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7654Y1 - 자폐식 수도전의 급수차단장치 - Google Patents

자폐식 수도전의 급수차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7654Y1
KR200247654Y1 KR2020010019210U KR20010019210U KR200247654Y1 KR 200247654 Y1 KR200247654 Y1 KR 200247654Y1 KR 2020010019210 U KR2020010019210 U KR 2020010019210U KR 20010019210 U KR20010019210 U KR 20010019210U KR 200247654 Y1 KR200247654 Y1 KR 20024765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iston
cylinder
hole
wat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92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근 기 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기승금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기승금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기승금속
Priority to KR20200100192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765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765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7654Y1/ko

Links

Landscapes

  • Self-Closing Valves And Venting Or Aerating Valves (AREA)
  • Fluid-Driven Val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누름버튼이 눌려 급수되는 물의 량에 의해 서서히 상승하여 일정시간동안만 물이 급수되도록 한 상태에서 물의 사용이 필요하지 않아 급수를 차단시켜 주고자 할때 인위적인 작동에 의해 일시에 급수를 차단시켜 물의 낭비를 최소한으로 줄여줄수 있도록 한 자폐식 수도전의 급수차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는 내부에 공간부(11)가 갖추어지고, 양측에 공간부와 연통되는 입수관(12)과 토출관(13)이 갖추어진 몸체(10)와; 상기 몸체의 상부로 부터 내부로 로드(20)가 관통된 상태에서 탄성스프링(40)이 탄지된 누름버튼(30)과; 몸체의 공간부내에 위치시켜 로드가 관통하고 상단 일측에 통공(51)이 갖추어진 실린더(50)와;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 로드의 하단에 결합시켜 승,하강하는 피스톤(70)으로 갖추어진 자폐식 수도전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70)의 일측에 이의 하향으로 인해 개방된 통수공(61)을 거쳐 토수관으로 물의 급수가 이루어지는도중 인위적인 힘에 의해 하향되어 있는 피스톤(70)이 순간적으로 상승하려는 힘이 발생될 경우 실린더(50) 상단 일측의 통공(51)으로 통해 피스톤 상부에 위치하는 실린더내부로 유입되는 물의 압력에 의해 피스톤(70) 하부의 실린더내로 물을 일시적으로 공급시켜 피스톤이 급상승되어 통수공을 차단시켜 줄수 있도록 하는 급수차단부(80)가 갖추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폐식 수도전의 급수차단장치{Water-supply blocking device of auto-shutting type faucet}
본 고안은 자폐식 수도전의 급수차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누름버튼이눌려 급수되는 물의 량에 의해 서서히 상승하여 일정시간동안만 물이 급수되도록 한 상태에서 물의 사용이 필요하지 않아 급수를 차단시켜 주고자 할때 인위적인 작동에 의해 일시에 급수를 차단시켜 물의 낭비를 최소한으로 줄여줄수 있도록 한 자폐식 수도전의 급수차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폐식 수도전은 누름버튼을 인위적인 힘에 의해 눌러주게 되면 물이 공급되는 공급관과 배출되는 토출관이 연통되어 물의 급수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고, 상기 인위적으로 눌려진 누름버튼은 급수되는 물의 일부가 승,하강밸브의 하부로 유입되어 유입되는 물의 량에 따라 하향된 밸브를 상승시켜 일정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열려진 배출관을 차단시켜 주므로서, 급수를 중지시켜 주도록 하여 사용자가 밸브를 인위적으로 차단시켜 주지 않더라도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자동으로 물의 급수를 차단시켜 물의 낭비를 방지하도록 되어있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와 같은 종래의 자폐식 수도전은 누름버튼을 인위적인 힘에 의해 눌러주게되면 스프링으로 탄지되어 있는 로드의 하향으로 인해 피스톤밸브체가 하향되면 입수관으로 부터 공급되는 물이 실린더라이너의 상단측에 갖추어진 외통공을 통해 내부로 유입되어 상단에 갖추어져 있는 실린더캡의 통공을 통해 배수관으로 배수됨에 따라 물의 급수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로 하여 물의 급수가 이루어지는 도중에 실린더라이너의 내부로 유입되는 물의 일부는 하향된 피스톤밸브체에 갖추어진 오리피스공을 통해 실린더라이너와 피스톤밸브체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되어 유입되는 물의 량에 따라 하향되어 있던 피스톤밸브체가 서서히 상승하다가 피스톤밸브체의 상면이 실린더캡의저면과 면접촉되면 물의 흐름을 차단시켜 물의 급수가 이루어지지 않게되는 것이다.
이때, 피스톤밸브체에 의해 분리된 실린더라이너의 상,하부의 공간내의 수압이 동일한 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누름버튼을 인위적인 힘에 의해 눌러주지 않은 상태에서는 입수관으로 부터 공급되는 물의 수압에 의해 상승된 피스톤밸브체가 실린더캡으로 부터 떨어지지 않아 물의 누수가 이루어지지 않게 되어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하는 종래의 자폐식 수도전은 누름버튼을 눌러 실린더캡의 저면에 접촉되어 있는 피스톤밸브체를 하향시켜 물의 급수가 이루어지도록 하면, 급수되는 물중 일부의 물이 오리피스공을 통해 실린더라이너와 피스톤밸브체 사이의 공간부로 유입되어 유입되는 물의 량에 의해 서서히 피스톤밸브체가 상승하여 실린더캡의 저면에 면접촉되어 물의 흐름을 차단시켜 줄때까지는 물이 지속적인 급수가 이루어지도록 되어있어 피스톤밸브체가 실린더캡의 저면에 면접촉되기전에 물의 사용이 완료되어 더 이상 물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설정된 시간 즉, 상승하는 피스톤밸브체가 실린더캡의 저면에 면접촉되어 물의 급수를 차단시켜 주기전까지는 계속해서 물이 급수되므로서, 필요이상으로 물의 낭비를 초래하였던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누름버튼을 인위적인 힘에 의해 눌러 피스톤밸브체가 하향되므로서 입수관으로 부터 공급되는 물이 실린더라이너의 내부로 유입된 상태에서 피스톤밸브체의 하향으로 인해 열려진 실린더캡의 공간부를 통해 일측에갖추어진 통공를 거쳐 토출관으로 토수가 이루어지는 도중 피스톤밸브체가 자체적으로 상승하여 실린더캡을 차단시켜 주기전에 물의 사용이 완료되면 인위적인 힘으로 누름버튼을 잡아당겨 실린더라이너와 피스톤밸브체 사이의 공간부에 물이 일적으로 공급되도록 하여 물의 급수가 차단되도록 하므로서, 필요이상으로 버려지는 물의 낭비를 최소한으로 줄여줄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이 적용된 자폐식 수도전의 구성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2 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보인 확대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확대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대한 부호설명
10:몸체 11:공간부
20:로드 30:누름버튼
40:탄성스프링 50:실린더
60:실린더캡 70:피스톤
80,80a:급수차단부 81,81a:관통공
82,82a:밀폐판 83,83a:피스톤축
84,84a:탄지편 85,85a:탄성스프링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고안 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고안이 적용된 자폐식 수도전의 구성을 나타낸 측단면도로서, 상면으로 부터 내부로 요입되는 공간부(11)가 갖추어지고, 좌,우 양측에 공간부와 각각 연통시켜 물이 공급되고 배출될수 있는 입수관(12)및 토출관(13)이 갖추어진 상태에서 상면의 개방면에 밀폐캡(10a)이 나선체결되는 몸체(10)가 갖추어진다.
또한, 상기 밀폐캡의 상부에는 밀폐캡의 중앙을 관통한 로드(20)의 상단부에 고정 결합시켜 승,하강하는 누름버튼(30)이 갖추어지게 되는데, 이때 밀폐캡(30)의 상면과 누름버튼 저면에 탄지될수 있도록 탄성스프링(40)이 로드(20)에 끼워져 상기 탄성스프링 자체의 탄성력으로 인해 누름버튼이 상승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인위적인 힘에 의해 누름버튼을 눌러주게 되면 탄성스프링의 탄성력이 압축되면서 로드가 승,하강 작동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몸체에 갖추어진 공간부(11)내의 하단측에는 상면이 개방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단부 일측에 입수관을 통해 유입되는 물이 유입될수 있도록 통공(51)이 갖추어진 실린더(50)가 갖추어지고, 상기 실린더의 상단에는 중앙에 로드(20)가 끼워져 로드와의 사이에 실린더로 공급된 물이 흐를수 있도록 통수공(61)이 갖추어진 실린더캡(60)이 갖추어져 있으며, 상기 실린더(50)의 내주연에 면접촉된 상태에서 로드의 끝단에 결합시켜 승,하강 하면서 실린더캡의 통수공(61)을 개폐시켜 주는 피스톤(70)이 갖추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의 피스톤 일측에는 상,하로 관통하는 오리피스공(71)을 갖추어주어 피스톤이 하강할때에는 오리피스공을 통해 실린더와 피스톤 사이에 잔류하고 있는 물이 상부로 배출되어 피스톤이 하강할수 있도록 하고, 탄성스프링을 압축하면서 하강된 피스톤이 상승할때에는 실린더의 상단측에 갖추어진 통공을 통해 유입되어 열려진 실린더캡의 통수공을 통해 물이 급수시 실린더로 유입된 물중 일부의 물은 오리피스공을 통해 피스톤과 실린더 사이의 공간내로 유입되어 유입되는 물의 량에 따라 피스톤이 서서히 상승할수 있도록 갖추어져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오리피스공(71)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피스톤(70)에 누름버튼(30)으로 부터 상부로 잡아 당겨지는 인위적인 힘이 발생될때에만 개방되어 통공(51)을 거쳐 실린더(50)내로 공급되는 물이 피스톤과 실린더 사이로 급속히 유입시켜 짧은 시간내에 피스톤(70)이 실린더캡(60)의 통수공(61)을 차단시켜 줄수 있도록 하므로서 물의 급수를 일시에 차단시켜 줄수 있도록 하는 급수차단부(80)가 갖추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의 급수차단부(80)는 오리피스공 반대측인 피스톤에 상,하로 관통시켜 준 관통공(81)이 갖추어지고, 상기 관통공이 갖추어진 피스톤의 저면에는 밀폐판(82)이 갖추어지며, 상기 밀폐판의 상면 중앙에 갖추어져 관통공을 관통한피스톤축(83)에 씌워져 하단은 피스톤에 탄지되고, 상단은 피스톤축 선단에 체결된 탄지편(84)에 탄지시켜 자체의 탄성력에 의해 밀폐판이 관통공을 긴밀히 밀폐시켜 줄수 있도록 하는 탄성스프링(85)으로 갖추어지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고있는 본 고안은 물을 급수시켜 주지 않을 경우 누름버튼(30)을 탄지시켜 주고 있는 탄성스프링(40)의 탄성력에 의해 로드(20)가 상승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므로서, 상기 로드의 하단측에 결합된 피스톤(70)이 실린더캡(60)의 통수공(61)을 긴밀히 차단시켜 입수관(12)으로 부터 공급되는 물이 토출관(13)으로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게된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입수관을 통해 공급되는 물은 피스톤(70)의 일측에 갖추어진 오리피스공(71)을 통해 피스톤과 실린더(50) 사이의 공간부내로 물이 유입되어 피스톤을 기점으로 하여 실린더 상,하부의 압력이 동일한 상태를 유지시켜 주고 있어 입수관을 통해 공급되는 물의 수압에 피스톤이 실린더 하부로 밀리는 현상이 없고, 또한 피스톤에 갖추어진 급수차단부(80) 즉, 밀폐판(82)은 탄성스프링(85)의 탄성력에 의해 피스톤의 저면으로 부터 관통공을 긴밀히 밀착시켜 주고 있는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므로서 물의 누수됨이 없는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물을 급수시켜 주고자 할 경우 도 1 의 일점쇄선과 같이 누름버튼(30)을 눌러주게되면 탄성스프링(40)을 압축하면서 누름버튼에 결합되어 있는 로드(20)의 하강거리에 따라 실린더(50)내의 상단측에 위치하고 있는 피스톤(70)이 하향 하려는 힘이 발생되므로서, 상기 피스톤과 실린더 사이에 잔류하고 있는 물이 오리피스공(71)을 통해 상부로 빠져나오므로서 피스톤이 하향되는것이고, 이로인해 피스톤에 의해 차단되어 있던 실린더캡(60)의 통수공(61)이 개방되므로서 입수관(12)으로 부터 몸체의 내부로 유입되는 물이 통수공(61)을 거쳐 토출관(13)으로 빠져나가게 되므로서, 물의 급수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누름버튼(30)에 가해진 인위적인 압력이 해지되면 이때부터 누름버튼의 하강으로 인해 강제 압축되어 있는 탄성스프링(40)의 탄성력과 오리피스공(71)을 통해 실린더(50)내로 유입되는 물의 압력으로 인하여 하향되어 있는 피스톤(70)이 서서히 상승하게 되게 되는 것이고, 상승하는 피스톤(70)이 개방된 실린더캡(60)의 통수공(61)을 차단시켜 주기전까지 물의 급수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고, 피스톤이 통수공을 차단시켜 주게 되면 물의 급수는 자동으로 차단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으로서, 사람이 인위적으로 물의 급수를 잠그어주지 않아도 일정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자동으로 물의 급수가 차단되도록 하여 필요이상으로 물의 낭비를 방지하도록 되어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누름버튼(30)을 눌러주므로서 피스톤(70)이 하향하여 통수공(61)을 개방시켜 입수관(12)으로 부터 공급되는 물이 토출관(13)을 통해 급수가 이루어지도록 한 상태에서 물을 사용하다가 피스톤(70)이 실린더캡(60)의 통수공(61)을 자동으로 차단시켜 주기전에 물의 사용이 완료되어 물의 급수를 차단시켜 주고자 할 경우 도 2 에 도시된 바와같이 인위적인 힘에 의해 누름버튼(30)을 상부로 잡아당겨주게 되면 피스톤(70)이 순간적으로 발생되는 압력으로 인해 상승하려는 힘이 일어나게 되어 입수관(12)을 통해 몸체(10)의 내부로 유입되는 물을 압착시켜 줌에 따라 피스톤에 갖추어진 급수차단부(80)가 즉, 탄성스프링(85)을 탄지되어 있는 탄지편(84)이 압착되는 물의 압력에 의해 탄성스프링(85)을 압축하면서 하향되므로서, 관통공(81)의 저면에서 이를 긴밀히 밀폐시켜 주고 있던 밀폐판(82)이 하향되어 개방되는 관통공(81)을 통해 실린더내로 물이 일시에 공급됨에 따라 피스톤(70)이 짧은 순간에 상승하여 개방되어 있는 통수공(61)을 차단시켜 주어 물의 급수를 일시에 차단시켜 주게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는 도 3 에 도시된 바와같이 급수차단부(80a)를 실린더(50)의 저면 중앙에 갖추어줄수도 있는 것이다.
즉, 실린더(50)의 저면 중앙에 물이 유입될수 있는 관통공(81a)을 형성하고,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는 피스톤축(83a)에 갖추어진 관통공(81a)을 개폐시켜 주는 밀폐판(82a)이 실린더의 바닥면에 위치하도록 한 상태에서 실린더의 저면으로 관통한 피스톤축(83a)에 탄성스프링(85a)이 끼워져 저면과 탄지편(84a)에 탄지되도록 할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급수차단부(80a)는 인위적인 힘에 의해 누름버튼(30)이 상부로 당겨지게 되면 로드의 상승으로 인하여 실린더(50) 하부에 위치하고 있던 피스톤(70)이 순간적인 함의 작용으로 인해 상승하려는 힘이 발생되는데, 이때 피스톤(70)에 의해 진공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실린더내의 팽창압력으로 인해 실린더(50) 바닥면에 갖추어져 관통공(81a)을 밀착시켜 주고 있던 밀폐판(82a)이 탄성스프링(85a)을 압축하면서 상승하여 관통공(81a)을 개방시켜 주게되면 몸체(10) 내부의 공간부(11)에 유입된 물이 관통공(81a)을 통해 실린더(50)내로 급속히 유입되므로서, 피스톤(70)이 일시적으로 상승하게 되므로서, 통수공을 차단시켜 물의 급수를 차단시켜 주게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누름버튼을 눌러 실린더내에 갖추어진 피스톤이 하향되므로 인해 열려진 통수공을 통해 입수관으로 부터 공급되는 물이 열려진 통수공을 거쳐 투소관으로 물이 급수되는 것이고, 피스톤의 오리피스공을 통해 실린더내로 유이되는 물의 압력으로 인하여 피스톤이 서서히 상승하여 열려진 통수공을 차단시켜 줄때까지 일정시간동안만 물을 급수시켜 주는 상태에서 물의 급수가 자동으로 차단되기 전에 물의 사용이 완료될 경우 누름버튼을 인위적인 힘으로 상부로 잡아 당겨주게 되면 피스톤 일측 또는 실린더 저면 중앙에 갖추어진 급수차단부의 작동으로 인해 몸체의 공간부내로 공급되는 물이 일시적으로 실린더내로 유입되어 피스톤을 빠른 시간내에 상승시켜 열려진 통수공을 밀폐시켜 물의 급수를 차단시켜 주도록 하는 것으로서, 필요이상으로 사용되는 물의 낭비를 줄여줄수 있게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3)

  1. 내부에 공간부(11)가 갖추어지고, 양측에 공간부와 연통되는 입수관(12)과 토출관(13)이 갖추어진 몸체(10)와; 상기 몸체의 상부로 부터 내부로 로드(20)가 관통된 상태에서 탄성스프링(40)이 탄지된 누름버튼(30)과; 몸체의 공간부내에 위치시켜 로드가 관통하고 상단 일측에 통공(51)이 갖추어진 실린더(50)와;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 로드의 하단에 결합시켜 승,하강하는 피스톤(70)으로 갖추어진 자폐식 수도전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70)의 일측에 이의 하향으로 인해 개방된 통수공(61)을 거쳐 토수관으로 물의 급수가 이루어지는도중 인위적인 힘에 의해 하향되어 있는 피스톤(70)이 순간적으로 상승하려는 힘이 발생될 경우 실린더(50) 상단 일측의 통공(51)으로 통해 피스톤 상부에 위치하는 실린더내부로 유입되는 물의 압력에 의해 피스톤(70) 하부의 실린더내로 물을 일시적으로 공급시켜 피스톤이 급상승되어 통수공을 차단시켜 줄수 있도록 하는 급수차단부(80)가 갖추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폐식 수도전의 급수차단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급수차단부(80)는 피스톤(70)에 갖추어진 오리피스공(71) 반대측에 상,하로 관통시켜 물이 흐를수 있도록 하는 관통공(81)과; 상기 피스톤의 저면에 관통공을 개폐시켜 주는 밀폐판(82)과; 상기 밀폐판의 상면 중앙에 갖추어져 관통공을 관통한 피스톤축(83)에 씌워져 하단은 피스톤 상면에 탄지되고, 상단은 피스톤축 선단에 체결된 탄지편(84)에 탄지시켜 자체의 탄성력에 의해 밀폐판이관통공을 긴밀히 밀폐시켜 줄수 있도록 하는 탄성스프링(85)으로 갖추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폐식 수도전의 급수차단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급수차단부(80a)는 실린더(50)의 저면 중앙에 물이 유입될수 있는 관통공(81a)을 형성하고,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는 피스톤축(83a) 상단에 갖추어져 관통공(81a)의 상면을 개폐시켜 주는 밀폐판(82a)을 형성하며, 실린더의 하부로 관통한 피스톤축(83a)에 씌워져 끝단에 결합된 탄지편(84a)에 탄지시켜 밀폐판이 관통공 상면을 긴밀히 밀폐시켜 줄수 있도록 하는 탄성스프링(85a)으로 갖추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폐식 수도전의 급수차단장치.
KR2020010019210U 2001-06-26 2001-06-26 자폐식 수도전의 급수차단장치 KR20024765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9210U KR200247654Y1 (ko) 2001-06-26 2001-06-26 자폐식 수도전의 급수차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9210U KR200247654Y1 (ko) 2001-06-26 2001-06-26 자폐식 수도전의 급수차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7654Y1 true KR200247654Y1 (ko) 2001-10-17

Family

ID=731041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9210U KR200247654Y1 (ko) 2001-06-26 2001-06-26 자폐식 수도전의 급수차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765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09055A (ko) 공압식 하수구 관통장치
JP2019505746A (ja) 安全バルブ
KR101370686B1 (ko) 변기 배수구 뚫기용 압축장치
CN214614405U (zh) 一种水压启动装置的出水控制装置
KR200247654Y1 (ko) 자폐식 수도전의 급수차단장치
GB2274344B (en) A fluid discharge valve
JP2002286158A (ja) 電磁止水栓
KR100701053B1 (ko) 단속밸브 겸용 감압변
CN214614407U (zh) 一种排水阀的水压启动装置
KR20030017925A (ko) 자폐식 수도전
KR100805751B1 (ko) 유체 개폐밸브
KR100326362B1 (ko) 절수형 수도꼭지
KR200395043Y1 (ko) 배수관용 관통장치
US2755672A (en) Sealing unit for flush valve actuator
US3896839A (en) Vacuum drain
KR100825412B1 (ko) 절수식급수밸브
CN214614408U (zh) 一种进出水切换控制阀
JP3187743B2 (ja) 泡放出用ポンプ容器
KR970003924Y1 (ko) 충격 흡수실을 갖춘 누름밸브
JP3038528B2 (ja) 止水栓
KR910006088Y1 (ko) 급수밸브
JP2000145994A (ja) 寒冷地用逆流防止型屋内止水栓
KR20040047275A (ko) 자폐식 수전금구의 절수장치
KR200229960Y1 (ko) 절수형 수도꼭지
KR200239920Y1 (ko) 자폐식 수도전의 급수차단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91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