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6840Y1 - 오-링형 배관 이음쇠 - Google Patents

오-링형 배관 이음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6840Y1
KR200246840Y1 KR2020010017210U KR20010017210U KR200246840Y1 KR 200246840 Y1 KR200246840 Y1 KR 200246840Y1 KR 2020010017210 U KR2020010017210 U KR 2020010017210U KR 20010017210 U KR20010017210 U KR 20010017210U KR 200246840 Y1 KR200246840 Y1 KR 20024684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sleeve
adapter
ring
circumferentia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72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채석
Original Assignee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100172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684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68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6840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오-링형 배관 이음쇠에 관한 것으로, 배관(10)의 외주면 일측에 링형상으로 돌출된 돌출부(11)를 형성하고, 슬리브(15)의 일측에 외경이 점차 작아지는 테이퍼부(16)를 형성하며, 그 슬리브(15)의 일측 내주면에 톱니형상으로 널링가공된 널링부(17)를 형성하고, 슬리브(15)의 타측 내주면에 상기 돌출부(11)가 수용되는 환형홈(18)을 마련하여, 실링(sealing)을 강화시킴으로써 미소한 누유결함을 보완하고, 배관의 내부 압력에 의해 배관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좁은 공간에 집적된 배관을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는 오-링형 배관 이음쇠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오-링형 배관 이음쇠{O-ring type pipe joint}
본 고안은 오-링형 배관 이음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실링(sealing)을 강화하여 미소한 누유결함을 보완하고, 내부 압력에 의한 배관의 빠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오-링형 배관 이음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체를 이송하기 위해서는 금속제를 포함하는 여러가지의 배관이 사용되는 바, 유압이나 공압을 이용하는 장치에서는 유체의 이송 및 전달을 위해 반드시 배관 이음쇠가 설치된다. 즉, 이러한 이음쇠는, 배관의 길이를 연장시키거나 여러방향으로 유체의 이동경로를 변경시키려 할 때에, 배관과 배관 또는 밸브체와 배관을 연결하는데 사용된다.
종래에 따른 배관 이음쇠는 크게 플레어형(flared type) 이음쇠, 플레어레스형(flareless type) 이음쇠 및 오-링형(O-ring type) 이음쇠로 구분할 수 있다. 전술한 플레어형 이음쇠와 플레어레스형 이음쇠는 공통적으로 어댑터와, 슬리브와, 너트로 구성된 것으로, 플레어형 이음쇠는 배관의 단부를 원뿔모양으로 넓혀 슬리브를 이용하여 접속하는 결합방식을 채용하며, 플레어레스형 이음쇠는 배관의 단부를 넓히지 않고 배관과 슬리브의 끼워맞춤 또는 마찰에 의해서 배관을 연결하는 결합방식을 채용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의 플레어형 이음쇠와, 플레어레스형 이음쇠들은 너트의 조임작용으로 인해 슬리브와 배관을 면접촉시켜 실링하므로 미소한 누유결함의 문제점이 야기 되었다. 이에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도입된 것이 바로 오-링형 배관 이음쇠이다.
이러한 오-링형 배관 이음쇠는 어댑터에 배관을 끼우고, 그 어댑터의 측면에 오-링을 설치한 다음, 슬리브를 밀착시키고, 너트를 조임으로써 연결하는 구성을 가진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오-링형 배관 이음쇠는 배관과 슬리브가 너트의 조임작용으로 그 슬리브의 내주면과 배관 외주면의 면접촉에 의해 실링되기 때문에, 미소한 누유의 결함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어댑터의 측면에 오링을 설치하기 위한 설치홈을 가공해야 하므로, 대부분의 경우 동일 용량의 플레어형 또는 플레어레스형 배관 이음쇠 보다 너트의 크기가 커져 좁은 공간에 집적된 배관을 연결하기에 불리하고, 특히, 외경이 작은 배관을 연결할 경우, 배관 내의 고압에 의하여 배관이 슬리브로부터 이탈되는 등의 결함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실링(sealing)을 강화하여 미소한 누유결함을 보완하고, 내부 압력에 의한 배관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오-링형 배관 이음쇠를 제공하는 점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오-링형 배관 이음쇠의 구성을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고,
그리고 도 3은 도 1의 결합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배관 11... 돌출부
12... 어댑터 13... 관통공
14... 경사부 15... 슬리브
15a... 제1몸체 15b... 제2몸체
16... 테이퍼부 17... 널링부
18... 환형홈 19... 오-링
20... 너트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오-링형 배관 이음쇠는 소정 직경의 관통공에 배관이 끼워지는 어댑터와, 그 배관의 외경측으로 끼워져 어댑터의 일단면과 배관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슬리브와, 상기 어댑터와 슬리브 사이에 개재되는 오-링과, 어댑터의 외주면에 나사결합되어 슬리브를 배관의 외주면에 압착시키는 너트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오-링형 배관 이음쇠에 있어서, 배관의 외주면 일측에 링형상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형성하고, 슬리브의 일측에 외경이 점차 작아지는 테이퍼부를 형성하며, 그 슬리브의 일측 내주면에 톱니형상으로 널링가공된 널링부를 형성하고, 슬리브의 타측 내주면에 상기 돌출부가 수용되는 환형홈을 마련하여, 상기 어댑터의 외경측으로 너트부를 삽입하여 그 어댑터의 몸체와 나사결합시킬 때, 상기 너트부는 슬리브의 테이퍼부에 간섭되어 그 슬리브를 가압하고, 배관의 돌출부는 환형홈에 수용되며, 널링부가 배관의 타측 외주면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어댑터는 배관이 삽입되는 쪽의 관통공 직경이 내측을 향해 점차 축소되는 경사부를 가지며, 상기 오-링은 어댑터의 관통공으로 삽입되어 그 경사부에 걸쳐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슬리브는 환형홈에 배관의 돌출부가 용이하게 수용되도록 적어도 두 몸체로 분할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실링(sealing)을 강화시킴으로써 미소한 누유결함을 보완하고, 배관과 슬리브의 결합력을 보다 강화시켜 배관의 내부 압력에 의해 배관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좁은 공간에 집적된 배관을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이러한 특징을 가지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오-링형 배관 이음쇠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오-링형 배관 이음쇠는 배관과 배관을 연결시키거나, 배관을 다른 결합장치에 연결시키기 위한 것으로, 소정 직경의 관통공(13)에 배관(10)이 끼워지는 어댑터(12)와, 그 배관(10)의 외경측으로 끼워져 어댑터(12)의 일단면과 배관(10)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슬리브(15)와, 상기 어댑터(12)와 슬리브(15) 사이에 개재되는 오-링(19)과, 어댑터(12)의 외주면에 나사결합되어 슬리브(15)를 배관(10)의 외주면에 압착시키는 너트부(20)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이들의 구성을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전술한 배관(10)은, 유압이나 공압을 압송하는 금속제 파이프로서, 후술되는 어댑터(12)의 관통공(13)에 삽입되고, 그 외주면의 일측 즉 어댑터(12)의 관통공(13)에 삽입된 부분의 일측에 후술되는 슬리브(15)의 환형홈(18)에 수용되도록 주름형상의 링형 돌출부(11)가 일체형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 어댑터(12)는, 배관(10)과 배관(10)을 상호 연결시키거나 어떤 장치나 부품에 배관(10)을 연결시키기 위한 중계부품을 말하며, 배관(10)이 끼워질 수 있도록 그 배관(10)의 외경과 동등이상의 직경을 가지는 관통공(13)이 형성되어 있고, 또한 그의 외주면에는 후술되는 너트부(20)가 나사결합가능하도록 나사부(참조부호 미기재)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 뿐만 아니라, 배관(10)이 삽입되는 쪽의 관통공(13) 직경이 외측으로부터 내측을 향해 점차 축소되는 경사부(14)를 가진다. 즉, 상기 경사부(14)는 배관(10)이 삽입되는 측의 어댑터(12) 단부로부터 관통공(13)의 내주면을 향해 소정각도로 절삭가공된 것이다. 참고로, 상기와 같은 경사부(14)의 경사면에는 후술되는 오-링(19)이 걸쳐진다.
상기 슬리브(15)는 배관(10)의 외경측으로 끼워질 수 있도록 배관(10)의 외경과 동등한 직경을 가진 관통공(참조부호 미기재)이 형성되어 있으며, 경사부(14)가 형성된 어댑터(12)의 측단면과 밀착되고, 그 관통공(13)의 내주면이 배관(10)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마련된다. 그리고, 슬리브(15)의 일측에는 외경이 한쪽 즉,도면의 오른쪽으로 점차 작아지면서 소정각도로 경사진 테이퍼부(16)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테이퍼부(16)는, 후술되는 너트부(20)가 어댑터(12)의 외주면에 완전히 나사결합되도록 도면의 좌측으로 진행할 때, 너트부(16)의 한쪽 단부에 간섭되어 그 슬리브(15)를 어댑터(12) 쪽으로 밀착시키기 위해 마련된 것이다. 또한, 슬리브(15)의 일측 내주면에는 톱니형상으로 널링가공된 널링부(17)가 형성되어 있다. 즉, 후술되는 너트부(20)가 어댑터(12)에 나사결합되면서 슬리브(15)를 가압함에 따라, 그 널링부(17)는 배관(10)의 외주면에 물리고, 이에 따라 그 널링부(17)와 배관(10) 사이에서 작용하는 마찰력으로 배관(10)과 슬리브(15)의 결합력을 보다 강화시킨다. 아울러, 슬리브(15)의 타측 내주면에는, 앞서 설명한 배관(10)의 돌출부(11)가 수용되도록, 그 돌출부(11)의 반지름과 동등이하의 반지름을 가진 환형홈(18)이 형성되어 있어, 배관(10)과 슬리브(15)의 결합력을 더욱더 강화시키므로 배관(10)의 내부압력이 크고, 배관(10)의 외경이 작더라도 그 배관(10)은 슬리브(15)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부가적으로, 상기 슬리브(15)는 배관(10)을 어댑터(12)의 관통공(13)에 끼운 다음, 그 배관(10)의 외경측으로 삽입해야 하는 바, 배관(10)의 돌출부(11)에 의해 그 슬리브(15)의 삽입이 방해되기 때문에, 이에 대비하여 그 슬리브(15)의 몸체는 적어도 제1 및 제2몸체(15a,15b)로 양분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슬리브(15)는 전술한 환형홈(18)의 일측영역을 가지는 제1몸체(15a)와, 환형홈(18)의 타측영역과 전술한 테이퍼부(16)를 가지고 있는 제2몸체(15b)를 구비한다. 이들을 부연 설명하면, 상기 제1몸체(15a)는, 후술되는 오-링(19)을 어댑터(12)의 경사부(14)에 걸쳐지게 설치한 상태에서, 어댑터(12)의 측단면에 밀착시키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2몸체(15b)는, 제1몸체(15a)가 설치된 상태에서 배관(10)을 제1몸체(15a)의 중공과 어댑터(12)의 관통공(13)을 통해 삽입하여 돌출부(11)의 일측영역이 제1몸체(15a)에 마련된 환형홈(18)의 일측영역에 수용되게 한 다음, 배관(10)의 외경측으로 삽입하여 환형홈(18)의 타측영역에 돌출부(11)의 타측영역이 수용되도록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슬리브(15)의 몸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몸체(15a,15b)로 양분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3∼4개의 몸체로 분할되어 배관(10)의 외경측에 삽입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오-링(19)은 배관(10)의 외경과 동등이상의 내경을 가지고 있으며, 배관(10)이 어댑터(12)의 관통공(13)에 삽입되기 이전에 그 어댑터(12)의 경사부(14)에 걸쳐지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너트부(20)는 어댑터(12)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부와 나사결합되도록 일측의 내주에 나사부(참조부호 미기재)가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 단부는 슬리브(15)의 테이퍼부(16)에 간섭되도록 나사부의 직경 보다 작은 직경을 가진다.
그러므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오-링형 배관 이음쇠를 매개로 하여 배관(10)과 배관(10)의 길이를 연장시키거나, 배관(10)을 다른 결합장치에 연결시키기 위해서는 우선, 오-링(19)을 어댑터(12)의 경사부(14)의 경사면에 걸쳐지게 설치한 다음, 제1몸체(15a)를 경사부(14)가 형성된 어댑터(12)의 측단면에 접촉시킨다. 이 때, 오-링(19)은 어댑터(12)와 제1몸체(15a) 사이의 공간에 위치되는 것이다. 그런 다음, 배관(10)을제1몸체(15a)의 중공과 어댑터(12)의 관통공(13)으로 삽입하여 돌출부(11)의 일측영역이 제1몸체(15a)에 형성된 환형홈(18)의 일측영역에 수용되게 함과 동시에, 제2몸체(15b)를 배관(10)의 외경측으로 삽입하여 환형홈(18)의 타측영역에 돌출부(11)의 타측영역이 수용되게 한다. 그리고 나서, 너트부(20)를 배관(10)의 외경측 즉, 도면의 우측에서 좌측으로, 끼워 넣어 어댑터(12)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부와 나사결합시킨다. 이 때, 상기 너트부(20)는, 어댑터(12)의 나사부를 따라 도면의 좌측으로 진행하면서 나사결합됨에 따라, 도면의 우측단부가 슬리브(15)의 테이퍼부(16)에 간섭되어 그 슬리브(15)를 가압함으로써 어댑터(12)에 밀착시키고, 이에 따라, 오-링(19)은 배관(10)의 외주에 밀착됨과 동시에 어댑터(12)와 슬리브(15) 사이에서 견고히 고정됨과 동시에, 내경이 배관(10)의 외주에 밀착되어, 배관(10)과 슬리브(15)의 실링을 완벽하게 유지시킨다. 또한, 슬리브(15)가 가압됨에 따라, 그 슬리브(15)의 널링부(도 1의 17)는 배관(10)의 외주면에 완전밀착된다. 이로 인해, 배관(10)은, 널링부(도 1의 17)와 배관(10)의 외주면에 발생하는 마찰력에 의해, 그 배관(10) 내에 과도한 압력이 발생하고 배관(10)의 외경이 작다 해도 슬리브(15)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된다. 더욱이,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배관(10)의 돌출부(11)가 슬리브(15)의 환형홈(18)에 수용됨과 동시에 그 슬리브(15)가 배관(10)의 외주면 쪽으로 압착되기 때문에, 고압용이면서 배관(10)이 가늘지라도 그 배관(10)은 견고히 고정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며,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사실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오-링형 배관 이음쇠는 슬리브의 내주면에 널링부를 형성하여 실링(sealing)을 강화함과 동시에 결합력을 보다 강화시킴으로써 미소한 누유결함을 보완하고, 더욱이 슬리브에 테이퍼부를 형성하고 배관의 외주면과 슬리브의 내주면에 각각 돌출부와 환형홈을 형성하여 배관을 슬리브에 견고히 고정시킴으로써 배관의 내부 압력에 의해 배관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점에 그 장점이 있다.
또한, 어댑터의 관통공에 경사부를 형성하여 그 경사부에 오-링이 걸쳐지도록 함으로써, 종래의 너트부 보다 직경이 작은 너트부를 사용할 수 있어 좁은 공간에 집적된 배관을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는 점에 그 장점이 있다.

Claims (3)

  1. 소정 직경의 관통공(13)에 배관(10)이 끼워지는 어댑터(12)와, 그 배관(10)의 외경측으로 끼워져 어댑터(12)의 일단면과 배관(10)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슬리브(15)와, 상기 어댑터(12)와 슬리브(15) 사이에 개재되는 오-링(19)과, 어댑터(12)의 외주면에 나사결합되어 슬리브(15)를 배관(10)의 외주면에 압착시키는 너트부(20)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오-링형 배관 이음쇠에 있어서,
    배관(10)의 외주면 일측에 링형상으로 돌출된 돌출부(11)를 형성하고, 슬리브(15)의 일측에 외경이 점차 작아지는 테이퍼부(16)를 형성하며, 그 슬리브(15)의 일측 내주면에 톱니형상으로 널링가공된 널링부(17)를 형성하고, 슬리브(15)의 타측 내주면에 상기 돌출부(11)가 수용되는 환형홈(18)을 마련하여,
    상기 어댑터(12)의 외경측으로 너트부(20)를 삽입하여 그 어댑터(12)의 몸체와 나사결합시킬 때, 상기 너트부(20)는 슬리브(15)의 테이퍼부(16)에 간섭되어 그 슬리브(15)를 가압하고, 배관(10)의 돌출부(11)는 환형홈(18)에 수용되며, 널링부(17)가 배관(10)의 타측 외주면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링형 배관 이음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12)는 배관(10)이 삽입되는 쪽의 관통공(13) 직경이 내측을 향해 점차 축소되는 경사부(14)를 가지며, 상기 오-링(19)은 어댑터(12)의 관통공(13)으로 삽입되어 그 경사부(14)에 걸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링형 배관 이음쇠.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15)는 환형홈(18)에 배관(10)의 돌출부(11)가 용이하게 수용되도록 적어도 두 몸체로 분할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링형 배관 이음쇠.
KR2020010017210U 2001-06-09 2001-06-09 오-링형 배관 이음쇠 KR20024684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7210U KR200246840Y1 (ko) 2001-06-09 2001-06-09 오-링형 배관 이음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7210U KR200246840Y1 (ko) 2001-06-09 2001-06-09 오-링형 배관 이음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6840Y1 true KR200246840Y1 (ko) 2001-10-26

Family

ID=731031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7210U KR200246840Y1 (ko) 2001-06-09 2001-06-09 오-링형 배관 이음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684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6045B1 (ko) 2007-12-05 2010-06-28 엔엔사이언스주식회사 플라스틱 재질을 이용한 배관 분기용 어댑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6045B1 (ko) 2007-12-05 2010-06-28 엔엔사이언스주식회사 플라스틱 재질을 이용한 배관 분기용 어댑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73236B2 (en) Quick coupling
US7032934B2 (en) Hydraulic fitting
JP3430237B2 (ja) 管継手
RU2659946C2 (ru) Фитинг для монтажа на резьбовом присоединении трубы и способ монтажа фитинга на резьбовом присоединении трубы
KR19980018537A (ko) 수지제 관의 접속
US4162802A (en) Permanent flareless tube connector
JPS62278397A (ja) 薄肉管用管継手
GB2303678A (en) Separation preventative pipe joint
US8056939B2 (en) Plug connector for piping
EP0009368B1 (en) Pipe coupling and pipe joint connection
WO1992019897A2 (en) Sealing system for connecting vcr-type and flat coupling hardware
KR200246840Y1 (ko) 오-링형 배관 이음쇠
JPH0319434B2 (ko)
KR100308564B1 (ko) 관 연결구
KR970028028A (ko) 관 죠인트
GB2436602A (en) Pipe coupling device for connecting a pipe to a gas valve located in a connection box
JP3226382B2 (ja) 継手金具
JP2023170741A (ja) 管継手装置
JP2001254878A (ja) 蛇腹管用管継手
JPH0424231Y2 (ko)
KR200238545Y1 (ko) 파이프 연결구
KR200299412Y1 (ko) 관 연결구조
JPH0547346Y2 (ko)
KR20210123488A (ko) 파이프 연결 구조
JP2605110Y2 (ja) 管継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90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