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1267Y1 - 바람개비 - Google Patents

바람개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1267Y1
KR200361267Y1 KR20-2004-0015273U KR20040015273U KR200361267Y1 KR 200361267 Y1 KR200361267 Y1 KR 200361267Y1 KR 20040015273 U KR20040015273 U KR 20040015273U KR 200361267 Y1 KR200361267 Y1 KR 2003612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support shaft
pinwheel
friction member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52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환
Original Assignee
김동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환 filed Critical 김동환
Priority to KR20-2004-00152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126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12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126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40Windmills; Other toys actuated by air curr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0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corporating moving display member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바람개비에 있어서, 중공부를 갖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상기 중공부에 수용되는 지지축과; 상기 회전축의 단부영역에 결합되고, 상기 회전축과 상기 지지축 사이에서 상기 지지축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지지축과 부분 접촉하는 제1돌출부를 갖는 마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마찰면적을 감소시켜 회전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바람개비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바람개비{A Vane}
본 고안은 바람개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마찰면적을 감소시켜 회전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바람개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바람개비는 회전축공을 중심축으로 하여 빗면으로 형성되어진 날개를 회전대칭으로 배열하여 구성하며, 회전대칭으로 배열한 날개부의 빗면을 공기가 스쳐 흐르면서 흐르는 공기의 압력에 의해 회전하는 것이다. 이러한 바람개비는 완구용, 장식용 등 다양한 형태로 우리생활에 이용되고 있다.
종래의 바람개비는, 중앙영역에 배치되는 회전축과, 회전축와 동심을 이루며 이격 배치되는 지지부와, 지지부를 수용하는 커버와, 회전축와 지지부 사이에 마련되어 회전축에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블레이드를 갖는다.
회전축은 지지축을 수용하는 중공부를 가지며, 가요성을 갖는 지지부는 후술할 커버의 수용공에 삽입된다.
커버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수용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커버의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의 블레이드의 각각의 일단부가 일정 간격 이격되어 재봉 결합되어 있다. 여기서, 수용공은 커버를 원주방향을 따라 벤딩하여 재봉함으로써 형성된다.
블레이드는 일단부가 커버에 재봉 결합되며 타단부가 회전부재에 결합된다.
이에 의하여, 블레이드를 스쳐 블레이드 사이로 공기가 흐르면 지지축의 축선을 중심으로 본체 즉, 회전축, 블레이드, 지지부 및 커버가 일체로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복수의 본체의 각 회전축에 하나의 지지축을 삽입하면 하나의 지지축의 축선을 중심으로 복수의 본체가 회전한다. 이에, 좀 더 미려하며 눈에 잘 띄는 바람개비를 만들 수 있다.
그런데, 종래의 바람개비에 있어서는, 본체가 지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 본체의 회전축의 내면과 지지축의 외면 사이의 마찰면적이 넓어 본체의 회전이 원활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복수의 본체가 지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 인접하는 본체의 회전축의 측면 사이의 마찰면적이 넓어 본체의 회전이 원활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마찰면적을 감소시켜 회전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바람개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바람개비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바람개비의 부분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바람개비의 부분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복수의 바람개비 10 : 지지축
20 : 본체 23 : 회전축
26 : 중공부 29 : 블레이드
32 : 지지부 40a, 40b : 마찰부재
43a, 43b : 제1돌출부 46a, 46b : 제2돌출부
49a, 49b : 결합부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바람개비에 있어서, 중공부를 갖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상기 중공부에 수용되는 지지축과; 상기 회전축의 단부영역에 결합되고, 상기 회전축과 상기 지지축 사이에서 상기 지지축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지지축과 부분 접촉하는 제1돌출부를 갖는 마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람개비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마찰부재는 상기 제1돌출부로부터 절곡 연장되어 상기 회전축의 단부영역을 감싸며 인접하는 바람개비를 향해 돌출된 제2돌출부를 더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마찰부재의 상기 제1돌출부 및 상기 제2돌출부는 구형의 접촉면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에 앞서,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도면에 동일 참조부호를 표기하여 대표적으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외의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다른 구성요소에 대해서만 참조부호를 달리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바람개비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바람개비의 부분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개비는 회전축(23)과 지지부(32) 및 복수의 블레이드(29)로 이루어진 본체(20)와, 회전축(23)의 단부영역에 결합되는 마찰부재(40a)를 포함한다.
본체(20)는 회전축(23), 지지부(32) 및 복수의 블레이드(29)로 이루어진다.
중공부(26)를 갖는 회전축(23)은 중앙영역에 배치되며 중공부(26)에는 지지축(10)이 수용된다. 또한, 회전축(23)에는 후술할 복수의 블레이드(29)가 결합된다.
지지축(10)은 회전축(23)의 중공부(26)에 수용되며, 이 지지축(10)에는 회전축(23)을 사이에 두고 회전축(23)이 지지축(10)의 축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제한하는 스토퍼(미도시)가 마련되어 있다.
지지부(32)는 회전축(23)과 동심을 이루며 이격 배치되며, 이 지지부(32)에는 후술할 복수의 블레이드(29)가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된다.
복수의 블레이드(29)는 회전축(23)과 지지부(32) 사이에 마련되어 회전축(23)에 방사상으로 결합된다. 블레이드(29)의 일단부는 회전축(23)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지지부(32)에 결합된다. 이 블레이드(29)는 회전축(23) 및 지지부(32)에 결합될 때 소정 각도로 비틀려 결합됨으로써, 블레이드(29)를 스쳐 블레이드(29) 사이로 공기가 흐르면 지지축(10)의 축선을 중심으로 마찰부재(40a)와 본체(20) 즉, 회전축(23), 블레이드(29) 및 지지부(32)가 일체로 회전하게 된다.
마찰부재(40a)는 회전축(23)의 단부영역에 결합되고, 이 마찰부재(40a)는 결합부(49a)와 지지축(10)과 부분 접촉하는 제1돌출부(43a)를 갖는다.
결합부(49a)는 회전축(23)의 단부영역에 결합되며 판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함몰 형성되어 있다.
제1돌출부(43a)는 회전축(23)과 지지축(10) 사이에서 지지축(10)을 향해 돌출되어 지지축(10)과 부분 접촉함으로써, 지지축(10)과의 마찰면적을 줄여 본체(20) 및 마찰부재(40a)의 회전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마찰부재(40a)는 제1돌출부(43a)로부터 절곡 연장되어 회전축(23)의 단부영역을 감싸며 인접하는 바람개비를 향해 돌출된 제2돌출부(46b)를 더 가짐으로써, 복수의 바람개비가 연속적으로 있을 경우 인접하는 바람개비의 마찰부재(40a)와 부분 접촉하여 마찰면적을 줄일 수 있어 각각의 바람개비의 회전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마찰부재(40a)의 제1돌출부(43a) 및 제2돌출부(46a)는 구형의 접촉면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가능하면 제1돌출부(43a) 및 제2돌출부(46a)는 각각 지지축(10) 및 인접하는 마찰부재(40a)의 제2돌출부(46a)와 선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 고안에 따른 복수의 바람개비(1)는 복수의 본체(20)가 하나의 지지축(10)에 끼워질 때 각 본체(20)의 회전축(23)의 양단부영역에 결합된 마찰부재(40a)의 제1 및 제2돌출부(43a, 46a)가 각각 지지축(10) 및 인접하는 본체(20)의 마찰부재(40a)에 부분 접촉함으로써, 마찰면적이 줄어 본체(20) 및 마찰부재(40a)의 회전이 원활하게 된다. 여기서, 양 외측에 배치되는 바람개비의 외측의 마찰부재(40a)의 제2돌출부(46a)는 지지축(10)의 스토퍼(미도시)에 부분 접촉한다. 한편, 마찰부재(40a)의 제2돌출부(46a)와 지지축(10)의 스토퍼(미도시)는 가능하면 선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3에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바람개비의 부분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바람개비는, 전술한 제1실시예와는 달리, 결합부(49b), 제1돌출부(43b) 및 제2돌출부(46b)를 갖는 마찰부재(40b)는 제1돌출부(43b)가 회전축(23)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 연장 형성되어 있으며 연장 형성된 단부영역은 지지축(10)을 향해 돌출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회전축, 지지축, 지지부, 복수의 블레이드, 회전축의 단부영역에 결합되는 마찰부재를 마련함으로써, 마찰면적을 감소시켜 회전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들에서는 하나의 지지축(10)에 복수의 본체(20)가 끼워질 때 각 본체(20)의 회전축(23)의 양단부에 마찰부재(40a, 40b)가 결합되는 것으로 개시되어 있으나, 하나의 본체(20)가 끼워져 본체(20)의 회전축(23)의 양단부에 마찰부재(40a, 40b)가 결합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마찰면적을 감소시켜 회전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바람개비가 제공된다.

Claims (3)

  1. 바람개비에 있어서,
    중공부를 갖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상기 중공부에 수용되는 지지축과;
    상기 회전축의 단부영역에 결합되고, 상기 회전축과 상기 지지축 사이에서 상기 지지축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지지축과 부분 접촉하는 제1돌출부를 갖는 마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람개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부재는 상기 제1돌출부로부터 절곡 연장되어 상기 회전축의 단부영역을 감싸며 인접하는 바람개비를 향해 돌출된 제2돌출부를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람개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부재의 상기 제1돌출부 및 상기 제2돌출부는 구형의 접촉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람개비.
KR20-2004-0015273U 2004-06-01 2004-06-01 바람개비 KR20036126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5273U KR200361267Y1 (ko) 2004-06-01 2004-06-01 바람개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5273U KR200361267Y1 (ko) 2004-06-01 2004-06-01 바람개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1267Y1 true KR200361267Y1 (ko) 2004-09-07

Family

ID=49349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5273U KR200361267Y1 (ko) 2004-06-01 2004-06-01 바람개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126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1039Y1 (ko) 2013-07-10 2014-01-28 (주)대동엔지니어링 팬 작동 확인용 바람개비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1039Y1 (ko) 2013-07-10 2014-01-28 (주)대동엔지니어링 팬 작동 확인용 바람개비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50844A (en) Connection between vane arm and unison ring in variable area stator ring
US7988650B2 (en) Massage device with spiral wave form action
JP2004068592A (ja) ヒンジ
CN107110316B (zh) 风门装置
KR890012111A (ko) 분할 레버린스 밀봉장치
KR200361267Y1 (ko) 바람개비
JP5820644B2 (ja) 回転ダンパ
KR200361239Y1 (ko) 바람개비
JPH0433439Y2 (ko)
WO2018198549A1 (ja) ストークスイッチ
KR200213605Y1 (ko) 바람개비
KR200208829Y1 (ko) 바람개비
CN110072742A (zh) 用于球形接头的窝组件
KR200322956Y1 (ko) 바람개비
CN216691596U (zh) 一种风扇组件及吹风机
CN212899352U (zh) 具有多级角度的转轴铰链及具有其的电子设备
KR20040042013A (ko) 송풍팬
JP2003246431A (ja) スクリューユニットおよびスクリュー装置
JP2002039223A (ja) クラッチ、及びモータ
KR850002662Y1 (ko) 로드 안테나의 고정장치
KR200297790Y1 (ko) 다중 블레이드가 구비된 로터리 커터
JPS6310563Y2 (ko)
KR200247584Y1 (ko) 조립식 부채
KR970006924A (ko) 분해조립이 용이한 다단 팬 허브구조
KR20020051743A (ko) 원웨이 클러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