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6477Y1 - 중·대형보일러용배기관 - Google Patents

중·대형보일러용배기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6477Y1
KR200246477Y1 KR2019980012545U KR19980012545U KR200246477Y1 KR 200246477 Y1 KR200246477 Y1 KR 200246477Y1 KR 2019980012545 U KR2019980012545 U KR 2019980012545U KR 19980012545 U KR19980012545 U KR 19980012545U KR 200246477 Y1 KR200246477 Y1 KR 2002464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end
ring
exhaust pipe
rectangular hole
dia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25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2632U (ko
Inventor
노종호
Original Assignee
노종호
주식회사 한국금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종호, 주식회사 한국금속 filed Critical 노종호
Priority to KR20199800125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6477Y1/ko
Publication of KR2000000263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263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64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6477Y1/ko

Links

Landscapes

  • Joints With Sleeves (AREA)
  • Joints Allowing Move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공장이나 아파트 등과 같은 공동주택단지의 중앙난방시스템에 사용되는 중형 또는 대형 보일러의 배기관 연결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견고하며 기밀하게 연결시킬 수 있게 하는 연결구조를 가진 배기관에 관한 것으로, 배기관을 구성하는 직관과 엘보 각각의 양단 중 일단은 직경이 작은 삽입연결단으로 형성하고, 타단은 상기 삽입연결단을 수용할 수 있도록 직경이 큰 수용연결단으로 형성하여 상기 삽입연결단을 수용연결단 속으로 삽입시키는 구조로 배기관을 수평 및 수직으로 연결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삽입연결단의 외주에는 내경쪽을 향해 링형으로 절곡된 링형 걸림홈과, 상기 수용연결단의 외주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사각형 구멍을 형성한 다음 상기 사각형 구멍의 외측에 스포트 용접되는 용접부와, 상기 용접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사각형 구멍 속으로 진입될 수 있게 산형으로 절곡되어 상기 링형 걸림홈에 탄력적으로 삽입된 후 상기 삽입연결단의 빠짐을 저지하는 탄성 절곡부로 구성된 걸림편 및 상기 수용연결단의 입구측에 부착된 걸림편의 설치위치 보다 안쪽에 위치하며 외경을 향해 돌출되게 형성된 링형 돌부의 내면에 원형으로 도포되어 상기 삽입연결단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실리콘 본드를 구성하여 배기관을 견고하고 기밀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특징이 있는 고안이다.

Description

중·대형 보일러용 배기관
본 고안은 공장이나 아파트 등과 같은 공동주택단지의 중앙난방시스템에 사용되는 중형 또는 대형 보일러의 배기관 연결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견고하며 기밀하게 연결시킬 수 있게 하는 연결구조를 가진 배기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장이나 아파트단지 등에서는 중형 또는 대형 보일러를 사용하고 있으며, 상기한 중·대형 보일러에는 직경이 150mm 이상의 큰 배기관을 사용하고 있다. 그리고 중·대형 보일러에 사용되는 배기관의 경우는 연결부위가 35Kg 이상의 인장강도에도 이완되지 않는 강도를 가지도록 설계되고 있으며, 이를 위해 수평 또는 수직으로 연속해서 연결되는 다수의 직관과 엘보(ELBOW)의 연결단에 오링형 패킹과 체결밴드를 사용하고 있는데, 150mm 이상의 직경을 갖는 오링형 패킹의 경우는 가격이 매우 비싸기 때문에 배기관을 제조하는 업체에서는 상기와 같이 큰 직경의 오링형 패킹의 사용을 기피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서는 제6도와 같이 직관 또는 엘보로 구성되는 다수의 배기관(100)들 각각의 양단에 원형홈(101)을 형성한 다음 연결하고자 하는 두 개의 배기관(100)의 연결단을 서로 맞대어 놓은 상태에서 상기 양측 배기관의 연결단 외주를 패킹(200)으로 감싼 다음 단면이 “ㄷ”자형으로 된 체결밴드(300)로 체결하는 수단으로 배기관(100)들을 연결하고 있다.
그러나 배기관(100)의 연결작업은 보일러가 설치된 현장에서 직접 연결시공해야 하기 때문에 종래 기술과 같이 연결하고자 배기관(100)들의 연결단을 맞대어 놓은 상태가 어긋나지 않게 하면서 패킹(200)과 체결밴드(300)로 체결하는 작업이 매우 어렵고 까다로워 한사람의 작업자만으로는 연결작업을 수행할 수 없었으며, 적어도 배기관을 붙잡아주는 작업자와 패킹(200)과 체결밴드(300)를 체결하는 작업자가 필요하였을 뿐 아니라 두 사람의 작업자가 연결작업을 수행하는 데에도 많은 수고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종래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배기관의 연결시공 현장에서 일측 배기관의 연결단 내부에 실리콘 본드를 도포한 다음 타측 배기관을 한차례 삽입시키는 간편한 작업으로 배기관을 수평 및 수직으로 연속해서 연결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한사람의 작업자가 배기관의 연결작업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 연결된 배기관이 충분한 인장강도를 보유할 수 있고 또 배기가스의 누설이 방지될 수 있도록 연결할 수 있게 하는데 목적을 두고 고안한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배기관을 구성하는 직관과 엘보 각각의 양단 중 일단은 직경이 작은 삽입연결단으로 형성하고, 타단은 상기 삽입연결단을 수용할 수 있도록 직경이 큰 수용연결단으로 형성하여 상기 삽입연결단을 수용연결단 속으로 삽입시키는 구조로 배기관을 수평 및 수직으로 연결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삽입연결단의 외주에는 내경쪽을 향해 링형으로 절곡된 링형 걸림홈과; 상기 수용연결단의 외주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사각형 구멍을 형성한 다음 상기 사각형 구멍의 외측에 스포트 용접되는 용접부와, 상기 용접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사각형 구멍 속으로 진입될 수 있게 산형으로 절곡되어 상기 링형 걸림홈에 탄력적으로 삽입된 후 상기 삽입연결단의 빠짐을 저지하는 탄성 절곡부로 구성된 걸림편과; 및 상기 수용연결단의 입구측에 부착된 걸림편의 설치위치 보다 안쪽에 위치하며 외경을 향해 돌출되게 형성된 링형 돌부의 내면에 원형으로 도포되어 상기 삽입연결단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실리콘 본드;를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제1도 및 제2도는 본 고안의 배기관을 구성하는 직관과 엘보의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배기관을 연결하기 전에 직관 또는 엘보의 시일홈에 실리콘 본드를 도포하는 작동을 나타낸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제5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연결상태도.
제6도는 종래 기술의 배기관 연결상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배기관 1a : 직관
1b : 엘보 2 : 걸림홈
3 : 사각형 구멍 4 : 걸림편
5 : 링형 돌부 6 : 실리콘 본드
11 : 삽입연결단 12 : 수용연결단
41 : 용접부 42 : 탄성 절곡부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 및 제2도는 본 고안의 배기관을 구성하는 직관과 엘보의 단면도이며, 제3도는 본 고안의 배기관을 연결하기 전에 직관 또는 엘보의 링형 돌부 내면에 실리콘 본드를 도포하는 작동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제4도는 본 고안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제5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연결상태도를 도시한 것으로, 도면부호 1은 배기관을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배기관(1)은 수평 또는 수직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직관(1a)과, 코킹가공에 의해 직각으로 절곡되거나 또는 다수의 주름이 형성된 주름관을 직각으로 절곡된 엘보(1b)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배기관(1)을 구성하는 직관(1a)과 엘보(1b)의 양단은 직경이 작은 삽입연결단(11)과 직경이 큰 수용연결단(12)으로 구성되어 상기 삽입연결단(11)을 수용연결단(12) 속으로 삽입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삽입연결단(11)의 선단(11a)은 중심을 향해 경사지게 가공하여 수용연결단(12) 속으로 삽입작동이 용이하도록 하였다.
상기 삽입연결단(11)의 외주에는 안쪽을 향해 링형으로 절곡된 링형 걸림홈(2)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링형 걸림홈(2)의 위치는 선단(11a)에서는 멀고 삽입연결단(11)측의 첫 번째 주름(11b)에는 가까운 곳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용연결단(12)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각형 구멍(3)이 입구에 근접한 위치에 뚫어져 있으며, 상기 사각형 구멍(3)의 외측에는 용접부(41)와 탄성 절곡부(42)가 일체로 형성된 걸림편(4)을 용접하는데, 상기 걸림편(4)은 용접부(41)를 수용연결단(12)의 입구와 사각형 구멍(3) 사이에 스포트 용접시킬 때 탄성 절곡부(42)의 선단이 사각형 구멍(3) 속으로 진입될 수 있게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사각형 구멍(3) 속으로 진입된 걸림편(4)의 탄성 절곡부(42)는 외측을 향해 탄력적으로 벌어졌다가 원상태로 복귀하는 탄성력이 좋은 강판재질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수용연결단(12)의 외주에 형성된 링형 돌부(5)는 수용연결단(12) 끝부분의 확관경사부(12a)에서는 가깝고 상기 걸림편(4)에서는 조금 먼 위치에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링형 돌부(5)는 수용연결단(12)의 외경 보다 조금 큰 외경을 갖도록 돌출시키므로서 그 내면에 형성되는 홈에 실리콘 본드(6)를 링형으로 도포하였을 때 실리콘 본드(6)가 수용연결단(12)의 내면으로 약간 돌출된 상태가 되도록 하는데, 이는 상기 수용연결단(12)에 삽입연결단(11)을 삽입하였을 때 링형 돌부(5) 내면에 도포된 실리콘 본드(6)가 삽입연결단(11)의 외주에 밀착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배기관을 연결시키는데 따른 작용을 설명한다.
상기 배기관(1)을 연결하기 전에는 직관(1a)과 엘보(1b) 각각의 수용연결단(12)에 형성된 링형 돌부(5)의 내면에 실리콘 본드(6)를 도포하지 않은 상태로 보관 및 운반하는 것이며, 배기관(1)을 연결하고자 할 경우에는 설치현장에서 실리콘 본드(6)를 연결하는 것인데, 이 경우에는 제3도와 같이 실리콘 본드가 들어있는 인젝션기구(61)의 노즐에서 압출되는 실리콘 본드(6)를 링형 돌부(5)의 내면 홈을 따라 원형으로 도포한 다음 상기 실리콘 본드(6)가 도포된 수용연결단(12) 속으로 삽입연결단(11)을 삽입시키게 된다.
상기 삽입연결단(11)을 수용연결단(12)으로 삽입시킬 때 삽입연결단(11)은 수용연결단(12)의 입구측 사각형 구멍(3)을 통해 안쪽으로 진입해 있는 걸림편(4)의 탄성 절곡부(42)와 먼저 접촉하게 되는데, 상기 탄성 절곡부(42)는 탄력성을 가지고 있는 상태이므로 삽입연결단(11)의 외주면과 접촉하면서 외측을 향해 탄력적으로 밀려나게 되어 삽입연결단(11)은 수용연결단(12) 속으로 원활하게 삽입되는 것이며, 이와 같이 수용연결단(12)으로 삽입되는 삽입연결단(11)은 링형 돌부(5)의 내면에 도포된 실리콘 본드(6)와 접촉하면서 선단(11a)이 확관경사부(12a)에 밀착될 때까지 삽입되는 것인데, 상기 링형 돌부(5)의 설치위치는 수용연결단(12)의 입구에서는 멀고 확관경사부(12a)와는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어 있으으로 삽입연결단(11)의 선단(11a)가 실리콘 본드(6)를 접촉하면서 통과한 다음 확관경사부(12a)까지 삽입되는 거리가 짧은 상태가 되기 때문에 삽입연결단(11)의 선단부가 실리콘 본드(6)와 접촉하는 거리도 짧은 상태가 되어 실리콘 본드(6)는 크게 훼손되지 않은 상태에서 삽입연결단(11)의 외주에 밀착되으로서 배기가스의 누설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삽입연결단(11)의 선단(11a)이 수용연결단(12)의 확관경사부(12a)까지 삽입작동이 완료되면 삽입연결단(11)에 형성된 걸림홈(2)에 걸림편(4)의 탄성 절곡부(42)가 탄력적으로 삽입되어 삽입연결단(11)이 이완되는 것을 저지하게 되며, 또 상기 걸림편(4)의 탄성 절곡부(42)는 35Kg 이상의 인장강도를 가지고 있으므로 배기관(1)이 외부의 충격에도 해체되는 현상이 없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삽입연결단(11)을 수용연결단(12)에 삽입시키는 간편한 작업으로 다수의 직관(1a)을 수평 또는 수직으로 연결함과 동시 엘보(1b)도 연결할 수 있으므로서 150mm 이상의 큰 직경으로 된 중·대형 보일러의 배기관(1)을 한사람의 작업자가 설치할 수 있는 특징이 있는 것이다.
한편, 배기관(1)을 교체하기 위하여 수평 및 수직으로 연결된 직관(1a)과 엘보(1b)를 해체하고자 할 경우에는 수용연결단(12)의 입구측에 형성된 사각형 구멍(3)을 통해 송곳이나 드라이버 등과 같은 뾰죽한 도구를 집어 넣고 걸림편(4)의 탄성 절곡부(42)를 강제적으로 들어 올려 걸림홈(2)에서 이탈시키게 되면 수용연결단(12)에서 삽입연결단(11)을 해체할 수 있게 되어 배기관(1)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150mm 이상의 큰 직경으로 된 중·대형 보일러의 배기관을 설치함에 있어 직관과 엘보의 수용연결단에 형성된 링형 돌부의 내면 홈 전체에 실리콘 본드를 도포한 후 상기 수용연결단에 삽입연결단을 한차례 삽입시키는 간편한 작업으로 직관과 엘보를 견고하게 연결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기밀하게 연결할 수 있게 되어 한사람의 작업자가 배기관을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배기가스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기밀부재로서 고가의 오링형 패킹을 사용하지 않고 값싼 실리콘 본드를 사용하므로서 배기관의 설치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고 또 배기관의 설치현장에서 실리콘 본드를 도포한 다음 연결하므로서 작업시간의 단축과 함께 수고를 줄일 수 있는 부수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실용적인 고안이다.

Claims (1)

  1. 배기관(1)을 구성하는 직관(1a)과 엘보(1b) 각각의 양단 중 일단은 직경이 작은 삽입연결단(11)으로 형성하고, 타단은 상기 삽입연결단을 수용할 수 있도록 직경이 큰 수용연결단(12)으로 형성하여 상기 삽입연결단(11)을 수용연결단(12) 속으로 삽입시키는 구조로 복수의 배기관(1)들을 수평 및 수직으로 연결시키는 것에 있어서, 상기 삽입연결단(11)의 외주에는 내경쪽을 향해 링형으로 절곡된 링형 걸림턱(2)과; 상기 수용연결단(12)의 외주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사각형 구멍(3)을 형성한 다음 상기 사각형 구멍(3)의 외측에 스포트 용접되는 용접부(41)와, 상기 용접부(41)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사각형 구멍(3) 속으로 진입될 수 있게 산형으로 절곡되어 상기 링형 걸림홈(2)에 탄력적으로 삽입된 상태로 걸림되어 상기 삽입연결단(11)의 빠짐을 저지하는 탄성 절곡부(42)가 마련된 걸림편(4)과; 및 상기 수용연결단(12)의 입구측에 부착된 걸림편(4)의 설치위치 보다 안쪽에 위치하여 외경을 향해 돌출되며, 상기 삽입연결단(11)의 외주면을 밀봉하기 위하여 상기 수용연결단(12) 내주면에 통상의 실리콘 본드(6)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시키는 링형 돌부(5);를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대형 보일러의 배기관.
KR2019980012545U 1998-07-09 1998-07-09 중·대형보일러용배기관 KR2002464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2545U KR200246477Y1 (ko) 1998-07-09 1998-07-09 중·대형보일러용배기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2545U KR200246477Y1 (ko) 1998-07-09 1998-07-09 중·대형보일러용배기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2632U KR20000002632U (ko) 2000-02-07
KR200246477Y1 true KR200246477Y1 (ko) 2001-12-17

Family

ID=695186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2545U KR200246477Y1 (ko) 1998-07-09 1998-07-09 중·대형보일러용배기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647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2632U (ko) 2000-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47159A (en) Fire retarding division penetrating member
RU2361142C2 (ru) Хомут для шланга
KR200260578Y1 (ko) 파이프 커플링
JP2005536690A (ja) 規格化された取付けに基づく機械的管継手
JP4241827B2 (ja) フランジを用いた管継手装置
US5586739A (en) Pipe clamp
US4717179A (en) Pipe union for end to end pipes with deformable clamping disks surrounding a seal
US5104159A (en) Threadless coupling for pipes and an air-tight inner cylinder therefor
JPH04211791A (ja) 入れ子式チューブを結合する継手とその方法
US5082313A (en) Cut-in repair coupling
KR20170106604A (ko) 입상관 고정용 클램프
US20020079702A1 (en) Flexible conduit element with a connection device attached to at least one end
KR20090106296A (ko) 파이프용 연결물
KR200246477Y1 (ko) 중·대형보일러용배기관
KR102053283B1 (ko) 파이프 연결구
JPH08338577A (ja) リング付き管の締結用管継手
KR100881351B1 (ko) 이탈 방지구조로 이루어진 확관단부를 갖는 관
US6488316B1 (en) Flexible metal hose termination fitting with adapter for termination plate
JPH0211995A (ja) ホース継手
CN211203197U (zh) 一种直管接头
US2918053A (en) Heater vent pipe connector construction
JPH08170765A (ja) 管接続具
KR101455339B1 (ko) 배관용 연결구 어셈블리
KR20110011805U (ko) 보일러용 연도와 연통의 고정장치
KR102509775B1 (ko) 파이프 지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02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