관통하는 다수개의 지지홀(15)을 형성하여, 토양에 고정되는 지지봉(16)이 삽입되도록 하고, 요부(18) 및 철부(19)를 형성시켜 물흐름을 우회토록 한 구조를 특징으로 하는 지지홀을 가지는 호안블록의 구조.By forming a plurality of support holes 15 penetrating the raft block (1) up and down, so that the support rod 16 is fixed to the soil is inserted, the recess 18 and the convex portion (19) to form a water flow A structure of a raft block having a supporting hole characterized by a bypass structure.
KR2020010017800U 2001-06-14 2001-06-14 Structure of concrete block having supporting hole KR200247956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7800U KR200247956Y1 (en) 2001-06-14 2001-06-14 Structure of concrete block having supporting ho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7800U KR200247956Y1 (en) 2001-06-14 2001-06-14 Structure of concrete block having supporting ho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7956Y1 true KR200247956Y1 (en) 2001-10-29

Family

ID=730664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7800U KR200247956Y1 (en) 2001-06-14 2001-06-14 Structure of concrete block having supporting ho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7956Y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6812B1 (en) * 2002-09-23 2003-11-21 상원개발산업주식회사 Lattice embankment block
KR100424941B1 (en) * 2001-06-14 2004-03-30 박용운 Construction method of concrete block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4941B1 (en) * 2001-06-14 2004-03-30 박용운 Construction method of concrete block
KR100406812B1 (en) * 2002-09-23 2003-11-21 상원개발산업주식회사 Lattice embankment block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49106A (en) Prefabricated shore protection block
KR100721453B1 (en) embankment block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same
KR200247956Y1 (en) Structure of concrete block having supporting hole
KR200185613Y1 (en) Revetment block
KR100424941B1 (en) Construction method of concrete block
KR100694874B1 (en) Revetment block
KR100406812B1 (en) Lattice embankment block
KR100445216B1 (en) Shore protecting block which plants grow well
KR200297571Y1 (en) Vegetation retaining wall structure
KR200346774Y1 (en) An embankment block for plant community
KR100763874B1 (en) Retaining wall block
JP3357641B2 (en) Revetment block
KR200327399Y1 (en) Block
KR200356111Y1 (en) Embankment block
KR200284981Y1 (en) Protection block for the slant side and/or river side enabling plant propagation with structure consistency
KR200312007Y1 (en) Embankment block that build a dike
KR20020069953A (en) ecology block
KR200348427Y1 (en) Block
KR20040098434A (en) Block
KR200413594Y1 (en) Embankment block
KR200422482Y1 (en) Revetment block
KR200361675Y1 (en) Plant growing type eall and revetment block
KR200330328Y1 (en) Protection block assembly for a bank
CN208604546U (en) Eco-embankment
KR200240472Y1 (en) multi purpose block for the protection of environ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