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1053B1 - 단속밸브 겸용 감압변 - Google Patents

단속밸브 겸용 감압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1053B1
KR100701053B1 KR1020050027858A KR20050027858A KR100701053B1 KR 100701053 B1 KR100701053 B1 KR 100701053B1 KR 1020050027858 A KR1020050027858 A KR 1020050027858A KR 20050027858 A KR20050027858 A KR 20050027858A KR 100701053 B1 KR100701053 B1 KR 1007010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diaphragm
discharge pressure
pilot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78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01840A (ko
Inventor
조찬동
Original Assignee
조찬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찬동 filed Critical 조찬동
Publication of KR200601018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18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10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10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00Vices
    • B25B1/06Arrangements for positively actuating jaws
    • B25B1/18Arrangements for positively actuating jaws motor driven, e.g. with fluid drive, with or without provision for manual actu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02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for mounting on a work-table, tool-slide, or analogous part
    • B23Q3/06Work-clamp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00Vices
    • B25B1/02Vices with sliding ja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00Vices
    • B25B1/24Details, e.g. jaws of special shape, slideways
    • B25B1/2405Construction of the jaws
    • B25B1/2478Construction of the jaws with more than one pair of ja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00Vices
    • B25B1/24Details, e.g. jaws of special shape, slideways
    • B25B1/2489Slidew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uid-Driven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상의 단속발브인 파이롯식 솔레노이드 발브에, 토출압력조절이 가능한 감압변역할도 할수 있도록 구성요소를 추가, 기술적으로 조합 · 구성하여 일체화 함으로써 하나의 발브로 두개의 발브 역할을 동시에 수행할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유로(流路)상 직렬상태를 이루도록 한 제1파이롯발브와 제1조작수 유출구 · 제2파이롯발브와 제2조작수 유출구를 구비하여 선택적으로 작용되어지되, 유량을 단속 및 제어하는 주 발브는 공통으로 사용되어질수 있도록 하여 제1파이롯발브 작용시 단속발브로, 제2파이롯발브 작용시 감압변으로 작동되도록하여 하나의 발브로 단속발브로의 작용과 감압변으로의 작용을 동시에 수행하도록 하면서도 파이롯식 솔레노이드발브의 단점인 수격작용(워터햄머)도 해소할수 있도록 하는 발브를 제공한다.
솔레노이드 플런저 파이롯발브 다이아프램 벨로우즈 스템 압력 스프링

Description

단속발브 겸용 감압변 {shut-off valve and pressure reducing valve}
도 1은 본 발명의 감압변에서 배관 연결전의 내부 구조 상태 단면도.(솔레노이드에 전압 차단시의 상태이기도 함)
도 2는 본 발명의 감압변에서 유체 공급중, 솔레노이드에 전압 인가시의 작용상태 단면도,
도 3 은 , 도 2의 상태에서 발브출구를 막았을 때의 작용상태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제2파이롯 발브 수납실을 보강판 상부 압력실에 구비했을 때의 단면도,
도 4a는, 도4의 A-A' 선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벨로우즈로 토출압력 감지실 형성시의 부분 단면도
(도면에 사용된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7: 돌출부 171: 스템 안내공
172: 토출압력 감지수 유입구 31: 제1 조작수 유출구
41: 제1 파이롯발브 42: 제2 파이롯발브
421: 스템 431: 관로
432:유량제어발브 52: 연장부
53: 제2파이롯발브 수납실 커버 531: 제2 조작수 유출구
54: 제2 파이롯발브 수납실 60: 토출압력감지실
61: 압력감지 다이아프램 72: 압력조절나사
73: 압력조절 스프링 80: 압력감지 벨로우즈
본 발명은 단속발브 겸용 감압조절발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브라 함은 배관사이에 설치하여 유체(물,기름,공기 등)의 흐름을 단속하기 위하여 사용되고 있다. 그중에서도 감압조절발브라 함은 발브출구의 압력(토출압력)을 사용하기에 적당하게 감압할수 있도록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압력조절발브라고도 하는바, 본 발명에서는 이를 감압변으로 칭하기로하고 편의상 유체(물,기름.공기 등)를 물(水)로 표현하기로 한다.
물론 기존에도 감압변은 있었던바, 감압변의 사용특성상 입구측 수압 변화에도 상관없이 출구측 압력을 원하는 바대로의 압력으로 맞추기 위하여, 출구측의 압력이 높아지면 감압변의 주 발브 개도를 줄이도록 하고, 낮아지면 주 발브 개도를 늘리도록하여 일정압력을 유지할수 있도록하고 있는바 이는 출구측의 압력변화로 하여금 감압변의 주 발브의 개도를 조절하도록 하는 작용특성을 필요로한다.
물론 기존의 감압변에서도 이러한 작용특성을 이용하여 감압변의 주 발브를 여닫도록하고 있으나 통상의 감압변에서는 물의 흐름을 여닫는 주 발브외에 상기 주 발브를 여닫기 위하여 출구측의 압력으로 하여금 보다 큰 발브를 작동시키도록 하여 주 발브를 여닫도록 하였기 때문에 그 구조가 복잡하고 많은 부품을 필요로 하여, 작용 또한 원활하지 못하고 원가도 많이드는 결점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감압변으로의 물 공급을 차단 또는 재 공급하기 위하여는 별도의 단속발브를 배관에 추가로 구비 · 설치해야하는 한편, 전기적 단속발브에 있어서는 수격현상(워터햄머)또한 해결해야 할 문제점으로 상존해 있는 바, 사용상 또는 경제적으로 매우 불편 · 불리한 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도록 안출한 것으로, 통상의 단속 발브인 파이롯식 솔레노이드 발브에 감압변으로서의 작동도 수행 할수 있도록 새로운 구성 요소를 추가, 기술적으로 조합 · 구성함으로써, 하나의 발브로 단속발브의 역할과 감압변으로서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 할수있도록 하려는 바,
솔레노이드에 인가하는 전압의 단속으로 제1파이롯발브를 조작함으로써 주 발브를 단속하도록 하여 단속발브 역할을 하도록 하는 한편, 토출압력 센서 역할 을 하는 감지다이아프램으로 하여금 작은힘으로 제2파이롯발브를 조작함으로써 주 발브의 개도를 입구측의 압력으로 스스로 증감시키는 감압변 역할을 하도록 하여 그 구조가 간단하고 생산원가가 저렴하면서도 작용이 확실한 한편, 수격현상 (워터 햄머)도 발생하지 않는 단속발브 겸용 감압변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도1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부는 통상의 파이롯식 솔레노이드 발 브 구조를 하고있는 바,발브입구(11)와 발브출구(12)를 구비하는 발브본체(10) 와 이 발브본체(10) 내부에 토출구의 시작인 변좌(13)가 있고, 이 변좌(13)에 밀착 되어지며 주 발브 역할을 하는 다이아프램(20)이 있으며 이 다이아프램(20) 일측에 주발브 개폐작동을 이루기 위한 물이 유입되는 조작수유입구(21)가 있다.
또한 상기 다이아프램(20) 위에는 주 발브 폐쇄시 다이아프램(20)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보강판(30)이있고 이 보강판 중앙에는 제1파이롯 발브(41)에 의하여 개폐 되어지는 제1조작수유출구 (31)가 있으며, 감압변 아래쪽 발브본체(10)의 상부 외주연부(14) 위에 다이아프램(20)의 외주연부(22)를 밀폐고정시켜 다이아프램 (20)을 변좌(13)에 밀착·밀폐시키기 위한 압력실(15)을 형성시키는 발브본체 커버(16)가 있고, 커버(16) 상부에는 격벽(161)으로 플런저 수납실(43)을 형성하여 스프링(44)과 제1파이롯 발브(41)를 구비한 플런저(40)를 수납하고 격벽(161) 외부로는 솔레노이드(45)가 있는 바, 이상은 통상의 파이롯식 솔레노이드 발브의 구조이다 (도면에서 조립 · 고정볼트는 미도시)
이제 본 발명의 안출부분을 설명하면,
본 발명은 플런저 수납실(43)과 압력실(15) 일측을 관로(431)로 상통하도록 연결하되 상기 관로상에는 유량을 미량으로도 제어할수 있는 볼 발브등의 유량제어 발브(432)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보강판(30)에는 다수의 방사상 리브(51)가 구비되는 원통모양(50)의 연장부(52)를 아래쪽으로 형성시키고 연장부 하부에는, 중심에 제2 조작수 유출구(531)가 뚫려 있고 외 주연부에 "O"링(RING)등으로 기밀 되는 수납실 커버(53)를 나삽 또는 강력접착 등의 방법으로 연장부에 고정 시켜 제2파이 롯발브(42) 수납실(54)을 형성함에 있어서 이 수납실에는 소정 길이의 가느다란( 단,강도와 내식성은 충분한) 스템(stem)(421)과 고정 되어 있는 제2파이롯 발브(42)를 수납하되 상기 스템은 상기 제2 조작수 유출구 (531)를 관통하여 후술하는 스템 안내공(171)에 삽입되어지며 수납실(54) 상부와 제2 파이롯 발브(42)사이에는 가느다란 탄력 스프링(422) 이 개재 되어 있어 상기 제2 파이롯 발브를 제2 조작수 유출구 쪽으로 미는 역할을 하고 있다.
발브 본체 내부의 하부 중앙부위에는, 제2파이롯발브(42)와 고정된 스템(421)이 자유롭게 상하 미끄럼운동을 할수 있을 정도의 스템안내공(孔)(171)이 뚫려있는 돌출부(17)가 형성되어있고, 돌출부 저변에는 토출압력 감지실(60, 이하 압력감지실로 표현)로 통하는 토출압력 감지수유입구(172. 이하,감지수유입구로 표현 )가 뚫려있다
한편 발브본체(10) 외부 중앙부 아래쪽에는 밀폐 고정부재(70)로 토출압력 감지다이아프램(61.이하,감지다이아프램으로 표현)의 외주연부(611)를 압축고정하여 밀폐시킴으로써 압력감지실(60)을 형성시키고 고정부재(70)의 내경측 암나사 (71)에는 수나사의 토출압력 조절나사(72, 이하 조절나사로 표현)을 나삽하되 이 조절나사와 감지다이아프램(61) 사이에는 토출압력 조절스프링(73,이하 조절스프링으로 표현)이 개재되어 있다.
도면 4의 미 설명부호 301은 통상의 보강판을 구분 표시해 주는 점선(본도 외에는 미도시)이고, a 와 b 는 후술하는 작용설명에서 설명하기로 하며, 도 5의 80은 벨로우즈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통상의 파이롯식 솔레노이드 발브처럼 발브입구(11)로부터 들어온 높은 압력의 물이 주 발브 다이아프램(20)을 변좌(13)로부터 들어올리며( 다이아프램(20) 밑의 점선화살표 표시처럼) 그 사이로 유입되어 연장부(52)의 외주연부와 변좌(13) 사이의 공간을 통하여 발브출구(12)로 토출된다.
본 발명의 단속발브 겸용 감압변에서는 이 과정에서 발브입구(11)로부터 들어온 일부의 물은 다이아프램(20) 일측의 조작수유입구(21)를 통하여 압력실(15)로 유입되어 제1조작수유출구(31)를 지난다음 제2조작수 유출구(531)를 지나 통상의 파이롯식 솔레노이드 발브처럼 출구측으로 흘러나가고, 토출되는 과정의 일부 물은 감지수 유입구(172)를 통하여 압력감지실(60) 곧, 토출압력 센서 역할을하는 감지다이아프램(61)의 상부로 유입되어진다.
이러한 상태로 발브입구(11)로부터의 물 공급을 계속하며 발브출구를 막지 않는한 물은 계속 토출하게 되며 이 과정에서 발브입구측의 압력변동으로 높은 수압의 물이 많이 들어오거나,발브출구(12)측의 토출을 줄이거나 하여 토출측의 압력이 높아지면 감지수유입구(172)를 통하여 압력 감지실(60)로 들어오는 물의 압력도 높아지므로 스템(421)의 하부를 떠받치고 있던 감지다이아프램(61)이 밑으로 눌려지게 되는데 그러면 탄력스프링(422)에 의하여 제2파이롯발브(42)가 내려와 제2조작수유출구(531)를 막게되어,압력실의 물이 빠져나갈곳이 없어지게 되므로 주 발브 다이아프램(20) 일측의 조작수유입구(21)로부터 들어오는 물에 의하여 압력실(15)의 압력은 증가하게 되어 그로 말미암아 주 발브 다이아프램(20)을 밑으로 누르게 되므로(보강판(30) 위의 점선화살표 표시처럼) 상기 다이아프램(20)과 변좌(13)사이의 개도를 좁히는 쪽으로 작용하게 되므로 물의 흐름이 줄어들게 되어 토출측 압력은 다시 줄어들게 된다.
그리하여 다시 감지다이아프램(61)에 미치는 압력이 줄면 조절스프링(73)의 탄력에 의하여 감지다이아프램(61)은 들어올려지게 되어 스템(421)을 위로 밀면 스템과 고정된 제2파이롯발브(42)가 제2조작수유출구(531)를 다시 열게되어 압력실(15)의 물이 제2조작수유출구(531)를 통하여 흘러나가면 압력실(15)의 압력이 낮아지게 되어 주 발브 다이아프램(20)은 발브입구(11)로부터 들어오는 물의 압력에 의하여 다시 더 들어올려지게 되므로 또 다시 많은 물이 흐르게 된다.
결국 이러한 과정을 반복하며 발브입구에서 물이 계속 공급되고 발브출구가 열려 있는 동안은 들어오는 물의 압력 변화에 관계없이 일정한 토출압력을 유지하며 물의 토출이 계속 되는 것이다.
경우에 따라 물의 사용이 필요없게 되어 도 3 에서처럼 발브출구(12)를 막게 되면(특수한 경우 이렇게 사용도 가능) 이 막는 과정에서 토출 압력은 증가하게 되고 따라서 감지다이아프램(61)에 높은 압력이 가해지면 즉시 감지다이아프램(61)이 밑으로 내려가고 탄력스프링(422)에 의하여 제2파이롯발브(42)가 내려오므로 제2조작수유출구(531)를 완전히 막게되어 압력실(15)의 압력이 높아지면 상술한바에 비추어 알수 있듯이 주발브 다이아프램(20)을 변좌(13)에 밀착·밀폐시키므로 발브입구(11)로부터 들어오는 물을 완전차단하게 되어 흐름이 정지된 발브출구측의 압력도 더이상 높아지지 않고 일정하게 유지된다.
한편, 다시 물을 사용하기위하여 발브출구를 개방하면 토출압력은 낮아지고 따라서 감지다이아프램(61)에 가해지는 압력도 낮아지게 되는데 그 결과로 조절스프링(73)의 탄력으로 감지다이아프램(61)이 올라가 스템(421)을 밀면 이와 고정된 제2파이롯발브(42)가 제2조작수유출구(531)를 열게 되어 상술한 바와같이 주발브 다이아프램(20)이 들어올려지며 다시 물의 흐름이 시작된다.
이렇듯 주발브 다이아프램(20)이 여닫히는데 있어서 보강판(30)과 연장부(52)도 함께 승강작용을 하게 되는데 이때 연장부에 형성된 리브(51)가 있어 다이아프램과 보강판이 수직 승강 하는데 도움을 준다.
이제 토출압력을 조절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면(도2참조),조절나사(72)을 좌우로 돌림으로써 조절스프링(73)이 토출압력 센서 역할을 하는 감지다이아프램(61)을 위로 미는 탄력이 변하게 되는데, 일례로 탄력을 덜 주면 감지다이아프램(61)에 가해지는 낮은 압력(곧,낮은 토출압력)으로도 감지다이아프램(61)이 내려오게 되어 제2파이롯발브(42)가 제2조작수유출구(531)를 막게 됨을 의미하며 그로 인하여 조절전보다 낮은 압력에서 주 발브 다이아프램(20)을 닫기시작하는 작용을 하게 되므로 작용 설명에서 상술한바에 비추어 알수있듯이 토출압력이 낮은 상태로 조절됨을 알수 있는 것이다
물론 여기에서 그 반대로의 조절을 하면 그 반대의 현상이 일어나는 것은 당연한 것인바 이상은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한 목적의 일부인 감압변으로서 작용 되어지고 있는 것임을 알수 있다.
이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인 단속발브로서의 작용 상태를 알아 볼 것 같으 면, 도 2 의 상태에서 도 1 과 같이 솔레노이드(45)의 인가전압을 차단하면 (솔레노이드 리드선 미도시) 솔레노이드가 자력을 상실하게 되어 플런저 수납실(43)의 스프링(44) 탄력에 의해 플런저(40)가 내려와 이에 고정된 제1파이롯발브(41)가 제1 조작수유출구(31)를 막으면 압력실(15)의 물이 빠져 나갈 곳이 없게 되므로 조작수유입구(21)로 들어오는 물로 인하여 압력실의 압력이 증대 하게 되어 통상의 파이롯식 솔레노이드 발브로서의 작용으로 물의 흐름이 차단 된다.
이때 플런저(40)와 격벽(161)의 틈새는 플런저(40)가 수납실(43)에서 승강자재 할수있는 한 작을수록 좋은바, 이 또한 파이롯식 솔레노이드 발브의 작용 특성상 제1파이롯발브가(41) 서서히 승강하여 제1조작수 유출구(31)를 서서히 개폐하면 주 발브 다이아프램(20)도 서서히 개폐 되기 때문에 수격현상을 방지할수 있는 것인데, 이는 플런저(40)가 승강할때 플런저 수납실 (43)에 잠시 발생하는 증압 또는 부압으로 인하여 플런저(40)가 서서히 승강 하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며, 플런저 수납실과 압력실 일측을 상통하도록 한 관로(431) 상의 유량제어 발브 (432)로 드나드는 유량(흐르는 유량이 아님)을 조절하여 증압 또는 부압 발생의 크기를 제어하여 플런저(40)의 승강속도를 제어함으로써 주 발브 다이아프램(20)의 개폐 속도도 조절할수 있는 것이다.
이렇듯, 제1파이롯 발브가 제1조작수 유출구를 완전히 막던가 또는 본 발명의 감압변으로서의 작용 설명중 제 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파이롯발브(42)가 제2 조작수 유출구(531)를 완전히 막던가 하면 본 발명의 단속발브 겸용 감압변이 차단되게 되는데, 이는 조작수 유입구(21)로 들어온 압력실(15)의 물이 제1조작수 유출구(31)로 빠져나간 다음에 제2 조작수 유출구(531)를 빠져 나가는 일련의 과정이 유로(流路)상 직렬상태를 이루도록 한것과, 주 발브 다이아프램(20)을, 단속발브로 사용되어질때나 감압변으로 사용되어질때에 공통으로 사용되어질수 있도록 하였기에 때문에 가능한 것으로, 솔레노이드(45)에 전압인가 및 전압차단을 선택함에 따라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인 단속발브로서의 작용이 되어지고 있음을 알수 있는 것이다.
미 설명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도면으로, 제2파이롯 발브 수납실(54)을 형성함에 있어서 보강판(30)의 연장부(52)를 보강판 아래 유로(流路)가 아닌, 보강판 위 압력실(15)에 형성 하였다는 것과 구조상 수납실 커버(53)를 수납실(54) 상부에 구비 함에 있어서, 수납실 커버의 중심구멍(a)이 제1 조작수 유출구 역할(곧, 제1파이롯 발브(41)와 작용)을 하고, 보강판(30)의 중심구멍(b)이 제2 조작수 유출구 역할 (곧, 제2파이롯발브(42)와 작용)을 한다는 점을 유념한다면,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수 있는 실시 상태이므로 이의 작용 설명은 이미 상술 한바 작용설명으로 이에 갈음 하기로 한다.
또한 지금까지 상술한바 작용설명과 도1, 도2, 도3, 도4 의 실시예들에서 살펴보면, 필요할 경우 플런저(40) 및 제1파이롯발브(41), 솔레이노이드(45)등 일부를 사용하지 않는다면 단순히 감압변으로서만 사용 · 실시하는 것도 가능한 방법임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용이하게 알수 있다.
한편, 도1, 도2, 도3, 도4 에서는 다이아프램으로 압력감지실(60)을 형성시켜 토출압력을 감지하도록 하는 방법을 예시하였으나 이를 다이아프램 대신, 도 5 에서처럼 벨로우즈(80)로 압력감지실(60)을 형성시켜 토출압력을 감지하도록 하는 방법도 가능한바, 압력감지실(60)을 형성시킴에 있어서는 상기 예시한 방법과 소재들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그리고 도1, 도2, 도3, 도4에서는 조절나사(72)를 돌리는 방법으로 조절스프링(73)의 탄력을 조절하여 토출압력을 조절하는것을 예시 하였으나,수시로 감압변 의 토출압력을 조절할 필요가 있을 경우, 조절나사를 돌려서 하는 방법 대신 이를 유압·공압 등등에 의하여 직선운동으로 조절스프링(73)의 탄력을 조절하는 방법으로 감압변의 토출압력을 수시로 조절할수 있음도 물론인바, 상기 예시한 방법들은 그 실시 방법에서 차이가 있을뿐 기술적 사상은 같다.
상술한바와 같은 구성과 작용으로 되는 본 발명은 통상의 단속발브인 파이롯식 솔레노이드 발브에 감압변역할도 할수있도록 구성 요소를 추가하여 기술적으로 조합 · 구성함으로써, 간단한 구성과 저렴한 생산 원가로도 작용이 확실하며 수격현상이 발생하지 않아 사용이 편리한 1발브 2역할(단속 및 감압)의 발브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발브입구(11)와 발브출구(12)를 구비하는 발브본체(10)와 상기 발브본체(10) 내부에 발브출구(12)의 시작인 변좌(13)가 있고, 상기 변좌(13)에 밀착되어지며 주 발브역할을 하는 다이아프램(20)이 있으며 상기 다이아프램 일측에 주발브 개폐작동을 이루기 위한 물이 유입되는 조작수유입구(21)가 있으며, 또한 상기 다이아프램(20)위에는 주 발브폐쇄시 다이아프램(20)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보강판(30)이 있고, 상기 보강판(30) 중앙에는 제1파이롯발브(41)에 의하여 개폐되어지는 제1조작수유출구(31)가 있으며, 상기 발브본체(10)의 상부 외주연부(14)위에 다이아프램(20)을 변좌(13)에 밀착 밀폐시키기 위한 압력실(15)을 형성시키는 발브본체 커버(16)가 있고, 상기 커버(16)상부에는 격벽(161)으로 풀런저수납실(43)을 형성하여 스프링(44)과 제1파이롯발브(41)을 구비한 풀런저(40)를 수납하고 상기 격벽(161)외부로는 솔레노이드(45)가 있고, 상기 보강판(30)아래에 다수의 방사상 리브(51)가 구비되는 연장부(52)를 형성시켜 상기 연장부 말단에, 중앙에 제2파이롯발브에 의하여 개폐되어지는 제2조작수유출구(531)가 뚫려있는 수납실커버(53)를 기밀 고정시켜 제2파이롯발브수납실(54)을 형성하고, 상기 제2파이롯발브수납실(54)에는 스템(421)과 고정되어있는 제2파이롯발브(42)를 수납하되, 상기 제2파이롯발브수납실(54) 상부와 제2파이롯발브(42) 사이에는 탄력스프링(422)이 개재되어있고 상기 스템(421)은 상기 제2조작수 유출구(531)을 관통하여 스템안내공(171)에 삽입 되어지며 상기 발브본체(10) 내부의 중앙부위에는 스템안내공(171)이 뚫려있는 돌출부(17)가 형성되어있고, 상기 돌출부(17) 저변에는 토출압력감지실(60)로 통하는 압력감지수유입구(172)가 뚫려 있으며, 상기 발브본체(10) 외부 중앙부 아래쪽에는 밀폐고정부재(70)로 토출압력감지다이아프램(61)의 상부 외주연부(611)를 압축고정하여 밀폐시킴으로써 토출압력감지실(60)을 형성하고 상기 밀폐고정부재(70)의 내경측 암나사(71)에는 수나사의 토출압력조절나사(72)를 나삽하되, 상기 토출압력조절나사(72)와 토출압력감지다이아프램(61) 사이에는 압력조절스프링(73)이 개재되어있는것을 특징으로하는 단속발브겸용감압변.
  2. 삭제
  3. 발브입구(11)와 발브출구(12)를 구비하는 발브본체(10), 상기 발브본체(10) 내부에 발브출구(12)의 시작인 변좌(13), 상기 변좌(13)에 밀착되어지며 주 발브역할을 하는 다이아프램(20), 상기 다이아프램 일측에 주발브 개폐작동을 이루기 위한 물이 유입되는 조작수유입구(21), 또한 상기 다이아프램(20)위에 주 발브폐쇄시 다이아프램(20)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보강판(30), 상기 보강판(30) 중앙에는 제2파이롯발브(42)에 의하여 개폐되어지는 구멍(b)이 있으며, 상기 발브본체(10)의 상부 외주연부(14)위에 다이아프램(20)을 변좌(13)에 밀착 밀폐시키기 위한 압력실(15)을 형성시키는 발브본체 커버(16)가 있고, 상기 커버(16)상부에는 격벽(161)으로 풀런저수납실(43)을 형성하여 스프링(44)과 제1파이롯발브(41)을 구비한 풀런저(40)를 수납하고 상기 격벽(161)외부로는 솔레노이드(45)가 있으며, 상기 보강판(30)위에 다수의 방사상 리브(51)가 구비되는 연장부(52)를 형성시켜 상기 연장부 상단에, 중앙에 제1파이롯발브에 의하여 개폐되어지는 구멍(a)가 뚫려있는 수납실커버(53)를 기밀 고정시켜 제2파이롯발브수납실(54)을 형성하고 상기 제2파이롯발브수납실(54)에는 스템(421)과 고정되어있는 제2파이롯발브(42)를 수납하고, 상기 수납실커버(53)와 제2파이롯발브(42) 사이에는 탄력스프링이 개재되어있고 상기 스템(421)은 상기 보강판(30) 중앙의 구멍(b)을 관통하여 스템안내공(171)에 삽입 되어지며, 상기 발브본체(10) 내부의 중앙부위에는 스템안내공(171)이 뚫려있는 돌출부(17)가 형성되어있고, 상기 돌출부(17) 저변에는 토출압력감지실(60)로 통하는 압력감지수유입구(172)가 뚫려 있으며, 상기 발브본체(10) 외부 중앙부 아래쪽에는 밀폐고정부재(70)로 토출압력감지다이아프램(61)의 상부 외주연부(611)를 압축고정하여 밀폐시킴으로써 토출압력감지실(60)을 형성하고 상기 밀폐고정부재(70)의 내경측 암나사(71)에는 수나사의 토출압력조절나사(72)를 나삽하되, 상기 토출압력조절나사(72)와 토출압력감지다이아프램(61) 사이에는 압력조절스프링(73)이 개재되어있는것을 특징으로하는 단속발브겸용감압변.
  4. 발브입구(11)와 발브출구(12)를 구비하는 발브본체(10), 상기 발브본체(10) 내부에 발브출구(12)의 시작인 변좌(13)가 있고, 상기 변좌(13)에 밀착되어지며 주 발브역할을 하는 다이아프램(20), 상기 다이아프램 일측에 주발브 개폐작동을 이루기 위한 물이 유입되는 조작수유입구(21)가 있으며, 또한 상기 다이아프램(20)위에는 주 발브폐쇄시 다이아프램(20)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보강판(30)이 있고, 상기 보강판(30) 중앙에는 제2파이롯발브(42)에 의하여 개폐되어지는 구멍(b)이 있으며, 상기 발브본체(10)의 상부 외주연부(14)위에 다이아프램(20)을 변좌(13)에 밀착 밀폐시키기 위한 압력실(15)을 형성시키는 발브본체 커버(16)가 있고,
    제2파이롯발브(42)와 고정되어있는 스템(421)은 상기 제2파이롯발브에 의하여 개폐되어지는 구멍(b)을 관통하여 스템안내공(171)에 삽입 되어지며, 상기 발브본체(10) 내부의 중앙부위에는 스템안내공(171)이 뚫려있는 돌출부(17)가 형성되어있고, 상기 돌출부(17) 저변에는 토출압력감지실(60)로 통하는 압력감지수유입구(172)가 뚫려 있으며, 상기 발브본체(10) 외부 중앙부 아래쪽에는 밀폐고정부재(70)로 토출압력감지다이아프램(61)의 상부 외주연부(611)를 압축고정하여 밀폐시킴으로써 토출압력감지실(60)을 형성하고 상기 밀폐고정부재(70)의 내경측 암나사(71)에는 수나사의 토출압력조절나사(72)를 나삽하되, 상기 토출압력조절나사(72)와 토출압력감지다이아프램(61) 사이에는 압력조절스프링(73)이 개재되어있는것을 특징으로하는 감압변.
KR1020050027858A 2005-03-02 2005-04-04 단속밸브 겸용 감압변 KR1007010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5483 2005-03-02
KR20050005483 2005-03-02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9135U Division KR200388668Y1 (ko) 2005-03-02 2005-04-04 단속발브 겸용 감압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1840A KR20060101840A (ko) 2006-09-26
KR100701053B1 true KR100701053B1 (ko) 2007-03-29

Family

ID=37632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7858A KR100701053B1 (ko) 2005-03-02 2005-04-04 단속밸브 겸용 감압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105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4548B1 (ko) * 2017-12-08 2019-06-28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선박 가스밸브유닛용 가스공급밸브
CN113757427A (zh) * 2021-07-28 2021-12-07 浙江永盛科技股份有限公司 零摩擦指挥器压力调节阀及压力调节方法
CN115559830B (zh) * 2022-09-30 2023-09-26 蓝箭航天空间科技股份有限公司 电磁先导控制阀
CN116734011B (zh) * 2023-08-11 2023-11-21 科达阀门科技有限公司 一种软密封闸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3301Y1 (ko) * 1999-12-30 2000-05-15 최건일 전자밸브
KR200252676Y1 (ko) * 2001-08-03 2001-11-23 김진형 유로 개폐 밸브장치
KR100282291B1 (ko) * 1998-07-18 2002-05-09 전점영 솔레노이드 밸브
JP3467438B2 (ja) * 1999-09-29 2003-11-17 アドバンス電気工業株式会社 背圧制御弁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82291B1 (ko) * 1998-07-18 2002-05-09 전점영 솔레노이드 밸브
JP3467438B2 (ja) * 1999-09-29 2003-11-17 アドバンス電気工業株式会社 背圧制御弁
KR200183301Y1 (ko) * 1999-12-30 2000-05-15 최건일 전자밸브
KR200252676Y1 (ko) * 2001-08-03 2001-11-23 김진형 유로 개폐 밸브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1840A (ko) 2006-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35352B2 (en) Diaphragm valve for irrigation systems
RU2374505C2 (ru) Объемный бустер с асимметричным режимом потока для приводов клапанов (варианты)
US7140590B2 (en) Pinch valve element for plumbing fixture flush valve
JP5123428B2 (ja) 真空弁の制御装置
KR100701053B1 (ko) 단속밸브 겸용 감압변
JP2008309255A (ja) 逃がし弁
US10429859B2 (en) Pressure regulator
KR900002882B1 (ko) 배수장치용 콘트롤 스톱
KR200388668Y1 (ko) 단속발브 겸용 감압변
JP7384357B2 (ja) 減圧弁およびその並列配管構造
KR100809640B1 (ko) 나이프게이트 밸브용 수축팽창식 러버시트
US20100229971A1 (en) Back-pressure responsive valve
KR101235812B1 (ko) 고압기체용 감압 조정장치
JP2002071048A (ja) 自動圧力調整弁
WO2002077737A1 (fr) Clapet de commande pour liquide
JPS5949458B2 (ja) 可撓性管を用いた弁
JP2991231B2 (ja) 圧力制御弁
CN216923250U (zh) 气动阀芯组件及入墙式冲洗阀
WO2023002953A1 (ja) タイミング調整弁及びこれを備えるサックバックバルブ
KR100805751B1 (ko) 유체 개폐밸브
US924257A (en) Automatic shut-off valve.
JP3383945B2 (ja) フィルタレギュレータ用オートドレン弁
JP2008276630A (ja) 減圧弁
KR20030080887A (ko) 일체형 상시 개폐형 솔레노이드 밸브
KR200290976Y1 (ko) 바이패스형 솔레노이드 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