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7584Y1 - 조립식 부채 - Google Patents

조립식 부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7584Y1
KR200247584Y1 KR2020010017901U KR20010017901U KR200247584Y1 KR 200247584 Y1 KR200247584 Y1 KR 200247584Y1 KR 2020010017901 U KR2020010017901 U KR 2020010017901U KR 20010017901 U KR20010017901 U KR 20010017901U KR 200247584 Y1 KR200247584 Y1 KR 2002475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n
support plate
plate
prefabricated
bla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79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병열
Original Assignee
박병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열 filed Critical 박병열
Priority to KR20200100179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758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75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7584Y1/ko

Links

Landscapes

  • Walking Sticks, Umbrellas, And F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부채에 있어서, 조립이 간편하고 내구성이 우수한 조립식 부채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가해지는 힘에 의해 탄성변형하면서 바람을 일으키는 부채판(113)과, 방사형으로 배치되어 부채판(113)을 지지하는 다수 개의 부채살(120)들과,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다수 개의 부채살(120)의 일단이 밀집된 부위에 형성된 부채자루(130) 및, 다수 개의 부채살(120)의 타단을 연결하며 부채판(113)이 삽입될 수 있도록 슬릿(125)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지지판(121)을 포함하며, 지지판(121)의 밖으로 연장하여 지지판(121)에 일체로 형성되고 지지판(121)과의 경계선을 중심으로 선회하여 지지판(121)과 부채판(113)에 끼워짐으로써, 부채판(113)을 지지판(121)에 고정하는 체결부(140)를 포함하는 조립식 부채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조립식 부채{An assembly folding fan}
본 고안은 부채에 관한 것이며, 특히, 부채살과 부채판의 조립이 간편하고, 장시간 사용하거나 과도한 힘으로 부채질을 하여도 부채살과 부채판이 분리되지 않도록 내구성이 양호하며, 재조립이 간편한 조립식 부채에 관한 것이다.
전통 부채는 일반적으로 대나무로 부채살을 제작하고 부채살을 방사형으로 배치한 후에 부채용지를 부착하여 부채를 제작하였다. 이런 전통 부채를 장시간 사용하다 보면, 부채용지가 약하여 쉽게 파손되며 또한 물이 묻었을 경우에는 보다 쉽게 파손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전통 부채를 개량한 것이 합성수지로 된 조립식 부채이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조립식 부채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부채살의 지지판의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식 부채(10)는 원 형상의 일부분을 원만한 원주로 절취한 부채판(13)과, 부채판(13)의 절취부(15)에 체결되며 방사형으로 절취부(15)의 원주를 따라 배치된 부채살(20) 및, 부채살(20)의 하단이 밀집된 부위에 형성된 부채자루(30)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이런 부채판(13)과 부채살(20) 및 부채자루(30)는 합성수지로 제작되어 물에 강한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부채살(20)과 부채자루(30)는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한편, 부채질을 하였을 때에, 바람이 잘 일도록 하기 위해 부채판(13)은 부채살(20) 및 부채자루(30)의 재질보다 유연한 합성수지의 재질로 제작된다. 이와 같이, 부채판(13)의 재질과 부채살(20) 및 부채자루(30)의 재질이 다르기 때문에 부채판(13)과 부채살(20) 및 부채자루(30)를 일체형으로 제작하기보다는 비슷한 유연성을 갖는 부채살(20)과 부채자루(30)를 일체형으로 제작하고, 별도로 부채판(13)을 제작하여 방사형으로 배치된 부채살(20)의 상단에 형성된 지지판(21)에 부채판(13)을 조립시켜 부채(10)를 완성한다.
한편,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채살(20)의 상단에 형성된 지지판(21)에는 부채판(13)이 삽입될 수 있도록 슬릿(25)이 지지판(21)의 길이를 따라 형성된다. 그리고, 방사형으로 배치된 부채살(20) 중에서 맨 가장자리의 두 부채살(20-2)은 다른 부채살(20-1)의 길이보다 길게 연장되고, 이 두 부채살(20-2)에는 슬릿(25-1)이 측면 즉, 두 부채살(20-2)이 마주하는 측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지지판(21)의 슬릿(25)과 연장된다.
이런 지지판(21)에 형성된 슬릿(25)에 부채판(13)이 삽입되었을 때에, 부채판(13)의 절취부(15)는 지지판(21)에 의해 지지되며, 부채판(13)의 원주와 절취부(15)가 만나는 양 가장자리는 양 두 부채살(20-2)의 측면에 형성된 슬릿(25-1)에 삽입되어 지지된다.
한편, 지지판(21)의 슬릿(25)에 삽입된 부채판(13)은 체결부(40)에 의해 고정되는데, 지지판(21)의 중심에는 두 개의 관통공(27)이 형성되고 체결부(40)는 지지판(21)의 관통공(27)에 삽입되어 체결된다. 이런 체결부(40)는 지지판(21)의 두관통공(27)에 억지끼움식으로 삽입되는 두 개의 돌출부(42)를 갖고 있다. 따라서, 체결부(40)를 지지판(21)의 관통공(27)에 체결함으로써, 부채판(13)은 지지판(21)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고정된다.
그러나, 이런 체결부는 지지판으로부터 분리 가능하기 때문에 과도한 부채질을 하였을 때에 부채판의 휨에 의해 체결부가 지지판으로부터 분리되어 이탈될 수 있고, 체결부가 이탈되어 분실되었을 경우에는 부채의 기능을 상실하여 부채질을 할 수 없게 되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체결부를 지지판에 형성된 관통공에 체결하기 위해서는 체결부의 돌출부를 지지판의 관통공에 조준한 후에 가압하여 체결하여야 한다. 따라서, 이런 체결부와 지지판의 체결과정에 소요되는 시간이 부채 조립시간의 대부분을 차지함으로써, 대량생산에 어려움이 따른다.
본 고안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공된 것으로서, 조립하기 쉬우며 과도한 부채질을 하더라도 부채의 파손을 예방할 수 있는 조립식 부채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조립식 부채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부채살의 지지판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부채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조립식 부채의 지지판을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부채의 두 부채살의 슬릿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부채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부채의 체결부와 지지판의 관통공의 형상을 나타낸 개략도이며,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체결부의 돌출부를 나타낸 상세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100, 200 : 조립식 부채 13, 113 : 부채판
20, 20-1, 20-2, 120, 120-1, 120-2 : 부채살
21, 121, 221, 321 : 지지판 25, 25-1, 125, 125-1 : 슬릿
30, 130 : 부채자루 40, 140, 240, 340 : 체결부
42, 142, 242, 342 : 돌출부 128 : 걸림턱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르면, 가해지는 힘에 의해 탄성변형하면서 바람을 일으키는 부채판과, 방사형으로 배치되어 상기 부채판을 지지하는 다수 개의 부채살들과,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상기 다수 개의 부채살의 일단이 밀집된 부위에 형성된 부채자루 및, 상기 다수 개의 부채살의 타단을 연결하며 상기 부채판이 삽입될 수 있도록 슬릿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지지판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판의 밖으로 연장하여 상기 지지판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판과의 경계선을 중심으로 선회하여 상기 지지판과 상기 부채판에 끼워짐으로써, 상기 부채판을 상기 지지판에 고정하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조립식 부채가 제공된다.
상기 체결부에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지지판에 형성된 관통공과 상기 지지판의 관통공과 대응한 위치에 형성된 상기 부채판의 관통공에 억지끼움방식으로 끼워진다.
양호하게는, 상기 지지판의 관통공은 상기 지지판의 길이를 따라 다수 개 형성되고, 상기 지지판의 다수 개의 관통공에 각각 끼워지는 다수 개의 상기 체결부는 상기 지지판의 앞뒷면 중에서 어느 한 면에만 형성되거나, 혹은 앞뒷면에 번갈아 가며 형성된다.
좀 더 양호하게는 상기 다수 개의 부채살 중에서 가장자리에 위치한 두 개의 외측 부채살은 내측 부채살의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길고, 상기 부채판의 외주를 감싸도록 상기 외측 부채살의 길이방향으로 슬릿이 형성되며, 상기 외측 부채살의 슬릿의 안쪽에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상기 부채판의 외주에 형성된 홈과 정합한다.
아래에서,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부채의 양호한 실시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겠다.
[제 1 실시예]
도면에서, 도 3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부채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조립식 부채의 지지판을 나타낸 상태도이며,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부채의 두 부채살의 슬릿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식 부채(100)는 일체형으로 형성된 부채자루(130)와 부채살(120) 및, 부채살(120)에 삽입되어 체결되는 부채판(113)을 포함한다. 부채살(120)은 부채자루(130)의 상단에서 방사형으로 배치된 구조를 가지며, 방사형으로 배치된 부채살(120)의 상단에는 그 상단을 연결하는 지지판(121)이 형성되며, 다수 개의 부채살(120) 중에서 양 가장자리에 위치한 두 부채살(120-2)은 다른 부채살(120-1)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다.
한편, 지지판(121)에는 그 길이방향으로 슬릿(125)이 형성되며, 이런 슬릿(125)에 부채판(113)이 삽입된다. 부채판(113)은 종래의 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원형판의 일부분이 원형판의 안쪽으로 소정의 원주로 절취된 형상을 가지며, 부채판(113)의 절취부(115)의 원주는 지지판(121)의 원주와 대응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이런 지지판(121)의 길이 중간에는 한 쌍의 관통공(127)이 형성되며, 한 쌍의 관통공(127)의 하부에는 체결부(140)가 선회 가능하게 지지판(121)과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이런 지지판(121)과 체결부(140)의 연결부위는 지지판(121)과 체결부(140)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되어 연결부위를 중심으로 체결부(140)가 상하방향으로 자유롭게 선회 가능하다.
이런 체결부(140)에는 돌출부(142)가 상기 지지판(121)의 관통공(127)과 대응하는 면에 형성되며, 체결부(140)가 상부로 선회하여 돌출부(142)가 관통공(127)과 맞대응한 상태에서 체결부(140)를 지지판(121) 쪽으로 가압하게 되면돌출부(142)는 억지끼움방식으로 지지판(121)의 관통공(127)에 끼워진다. 한편, 지지판(121)의 슬릿(125)에 삽입된 부채판(113)에 있어 지지판(121)의 관통공(127)과 대응하는 위치에는 관통공(117)이 형성된다. 따라서, 체결부(140)의 돌출부(142)가 지지판(121)의 관통공(127)과 부채판(113)의 관통공(117)을 관통하여 체결됨으로써, 부채판(113)은 지지판(121)에 고정된다.
한편, 부채살(120)의 맨 가장자리에 위치한 두 부채살(120-2)은 지지판(121)의 상부로 돌출되어 있으며, 두 부채살(120-2)의 돌출부위에는 상호 마주하는 쪽에 두 부채살(120-2)의 길이방향으로 슬릿(125-1)이 형성된다. 이런 두 부채살(120-2)의 슬릿(125-1)에는 부채판(113)의 원주둘레 부분이 삽입되어 지지되며, 이런 두 부채살(120-2)의 슬릿(125-1)의 안쪽 밑면에는 걸림턱(129)이 형성되고, 이런 걸림턱(129)에 대응하는 부채판(113)에는 홈(119)이 형성된다.
따라서, 부채판(113)이 지지판(121)과 두 부채살(120-2)의 슬릿(125, 125-1)에 삽입되었을 때에, 부채판(113)에 형성된 홈(117)과 두 부채살(120-2)의 슬릿(125-1) 안쪽에 형성된 걸림턱(128)은 정합한다.
[제 2 실시예]
도면에서, 도 6은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부채의 분해사시도이다.
제 1 실시예를 나타낸 도 3 내지 도 5에서는 체결부(140)가 지지판(121)의 길이 중간에 설치된 것으로 도시하였고 그와 같이 설명하였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판(221)에는 한 쌍씩의 관통공(227)이 지지판(221)의 길이방향으로 다수개 형성되고, 이런 지지판(221)의 관통공(227)에 대응하는 체결부(240)가 각각 지지판의 앞뒷면에 번갈아 가며 형성된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조립식 부채(200)는 체결부(240)가 지지판(221)의 앞뒷면에 번갈아 가며 형성되었으나, 체결부(240)가 지지판(221)의 앞면 또는 뒷면 어느 한 면에만 형성되어도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충분히 발현할 수 있다.
[제 3 실시예]
제 3 실시예의 조립식 부채를 제 2 실시예와 비교하였을 때에, 제 2 실시예의 지지판에 형성된 관통공의 형상과 체결부에 형성된 돌출부의 형상이 다를 뿐, 다른 구성요소 및 유기적 결합관계는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따라서, 제 3 실시예에서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도면부호를 부여하였으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부채의 체결부와 지지판의 관통공의 형상을 나타낸 개략도이며,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체결부의 돌출부를 나타낸 상세도이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부(340)의 돌출부(342)는 반원기둥의 형상을 가지며, 반원기둥의 수직 평면에는 반원기둥의 직경방향으로 형성된 산과 골(344)이 번갈아 가며 전면에 형성된다.
그리고, 지지판(321)에 형성된 관통공(327) 또한 둘출부(342)의 단면과 같은 반원공이다. 이런 반원공의 직선부에는 걸림부(326)가 형성된다.
따라서, 반원기둥의 돌출부(342)가 지지판(321)의 관통공(327)에 삽입될 때,반원기둥에 형성된 산과 골(344)은 관통공(327)의 걸림부(326)를 넘어서 삽입된다. 이와 같이, 삽입된 체결부(340)의 돌출부(342)의 골에는 지지판(321)의 걸림부(326)가 정합한다. 따라서, 돌출부(342)는 지지판(321)의 관통공(327)으로부터 쉽게 인출되지 않는다.
제 1, 제 2, 제 3 실시예에서 설명한 조립식 부채의 체결부는 지지판에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조립시에 체결부의 돌출부를 지지판의 관통공 또는 반원공에 조준할 필요없이 체결부를 상부로 선회하면 자연스럽게 체결부의 돌출부가 지지판의 관통공 및 반원공으로 삽입된다.
또한, 두 부채살의 측면 슬릿에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부채판이 지지판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더욱 예방할 수 있다.
그리고, 제 2, 제 3 실시예에서의 조립식 부채는 부채판을 고정하는 체결부가 지지판을 따라 다수 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부채판을 과도하게 흔들더라도 부채판은 지지판의 슬릿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앞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조립식 부채는 부채살의 지지판에 체결부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신속한 조립을 수행할 수 있어 부채의 대량생산에 적합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조립식 부채는 과도한 부채질을 하여 체결부가 지지판으로부터 분리되더라도 지지판에 매달려 있기 때문에 재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조립식 부채는 부채판과 부채살을 다수 부위에서 체결함으로써, 과도한 부채질에도 부채판과 부채살이 분리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조립식 부채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고안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고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고안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Claims (5)

  1. 가해지는 힘에 의해 탄성변형하면서 바람을 일으키는 부채판과, 방사형으로 배치되어 상기 부채판을 지지하는 다수 개의 부채살들과,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상기 다수 개의 부채살의 일단이 밀집된 부위에 형성된 부채자루 및, 상기 다수 개의 부채살의 타단을 연결하며 상기 부채판이 삽입될 수 있도록 슬릿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지지판을 포함하는 조립식 부채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의 밖으로 연장하여 상기 지지판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판과의 경계선을 중심으로 선회하여 상기 지지판과 상기 부채판에 끼워짐으로써, 상기 부채판을 상기 지지판에 고정하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부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에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지지판에 형성된 관통공과 상기 지지판의 관통공과 대응한 위치에 형성된 상기 부채판의 관통공에 억지끼움방식으로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부채.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의 관통공은 상기 지지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 개 형성되고, 상기 지지판의 다수 개의 관통공에 각각 끼워지는 다수 개의 상기 체결부는 상기지지판의 앞뒷면 중에서 어느 한 면에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부채.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의 관통공은 상기 지지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 개 형성되고, 상기 지지판의 다수 개의 관통공에 각각 끼워지는 다수 개의 상기 체결부는 상기 지지판의 앞뒷면을 번갈아 가며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부채.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 개의 부채살 중에서 가장자리에 위치한 두 개의 외측 부채살은 내측 부채살의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길고, 상기 부채판의 외주를 감싸도록 상기 외측 부채살의 길이방향으로 슬릿이 형성되며, 상기 외측 부채살의 슬릿의 안쪽에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상기 부채판의 외주에 형성된 홈과 정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부채.
KR2020010017901U 2001-06-15 2001-06-15 조립식 부채 KR20024758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7901U KR200247584Y1 (ko) 2001-06-15 2001-06-15 조립식 부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7901U KR200247584Y1 (ko) 2001-06-15 2001-06-15 조립식 부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7584Y1 true KR200247584Y1 (ko) 2001-10-17

Family

ID=731034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7901U KR200247584Y1 (ko) 2001-06-15 2001-06-15 조립식 부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758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10306A (en) Quick assembly blades for ceiling fans
US6055695A (en) Lint roller assembly
US6371729B1 (en) Assembling structure for vane and vane bracket of ceiling fan
US11359643B2 (en) Fan having housing formed by connectable pieces and including air guide ribs and an internal ramp
US4758197A (en) Toy windmill and noise maker
US6149388A (en) Combination of a blade bracket and a collar of a ceiling fan
KR200247584Y1 (ko) 조립식 부채
KR980002889A (ko) 역류팬, 팬코마 성형틀 및 팬모카 성형틀 제조방법
US4025231A (en) Propeller fan construction
US7121805B2 (en) Electric fan with detachable blades
JP4259722B2 (ja) パイプファン
US6390778B1 (en) Ceiling fan blade
KR200208829Y1 (ko) 바람개비
KR200322956Y1 (ko) 바람개비
JPS58200096A (ja) 送風羽根
JPS645703Y2 (ko)
KR200361267Y1 (ko) 바람개비
EP4082636A1 (en) Device for connecting a shoe to an interchangeable blade of a fin
KR20090049458A (ko) 차량용 배터리 케이블 단자
JP4512343B2 (ja) 多翼ファン
KR940001408Y1 (ko) 건널목용 차단기봉에서의 표시판 지지장치
KR200271815Y1 (ko) 부채
KR200208517Y1 (ko) 조립식 표시판
KR200159659Y1 (ko) 연결구
KR200199655Y1 (ko) 훌라후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91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