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7048Y1 - 성형기용 롤피더 - Google Patents

성형기용 롤피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7048Y1
KR200247048Y1 KR2020010018302U KR20010018302U KR200247048Y1 KR 200247048 Y1 KR200247048 Y1 KR 200247048Y1 KR 2020010018302 U KR2020010018302 U KR 2020010018302U KR 20010018302 U KR20010018302 U KR 20010018302U KR 200247048 Y1 KR200247048 Y1 KR 2002470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eder
roll
rack
press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83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진
Original Assignee
김상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진 filed Critical 김상진
Priority to KR20200100183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704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70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7048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롤 부재를 프레스에 의해 성형하기 위한 부재를 공급하는 피더에 있어서 롤 부재의 정확한 공급과 이송량의 길이 조절이 용이하고 구성이 간단한 성형기용 롤피더(roll feeder)에 관한 것이다.
피더(FEEDER), 또는 왕복운동기구는 왕복 동작되는 피스톤을 구성하고 이에 부재를 착탈하는 수단을 결합하여 이송할 부재를 일정구간씩 이동함으로서 프레스로 부재를 공급하는 장치로 에어를 동력으로 하는 에어 피더를 사용하고 있으나 에어는 힘이 약하고 정밀성의 결여와 그 구성이 매우 복잡하며 고장이 많고 조건이 까다로운 문제로 사용의 제한이 되고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롤피더의 연동수단을 에어실린더와 함께 프레스 연동부의 동력을 이용하여 피더 구동부를 연동시킴으로서 정확한 이송력과 이동거리의 조절이 용이하고 구성이 간단하여 제조가 용이하며 고장이 없는 롤 피더의 연동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 고안이다.

Description

성형기용 롤피더{A roll feeder for shaping}
본 고안은 롤 부재를 프레스에 의해 성형하기 위한 부재를 공급하는 피더에 있어서 롤부재의 정확한 공급과 이송량의 길이 조절이 용이하고 구성이 간단한 성형기용 롤피더(roll feeder)에 관한 것이다.
피더(FEEDER), 또는 왕복운동기구는 왕복 동작되는 피스톤을 구성하고 이에 부재를 착탈하는 수단을 결합하여 이송할 부재를 일정구간씩 이동함으로서 프레스로 부재를 공급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피더는 에어콤프레샤에서 발생된 고압의 에어가 피스톤을 전, 후진시키도록 하고 피스톤의 로드에는 부재를 착탈하는 착탈수단을 구성시켜 왕복이동과 부재의 착탈 작용에 의해 공급할 부재를 프레스에 일정구간씩 공급하는 에어피더장치와 연속된 롤판재를 프레스의 동력을 이용하여 캠을 연동하고 상기 캠축에는 일방향 클럿치로 이송롤을 연동함으로 롤부재가 일정길이 이동되어 프레스로 공급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 에어피더는 많은 구성과 함께 그 효과의 진보를 이루고 있으나 롤피더 (roll feeder)는 극히 제한적인 수단만이 알려지고 있다.
일예로 프레스의 동력을 연동암으로 피더의 구동캠을 연동하고 이와 연동되는 일방향 기어에 의하여 한방향으로 회전되는 이송롤을 회전시킴으로서 공급부재를 이송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은 프레스의 동력을 이용하고 연동암과 캠으로 연동됨으로 프레스에 공급되는 길이의 신축에 정밀도를 가질 수 없는 문제가 있어 산업분야에서많은 애로를 겪고 있다.
즉, 회전캠의 지름이 부재의 이동거리가 될 때에 상기 이동거리의 미소한 축소를 이룰 수 없는 것이다.
이에 따라 프레스 자동 에어 피더(PRESS AUTOMATION AIR FEEDER)로 에어를 동력으로 하는 에어 피더를 사용하고 있으나 에어는 힘이 약하고 정밀성의 결여와 그 구성이 매우 복잡하며 고장이 많고 조건이 까다로운 문제로 사용의 제한이 되고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 종래의 롤피더에 있어서 특히 롤피더의 연동수단을 에어실린더와 함께, 프레스 연동부의 동력을 이용하여 피더 구동부를 연동시킴으로서 정확한 이송력과 이동거리의 조절이 용이하고 구성이 간단하여 제조가 용이하며 고장이 없는 롤 피더의 연동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 고안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정면도.
도 4는 도 3의 A부분 확대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기체 11; 릴리싱암 12; 상부이송롤
12-1; 하부 이송롤 13; 연동피니어 14; 일방기어
15; 일방기어축 20; 피니언 21; 실린더로드
22; 랙 23; 브라킷 24; 미세조절볼트
25; 축격흡수봉 26; 스프링 30; 프레스
31; 연동체 32; 체결공 33; 안내장공
34; 연장부 35; 작동간 36; 이송봉
37; 흡수스프링 38; 안내봉 40; 공급부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을 첨부도면에 의해 그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보인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더 기체(10)에 힌지된 릴리싱 (releasing)암(11)에 상부이송롤(12)을 연동피니어(13)으로 연동구성시켜 하부이송롤(12-1)과 함께 일방기어(14)로 연동하여 공급부재(40)를 이송하되, 상기 일방기어축(15)에동력원을 제공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노출된 일방향기어축(15)에 피니어(20)을 구성시켜 기체(10)에 수직으로 구성된 실린더로드(21)와 일체의 랙(22)으로 피니언(20)을 연동 구성시켜 일방향기어(14)를 연동함과,
상기 랙(22) 하강이동위치에 상하 이동가능한 브라킷(23)에 미세조절볼트 (24)를 체결시켜 랙(22) 이동거리를 조절함과 상단에 축격흡수봉(25)를 구성하며,
상기 기체(10)에 힌지축(16)으로 힌지된 릴리싱암(11)을 탄발스프링(26)으로 탄력구성하여 실린더 로드(22-1)의 가압에 의한 릴리싱암(11)의 연동으로 상부이송롤(12)이 승하강되는 릴리싱 효과를 발휘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또한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정면도이며 도 4는 중요부분의 확대 단면도로 상기 승하강 랙(22)에 상단에 체결공(32)과 안내장공(33)을 뚫은 연장부(34)를 구성하여 공지의 프레스(30) 승하강 연동체(31)에 고정된 작동간(35)에 체결된 이송봉(36)을 상기 체결공(32)에 충격흡수스프링(37)에 탄력설치되고 이송봉(36)에서 전후로 돌출된 안내봉(38)이 안내장공(33)에서 안내되어 랙(22)을 상하이동 시키도록 구성한 것이다.
미설명부호 28은 브라킷 체결공을 도시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을 첨부도면에 의해 작용효과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보인 단면도를 도시한 것으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피더를 도 3에서와 같이 공지의프레스(30)에 공급부재(40) 이송 위치에 설치하게 된다.
상기 본 고안의 피더에는 미도시된 부재롤의 단부 공급부재(40)가 도 2에서와 같이 기체(10)에 힌지된 릴리싱암(11)을 가압시켜 이에 축설된 상부이송롤(12)을 상향시킨 상태에서 상기 공급부재(40)를 상, 하부이송롤(12)(12-1) 사이로 공급한다.
이상과 같이 공급부재(40)가 공급된 상태에서 공지와 같이 프레스(30)를 작동하여 프레스성형작업을 실시하게 된다.
이에 따라 프레스의 승하강부 연동체(31)가 승하강되면서 상하금형 내로 유입 공급되는 공급부재(40)를 펀칭하여 소망의 생산물을 얻게 된다.
이때에 미도시된 콘트롤에 의해 금형이 상향될 때에 실린더에 에어를 공급시켜 실린더로드(21)를 하강하면 이와 일체의 랙(22)이 이동되면서 연동되는 피니언 (20)를 회전시키게 됨과 함께 동일축 상의 일방향기어(14)는 하부이송롤(12-1)과 연동피니언(13)을 연동하므로 동일축상의 상, 하부이송롤(12)(12-1)이 회전되고 이들 사이에 위치된 공급부재(40)는 회전방향으로 이송되어 프레스의 금형 내로 유입되는 것이다.
이때에 상기 공급부재(40)의 이송길이는 미세조절볼트(24)를 조절하여 랙 (22)의 이동 거리를 증폭함으로 공급부재(40)의 이송 길이를 조절하게 되며 상기에 의해 공급된 부재가 상하금형에서 압착될 때에는 공지된 바와 같이 피더의 릴리싱 효과가 부가된다.
이러한 릴리싱 작용은 도 2에서와 같이 기체(10)의 실린더에 에어 공급으로실린더로드(21-1)를 하강되고 힌지축(16)에 축설치된 릴리싱암(11)의 외측부가 하강되면서 상기 힌지축(16)을 기점으로 타단의 상부이송롤(12)이 일정거리 상향됨으로 공급부재(40)의 가압력이 해지되는 동시에 공급부재(40)는 완전 무 고정상태에 있게 됨으로 상하금형의 프레스 작업에서 릴리싱 효과를 발휘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 따라 금형의 펀칭과 함께 상기 이동된 실린더로드가 다시 복귀되면서 랙(22)과 연동되는 피니언(20)은 역회전을 이루나 이때에 동일축상의 일방향기어 (14)의 단락으로 상하부이송롤(12)(12-1)의 역회전이 없는 것이며 또한 상기 릴리싱암(11)은 스프링(26)의 탄성에 의해 복귀된다.
이와 같은 작업을 연속함으로 롤부재의 공급이 원활하고 정밀한 이송길이를 가지는 롤피더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정면도이며 도 4는 중요부분의 확대 단면도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스(30)의 작업으로 승하강연동체(31)가 상승하면 이에 체결된 작동간(35)과 이송봉(36)이 상향 이동되면서 이송봉(36)을 체결한 랙(22) 상단의 연장부(34)가 안내장공(33)에 안내체결된 안내봉(38)이 안내장공(33)에 걸림되어 함께 연장부(34)와 일체의 랙(22)을 상향이동시키게 된다.
이때의 상향으로이동되는 랙(22)은 연동 피니언(20)을 회전하고 동일축상의 일방향기어(14)를 연동시켜 이와 연동되는 하부이송롤기어와 연동피니언(13)에 의해 상하부이송롤(12)(12-1)을 연동시켜 이에 공급된 공급부재(40)를 프레스(30)로 이송시키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에서 공급부재(40)가 일정거리만큼 공급되고 프레스(30)의 작업에의해 상부금형을 고정한 연동체(31)가 하강하면 이에 체결된 작동간(35)과 이송봉 (36)이 하강되고 이송봉(36)을 체결한 연장부(34)와 일체의 랙(22)이 하강되어 이에 연동되는 피니언(20)을 역회전시키게 된다.
이때에 동일축 상의 일방향기어(14)는 공전됨으로 상하부이송롤(12)(12-1)의 연동을 차단하게 된다.
상기 이송봉(36)의 승하강에서 연장부(34)와의 마찰 충격은 흡수스프링(37)의 흡수로 소음발생방지와 충격에 의한 고장을 방지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공지의 롤피더의 연동장치를 에어실린더로 승하강되는 랙과 프레스의 연동부로 승하강시켜 구성이 간단하고 이송거리를 자유롭고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특징의 고안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통상의 롤피더에 있어서 피더 이송롤의 연동 동력을 에어실린더로 구성함으로 동력의 연결이 용이하고 상기 실린더로드로 연동되는 랙의 이송거리를 자유롭고 정밀하게 조절가능함으로 공급부재의 정확한 이송량과 부재의 소모를 현저히 줄일 수 있는 특징과 함께 그 구성이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하며 고장이 없는 특징으로 발휘하게 된다.
또한 공지의 프레스 연동체의 승하강으로 랙을 이송함으로 별도의 동력수단없이 피더의 공급수단을 이룰 수 있는 특징으로 종래의 롤피더에서의 폐단을 간단히 개선하는 효과를 발휘함으로 산업분야에서 커다란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2)

  1. 피더 기체(10)에 힌지된 릴리싱암(11)에 상부이송롤(12)을 연동피니어(13)으로 연동구성시켜 하부이송롤(12-1)과 함께 일방기어(14)로 연동하여 공급부재(40)를 이송하되, 상기 일방기어축(15)에 동력원을 제공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노출된 일방향기어축(15)에 피니어(20)을 구성시켜 기체(10)에 수직으로 구성된 실린더로드(21)와 일체의 랙(22)으로 피니언(20)을 연동 구성시켜 일방향기어(14)를 연동함과,
    상기 랙(22) 하강이동위치에 상하 이동가능한 브라킷(23)에 미세조절볼트 (24)를 체결시켜 랙(22)이동거리를 조절함과 상단에 축격흡수봉(25)를 구성하며,
    상기 기체(10)에 힌지축(16)으로 힌지된 릴리싱암(11)을 탄발스프링(26)으로 탄력구성하여 실린더 로드(22-1)의 가압에 의한 릴리싱암(11)의 연동으로 상부이송롤(12)이 승하강되는 릴리싱 효과를 발휘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기용 롤피더.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 랙(22)에 상단에 체결공(32)과 안내장공(33)을 뚫은 연장부(34)를 구성하여 프레스(30) 승하강 연동체(31)에 고정된 작동간(35)에 체결된 이송봉 (36)을 상기 체결공(32)에 충격흡수스프링(37)에 탄력설치되고 이송봉(36)에서 전후로 돌출된 안내봉(38)이 안내장공(33)에서 안내되어 랙(22)을 상하이동 시키도록구성함을 특징으로 한 성형기용 롤피더.
KR2020010018302U 2001-06-19 2001-06-19 성형기용 롤피더 KR2002470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8302U KR200247048Y1 (ko) 2001-06-19 2001-06-19 성형기용 롤피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8302U KR200247048Y1 (ko) 2001-06-19 2001-06-19 성형기용 롤피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7048Y1 true KR200247048Y1 (ko) 2001-10-17

Family

ID=73103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8302U KR200247048Y1 (ko) 2001-06-19 2001-06-19 성형기용 롤피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704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4597B1 (ko) * 2007-08-20 2008-12-19 김현화 1축 2라인 제어가 가능한 더블 엔씨 롤 피더
KR102351923B1 (ko) 2021-05-04 2022-01-18 (주)메인텍 복렬식 단자 피더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4597B1 (ko) * 2007-08-20 2008-12-19 김현화 1축 2라인 제어가 가능한 더블 엔씨 롤 피더
KR102351923B1 (ko) 2021-05-04 2022-01-18 (주)메인텍 복렬식 단자 피더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47048Y1 (ko) 성형기용 롤피더
US20080127838A1 (en) Die Cushion Device
JP2009160029A (ja) ミシンの上送り装置
JP4791096B2 (ja) 搬送装置及びプレス成形装置
CN215668408U (zh) 一种升降式智跑纱嘴组件
KR101837682B1 (ko) 트랜스퍼 피더
KR100827651B1 (ko) 솔레노이드 프레스
KR200447226Y1 (ko) 소형 프레스 장치
KR200404310Y1 (ko) 판지공급장치
KR100652897B1 (ko) 프레스자동화용 트랜스퍼장치
KR200409609Y1 (ko) 프레스의 가변피치 피더 시스템
KR100429560B1 (ko) 커팅 블레이드 절곡장치
KR100326363B1 (ko) 자동 분말 성형기
CN217889331U (zh) 挂式能偏摆的金属带送料机
CN110699862B (zh) 一种缝纫机的送扣装置
KR20200002177A (ko) Dc모터를 이용한 자동 펀칭머신
CN220182041U (zh) 一种电子周边辅助设备的辅助推板装置
KR101513703B1 (ko) 프레스용 박판재료 이송장치
CN211643692U (zh) 送纸机伸缩臂机构
CN112045014B (zh) 一种胀筋装置及一种桶的胀筋样式切换方法
KR101214197B1 (ko) 디지털 프린팅 머신용 피딩기의 작동장치
CN219004349U (zh) 一种可调节的数控冲孔机的进料机构
CN112058973B (zh) 一种胀筋装置
CN113070391B (zh) 一种计算机传感器加工装置
KR100209397B1 (ko) 프레스의 소재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61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