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7323Y1 - 양변기용 수량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양변기용 수량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7323Y1
KR200247323Y1 KR2019990007579U KR19990007579U KR200247323Y1 KR 200247323 Y1 KR200247323 Y1 KR 200247323Y1 KR 2019990007579 U KR2019990007579 U KR 2019990007579U KR 19990007579 U KR19990007579 U KR 19990007579U KR 200247323 Y1 KR200247323 Y1 KR 20024732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water
closing
toile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75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20442U (ko
Inventor
양동훈
Original Assignee
양동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동훈 filed Critical 양동훈
Priority to KR20199900075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7323Y1/ko
Publication of KR2000002044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044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73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7323Y1/ko

Link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양변기의 수조내에 담긴 물의 배출량을 용변의 종류에 따라서 각각 다르게 할 수 있는 양변기용 수량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양변기용 수량조절장치는 수조내의 물이 배출되는 배출구를 개폐하는 개폐수단과, 이 개폐수단과 기밀을 유지하며 나사 결합되고 그 내부에 공간부를 갖추며 상단부 일측에 배기홀이 구비되는 부구와, 이 부구를 수조내의 피고정체에 힌지결합 시키는 고정수단과, 상기한 배기홀을 개폐시키는 개폐판과, 레버의 회전작동에 의하여 상기한 개폐판을 누르거나 또는 해제하는 누름판과, 이 누름판과 부구의 윗면에 고정 설치되어 배출되는 물의 양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제1,2작동끈으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개폐수단은 배출구를 개폐시키는 패킹과, 반원형으로 형성되고 물이 유입 또는 배출되는 복수의 구멍이 마련된 마개로 이루어지고, 상기한 고정수단은 고정부와, 이 고정부에 길이조절 가능하게 고정되는 가변부로 형성되며, 상기한 부구에는 개폐판의 닫힌 상태를 더욱 강하게 하도록 누름판을 붙잡아주는 영구자석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양변기용 수량조절장치{Quantity of water controller for toilet stool}
본 고안은 양변기용 수량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양변기의 수조내에 담긴 물의 배수량을 용변의 종류에 따라서 각각 다르게 할 수 있는 양변기용 수량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변기에는 일정량의 세척수를 보유하는 수조가 후방에 설치되고 이 세척수를 용변 후 변기로 배출시켜 변기에 담긴 용변을 세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렇게 세척수를 변기로 배출시키는 배출밸브는 통상적으로 수조의 외부에 설치된 회전레버에 개폐수단이 직접 연결되어 개폐수단의 조작에 의해 개폐수단이 개방되면, 수조에 담긴 세척수가 완전히 배출된 후 폐쇄되고 새로운 세척수를 일정량 공급받아 보유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변기로 배출되는 세척수는 용변의 종류에 관계없이 수조에 보유된 세척수를 모두 배출하게 되는데, 특히 소변시 불필요하게 많은양의 물을 소비하게 되므로 비경제적이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양변기의 배수량을 대, 소변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양변기용 수량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레버의 작동에 의하여 배수구를 개폐함으로서 수조내의 물이 양변기로 배수되는 통상적인 양변기에 있어서, 수조내의 물이 배출되는 배출구를 개폐하는 개폐수단과, 이 개폐수단과 기밀을 유지하며 나사 결합되고 그 내부에 공간부를 갖추며 상단부 일측에 배기홀이 구비되는 부구와, 이 부구를 수조내의 피고정체에 힌지결합 시키는 고정수단과, 상기한 배기홀을 개폐시키는 개폐판과, 레버의 회전작동에 의하여 상기한 개폐판을 누르거나 또는 해제하는 누름판과, 이 누름판과 부구의 윗면에 고정 설치되어 배출되는 물의 양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제1,2작동끈을 포함하는 양변기용 수량조절장치를 제공한다.
상기한 개폐수단은 배출구를 개폐시키는 패킹과, 반원형으로 형성되고 물이 유입 또는 배출되는 복수의 구멍이 마련된 마개로 이루어지고, 상기한 고정수단은 고정부와, 이 고정부에 길이조절 가능하게 고정되는 가변부로 형성되며, 상기한 부구에는 개폐판의 닫힌 상태를 더욱 강하게 하도록 누름판을 붙잡아주는 영구자석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양변기용 수량조절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양변기용 수량조절장치의 단면도.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에 따른 양변기용 수량조절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양변기용 수량조절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양변기용 수량조절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본 고안에 의한 양변기용 수량조절장치는 수조(2)내의 물이 배수되는 배출구(4)를 개폐하는 개폐수단(6)과, 이 개폐수단(6)과 기밀을 유지하며 나사 결합되고 그 내부에 공간부(8)가 형성된 부구(10)와, 상기한 부구(10)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제어수단(12)을 포함한다.
상기한 개폐수단(6)은 반원형의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되는 마개(14)와, 이 마개(14)의 상단부 외주연부에 형성되어 개폐수단(6)이 닫혔을 때 수조(2)에 담긴 물이 배출구(4)로 배출되지 못하도록 하는 패킹(16)으로 구성된다.
상기한 마개(14)는 저면 중앙부에 관통구멍(18)이 마련되고, 이 관통구멍(18)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에 위치하며 개폐수단(6)이 열렸을 때 상기한 구멍(18)과 함께 수압에 의하여 물이 유입될 수 있는 또 다른 구멍(20)이 뚫려있다.
상기한 패킹(16)은 배출구(4)의 상단면과 긴밀하게 면 접촉하여 누수를 방지할 수 있도록 소정의 탄력성을 갖는 연질의 고무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개폐수단(6)과 나사 결합되는 부구(10)는, 마개(14) 측면에 형성된 구멍(20)과 길이방향으로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는 경사면(22)을 갖으며 이 경사면(22)의 반대쪽 상단부에는 상기한 개폐수단(6)이 열렸을 경우 공간부(8)에 담긴 공기가 배출되는 배기홀(24)이 구비되고, 이 배기홀(24)의 외측 원주면에는 돌출부(26)가 마련된다.
또 상기한 부구(10)에는 이 부구(10)를 수조(2)내에 힌지 고정시켜주는 고정수단이 형성된다.
이 고정수단은 부구(10)의 경사면(22) 아래쪽 양측에 서로 대칭되게 형성되며 일측은 상기한 부구(10)에 고정되고 타측은 삽입구(27)가 마련되는 한 쌍의 고정부(28)와, 이 고정부(28)에 길이조절 가능하게 고정 설치되며 타측은 수조(2)내의 피고정체(예를 들면 용수공급관이나 수조 바닥면 등)에 힌지 결합되는 가변부(29)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고정부(28)에 가변부(29)를 고정시킬 때는 변기의 배출구(4)에 개폐수단(6)을 끼운 후, 가변부(29)의 길이를 알맞게 절단하여 고정부(28)의 삽입구(27)에 끼운 다음 고정부(28)에 형성된 구멍(31)에 고정핀(33)을 끼워 가변부(29)를 고정하면 된다.
이때 상기한 구멍(31)의 뒤쪽에 형성된 공기구멍(35)을 통하여 공기가 배출됨으로 가변부(29)를 더욱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이렇게 고정부(28)와 이 고정부(28)에 길이조절 가능하게 형성되는 가변부(29)를 고정함으로서 양변기마다 각각 다르게 형성되는 배출구(4)와 피고정체와의 거리에 상관없이 본 고안의 수량조절장치를 장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한 부구(10)의 윗면에 고정 설치되어 개폐수단(6)과 연동되는 제어수단(12)은, 중간부분이 계단면을 갖추며 부구(10) 윗면에서 수직방향으로 고정 설치되고 상단부에 홀(30)이 형성된 지지판(32)과, 이 지지판(32)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측판(34)과, 상기한 측판(34)들 사이에서 힌지 결합되고 그 반대쪽 끝단부에 무게중심이 아래쪽으로 작용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연장부(36)를 보유하는 누름판(38)과, 부구(10)의 공간부(8)에 담긴 공기가 배출되는 배기홀(24)을 실질적으로 개폐시키는 개폐판(40)을 포함한다.
상기한 누름판(38)은 금속재질로 제작되며 물과 접촉하여도 부식되거나 녹슬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표면에는 코팅막이 형성된다.
이러한 누름판(38) 저면에 제공되는 개폐판(40)은 일측이 측판(34)들 사이에 힌지 결합되고, 그 저면은 배기홀(24)에 형성된 돌출부(26)와 면 접촉하며 윗면에는 누름판(38)과 접촉되는 돌기(42)가 마련되는데, 이 돌기(42)를 누름판(38) 하중으로 누르도록 되어있다.
이러한 누름판(38)에는 소변 후 물내림을 하는 제1작동끈(44)이 지지판(32)에 형성된 홀(30)을 통과하여 고정되고, 지지판(32) 하단부와 부구(10) 윗면의 교차점에 고정 설치된 연결부(46)에는 대변 후 물내림을 하는 제2작동끈(48)이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한 제2작동끈(48)을 위로 당겼을 때 부구(10)가 기울어져도 개폐판(40)이 닫힌 상태를 계속적으로 유지시키기 위하여 누름판(38)과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연장부(36)를 붙잡아주는 영구자석(50)이 부구의 측면에 설치된다.
상기한 연장부(36)와 영구자석(50)의 간격은 제1작동끈(44)을 위로 당겼을 때 영구자석(50)의 자력을 극복할 수 있고, 제2작동끈(48)을 위로 당겼을 때 영구자석(50)의 자력이 작용할 수 있는 범위로 설정하여야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양변기용 수량조절장치를 사용하여 소변 후 소량의 물내림을 할 때는 도 3a에 나타낸 것처럼 수조(2)에 설치된 레버(미도시)를 회전시키면 이 레버에 연결된 제1작동끈(44)이 위로 당겨지고 이에 따라 개폐판(40)을 누르고 있던 누름판(38)이 도면에서 보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함과 동시에 고정부(28)에 힌지 결합된 부구(10)도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여 부력에 의해 부구(10)가 물에 뜨게된다.
부구(10)가 뜨면 누름판(38)은 무게중심이 힌지축 보다 뒤에 있으므로 뒤로 젖혀진 상태를 유지하며, 이러한 상태에서 수조(10)에 담긴 물의 수압에 의해 마개(14)에 형성된 구멍(18)(20)을 통하여 공간부(8)로 물이 유입되고 그 압력으로 공간부(8)의 공기가 배기홀(24)을 통하여 배출됨과 동시에 개폐판(40)이 열린다.
이러한 상태에서 일정시간이 경과하여 부구(10)에 어느 정도의 물이 유입되면 부구(10)는 부력을 잃어 원래위치로 되돌아 오게되어 개폐수단(6)이 배출구(4)를 막게되는데, 이때 배출구(4)로 배출되는 물의 힘에 끌려 개폐수단(6)이 더욱 빨리 배출구(4)를 닫게된다.
그러면 부구(10)는 다시 수평이 되고 누름판(38)은 무게중심이 축보다 앞으로 나올 뿐만 아니라 부구(10)가 닫힐 때의 충격에 의해 원위치 되면서 개폐판(40)을 눌러주어 배기홀(24)이 닫힌다.
이러한 상태에서 부구(10)에 설치된 영구자석(50)이 누름판(38)의 연장부(36)를 자력에 의해 잡아당김으로서 개폐판(40)은 더욱 견고하게 배기홀(24)을 막는다.
이후 부구(10)로 유입된 물은 마개(14)의 측면 상단부에 형성된 구멍(20)을 통하여 공기가 들어가므로 마개(14)의 저면에 형성된 구멍(18)을 통하여 빠지면서 부구(10)에는 공기가 채워지게 된다.
마개(14)에 형성된 구멍(18)(20)을 통해 부구(10)로 물이 유입되고 배기홀(24)을 통하여 공간부(8)의 공기가 배출되는 시간은 부구(10)의 부피가 일정하므로 상기한 구멍(18)(20)의 크기에 비례하고, 같은 조건에서 소요되는 시간은 일정하다.
그러므로 배출구(4)를 통하여 배출되는 물의 양도 항상 일정하며, 마개(14)에 형성된 구멍(18)(20)의 크기를 작게 하면 배출되는 물의 양이 많아지고, 반대로 구멍(18)(20)의 크기를 크게 하면 배출되는 물의 양이 적어진다.
이러한 양변기용 수량조절장치를 사용하여 대변 후 물내림을 할 때에는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시되지 않은 레버를 회전시켜 이 레버에 연결된 제2작동끈(48)이 위로 당겨지면 부구(10)와 함께 배출구(4)를 막고있던 개폐수단(6)이 열리고 부구(10)는 부력에 의해 물에 뜨게 된다.
이때 누름판(38)은 무게중심이 축보다 앞에 있고 영구자석(50)이 붙잡아 줌으로 그대로 있게되며 따라서 배기홀(24)은 열리지 않는다.
그러므로 부구(10)는 부력을 유지하며 수조(2)의 물이 모두 배출될 때까지 그 상태를 유지하고 물이 모두 배출되면서 개폐수단(6)이 배출구(4)를 닫은 후 수조(2)에 새로운 물이 채워지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양변기용 수량조절장치는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대, 소변시에 따라 배출되는 물의 양을 달리할 수 있고, 기존의 양변기에 쉽게 설치할 수 있으므로, 종래의 대, 소변에 관계없이 수조내의 물이 모두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절수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5)

  1. 레버의 작동에 의하여 배수구를 개폐함으로서 수조내의 물이 양변기로 배수되는 통상적인 양변기에 있어서, 수조내의 물이 배출되는 배출구를 개폐하는 개폐수단과, 이 개폐수단과 기밀을 유지하며 나사 결합되고 그 내부에 공간부를 갖추며 상단부 일측에 배기홀이 구비되는 부구와, 이 부구를 수조내의 피고정체에 힌지결합 시키는 고정수단과, 상기한 배기홀을 개폐시키는 개폐판과, 레버의 회전작동에 의하여 상기한 개폐판을 누르거나 또는 해제하는 누름판과, 이 누름판과 부구의 윗면에 고정 설치되어 배출되는 물의 양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제1,2작동끈을 포함하는 양변기용 수량조절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한 개폐수단은 배출구를 개폐시키는 패킹과, 반원형으로 형성되고 물이 유입 또는 배출되는 복수의 구멍이 마련된 마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용 수량조절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한 부구에는 개폐판의 닫힌 상태를 더욱 강하게 하도록 누름판을 붙잡아주는 영구자석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용 수량조절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한 고정수단은 부구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이 고정부에 길이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변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용 수량조절장치.
  5. 청구항 1 또는 3항에 있어서, 상기한 누름판에는 부식을 방지할 수 있는 코팅막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용 수량조절장치.
KR2019990007579U 1999-05-06 1999-05-06 양변기용 수량조절장치 KR20024732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7579U KR200247323Y1 (ko) 1999-05-06 1999-05-06 양변기용 수량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7579U KR200247323Y1 (ko) 1999-05-06 1999-05-06 양변기용 수량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0442U KR20000020442U (ko) 2000-12-05
KR200247323Y1 true KR200247323Y1 (ko) 2001-10-27

Family

ID=547624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7579U KR200247323Y1 (ko) 1999-05-06 1999-05-06 양변기용 수량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732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9989B1 (ko) * 2011-09-06 2013-12-10 박봉남 배출유량 조절형 부구를 갖는 배수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9989B1 (ko) * 2011-09-06 2013-12-10 박봉남 배출유량 조절형 부구를 갖는 배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0442U (ko) 2000-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13047A (en) Toilet flushing system that allows use of gray water drained from a sink
US4388737A (en) Toilet tank insert water saver
JP2020524235A (ja) 可変式節水型洋式便器の汚水排出装置
KR200247323Y1 (ko) 양변기용 수량조절장치
JPS6172144A (ja) 便器洗浄装置
JPH11241394A (ja) 排水桝における逆流防止弁
US5611090A (en) Toilet flush control assembly and methods
JPH10196837A (ja) 給水制御装置
KR100530575B1 (ko) 절수형 양변기
US4907302A (en) In-field installable closing delay cup
KR200297671Y1 (ko) 무소음 볼탭
KR100315980B1 (ko) 양변기 저수조의 배수량 조절장치
KR200170953Y1 (ko) 수세식변기의 보충수 탱크
CA2469232C (en) Flush valve leakage prevention device
JPS61122339A (ja) 便器用洗浄装置
KR200171952Y1 (ko) 양변기 물통의 배출수량을 조절할 수 있는 배수 개폐기
KR200316416Y1 (ko) 변기용 절수 개폐밸브
KR200198086Y1 (ko) 양변기용 절수구
KR200200959Y1 (ko) 양변기의 급수장치
KR200327321Y1 (ko) 수세식변기의 절수장치
KR200202296Y1 (ko) 양변기용 절수밸브
JP3097005U (ja) 水洗トイレの節水用フロートアーム
JP3454084B2 (ja) フロート弁装置
KR200327577Y1 (ko) 흡배기밸브
KR200316366Y1 (ko) 양변기 저수조용 볼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