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7919Y1 - 적재용 상자 - Google Patents

적재용 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7919Y1
KR200247919Y1 KR2019990005218U KR19990005218U KR200247919Y1 KR 200247919 Y1 KR200247919 Y1 KR 200247919Y1 KR 2019990005218 U KR2019990005218 U KR 2019990005218U KR 19990005218 U KR19990005218 U KR 19990005218U KR 200247919 Y1 KR200247919 Y1 KR 2002479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s
box
bottom plate
wall
eg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52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8931U (ko
Inventor
윤선영
Original Assignee
윤선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선영 filed Critical 윤선영
Priority to KR20199900052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7919Y1/ko
Publication of KR2000001893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893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79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7919Y1/ko

Links

Landscapes

  • Stackable Containers (AREA)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달걀 등 파손되기 쉬운 물품을 다량 적재한 상태로 안전하게 운반 및 보관할 수 있도록 한 적재용 상자에 관한 것으로, 바닥판과 전후벽 및 좌우벽에 외부와 연통되는 통기공을 형성하여 적층 수용되는 물품의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다수 층으로 적재하더라도 적층 수용된 물품이 파손되는 일이 없으며, 다층으로 적재하는 경우 작업자가 밟고 서서 간편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적재용 상자{CARRYING BOX}
본 고안은 적재용 상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달걀 등 파손되기 쉬운 물품을 다량 적재한 상태로 안전하게 운반 및 보관할 수 있도록 한 적재용 상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달걀과 같은 물품은 매우 약하기 때문에 에그 크레이트(egg crate) 등의 달걀보호부재에 담아서 운반 및 보관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달걀보호부재에 의해 달걀을 적재하는 경우 달걀과 달걀보호부재의 무게에 의하여 최하단의 달걀이 깨지지 않고 적재될 수 있는 적층 수가 통상 6층 정도로 한정되고 있다.
따라서 트럭을 이용하여 운반하거나 창고에 적재할 경우 트럭이나 창고의 적재 적량에 훨씬 못미치는 량의 달걀밖에 적재할 수 없게 되어 물류 비용이 크게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달걀을 적재할 경우 작업자가 달걀 크레이트를 밟고 작업을 할 수 없기 때문에 적재 작업이 매우 불편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깨지기 쉬운 물품을 트럭이나 창고의 적재 적량만큼 안전하게 적재할 수 있도록 하여 물류 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도록 한 적재용 상자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물품을 적층 및 적재한 상태에서 내부의 수용공간과 외부 사이에서 공기 또는 냉기의 순환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물품의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게 한 적재용 상자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물품을 전후, 좌우로 유동되지 않는 상태로 수용할 수 있으면서도 수용된 물품을 꺼내기 쉽도록 한 적재용 상자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하나의 상자에 물품을 복수 열로 적층 수용하면서도 기계적 강도가 저하되는 일이 없도록 한 적재용 상자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다층으로 적재할 경우 작업자가 밟고 올라서서 적재 작업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적재용 상자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적재용 상자의 제1 실시례를 보인 것으로,
도 1은 사시도.
도 2는 평면도.
도 3은 횡단면도.
도 4는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5는 도 2의 B-B선 단면도.
도 6은 달걀이 담긴 달걀보호부재가 적층된 상태에서 상하로 적재된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도 7 내지 도 12는 본 고안에 의한 적재용 상자의 제2 실시례를 보인 것으로,
도 7은 사시도.
도 8은 평면도.
도 9는 횡단면도.
도 10은 도 8의 C-C선 단면도.
도 11은 도 8의 D-D선 단면도.
도 12는 달걀이 담긴 달걀보호부재가 적층된 상태에서 상하로 적재된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도 13 내지 도 21은 본 고안에 의한 적재용 상자의 제3 실시례를 보인 것으로,
도 13은 사시도.
도 14는 부분 절개 사시도.
도 15는 평면도.
도 16은 횡단면도.
도 17은 도 15의 E-E선 단면도.
도 18은 도 15의 F-F선 단면도.
도 19는 달걀이 담긴 달걀보호부재를 적재용 상자에 적층하는 과정을 보인 사시도.
도 20은 달걀이 담긴 달걀호보부재가 적층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1은 달걀이 담긴 달걀보호부재가 적층된 상태에서 상하로 적재된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도 22 내지 도 29는 본 고안에 의한 적재용 상자의 제4 실시례를 보인 것으로,
도 22는 사시도.
도 23은 부분 절개 사시도.
도 24는 평면도.
도 25는 횡단면도.
도 26은 도 24의 G-G선 단면도.
도 27은 도 26은 H-H선 단면도.
도 28은 달걀이 담긴 달걀보호부재가 적층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9는 달걀이 담긴 달걀보호부재가 적층된 상태에서 상하로 적재된 상태를 보인종단면도.
도 30 내지 도 35는 본 고안에 의한 적재용 상자의 제5 실시례를 보인 것으로,
도 30은 사시도.
도 31은 부분 절개 사시도.
도 32는 평면도.
도 33은 횡단면도.
도 34는 달걀이 담긴 달걀보호부재가 적층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5는 달걀이 담긴 달걀보호부재가 적층된 상태에서 상하층이 직교하는 방향으로 적재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21;31;41 : 바닥판 11a;21a;31a;41a : 통기공
12,13;22,23;32,33;42,43 : 전후벽 14,15;24,25;34,35;44,45 : 좌우벽
11c;21c;31c;41c : 유동방지돌기 12c,13c; : 손가락 삽입홈
22a,23a;32a,33a;42a,43a : 내벽 22b,23b;32b,33b;42b,43b : 외벽
22e,23e;35d;42e,43e,44e,45e;46d : 통기로
36e;42f;43f;44f,45f;46e : 개구부
22g,23g;36f;42g,43g,44g,45g;46f : 통기공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바닥판과 전후벽과 좌우벽에 의하여 상면이 개방된 수용공간이 형성된 적재용 상자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에는 다수개의 통기공이 천공되고, 상기 전후벽에는 수용공간에 수용된 물품을 꺼낼 때 손가락을 삽입하기 위한 손가락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바닥판의 저면 모서리 부분에는 하층 상자의 전후벽과 좌우벽 상단 구석부 내측으로 삽입되는 유동방지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용 상자가 제공된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바닥판과 전후벽과 좌우벽에 의하여 상면이 개방된 수용공간이 형성된 적재용 상자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에는 다수개의 통기공이 천공되고, 상기 전후벽과 좌우벽은 상단만 연결되고 그 사이에 통기로가 형성되며 하단에 개구부를 가지는 내벽과 외벽에 의해 2중벽으로 형성되며, 상기 내벽중 적어도 2개의 벽에는 상기 통기로를 통해 상기 개구부와 연통되는 다수개의 통기공이 형성되고, 상기 내벽중 적어도 마주보는 2개의 벽의 내면에 손가락 삽입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용 상자가 제공된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바닥판과 전후벽과 좌우벽에 의하여 상면이 개방된 수용공간이 형성된 적재용 상자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에는 다수개의 통기공이 형성되고, 상기 바닥판과 전후벽의 중간부에 중간벽을 일체로 형성하여 상기 수용공간을 2개로 구획하며, 상기 중간벽은 상단만 연결되고 그 사이에 통기로가 형성되며 하단에 개구부를 가지는 2개의 벽에 의해 2중벽으로 형성되고, 상기 2개의 벽에는 상기 통기로를 통해 상기 개구부와 연통되는 다수개의 통기공이 형성되며, 상기 전후벽 내면에는 손가락 삽입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용 상자가 제공된다.
상기 전후벽과 좌우벽이 내벽과 외벽 및 상단의 연결부에 의해 그 사이에 통기로가 형성되고 하단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2중벽으로 형성되며, 상기 내벽에는 다수개의 통기공이 형성된다.
상기 좌우벽의 외벽에는 요홈부와 손잡이용 단턱부가 형성된다.
상기 전후벽의 외벽에는 요홈부와 손잡이용 단턱부가 형성된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적재용 상자를 첨부 도면에 도시한 실시례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적재용 상자의 제1 실시례를 도시하는 것으로, 바닥판(11)과, 이 바닥판(11)의 가장자리에서 상부로 연장되는 전후벽(12,13)과 좌우벽(14,15)에 의하여 상부가 개방된 수용공간(S)이 형성된다.
상기 수용공간(S)의 평면적은 수용되는 물품 또는 보호부재의 평면적과 일치하는 크기로 형성되어 수용된 물품 또는 보호부재에 담긴 물품이 전후, 좌우로 유동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상기 바닥판(11)과 전후벽(12,13) 및 좌우벽(14,15)은 단일 판과 단일 벽으로 형성된다.
상기 바닥판(11)에는 다수개의 통기공(11a)이 형성된다. 상기 바닥판(11)의 저면에는 상기 통기공(11a) 주위에 보강리브(11b)가 형성된다.
상기 바닥판(11) 저면의 모서리 부분에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층에 적재되는 상자의 전후벽(12,13)과 좌우벽(14,15) 상단 구석부 내측으로 삽입되는 유동방지돌기(11c)가 형성된다.
상기 유동방지돌기(11c)의 돌출 높이는 상기 보강리브(11b)의 돌출 높이보다 크게 하여 최하층에 위치하는 상자의 바닥판(11) 저면과 트럭 적재함 바닥 또는 창고 바닥과의 사이에 틈새가 생기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전후벽(12,13)과 좌우벽(14,15)의 상단에는 플랜지부(12a,13a), (14a,15a)가 형성되어 취급시 손잡이로서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전후벽(12,13)의 외측면에는 돌출부(12b,13b)가 형성되고 좌우벽(14,15)에는 돌조(14b,15b)가 형성되어 본 고안에 의한 적재용 상자를 상하로 적재할 경우 상층의 상자가 하층의 수용공간(S)에 삽입되지 않고 상층 상자의돌출부(12b,13b)의 하단면과 돌조(14b,15b)의 하단이 하층 상자의 플랜지부(12a,13a), (14a,15a)에 얹히게 되어 있다.
상기 전후벽(12,13)의 내측면에는 수용공간(S)에 수용된 물품을 꺼낼 때 손가락을 삽입할 수 있는 손가락 삽입홈(12c,13c)이 형성된다.
상기 손가락 삽입홈(12c,13c)은 상기 돌출부(12b,13b)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이하, 구성된 본 실시례에 의한 적재용 상자에 물품을 수용하고 적재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용하고자 하는 물품이 달걀인 경우 달걀(E)들이 담긴 최하층 달걀보호부재(C1)를 상기 전후벽(12,13)와 좌우벽(14,15)에 의해 형성되는 수용공간(S)에 삽입하여 바닥판(11)에 안착되도록 하고, 그 최하층 달걀보호부재(C1)위에 순차 달걀이 담긴 복수개의 달걀보호부재(C1)를 적층한다.
이때, 적층된 달걀부호부재(C1)는 그 4변이 전후벽(12,13)과 좌우벽(14,15)의 내면에 거의 밀착되어 전후, 좌우로 유동이 없는 상태로 유지된다.
여기서 30개들이 달걀보호부재(C1)의 경우에는 각층에 하나씩 적층되며, 10개들이 달걀보호부재(C2)(도 19 참조)의 경우에는 각층에 3개씩 적층된다.
하나의 적재용 상자에 수용되는 달걀의 수량은 작업자에 의한 운반 시 최대의 효율을 얻을 수 있는 20kg내외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에서는 달걀보호부재(C1) 4개층 적층되어 있으나, 예컨대 달걀 하나의 무게가 60g이라고 할 때 30개들이 달걀보호부재(C1)를 6개 적층할 경우 달걀 전체의 무게가 18kg이고, 달걀보호부재(C1)와 상자 자체의 무게를 포함할 경우 대략 20kg 내외가 된다. 또한 10개들이 달걀보호부재에 담긴 달걀을 적재하는 경우에는 각층 3개씩 6개층을 적층할 경우 대략 20kg 내외가 된다.
달걀보호부재(C1)가 적층된 상자들을 적재하게 되면 상층 상자의 전후벽(12,13) 외측면에 형성된 돌출부(12b,13b)의 저면과 좌우벽(14,15) 외측면에 형성된 돌조(14b,15b)의 하단이 상측 상자의 전후벽(12,13)과 좌우벽(14,15)의 플랜지부(12a,13a), (14a,15a)위에 얹혀짐과 아울러 상층 상자의 바닥판(11) 저면 가장자리에 형성된 유동방지돌기(11c)가 하층 상자의 전후벽(12,13)과 좌우벽(14,15) 상단 구석부 내측에 삽입되어 상,하층 상자가 전후, 좌우로 유동되는 일이 없이 안정되게 적재된다.
이와 같이 달걀이 담긴 다수 층의 달걀보호부재가 적층된 다수 개의 상자를 적재하였을 때 상층 상자에 적층된 달걀과 달걀보호부재의 하중이 하층 상자에 적층된 달걀이나 달걀보호부재에 가해지지 않게 되므로 트럭의 적재함이나 창고에 적재할 경우 적재 적량만큼의 달걀을 적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자를 적재할 때 작업자가 상자를 밟고 올라서서 작업을 하더라도 물품이 손상되는 일이 없으므로 더 높고 많은 량의 물품을 적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최하층에 위치하는 상자는 그 바닥판(11)의 저면에 형성된 유동방지돌기(11c)가 트럭 적재함이나 창고 바닥에 지지되며, 이때 상기 유동방지돌기(11c)의 돌출 높이가 보강리브(11b)의 돌출 높이보다 높으므로 바닥판(11) 저면과 트럭 적재함이나 창고 바닥의 사이에 틈새가 형성되며, 이 틈새와 바닥판(11)의통기공(11a)을 통해 수용공간(S)내로 공기 또는 냉기가 유입되어 적재된 달걀의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최하층 상자의 바닥면(11) 저면과 트럭 적재함 바닥과의 사이에만 틈새가 생기고, 그 상층의 상자들은 상층 상자의 바닥판(11) 저면과 하층 상자의 플랜지부(12a,13a), (14a,15a)가 밀착된 상태로 적재되므로 트럭을 이용한 수송 과정에서 달걀(E)이 외기에 쉽게 노출되지 않게 되어 달걀을 보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달걀보호부재(C1)는 그 4변이 수용공간(S)에 삽입된 상태에서 전후벽(12,13)과 좌우벽(14,15)의 내면에 거의 밀착된 되어 있으나 전후벽(12,13)의 내측면에 형성된 손가락 삽입홈(12c,13c)을 통해 손가락을 삽입할 수 있으므로 수용공간(S)에 수용된 달걀보호부재(C1)를 쉽게 꺼낼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례에 의한 적재용 상자를 취급함에 있어서는 상기 전후벽(12,13)과 좌우벽(14,15)의 상단에 형성된 플랜지부(12a,13a), (14a,15a)를 손잡이로서 이용한다.
도 7 내지 도 12는 본 고안의 제2 실시례를 보인 것으로, 바닥판(21)과, 이 바닥판(21)의 가장자리에서 상부로 연장되는 전후벽(22,23)과 좌우벽(24,25)에 의하여 상부가 개방된 수용공간(S)이 형성된다.
상기 수용공간(S)의 평면적은 수용되는 물품 또는 보호부재의 평면적과 일치하는 크기로 형성되어 수용된 물품 또는 보호부재에 담긴 물품이 전후, 좌우로 유동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상기 바닥판(21)은 단일판으로 형성되고, 전후벽(22,23) 및 좌우벽(24,25)은 내벽(22a,23a), (24a,25a)과 외벽(22b,23b), (24b,25b)으로 형성된다.
상기 바닥판(21)에는 다수개의 통기공(21a)이 형성된다. 상기 바닥판(21)의 저면에는 상기 통기공(21a) 주위에 보강리브(21b)가 형성된다.
상기 바닥판(21) 저면의 모서리 부분에는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층에 적재되는 상자의 전후벽(22,23)과 좌우벽(24,25) 상단 내측으로 삽입되는 유동방지돌기(21c)가 형성된다.
상기 유동방지돌기(21c)의 돌출 높이는 상기 보강리브(21b)의 돌출 높이보다 크게 하여 최하층에 위치하는 상자의 바닥판(21) 저면과 트럭 적재함 바닥 또는 창고 바닥과의 사이에 틈새가 생기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전후벽(22,23)의 내벽(22a,23a)과 좌우벽(24,25)의 내벽(24a,25a)에는 도 7 내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용공간(S)에 수용된 물품을 꺼낼 때 손가락을 삽입할 수 있는 손가락 삽입홈(22c,23c), (24c,25c)이 형성된다.
상기 전후벽(22,23)의 내벽(22a,23a)에 형성된 손가락 삽입홈(22c,23c)은 30개들이 달걀보호부재(C1)를 꺼낼 때 사용하기 위한 것이며, 좌우벽(24,25)의 내벽(24a,25a)에 형성된 손가락 삽입홈(24c,25c)은 10개들이 달걀보호부재(C2)(후술한는 제3 실시례의 도 19 참조)를 꺼낼 때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전후벽(22,23)의 내벽(22a,23a)과 외벽(22b,23b)과 좌우벽(24,25)의 내벽(24a,25a)과 외벽(24b,25b)은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단에서만 연결부(22d,23d), (24d,25d)에 의하여 연결되어 그 사이에 통기로(22e,23e),(24e,25e)가 형성되며 통기로(22e,23e), (24e,25e)의 하단에는 개구부(22f,23f), (24f,25f)가 형성되고 내벽(22a,23a)에는 다수개의 통기공(22g,23g)이 형성된다.
도시례에서는 통기공(22g,23g)가 전후벽(22,23)의 내벽(22a,23a)에만 형성되어 있으나, 좌우벽(24,25)의 내벽(24a,25a)에도 통기공을 형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통기공(22g,23g)은 도시례와 같이 사각형으로 형성할 수도 있으나, 반드시 이로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도형 모양으로 형상으로 형성하거나 세로 방향으로 길게 형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좌우벽(24,25)의 외벽(24b,25b)에는 요입부(24h,25h)와 이 요입부(24h,24h)의 상단에 손잡이용 단턱부(24i,25i)가 형성된다.
이하, 구성된 본 실시례에 의한 적재용 상자에 물품을 수용하고 적재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용하고자 하는 물품이 달걀인 경우 달걀(E)들이 담긴 최하층 달걀보호부재(C1)를 상기 전후벽(22,23)과 좌우벽(24,25)에 의해 형성되는 수용공간(S)에 삽입하여 바닥판(11)에 안착되도록 하고, 그 최하층 달걀보호부재(C1)위에 순차 달걀이 담긴 복수개의 달걀보호부재(C1)를 적층한다.
이때, 수용공간(S)에 대한 달걀보호부재(C1)의 적층 상태와 적층 개수 등은 상술한 제1 실시례에서와 동일하다.
달걀보호부재(C1)가 적층된 상자들을 적재하게 되면 상층 상자의 전후벽(22,23) 및 좌우벽(24,25)의 하단부가 하측 상자의 전후벽(22,23) 및좌우벽(24,25)의 상단부에 얹혀짐과 아울러 상층 상자의 바닥판(21) 저면 가장자리에 형성된 유동방지돌기(21c)가 하층 상자의 전후벽(22,23)의 내벽(22a,23a)과 좌우벽(24,25)의 내벽(24a,25a) 상단 내측에 삽입되어 상,하층 상자가 전후, 좌우로 유동되는 일이 없이 안정되게 적재된다.
한편, 최하층에 위치하는 상자는 그 바닥판(21)의 저면에 형성된 유동방지돌기(21c)가 트럭 적재함이나 창고 바닥에 지지되며, 이때 상기 유동방지돌기(21c)의 돌출 높이가 보강리브(21b)의 돌출 높이보다 높으므로 바닥판(21) 저면과 트럭 적재함이나 창고 바닥의 사이에 틈새가 형성되며, 상기 수용공간(S)은 이 틈새와 바닥판(21)의 통기공(21a)과, 전후벽(22,23)과 좌우벽(24,25)의 내벽(22a,23a), (24a,25a)과 외벽(22b,23b), (24b,25b) 사이에 형성된 개구부(22f,23f), (24f,25f)와 통기로(22e,23e), (24e,25e) 및 통기공(22g,23g)을 통하여 외기와 연통되므로 수용공간(S)과 외기 사이의 공기 또는 냉기 순환이 이루어지게 되어 달걀의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최하층 상자의 바닥면(21) 저면과 트럭 적재함 바닥과의 사이에만 틈새가 생기고, 그 상층의 상자들은 상층 상자의 바닥판(21) 저면과 하층 상자의 전후벽(22,23) 및 좌우벽(24,25)의 상단이 밀착된 상태로 적재되므로 트럭을 이용한 수송 과정에서 달걀(E)이 외기에 쉽게 노출되지 않게 되어 달걀을 보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자의 수용공간(S)에 수용된 달걀보호부재(C1)를 꺼내는 경우에는 전후벽(22,23)의 내측면에 형성된 손가락 삽입홈(22c,23c)을 통해 손가락을 삽입함으로써 달걀보호부재(C1)를 쉽게 빼낼 수 있다.
또한 상기 전후벽(22,23)의 내벽(22a,23a)에 형성된 손가락 삽입홈(22c,23c)은 주로 30개들이 달걀보호부재(C1)를 꺼낼 때 주로 사용되고, 좌우벽(24,25)의 내벽(24a,25a)에 형성된 손가락 삽입홈(24c,25c)은 주로 10개들이 달걀보호부재를 꺼낼 때 주로 사용되는 것이다.
또한 본 실시례에 의한 적재용 상자를 취급함에 있어서는 상기 좌우벽(24,25)에 형성된 손잡이용 단턱부(24i,25i)를 손잡이로서 이용하게 되는 것이다.
도 13 내지 도 21은 본 고안에 의한 제3 실시례를 보인 것으로, 바닥판(31)과, 이 바닥판(31)의 가장자리에서 상부로 연장되는 전후벽(32,33)과 좌우벽(34,35)에 의하여 상부가 개방된 수용공간(S)이 형성된다.
상기 수용공간(S)의 평면적은 수용되는 물품 또는 보호부재의 평면적과 일치하는 크기로 형성되어 수용된 물품 또는 보호부재에 담긴 물품이 전후, 좌우로 유동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상기 바닥판(31)과 전후벽(32,33) 및 좌우벽(34,35)은 단일 판과 단일 벽으로 형성된다.
상기 바닥판(31)은 좌우 길이가 전후 길이의 대략 2배로 되는 장방형으로 형성되고, 이에 따라 바닥판(31)의 전후측 연부에서 상부로 연장되는 전후벽(32,33)의 폭은 바닥판(31)의 좌우측 연부에서 상부로 연장되는 좌우벽(34,35)의 폭보다 크게 형성된다.
상기 바닥판(31)과 전후벽(32,33)의 좌우 방향 중간부에는 내부를 수용공간(S,S)으로 구획함과 아울러 장방형 상자의 내구력을 보강하고 상자의 적재 작업시에는 그 상단부를 밟고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중간벽(36)이 형성된다.
상기 바닥판(31)에는 다수개의 통기공(31a)이 형성된다. 상기 바닥판(31)의 저면에는 상기 통기공(31a) 주위에 보강리브(31b)가 형성된다.
상기 바닥판(31) 저면의 모서리 부분에는 도 17, 도 18 및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층에 적재되는 상자의 전후벽(32,33)과 좌우벽(34,35) 상단 구석부 내측으로 삽입되는 유동방지돌기(31c)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바닥판(31)의 저면 중간부에는 한쌍의 지지돌기(31d)가 형성된다.
상기 유동방지돌기(31c)와 지지돌기(31d)는 같은 상기 보강리브(31b)의 돌출 높이보다 크게 하여 최하층에 위치하는 상자의 바닥판(31) 저면과 트럭 적재함 바닥 또는 창고 바닥과의 사이에 틈새가 생기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지지돌기(31d)는 상자를 같은 방향으로 적재할 경우 하층 상자의 중간벽(36) 상단과 간섭을 일으키지 않는 위치에 형성된다. 즉, 양측 지지돌기(31d) 사이의 간격은 상기 중간벽(36)의 전체 두께보다 넓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돌기(31d)는 상자를 벽돌을 쌓을 때처럼 직교하는 방향으로 적재할 경우에도 하층 상자의 전후벽(32,33)들과 간섭을 일으키지 않는 위치에 형성된다. 즉, 양측 지지돌기(31d) 사이의 간격은 하층에서 서로 맞닿아 있는 하층 일측 상자의 전벽(32)과 하층 타측 상자의 후벽(33)의 전체 두께를 합친 두께보다 넓게 형성된다.
상기 전후벽(32,33)과 좌우벽(34,35)의 상,단에는 플랜지부(32a,33a), (34a,35a)가 형성되어 취급시 손잡이로서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전후벽(32,33)의 외측면에는 돌출부(32b,33b)가 형성되고 좌우벽(34,35)에는 돌조(34b,35b)가 형성되어 본 고안에 의한 적재용 상자를 상하로 적재할 경우 상층의 상자가 하층의 수용공간(S)에 삽입되지 않고 상층 상자의 플랜지부(32a,33a), (34a,35a)가 하층 상자의 플랜지부(32a,33a), (34a,35a)위에 얹히게 되어 있다.
상기 전후벽(32,33)의 내측면에는 수용공간(S,S)에 수용된 물품을 꺼낼 때 손가락을 삽입할 수 있는 손가락 삽입홈(32c,33c)이 형성된다.
상기 손가락 삽입홈(32c,33c)은 상기 돌출부(32b,33b)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중간벽(36)은 두 개의 벽(36a,36b)에 의해 2중벽으로 형성되며, 벽(36a,36b)의 상단은 연결부(36c)에 의하여 일체로 연결된다.
상기 벽(36a,36b)은 상단이 연결부(36c)에 의하여 연결되며, 하단에 개구부(36e)를 가지는 통기로(36d)를 사이에 두고 이격된 상태로 형성되며, 벽(36a,36b)에는 다수개의 통기공(36f,36f)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통기공(36f,36f)은 도시례와 같이 사각형으로 형성할 수도 있으나, 반드시 이로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도형 모양으로 형상으로 형성하거나 세로 방향으로 길게 형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하, 구성된 본 실시례에 의한 적재용 상자에 물품을 수용하고 적재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용하고자 하는 물품이 달걀인 경우 달걀(E)들이 담긴 최하층 달걀보호부재(C1)(C2)(도 19 참조)를 상기 전후벽(32,33)와 좌우벽(34,35)에 의해 형성되는 수용공간(S,S)에 삽입하여 바닥판(31)에 안착되도록 하고, 그 최하층 달걀보호부재(C1)(C2)위에 순차 달걀이 담긴 복수개의 달걀보호부재(C1)(C2)를 적층한다.
이때, 수용공간(S,S)에 대한 달걀보호부재(C1)(C2)의 적층 상태 및 적층 개수 등은 상술한 제1 실시례에서와 동일하다.
달걀보호부재(C1)(C2)가 적층된 상자들을 적재하게 되면 상층 상자의 전후벽(32,23) 및 좌우벽(34,25)의 하단부가 하측 상자의 전후벽(32,33) 및 좌우벽(34,35)의 상단부에 얹혀짐과 아울러 상층 상자의 바닥판(31) 저면 가장자리에 형성된 유동방지돌기(31c)가 하층 상자의 전후벽(32,33)의 내벽(32a,33a)과 좌우벽(34,35)의 내벽(34a,35a) 상단 내측에 삽입되어 상,하층 상자가 전후, 좌우로 유동되는 일이 없이 안정되게 적재된다.
한편, 최하층에 위치하는 상자는 그 바닥판(31)의 저면에 형성된 유동방지돌기(31c)와 지지돌기(31d)가 트럭 적재함이나 창고 바닥에 지지되며, 이때 상기 유동방지돌기(31c)와 지지돌기(31d)의 돌출 높이가 보강리브(31b)의 돌출 높이보다 높으므로 바닥판(31) 저면과 트럭 적재함이나 창고 바닥의 사이에 틈새가 형성되며, 수용공간(S,S)은 이 틈새와 바닥판(31)의 통기공(31a)을 통하여, 그리고 중간벽(36) 하단의 개구부(36e)와 통기로(36d) 및 통기공(36f,36f)을 통하여 외기와 연통되므로 수용공간(S,S)과 외기 사이의 공기 순환이 이루어지게 되어 달걀의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최하층 상자의 바닥면(31) 저면과 트럭 적재함 바닥과의 사이에만 틈새가 생기고, 그 상층의 상자들은 상층 상자의 바닥판(31) 저면과 하층 상자의 전후벽(32,33) 및 좌우벽(34,35)의 상단이 밀착된 상태로 적재되므로 트럭을 이용한 수송 과정에서 달걀(E)이 외기에 쉽게 노출되지 않게 되어 달걀을 보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자의 수용공간(S)에 수용된 달걀보호부재(C1)를 꺼내는 경우에는 전후벽(32,33)의 내측면에 형성된 손가락 삽입홈(32c,33c)을 통해 손가락을 삽입하여 달걀보호부재(C1)의 전후 가장자리에 걸 수 있으므로 달걀보호부재(C1)를 빼내기 쉽게 된다.
도 22 내지 도 29는 본 고안에 의한 적재용 상자의 제4 실시례를 도시하는 것으로, 바닥판(41)과, 이 바닥판(41)의 가장자리에서 상부로 연장되는 전후벽(42,43)과 좌우벽(44,45)에 의하여 상부가 개방된 수용공간(S)이 형성된다.
상기 수용공간(S)의 평면적은 수용되는 물품 또는 보호부재의 평면적과 일치하는 크기로 형성되어 수용된 물품 또는 보호부재에 담긴 물품이 전후, 좌우로 유동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상기 바닥판(41)과 전후벽(42,43)의 좌우 방향 중간부에는 내부를 두 개의 수용공간(S,S)으로 구획함과 아울러 장방형 상자의 내구력을 보강하고 상자의 적재 작업시에는 그 상단부를 밟고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중간벽(46)이 형성된다.
상기 바닥판(41)은 단일판으로 형성되고, 전후벽(42,43)과 좌우벽(44,45)은 내벽(42a,43a), (44a,45a)과 외벽(42b,43b), (44b,45b)으로 형성된다.
상기 바닥판(41)은 좌우 길이가 전후 길이의 대략 2배로 되는 장방형으로 형성되고, 이에 따라 바닥판(41)의 전후측 연부에서 상부로 연장되는 전후벽(42,43)의 폭은 바닥판(41)의 좌우측 연부에서 상부로 연장되는 좌우벽(44,45)의 폭보다 크게 형성된다.
상기 바닥판(41)에는 다수개의 통기공(41a)이 형성된다. 상기 바닥판(41)의 저면에는 상기 통기공(41a) 주위에 보강리브(41b)가 형성된다.
상기 바닥판(41) 저면의 모서리 부분에는 도 26, 도 27 및 도 2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층에 적재되는 상자의 전후벽(42,43)과 좌우벽(44,45) 상단 구석부 내측으로 삽입되는 유동방지돌기(41c)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바닥판(41)의 저면 중간부에는 한쌍의 지지돌기(41d)가 형성된다.
상기 유동방지돌기(41c)와 지지돌기(41d)는 상기 보강리브(41b)의 돌출 높이보다 크게 하여 최하층에 위치하는 상자의 바닥판(41) 저면과 트럭적재함 바닥 또는 창고 바닥과의 사이에 틈새가 생기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지지돌기(41d)는 상자를 같은 방향으로 적재할 경우 하층 상자의 중간벽(46) 상단과 간섭을 일으키지 않는 위치에 형성된다. 즉, 양측 지지돌기(41d) 사이의 간격은 상기 중간벽(46)의 전체 두께보다 넓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돌기(41d)는 상자를 벽돌을 쌓을 때처럼 직교하는 방향으로 적재할 경우에도 하층 상자의 전후벽(42,43)들과 간섭을 일으키지 않는 위치에 형성된다. 즉, 양측 지지돌기(41d) 사이의 간격은 하층에서 서로 맞닿아 있는 하층 일측 상자의 전벽(42)과 하층 타측 상자의 후벽(43)의 전체 두께를 합친 두께보다 넓게 형성된다.
상기 전후벽(42,43)의 내벽(42a,43a) 내측면에는 수용공간(S,S)에 수용된 물품을 꺼낼 때 손가락을 삽입할 수 있는 손가락 삽입홈(42c,43c)이 형성된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손가락 삽입홈(42c,43c)이 형성되는 부분도 2중벽으로 형성된다.
상기 전후벽(42,43)의 내벽(42a,43a)과 외벽(42b,43b) 및 좌우벽(44,45)의 내벽(44a,45a)과 외벽(44b,45b)은 상단에서만 연결부(42d,43d), (44d,45d)에 의하여 연결되어 그 사이에 통기로(42e,43e), (44e,45e)가 형성되며 통기로(42e,43e), (44e,45e)의 하단에는 개구부(42f,43f), (44f,45f)가 형성되고 내벽(42a,43a), (44a,45a)에는 다수개의 통기공(42g,43g), (44g,45g)이 형성된다.
상기 좌우벽(44,45)의 외벽(44b,45b)에는 요홈부(44h,45h)에 의하여 손잡이용 단턱부(44i,45i)가 형성된다.
상기 중간벽(46)은 두 개의 벽(46a,46b)에 의해 2중벽으로 형성되며, 벽(46a,46b)의 상단은 연결부(46c)에 의하여 일체로 연결되어 상자의 내구력을 보강함과 아울러 상자의 적재 작업시 그 상단부를 밟고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벽(46a,46b)은 상단이 연결부(46c)에 의하여 연결되며, 하단에 개구부(46e)를 가지는 통기로(46d)를 사이에 두고 이격된 상태로 형성되며,벽(46a,46b)에는 다수개의 통기공(46f,46f)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통기공(46f,46f)은 도시례와 같이 사각형으로 형성할 수도 있으나, 반드시 이로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도형 모양으로 형상으로 형성하거나 세로 방향으로 길게 형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하, 구성된 본 실시례에 의한 적재용 상자에 물품을 수용하고 적재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용하고자 하는 물품이 달걀인 경우 달걀(E)들이 담긴 최하층 달걀보호부재(C1)(C2)를 상기 전후벽(42,43)과 좌우벽(44,45)에 의해 형성되는 수용공간(S,S)에 삽입하여 바닥판(41)에 안착되도록 하고, 그 최하층 달걀보호부재(C1)(C2)위에 순차 달걀이 담긴 복수개의 달걀보호부재(C1)(C2)를 적층한다.
이때, 각 수용공간(S,S)에 대한 달걀보호부재(C1)(C2)의 적층 상태 및 적층 개수 등은 상술한 제1 실시례에서와 동일하다.
달걀보호부재(C1)(C2)가 적층된 상자들을 적재하게 되면 상층 상자의 전후벽(42,23) 및 좌우벽(44,25)의 하단부가 하측 상자의 전후벽(42,43) 및 좌우벽(44,45)의 상단부에 얹혀짐과 아울러 상층 상자의 바닥판(41) 저면 가장자리에 형성된 유동방지돌기(41c)가 하층 상자의 전후벽(42,43)의 내벽(42a,43a)과 좌우벽(44,45)의 내벽(44a,45a) 상단 내측에 삽입되어 상,하층 상자가 전후, 좌우로 유동되는 일이 없이 안정되게 적재된다.
한편, 최하층에 위치하는 상자는 그 바닥판(41)의 저면에 형성된 유동방지돌기(41c)와 지지돌기(41d)가 트럭 적재함이나 창고 바닥에 지지되며, 이때 상기 유동방지돌기(41c)와 지지돌기(41d)의 돌출 높이가 보강리브(41b)의 돌출 높이보다 높으므로 바닥판(41) 저면과 트럭 적재함이나 창고 바닥의 사이에 틈새가 형성되며, 수용공간(S,S)은 이 틈새와 바닥판(41)의 통기공(41a), 전후벽(42,43)과 좌우벽(44,45)의 개구부(42f,43f), (44f,45f)와 통기로(42e,43e), (44e,45e)와 통기공(42g,43g), (44g,45g)을 통해 외부와 연통되어 수용공간(S,S)내의 공기 또는 냉기 순환이 이루어지게 되어 달걀의 신선도를 유지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중간벽(46) 하단의 개구부(46g)와 통기로(46d) 및 통기공(46e,46f)을 통하여 수용공간(S,S)이 외기와 연통되므로 수용공간(S,S)내의 공기 순환이 이루어지게 되어 달걀의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최하층 상자의 바닥면(41) 저면과 트럭 적재함 바닥과의 사이에만 틈새가 생기고, 그 상층의 상자들은 상층 상자의 바닥판(41) 저면과 하층 상자의 전후벽(42,43) 및 좌우벽(44,45)의 상단이 밀착된 상태로 적재되므로 트럭을 이용한 수송 과정에서 달걀(E)이 외기에 쉽게 노출되지 않게 되어 달걀을 보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자의 수용공간(S)에 수용된 달걀보호부재(C1)를 꺼내는 경우에는 전후벽(42,43)의 내측면에 형성된 손가락 삽입홈(42c,43c)을 통해 손가락을 삽입함으로써 달걀보호부재(C1)를 쉽게 빼낼 수 있다.
도 30 내지 도 35는 본 고안의 제5 실시례를 도시하는 것으로, 상술한 제4 실시례에서 전후벽(42,43)의 손가락 삽입홈(42c,43c)이 형성된 부분의 외측에 요홈부(42h,43h)가 형성되어 그 부분에서는 단일벽으로 되고, 요홈부(42h,43h)의 상측에 손잡이 단턱부(42i,43i)가 형성되며, 상기 전후벽(42,43)과 좌우벽(44,45)의 내벽(42a,43a), (44a,45a)에 형성된 통기공(42g,43g), (44g,45g)의 형상을 달리한 것일 뿐 여타 구성과 작용은 상술한 실시례에서와 동일하므로 동일 부분에 대하여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하층 상자를 같은 방향으로 적재한 경우에는 상술한 제4 실시례의 도 29와 마찬가지로 되며, 상하층 상자를 직교하는 방향으로 적재한 경우에는 도 35와 같이 된다.
상술한 실시례들에서는 본 고안을 달걀의 운반 및 보관용으로 사용한 예를 들고 있으나 반드시 이로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깨지기 쉬운 물품에는 모두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달걀과 같이 깨지기 쉬운 물품을 수용한 상태에서 깨질 염려가 없이 안전하게 다량의 물품을 적재할 수 있게 되므로 물류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다층으로 적재한 상태에서도 물품이 수용된 공간에 외부의 공기 또는 냉기가 순환되므로 달걀 등을 적재하였을 때 그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물품이 전후, 좌우로 유동되지 않는 상태로 수용하면서도 수용된 물품을 쉽게 꺼낼 수 있게 되는 등 취급이 간편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술한 제3 내지 제5 실시례에서는 양측에 수용공간을 형성하여 보다많은 량의 물품을 적재 수용할 수 있으면서도 양측 수용공간을 중간벽에 의하여 구획하고 있으므로 양측 수용공간에 적층 수용되는 물품이 운송 및 취급 중 요동에 의해 서로 엉키거나 손상되는 일이 없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바닥판과 전후벽 및 좌우벽에는 물론 중간벽에 통기공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양측 수용공간에 적재 수용된 달걀과 같은 물품에 신선한 공기가 보다 원활하고 균등하게 공급되어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양측에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중간벽을 설치하지 않았을 경우 전후벽과 바닥판의 길이가 좌우벽의 길이보다 길게 되어 외력을 받았을 때 짧은 벽인 좌우벽에 비하여 기다란 벽인 전후벽의 기계적 강도가 저하될 수 있으나 상술한 제3 내지 제5 실시례에서는 바닥판과 전후벽의 중간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중간벽을 설치하고 있으므로 전후벽이 좌우벽과 대략 같은 길이의 2개의 짧은 벽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되어 전후벽과 바닥판이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에 의하여 휘거나 손상되는 일이 없이 짧은 벽인 좌우벽과 같은 내구력을 가지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술한 제3 내지 제5 실시례에서는 중간벽을 설치하고 있으므로 적재용 상자를 다층으로 적재할 경우 작업자가 중간벽을 밟고 올라서서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그 작업이 편리하게 되고, 수용공간에 수용된 물품이 파손될 염려가 없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바닥판과 전후벽과 좌우벽에 의하여 상면이 개방된 수용공간이 형성된 적재용 상자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에는 다수개의 통기공이 천공되고, 상기 전후벽과 좌우벽은 상단만 연결되고 그 사이에 통기로가 형성되며 하단에 개구부를 가지는 내벽과 외벽에 의해 2중벽으로 형성되며, 상기 내벽중 적어도 2개의 벽에는 상기 통기로를 통해 상기 개구부와 연통되는 다수개의 통기공이 형성되고, 상기 내벽중 적어도 마주보는 2개의 벽의 내면에 손가락 삽입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용 상자.
  2. 바닥판과 전후벽과 좌우벽에 의하여 상면이 개방된 수용공간이 형성된 적재용 상자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에는 다수개의 통기공이 형성되고, 상기 바닥판과 전후벽의 중간부에 중간벽을 일체로 형성하여 상기 수용공간을 2개로 구획하며, 상기 중간벽은 상단만 연결되고 그 사이에 통기로가 형성되며 하단에 개구부를 가지는 2개의 벽에 의해 2중벽으로 형성되고, 상기 2개의 벽에는 상기 통기로를 통해 상기 개구부와 연통되는 다수개의 통기공이 형성되며, 상기 전후벽 내면에는 손가락 삽입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용 상자.
  3.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벽과 좌우벽이 내벽과 외벽 및 상단의 연결부에 의해 그 사이에 통기로가 형성되고 하단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2중벽으로 형성되며, 상기 내벽에는 다수개의 통기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용 상자.
  4.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벽의 외벽에는 요홈부와 손잡이용 단턱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용 상자.
  5.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벽의 외벽에는 요홈부와 손잡이용 단턱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용 상자.
KR2019990005218U 1999-03-31 1999-03-31 적재용 상자 KR20024791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5218U KR200247919Y1 (ko) 1999-03-31 1999-03-31 적재용 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5218U KR200247919Y1 (ko) 1999-03-31 1999-03-31 적재용 상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8931U KR20000018931U (ko) 2000-10-25
KR200247919Y1 true KR200247919Y1 (ko) 2001-10-18

Family

ID=547611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5218U KR200247919Y1 (ko) 1999-03-31 1999-03-31 적재용 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791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8931U (ko) 2000-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54946A (en) Collapsible partitioned corrugated cardboard container
CA2537563C (en) Article accommodating case
US4880116A (en) Robotic accessible wafer shipper assembly
JP2013505174A (ja) 柔軟に使用可能な箱
KR100480197B1 (ko) 접철식 운반상자
JP2020045172A (ja) ボックス、スタッキングされたボックスの組み合わせ構造、および、スタッキングされたボックスを機械的にグリップする方法
JP4572899B2 (ja) 合成樹脂製パレット
WO2019212190A1 (ko) 택배 박스
KR200247919Y1 (ko) 적재용 상자
KR100823656B1 (ko) 다단으로 적층 가능한 수납상자
JP4105306B2 (ja) 運搬用容器
JP5415304B2 (ja) 運搬用容器
JP6110176B2 (ja) 基板収納容器の梱包体
KR200263506Y1 (ko) 적재용 계란상자
KR200260178Y1 (ko) 물류용 상자
KR200392144Y1 (ko) 일회용 포장용기
JPH0825581B2 (ja) 碍子の梱包容器
KR200408227Y1 (ko) 국수 포장용 상자 어셈블리
JP2001048175A (ja) 運搬用容器
KR100581650B1 (ko) 컨테이너용 포장 운반상자
JP3300276B2 (ja) 運搬用容器
US20240116666A1 (en) Container for the transport of boxes and pallet comprising said containers
JP2930292B2 (ja) パチンコ遊技台のコンテナ
KR200237289Y1 (ko) 일회용 투명 용기
KR910006014Y1 (ko) 소형 물품용 케리어 박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