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6839Y1 - 학습용 영상투사장치 - Google Patents
학습용 영상투사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46839Y1 KR200246839Y1 KR20010017190U KR20010017190U KR200246839Y1 KR 200246839 Y1 KR200246839 Y1 KR 200246839Y1 KR 20010017190 U KR20010017190 U KR 20010017190U KR 20010017190 U KR20010017190 U KR 20010017190U KR 200246839 Y1 KR200246839 Y1 KR 200246839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el
- case
- film
- image
- bulb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1065 in-situ storage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0000001678 irradi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751 slip for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8—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affording epidiascopic projection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32—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motion-picture projection
- G03B21/321—Holders for films, e.g. reels, cassettes, spindles
- G03B21/326—Means for fixing the film on the axis of a reel or spindle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학습용 영상투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각종 학습에 유용한 이미지가 형성된 필름을 수동 또는 자동으로 회전시키면, 필름상에 형성된 문자나 사진 또는 그림 등의 이미지가 전방의 벽면 또는 스크린상에 확대 투사될 수 있도록 하여 다수의 어린이들에 대한 학습효과 및 놀이에 대한 흥미를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은 소정의 크기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일측이 개구된 소정 깊이의 공간부가 형성되고, 전면의 중심부에는 일정한 크기를 갖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투사공이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 일측 모서리부에서 제자리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상태에서 수동조작 또는 별도의 구동부재에 의하여 정해진 방향으로 회전되는 릴(Reel)과; 상기 릴상에 폐루프(Closed-Loop)형태로 감겨지며, 면상에는 다수의 사진이나 그림 등의 이미지가 각각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필름과; 상기 케이스의 각 모서리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릴의 제자리 회전동작에 따른 필름의 순환이동이 일정한 장력을 유지한 상태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가이드롤러와; 상기 투사공의 직하방에 해당되는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필름의 순환이동시 필름상에 형성된 각 사진이나 그림의 이미지에 단속적으로 빛을 조사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전구와; 상기 투사공의 전단에 끼워져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전구의 조사에 따라 투영되는 사진이나 그림 등의 이미지를 확대시켜 전방으로 투사되도록 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볼록렌즈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끼워져 설치된 상태에서상기 전구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와; 상기 전구와 배터리사이의 전기적인 접속이 릴의 회전동작에 따라 단속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스위칭부재와; 상기 케이스의 개구된 부분을 덮어주는 커버를 포함한다.
본 고안을 적용하면, 필름에 형성되는 이미지에 대한 시각적인 재미가 배가되어 다수의 어린이들에 대한 학습효과 및 흥미유발을 극대화 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학습용 영상투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진이나 그림, 문자 또는 캐릭터 등 학습에 유용한 각종 이미지가 형성된 필름을 수동 또는 자동으로 회전시키면, 필름상에 형성된 사진이나 그림 등의 이미지가 전방의 벽면 또는 스크린상에 투사될 수 있도록 하여 어린이들에 대한 학습 효과 및 놀이에 대한 흥미를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한 학습용 영상투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각종 문화재나 만화 캐릭터 등을 촬영한 후 필름화 한 후, 카메라 형태의 케이스에 내장시키고, 셔터를 누르면 필름에 형성된 이미지가 한 프레임씩 교체되도록 한 어린이용 학습도구가 판매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어린이의 학습도구는 눈을 관찰구에 접촉시킨 상태에서만 이미지를 볼 수 있기 때문에 별다른 재미를 못느끼게 됨은 물론, 혼자서만 즐길 수 있기 때문에 다수 어린이에 대한 학습효과가 떨어진다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사진이나 그림, 문자 또는 캐릭터 등 각종 학습에 유용한 이미지가 형성된 필름을 수동 또는 자동으로 회전시키면, 필름상에 형성된 사진이나 그림 등의 이미지가 전방의 벽면 또는 스크린상에 확대 투사될 수 있도록 하여 다수의 어린이들에 대한 학습효과 및 놀이에 대한 흥미를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한 학습용 영상투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학습용 영상투사장치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학습용 영상투사장치의 내부를 보인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학습용 영상투사장치에서 스위칭부재를 구성하는 제2접속편과 접속돌기의 접속관계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학습용 영상투사장치의 요부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학습용 영상투사장치에서 별도의 구동수단과 릴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학습용 영상투사장치에서 투사공이 복수인 경우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학습용 영상투사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영상투사장치 20 : 케이스
22 : 가이드롤러 30 : 릴(Reel)
32 : 걸림홈 34 : 손잡이
40 : 필름 42 : 이미지
50 : 전구 60 : 볼록렌즈
70 : 배터리 80 : 스위칭부재
82 : 접속돌기 84 : 제1접속편
86 : 제2접속편 88 : 조작노브
90 : 커버 100 : 구동부재.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소정의 크기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일측이 개구된 소정 깊이의 공간부가 형성되고, 전면의 중심부에는 일정한 크기를 갖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투사공이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 일측 모서리부에서 제자리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상태에서 수동조작 또는 별도의 구동부재에 의하여 정해진 방향으로 회전되는 릴(Reel)과; 상기 릴상에 폐루프(Closed-Loop)형태로 감겨지며, 면상에는 다수의 사진이나 그림 등의 이미지가 각각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필름과; 상기 케이스의 각 모서리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릴의 제자리 회전동작에 따른 필름의 순환이동이 일정한 장력을 유지한 상태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가이드롤러와; 상기 투사공의 직하방에 해당되는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필름의 순환이동시 필름상에 형성된 각 사진이나 그림의 이미지에 단속적으로 빛을 조사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전구와; 상기 투사공의 전단에 끼워져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전구의 조사에 따라 투영되는 사진이나 그림등의 이미지를 확대시켜 전방으로 투사되도록 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볼록렌즈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끼워져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전구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와; 상기 전구와 배터리사이의 전기적인 접속이 릴의 회전동작에 따라 단속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스위칭부재와; 상기 케이스의 개구된 부분을 덮어주는 커버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서 상기 스위칭부재는 릴의 일측면 외측에 일정 간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접속돌기와; 상기 전구와 배터리의 +단자(또는 -단자)사이에 항상 접속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설치되는 제1접속편과; 상기 접속돌기를 매개로 하여 전구와 배터리의 -단자(또는 +단자)사이에 접속되도록 설치되는 제2접속편과; 상기 커버상에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끼워져 설치되며, 제2접속편과 전구상의 -단자사이의 접속상태를 제어하는 조작노브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서 상기 릴의 다른 측면 바깥쪽에는 다수의 걸림홈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고, 걸림홈의 형성위치를 벗어난 바깥면 소정 위치에는 수동조작으로 릴을 회전시키기 위한 손잡이가 돌설되며, 상기 커버의 내측면 소정 위치에는 자체 탄성력에 의하여 항상 상기 걸림홈의 어느 하나에 끼워져 끼워져 걸리도록 구성된 단일의 걸림편이 설치된 특징을 갖는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서 상기 구동수단은 케이스의 내부 소정 위치에 설치되며, 미리 정해진 속도로 회전구동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축상에 설치되는 구동기어와; 상기 릴의 회동축상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기어와 직접 맞물리거나 또는 다른 별도의 전동기어와 맞물려 회동되는 종동기어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서 상기 케이스의 전면에 형성된 투사공과 볼록렌즈 및 전구가 복수인 경우에 필름에 형성되는 이미지도 상기 각 투사공의 형성위치에 맞추어 복수열로 형성된 특징을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학습용 영상투사장치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학습용 영상투사장치의 내부를 보인 평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학습용 영상투사장치(10)는 기본적으로 소정 형상의 케이스(20)와, 상기 케이스 내부 일측 모서리에 설치되는 릴(30)과, 상기 릴에 감겨져 순환이동되는 필름(40)과, 필름의 아랫쪽에서 빛을 조사하는 전구(50)와, 빛의 조사에 의하여 투영되는 필름(40)상의 이미지를 확대 투사시켜주는 볼록렌즈(60)와, 배터리(70)와, 상기 전구(50)와 배터리(70)의 전기적인 접속이 필름의 이동속도에 따라 단속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스위칭부재(80) 및 커버(90)로 구성된다.
케이스(20)는 소정의 크기를 갖는 육면체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일측이 개구된 소정 깊이의 공간부가 형성되고, 전면의 중심부에는 일정한 크기를 갖는 하나 또는 복수의 투사공(22)이 형성된다.
상기 케이스(20)의 내부 일측 모서리부에는 릴(30)이 제자리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릴(30)은 수동조작이나 별도로 설치되는 구동부재(100)의 구동에 따라 정해진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릴(30)상에는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갖는 필름(40)이 폐루프형태로 감겨지며, 그 필름의 면상에는 다수의 사진이나 그림 등의 이미지(42)가 각각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다.
케이스(20)의 각 모서리부에는 릴(30)의 제자리 회전동작에 따른 필름(40)의 순환이동이 일정한 장력을 유지한 상태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가이드롤러(24)가 설치된다.
상기 투사공(22)의 직하방에 해당되는 케이스의 내부에는 필름(40)의 순환이동시 필름상에 형성된 각 사진이나 그림의 이미지(42)에 단속적으로 빛을 조사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전구(50)가 설치된다.
투사공(22)의 전단에는 전구(50)의 조사에 따라 투영되는 사진이나 그림 등의 이미지(42)를 확대시켜 전방으로 투사되도록 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볼록렌즈 (60)가 끼워져 결합된다.
케이스(20)의 내부에는 전구(50)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70)가 직렬 또는 병렬 연결되게 끼워져 설치된다.
상기 케이스(20) 내부에는 전구(50)와 배터리(70)사이의 전기적인 접속이 릴의 회전동작에 따라 단속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스위칭부재(80)가 설치되며, 케이스(20)의 개구된 부분을 덮어주기 위한 커버(90)가 마련된다.
상기 커버(90)를 결합시키기 위하여, 케이스(20)의 내측 바닥면으로부터 다수의 체결보스(26)를 돌설시키고, 상기 각 체결보스에 대응되는 커버(90)상에는 스크루(28)가 끼워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체결공(92)이 형성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학습용 영상투사장치에서 스위칭부재를 구성하는 제2접속편과 접속돌기의 접속관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스위칭부재(80)는 릴(30)상에 형성되는 다수의 접속돌기(82)와, 전구(50)와 배터리(70)의 +, -단자사이에 설치되는 제1접속편 (84), 제2접속편(86) 및 조작노브(88)로 이루어진다.
접속돌기(82)는 릴(30)의 일측면 바깥쪽에 일정 간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제1접속편(84)은 상기 전구(50)와 배터리(70)의 +단자(또는 -단자)사이에 항상 접속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설치된다.
제2접속편(86)은 상기 접속돌기(82)를 매개로 하여 전구와 배터리(70)의 -단자(또는 +단자)사이에 접속되도록 구성된다.
조작노브(88)는 상기 커버(90)상에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끼워진 상태에서 제2접속편(86)과 전구(50)상의 -단자사이의 접속상태를 제어하도록 내측으로 소정의 길이 만큼 돌출되게 구성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학습용 영상투사장치의 요부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1과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릴(30)의 다른 측면 바깥쪽에는 다수의 걸림홈(32)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고, 걸림홈(32)의 형성위치를 벗어난 바깥면 소정 위치에는 수동조작으로 릴을 회전시키기 위한 손잡이(34)가 돌설되며, 상기 커버(90)의 내측면 소정 위치에는 자체 탄성력에 의하여 항상 상기 걸림홈(32)의 어느 하나에 끼워져 끼워져 걸리도록 구성된 단일의 걸림편(94)이 설치된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는 릴(30)을 자동적으로 구동시켜주기 위한 별도의 구동부재(100)가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구동부재(100)는 케이스(20)의 내부 소정 위치에 설치되며, 미리 정해진 속도로 회전구동되는 모터(102)와, 상기 모터(102)의 축상에 설치되는 구동기어(104)와, 상기 릴(30)의 회동축상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기어(104)와 직접 맞물리거나 또는 별도의 전동기어(106)와 맞물려 회동되는 종동기어(108) 및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통상의 스위치(도시되지 않음)로 이루어진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학습용 영상투사장치에서 투사공이 복수인 경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상기 케이스(20)의 전면에 형성된 투사공(22)과 볼록렌즈 (60) 및 전구(50)가 복수인 경우에 필름(40)에 형성되는 이미지(42)도 상기 각 투사공(22)의 형성위치에 맞추어 복수열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에서 대하여 도 2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필름(40)이 릴(30)에 감겨지고, 릴에 감겨진 부분을 제외한 필름(40)의 다른 부분은 케이스(20)의 내부 각 모서리부에 형성된 가이드롤러(24) 외측에 감겨지는 한편, 스위칭부재(80)를 구성하는 조작노브(88)를 아랫쪽으로 이동시키면, 제2접속편(86)의 일측이 전구(50)의 -단자에 접속된 상태가 되어 작동준비상태가 완료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릴(30)의 일측으로부터 커버(90)의 바깥쪽으로 돌출되는손잡이(34)를 잡고 정해진 방향으로 돌리면, 릴(30) 및 가이드롤러(24)에 감겨진 필름(40)이 화살표방향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릴의 다른쪽 바깥면에 형성된 접속돌기(82)와 제2접속편(86)이 서로 접촉되면서 배터리(70)와 전구(50)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전구로부터 빛이 조사된다.
이와 같이 전구(50)로부터 빛이 조사되면, 필름(40)상에 형성된 이미지(42)가 투영된 후 투사공(22)의 전단에 결합된 볼록렌즈(60)를 통하여 벽면이나 스크린등에 확대되어 투사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영상투사동작 과정에서 필름(40)의 이동은 릴(30)의 일측면에 형성된 걸림홈(32)과 커버(90)의 내측에 형성된 걸림편(94)과의 상호 걸림작용에 단속적으로 이루어지는 데, 이와 같은 필름(40)의 단속적인 이동속도와 상기 스위칭부재(80)를 구성하는 제2접속편(86)과 릴(30)의 다른쪽 바깥면에 형성된 접속돌기(82)의 단속적인 접속시간이 서로 일치하도록 구성되어 필름(40)상의 이미지(42)가 전구(50)의 직상방에 도달되는 순간에만 전구로부터 빛이 조사되는 것이다.
한편, 수동조작이 아닌 별도의 구동부재(100)를 이용하여 릴(30)을 회전시키는 경우에는 모터(102)의 회전속도는 미리 정해지게 되며, 모터의 구동에 따른 전동기어(106)와 종동기어(108)의 상호 맞물림동작에 의하여 릴(30)이 회전되어 필름(40)의 순환이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릴(30)의 회전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지게 하고, 필름(40)에 형성되는 이미지(42)를 애니메이션기법으로 연속형성하는 경우에 만화영화를 즐길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을 적용하면, 필름에 형성되는 이미지에 대한 시각적인 재미가 배가되어 다수의 어린이들에 대한 학습효과 및 흥미유발을 극대화 시킬 수 있게 된다.
Claims (5)
- 소정의 크기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일측이 개구된 소정 깊이의 공간부가 형성되고, 전면의 중심부에는 일정한 크기를 갖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투사공이 형성된 케이스와;상기 케이스의 내부 일측 모서리부에서 제자리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상태에서 수동조작 또는 별도의 구동부재에 의하여 정해진 방향으로 회전되는 릴(Reel)과;상기 릴상에 폐루프(Closed-Loop)형태로 감겨지며, 면상에는 다수의 사진이나 그림 등의 이미지가 각각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필름과;상기 케이스의 각 모서리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릴의 제자리 회전동작에 따른 필름의 순환이동이 일정한 장력을 유지한 상태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가이드롤러와;상기 투사공의 직하방에 해당되는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필름의 순환이동시 필름상에 형성된 각 사진이나 그림의 이미지에 단속적으로 빛을 조사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전구와;상기 투사공의 전단에 끼워져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전구의 조사에 따라 투영되는 사진이나 그림 등의 이미지를 확대시켜 전방으로 투사되도록 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볼록렌즈와;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끼워져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전구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와;상기 전구와 배터리사이의 전기적인 접속이 릴의 회전동작에 따라 단속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스위칭부재와;상기 케이스의 개구된 부분을 덮어주는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용 영상투사장치.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스위칭부재는 릴의 일측면 외측에 일정 간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접속돌기와;상기 전구와 배터리의 +단자(또는 -단자)사이에 항상 접속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설치되는 제1접속편과;상기 접속돌기를 매개로 하여 전구와 배터리의 -단자(또는 +단자)사이에 접속되도록 설치되는 제2접속편과;상기 커버상에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끼워져 설치되며, 제2접속편과 전구상의 -단자사이의 접속상태를 제어하는 조작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용 영상투사장치.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릴의 다른 측면 바깥쪽에는 다수의 걸림홈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고, 걸림홈의 형성위치를 벗어난 바깥면 소정 위치에는 수동조작으로 릴을 회전시키기 위한 손잡이가 돌설되며, 상기 커버의 내측면 소정 위치에는 자체 탄성력에 의하여항상 상기 걸림홈의 어느 하나에 끼워져 끼워져 걸리도록 구성된 단일의 걸림편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용 영상투사장치.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구동수단은 케이스의 내부 소정 위치에 설치되며, 미리 정해진 속도로 회전구동되는 모터와;상기 모터의 축상에 설치되는 구동기어와;상기 릴의 회동축상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기어와 직접 맞물리거나 또는 다른 별도의 전동기어와 맞물려 회동되는 종동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용 영상투사장치.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케이스의 전면에 형성된 투사공과 볼록렌즈 및 전구가 복수인 경우에 필름에 형성되는 이미지도 상기 각 투사공의 형성위치에 맞추어 복수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용 영상투사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010017190U KR200246839Y1 (ko) | 2001-06-09 | 2001-06-09 | 학습용 영상투사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010017190U KR200246839Y1 (ko) | 2001-06-09 | 2001-06-09 | 학습용 영상투사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46839Y1 true KR200246839Y1 (ko) | 2001-10-26 |
Family
ID=405248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010017190U KR200246839Y1 (ko) | 2001-06-09 | 2001-06-09 | 학습용 영상투사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46839Y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09012148A1 (en) * | 2007-07-13 | 2009-01-22 | Kent Suzuki | Integrated interactive drawing and entertainment projector |
WO2012091419A3 (ko) * | 2010-12-28 | 2012-10-11 | 주식회사 세니젠 | 비접촉식 구획방식을 이용한 고체표면 미생물 검체 채취방법 및 그 고체표면 구획장치 |
CN108877320A (zh) * | 2018-07-22 | 2018-11-23 | 成都铁皮人科技有限公司 | 一种投影式儿童启蒙早教教具 |
CN111260966A (zh) * | 2020-02-18 | 2020-06-09 | 菏泽学院 | 高等数学教学投影装置 |
-
2001
- 2001-06-09 KR KR20010017190U patent/KR200246839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09012148A1 (en) * | 2007-07-13 | 2009-01-22 | Kent Suzuki | Integrated interactive drawing and entertainment projector |
WO2012091419A3 (ko) * | 2010-12-28 | 2012-10-11 | 주식회사 세니젠 | 비접촉식 구획방식을 이용한 고체표면 미생물 검체 채취방법 및 그 고체표면 구획장치 |
CN108877320A (zh) * | 2018-07-22 | 2018-11-23 | 成都铁皮人科技有限公司 | 一种投影式儿童启蒙早教教具 |
CN111260966A (zh) * | 2020-02-18 | 2020-06-09 | 菏泽学院 | 高等数学教学投影装置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246839Y1 (ko) | 학습용 영상투사장치 | |
CN101677362B (zh) | 电子设备 | |
KR20110106330A (ko) | 입체 이미징 렌즈의 이동 장치 및 디지털 입체 투영 방법 | |
TWI848422B (zh) | 濾鏡組件 | |
US1885841A (en) | Sign projection apparatus | |
CN213432998U (zh) | 一种儿童教学玩具投影仪 | |
KR200200316Y1 (ko) | 파노라마 카메라 | |
CN218332285U (zh) | 投影机 | |
KR200177603Y1 (ko) | 휴대용 입체사진 투시기 | |
KR200200449Y1 (ko) | 휴대용 사진 투시기 | |
KR101013702B1 (ko) | 휴대용단말기 | |
CN118605075A (zh) | 一种故事放映机 | |
US11009779B1 (en) | Camera to capture slow to high speed footage | |
KR200332523Y1 (ko) | 입체영상 투시기 | |
US1152599A (en) | Apparatus for printing positive motion-picture films. | |
JP4012402B2 (ja) | 写真撮影装置 | |
KR101417814B1 (ko) | 디지털 촬영장치 | |
JPH02291541A (ja) | 複数ポーズ撮影装置 | |
KR200251554Y1 (ko) | 완구용 카메라 | |
JPH0659237A (ja) | 投射型液晶表示装置 | |
JPS6066229A (ja) | 立体写真の連続観賞装置 | |
US3212099A (en) | Motion picture camera with moving indicating means in viewfinder for taking panoramic pictures | |
KR200281686Y1 (ko) | 완구용 사진 투시기 | |
CN113721412A (zh) | 投影设备及其投影镜头和投影光效装置 | |
KR200170644Y1 (ko) | 휴대용 사진 투시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