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7385Y1 - 형광등조립체 - Google Patents

형광등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7385Y1
KR200247385Y1 KR2020010017924U KR20010017924U KR200247385Y1 KR 200247385 Y1 KR200247385 Y1 KR 200247385Y1 KR 2020010017924 U KR2020010017924 U KR 2020010017924U KR 20010017924 U KR20010017924 U KR 20010017924U KR 200247385 Y1 KR200247385 Y1 KR 20024738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ttom plate
pair
fluorescent lamp
protective cover
side wal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79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병기
이재우
Original Assignee
박병기
이재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기, 이재우 filed Critical 박병기
Priority to KR20200100179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738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738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7385Y1/ko

Links

Landscapes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형광등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형광등조립체는 저부판과, 한 쌍의 대향한 장측벽 및 한 쌍의 대향하는 단측벽을 가지고, 한 쌍의 평행한 형광등을 수용하는 케이스; 형광등의 양단에 대응하여 상기 단측벽에 각각 배치되는 두 쌍의 소켓; 한 쌍의 형광등 사이에 저부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저부판과의 사이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보호커버; 및 보호커버의 수용공간과 소켓의 영역에 걸쳐 상호 연통되도록 케이스에 외향 함몰되도록 형성되어, 소켓으로부터의 전선을 안내하는 안내그루브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전선의 노출이 최대한 방지되어 시각적인 품위가 향상된다.

Description

형광등조립체{FLUORESCENT LAMP ASSEMBLY}
본 고안은 형광등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실내의 천장에 매입가능한 형광등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소위 매입형 형광등조립체는, 도 5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사각통상의 케이스(53), 케이스(53)내에 한 쌍의 형광등을 평행하게 장착시키는 소켓(59), 및 안정기(도시않음)와 안정기 보호커버(61)를 구비하고 있다. 케이스(53)는 거의 직사각판상의 저부판(54)과, 이들 저부판(54)의 각 변에 마련되는 한 쌍의 장측벽(55) 및 한 쌍의 단측벽(56)을 가지고, 형광등수용부(57)를 형성한다.
형광등수용부(57)내에는 한 쌍의 형광등(40)이 평행하게 수용된다. 케이스(53)의 대향하는 단측벽(56)에는 각각 형광등(40)의 단자에 대응하는 위치에 소켓(59)이 설치되어 있다. 케이스(53)의 저부판(54)에는 또한, 한 쌍의 형광등(40) 사이에 안정기가 결합된다. 그리고, 이 안정기를 차폐시키는 보호커버(61)가 그 전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안정기에는 외부 전류가 공급되는 전선(도시않음)이 연결된다. 그리고, 안정기(71)와 각 소켓(59)도 전선(73)에 의해 상호 연결된다. 안정기(71)와 각 소켓(59) 사이를 연결하는 전선(도시않음)은 보호커버(61)와 저부판(54) 사이에 형성되는 수용공간내에 수용된다. 안정기(71)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류를 제어하여 형광등(40)에서 일어나는 방전을 안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형광등조립체(51)에서는, 보호커버(61)의 수용공간내에 수용된 전선(73)이, 도 5에 확대도로서 나타낸 바와 같이, 보호커버(61)의 양측단부에 측방으로 개구된 인출공(62)을 통해 외향 인출된 후, 각각 단측벽(56)을 따라 연장되어 소켓(59)에 연결되는데, 이 때, 보호커버(61)와 소켓(69) 사이의 전선(73)이 시각적으로 외부에 노출되어 외관의 품위를 손상시키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이렇게 노출된 전선(73)은 부품의 수리 예를 들어, 안정기등의 수리 또는 교체시 작업에 방해를 주는 한편, 손상될 염려가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종래의 이러한 문제점들을 고려하여, 전선의 시각적인 노출을 최대한 방지하여 외관의 품위를 향상시키고 또한, 수리나 교체작업시 방해 또는 손상될 염려를 줄일 수 있도록 한 형광등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형광등조립체의 부분확대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Ⅱ-Ⅱ선에 따른 단면도,
도 3은 도 1의 안내그루브를 부분확대 횡단면도로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내그루브를 부분확대 횡단면도로 나타낸 도면, 및
도 5는 종래의 형광등조립체의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케이스 4 : 저부판
5 : 장측벽 6 : 단측벽
7 : 형광등수용부 9 : 소켓
11 : 보호커버 12 : 수용공간
13 : 경사면 17 : 물림연부
21 : 안정기 22, 24 : 전선
27 : 걸림돌기 31, 41 : 안내그루브
상기 목적은, 형광등조립체에 있어서, 저부판과, 한 쌍의 대향한 장측벽 및 한 쌍의 대향하는 단측벽을 가지고, 한 쌍의 평행한 형광등을 수용하는 케이스; 상기 형광등의 양단에 대응하여 상기 단측벽에 각각 배치되는 두 쌍의 소켓; 상기 한 쌍의 형광등 사이에 상기 저부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상기 저부판과의 사이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보호커버; 및 상기 보호커버의 수용공간과 상기 소켓의 영역에 걸쳐 상호 연통되도록 상기 케이스에 외향 함몰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소켓으로부터의 전선을 안내하는 안내그루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등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안내그루브는 상기 케이스의 저부판에 상기 단측벽을 따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형광등조립체의 부분확대 분해사시도이다. 본 형광등조립체(1)는, 종래의 도 5와 관련하여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로, 직사각통상의 케이스(3)와 두 쌍의 소켓(9), 그리고, 안정기(21) 및 보호커버(11)를 구비한다. 케이스(3)는 거의 직사각판상의 저부판(4)과, 저부판(4)의 길이방향 양측 연부에 마련되어 상호 대향하는 한 쌍의 장측벽(5) 및 저부판(4)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가로방향의 양측 연부에 마련되어 상호 대향하는 한 쌍의 단측벽(6)을 가진다. 이들 저부판(4)과, 장측벽(5) 및 단측벽(6)에 의해 케이스(3)내에 형광등수용부(7)가 형성된다.
각 단측벽(6)의 내벽면에는 한 쌍의 소켓(9)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결합된다. 이들 소켓(9)은 타측의 단측벽(6)에 마련된 소켓(9)과 상호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이를 위해, 단측벽(6)의 내벽면에는 한 쌍의 소켓위치홈(25)이 형성되어 있다. 소켓(9)의 배면에는 소켓고정돌기(23)가 돌출되어 소켓위치홈(25)에 위치고정된다. 위치고정된 소켓(9)에는 형광등(도 3의 40)의 단자가 수용되며, 이에 의해, 형광등수용부(7)내에 한 쌍의 형광등(40)을 평행하게 장착가능하다.
저부판(4)에는, 한 쌍의 형광등 사이의 중앙영역에 안정기(21)가 장착된다. 안정기(21)의 전면에 보호커버(11)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보호커버(11)는 거의 직사각판상을 가지며, 그 중앙영역이 길이방향을 따라 절곡되어 양측으로 상호 대향하는 경사면(13)을 형성하고 있다. 경사면(13)의 길이방향 연부는 하향 절곡된 후 외측방으로 이중 절곡되어 있다. 외측방 절곡부(17)는, 저부판(4)의 걸림돌기(27)에 맞물리는 물림연부로 형성된다.
저부판(4)의 걸림돌기(27)는 저부판(4)상의 형광등(40) 사이에 상호 대향하는 한 쌍으로 마련되며, 저부판(4)의 길이방향을 따라 단측벽(6)에 인접하는 양측에 각각 마련된다. 각 걸림돌기(27)는, 저부판(4)을 절취하여 간단히 상향 절곡시켜 형성가능하며, 그 말단부는 대향하는 걸림돌기(27)를 향해 다시 절곡되어 있다.
보호커버(11)는 금속재질로 형성되어 있어서, 보호커버(11)의 하향 절곡부(15)를 양측 방향에서 손가락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내향 가압하면, 탄성적으로 변형되며, 이에 의해, 보호커버(11)의 양측 물림연부(13)를 걸림돌기(27)에 각각 끼울 수 있다. 이 때, 보호커버(11)와 저부판(4) 사이에는 안정기(21), 및 안정기(21)와 소켓(9)을 상호 연결하는 전선(24)을 수용하는 공간이 형성된다. 한편, 역순을 따라서, 상호 맞물인 걸림돌기(27)와 물림연부(13)를 해제시킬 수 있다
저부판(4)에는 또한, 도 1의 Ⅱ-Ⅱ선에 따른 단면도로서 나타낸 도 2 및 부분확대 횡단면도인 도 3에서 구체적으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단측벽(6)에 인접한 양측 연부에 각각 하향 함몰된 안내그루브(31)가 형성되어 있다. 안내그루브(31)는 단측벽(6)을 따라 일측의 소켓영역으로부터 타측의 소켓영역까지의 길이구간에 걸쳐 마련된다. 이 안내그루브(31)에는 안정기(21)와 소켓(9)을 상호 연결하는 전선(24)중에서 보호커버(11)의 수용공간(21)으로부터 소켓(9)을 향해 인출되는 전선(22)이 수용된다. 안내그루브(31)내에 수용되는 전선(22)은 그 길이구간을 따라 안내되어 소켓(9)에 결합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 형광등조립체(1)를 조립하기 위해서는, 우선, 케이스(3)의 저부판(4)에 안정기(21)를 설치한다. 그런 다음, 양측 단측벽(6)에 각각 소켓(9)을 결합시켜 위치고정시킨 후, 안정기(21)의 전면에 보호커버(11)를 결합시킨다. 보호커버(11)의 결합은, 상술한 바와 같이, 그 양측 길이방향 연부의 하향 절곡부(15)를 내향 가압하여, 내측으로 탄성변형시킨 상태에서, 저부판(4)의 걸림돌기(27)에 간단히 수용시킴으로써 완성된다. 그러면, 보호커버(11)는 그 탄성력에 의해 복원되면서, 물림연부(17)와 걸림돌기(27)가 상호 맞물려, 그 임의적인 해제가 방지된다.
이 때, 소켓(9)과 안정기(21)를 상호 연결하는 전선(24)은 보호커버(11)의 수용공간에 수용시킨다. 그리고, 소켓(9)에 인접하여 보호커버(11) 밖으로 노출되는 전선(22)부분은 안내그루브(31)에 수용시킨다.
이와 같이, 보호커버(11)의 결합이 완료되면, 상호 대향하는 소켓(9)에 형광등(40)의 단자를 각각 결합시킴으로써, 형광등조립체(1)의 조립이 완성된다. 이 후, 조립완성된 형광등조립체(1)를 천정의 벽면등에 매입하고 배선을 연결하면, 실내에 조명을 실시할 수 있다. 한편, 조립된 형광등조립체(1)는 상기한 순서의 역순을 따라 용이하게 분해할 수 있다.
그리고, 안정기(21)의 수리 및 교체는, 형광등조립체(1)가 천정의 벽면에 매입된 상태에서, 보호커버를 결합상태을 해제시킨 후 간단히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내그루브의 부분 확대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안내그루브(41)는, 상술한 실시예에서 저부판(4)에 단측벽을 따라 형성된 것과는 달리 단측벽(6)에 형성되어 있다. 즉, 본 안내그루브(41)는, 케이스(3)의 상호 대향하는 양측 단측벽(6)에 각각 소켓(9)과 소켓(9)의 길이구간에 걸쳐 외향 함몰형성된다. 이에 의해, 상술한 바와 동일 목적 및 효과를 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케이스의 단측벽에 인접한 영역에서 발생하는 전선의 시각적인 노출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어서 외관의 품위가 향상되고, 또한, 수리나 교체작업시 방해 또는 손상될 염려가 줄어든 형광등조립체가 제공된다.

Claims (2)

  1. 형광등조립체에 있어서,
    저부판과, 한 쌍의 대향한 장측벽 및 한 쌍의 대향하는 단측벽을 가지고, 한 쌍의 평행한 형광등을 수용하는 케이스;
    상기 형광등의 양단에 대응하여 상기 단측벽에 각각 배치되는 두 쌍의 소켓;
    상기 한 쌍의 형광등 사이에 상기 저부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상기 저부판과의 사이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보호커버; 및
    상기 보호커버의 수용공간과 상기 소켓의 영역에 걸쳐 상호 연통되도록 상기 케이스에 외향 함몰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소켓으로부터의 전선을 안내하는 안내그루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등조립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그루브는 상기 케이스의 저부판에 상기 단측벽을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등조립체.
KR2020010017924U 2001-06-15 2001-06-15 형광등조립체 KR20024738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7924U KR200247385Y1 (ko) 2001-06-15 2001-06-15 형광등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7924U KR200247385Y1 (ko) 2001-06-15 2001-06-15 형광등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7385Y1 true KR200247385Y1 (ko) 2001-10-31

Family

ID=731035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7924U KR200247385Y1 (ko) 2001-06-15 2001-06-15 형광등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738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162520A (en) Electrical lamp socket mounting assembly for a floodlight
KR200247385Y1 (ko) 형광등조립체
US20200200339A1 (en) Power connector for an led strip assembly of a light fixture
KR100684656B1 (ko) 천장매입형 등기구
KR101713963B1 (ko) 간접 조명장치
KR100982429B1 (ko) 접지편을 구비한 점등제어장치
JPH029583Y2 (ko)
US20090296404A1 (en) Universal mount lighting fixture
JP3520556B2 (ja) 電気器具
CN213810070U (zh) Led模组及led灯具
KR200230756Y1 (ko) 형광등 장치
KR102006988B1 (ko) 조명 장치
JP4573172B2 (ja) 蛍光ランプ装置及び照明器具
KR200358853Y1 (ko) 전선지지구가 개재된 형광등
KR200323079Y1 (ko) 방전램프 장치
JP3160598B2 (ja) 装飾電灯
KR200374820Y1 (ko) 안정기
KR200397428Y1 (ko) 슬림형 형광등기구의 소켓 장착구조
KR200393122Y1 (ko) 형광등기구
KR200186387Y1 (ko) 교환기의조명기구설치구조
KR200305010Y1 (ko) 형광등기구
KR20030090572A (ko) 벌브용 커넥터
KR200226065Y1 (ko) 3파장 형광등 소켓
KR200358926Y1 (ko) 소켓 커버형 형광등 조립체
KR20010105499A (ko) 3파장 형광등 소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