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6258Y1 - The Heat Exchanger of Thermoelectric Module - Google Patents

The Heat Exchanger of Thermoelectric Modu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6258Y1
KR200246258Y1 KR2020010008558U KR20010008558U KR200246258Y1 KR 200246258 Y1 KR200246258 Y1 KR 200246258Y1 KR 2020010008558 U KR2020010008558 U KR 2020010008558U KR 20010008558 U KR20010008558 U KR 20010008558U KR 200246258 Y1 KR200246258 Y1 KR 2002462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exchanger
heat
cooling
heat exchange
thermoelectric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8558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응욱
금기현
Original Assignee
오토데이타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토데이타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토데이타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100085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6258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62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6258Y1/en

Links

Landscapes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열전 소자(Thermoelectric Module)를 이용한 작동유체(Working Fluid ; 공기, 물 등)의 냉각 및 가열장치의 열 교환 시스템(Heat Exchanging System) 중 열 교환기(Heat Exchanger)에 관한 것으로, 열 교환기의 구조 및 열 교환 성능에 따라서 전체 냉각 및 가열장치의 성능(냉각 및 가열 능력, 전체 시스템의 효율(COP), 목표하는 온도까지 도달하는데 필요한 냉각 및 가열에 필요한 응답시간(Response Time) 등)이 결정됨으로 작동유체를 냉각 및 가열하는 냉각 및 가열장치에 있어서 열 교환기(Heat Exchanger)의 중요성은 매우 크다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위에서 상술한 냉각 및 가열장치를 갖는 열 교환기 중 열전 소자(Thermoelectric Module)를 이용한 냉각 및 가열장치의 열 교환기(Heat Exchanger)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t exchanger of a heat exchanging system of a cooling and heating device for working fluids (air, water, etc.) using a thermoelectric module. The structure and heat exchange performance determines the performance of the entire cooling and heating system (cooling and heating capacity, overall system efficiency (COP), response time required to reach the target temperature, and response time). The importance of a heat exchanger in a cooling and heating device for cooling and heating a working fluid can be very large.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t exchanger of a cooling and heating device using a thermoelectric module among heat exchangers having the cooling and heating device described above.

상술한 열 교환기(Heat Exchanger)의 성능향상을 위해 열 교환기(Heat Exchanger)의 본체는 열 전도성(Conductivity)이 우수한 재질(알루미늄, 동 등)의 금속체에 조밀한 다수의 심 홀(Deep Hole)을 만들어 열 교환 관로를 구성하고, 각 각의 열 교환 관로는 양 끝단 부분에서 앤드 캡에 의해 인접한 관로가 U자 형태로 연결되도록 하여 열 교환기 본체에 구성된 각각의 모든 열 교환 관로들이 하나의 긴 열 교환 관로를 형성하게 되어 열 교환기 본체와 작동유체와의 열 교환에 필요한 충분한 길이의 열 교환 관로를 확보 할 수 있다.In order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heat exchanger (Heat Exchanger) described above, the body of the heat exchanger (Heat Exchanger) is a plurality of deep holes (Deep Hole) that is dense to the metal body of a material (aluminum, copper, etc.) having excellent thermal conductivity Heat exchange conduits are formed, and each heat exchange conduit connects adjacent conduits in a U-shape by end caps at both ends, so that all of the heat exchange conduits configured in the heat exchanger body have one long column. By forming an exchange pipe, a heat exchange pipe of sufficient length necessary for heat exchange between the heat exchanger main body and the working fluid can be secured.

상기 구성에 의해 작은 크기의 열 교환기에서 열 교환에 필요한 충분히 길이의 열 교환 관로를 확보할 수 있어 열 교환기의 크기를 대폭 축소시킬 수 있어 전체 냉각 및 가열장치의 크기를 줄일 수 있고, 열 교환기의 전체 질량을 줄일 수 있어 처음 기동시 작동유체가 목표로 하는 온도까지 도달하는데 필요한 냉각 및 가열에 필요한 응답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열 교환기가 보유하는 열량을 낮게 할 수 있어 보다 정밀한 온도제어가 가능하게 할 수 있다.By the above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secure a heat exchange pipe having a sufficiently long length for the heat exchange in the small sized heat exchanger, which can greatly reduce the size of the heat exchanger, thereby reducing the size of the entire cooling and heating device, The total mass can be reduced, reducing the response time required for cooling and heating required to reach the target temperature of the working fluid at the first startup, and lowering the amount of heat held by the heat exchanger for more precise temperature control. It can be done.

Description

반도체 열전 소자를 이용한 열 교환기{The Heat Exchanger of Thermoelectric Module}Heat exchanger using semiconductor thermoelectric device {The Heat Exchanger of Thermoelectric Module}

본 고안은 반도체 열전 소자(Thermoelectric Module)를 이용한 작동유체의 냉각 및 가열 시스템에 있어서 전체 시스템의 성능향상을 위해 고안된 열 교환기(Heat Exchanger)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t exchanger (Heat Exchanger) designed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entire system in the cooling and heating system of the working fluid using a semiconductor thermoelectric module (Thermoelectric Module).

일반적으로 열 교환기는 열원에서 발생되는 열이나 냉매의 상변화(Phase Exchange) 등을 통한 열 흡수로 인해 발생되는 저온의 냉기를 작동유체(예: 공기, 물)로 전달시켜 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일러나 에어컨 내부에 장착된 열 교환기가 그 대표적인 예이다. 그러나 이러한 열 교환기들은 통상 큰 공간, 대용량의 난방 및 냉방장치로 사용되고 있으며, 큰 설비 장소를 필요하고 냉각이 필요한 부분만을 국부적으로 냉각시키는 국부냉각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에 제시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국부냉각용으로 열전 소자를 사용한 기술이 최근에 많이 적용되고 있으며,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 제 0217056호에 제시된 바 있다.In general, a heat exchanger is a boiler that transfers low-temperature cold air generated by heat absorption through heat generated from a heat source or phase change of refrigerant to a working fluid (eg, air or water). A typical example is a heat exchanger mounted inside an air conditioner. However, these heat exchangers are usually used as a large space, a large amount of heating and cooling device,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it is difficult to locally cool the parts that require a large installation site and locally cooling only the part that needs to be cooled. 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a technique using a thermoelectric element for local cooling has been applied in recent years, and has been presented in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0217056.

상기에서 열전반도체 소자는 펠티어 효과(Peltier Effect)를 이용하여 제작한 것으로 몇 가지 열전 첨가물과 함께 비스무트 텔루라이드(Bismuth Telluride) 합금으로 만들어진 두 가지 타입(P타입, N타입)의 서로 상이한 극성을 갖는 많은 결정체들이 전기적으로는 직렬형태로 결합되어 직류전류를 흘렸을 경우 병렬형태의 열 수송 효과를 발생시키도록 개발된 모듈이다. 그러나, 상기 선 출원된 기술의 열 교환기 구조는 제 4도에서 알 수 있듯이 열전도가 잘 되는 금속관(500)과 U자형 금속관(500a)을 연결하는 방법이나 스프링 형태로 관로의 길이를 길게 하는 방법으로 제작되어 열 전달 매체를 통해 열 교환기 내부로 이송되는 유체를 냉각하거나 가열하는 방법으로 제작 공정이 복잡하고 크기가 커서 공간을 많이 차지하며 제작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In the above, the thermoelectric semiconductor device is manufactured using the Peltier Effect, and has two different polarities (P type and N type) made of bismuth telluride alloy together with some thermoelectric additives. Many crystals are electrically coupled in series to develop a parallel heat transfer effect when a direct current flows. However, the heat exchanger structure of the prior filed technology is a method of connecting the well-heated metal tube 500 and the U-shaped metal tube 500a as shown in FIG. 4 or by lengthening the length of the tube in the form of a spring. As a method of cooling or heating a fluid that is manufactured and transferred to a heat exchanger through a heat transfer medium, the manufacturing process is complicated, the size is large, takes up a lot of space, and manufacturing cost is high.

본 고안은 상기에 제시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 최대한 작은 크기의 열 교환기에 긴 관로를 구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열 교환기는 열전도가 잘 되는 금속체(예: 알루미늄, 동 등)에 다수의 심홀(Deep Hole)을 표면적이 넓은 형상으로 압출(Extrusion)하여 블록형태로 제작하고, 각각의 홀은 블록 끝단에서 앤드 캡(End Cap)에 의해 서로 연결됨으로서 열 교환기 블록에 형성된 모든 심홀(Deep Hole)들은 하나의 열 교환 관로의 입구와 출구를 가지는 긴 열 교환 관로를 형성한다. 이렇게 제작된 열 교환기 블록에 열전 소자를 직접 부착하여 열 교환기 블록의 온도를 상승 또는 강하시킴으로써 작동유체가 열 교환 관로를 지나는 동안 가열 또는 냉각되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designed to solve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and relates to a method for constructing a long pipe in a heat exchanger of the smallest possible size. The heat exchanger extrudes a number of deep holes into a wide surface shape in a metal body (for example, aluminum, copper, etc.) that has good thermal conductivity to form a block shape, and each hole has an end at the end of the block. All deep holes formed in the heat exchanger block by being connected to each other by an end cap form a long heat exchange conduit having an inlet and an outlet of one heat exchange conduit. The thermoelectric element is directly attached to the heat exchanger block thus manufactured to raise or lower the temperature of the heat exchanger block so that the working fluid is heated or cooled while passing through the heat exchange conduit.

이렇게 제작된 열 교환기는 크기가 작기 때문에(열 교환기 자체 질량이 작기 때문에) 목표하는 온도까지 도달하는데 필요한 냉각 및 가열에 필요한 응답시간(Response Time)을 줄일 수 있고, 열 교환기 블록에 직접 부착되어 있는 열전 소자를 제어하여 온도 제어시 작동유체의 온도 변화가 빠른 시간에 이루어 질 수 있다. 또한 열 교환 관로의 길이가 충분히 길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열 교환기 블록과 작동유체 사이의 충분한 열 교환 작용을 얻을 수 있다.Since the heat exchanger is so small (as the mass of the heat exchanger itself is small), it reduces the response time for cooling and heating required to reach the target temperature, and is directly attached to the heat exchanger block. By controlling the thermoelectric element, the temperature change of the working fluid during the temperature control can be made quickly. In addition, since the length of the heat exchange pipe is sufficiently long, sufficient heat exchange between the heat exchanger block and the working fluid can be obtained.

제 1도는 열전 소자를 이용한 냉각장치 구성도의 예로서1 is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a cooling device using a thermoelectric element

(가)는 평면도이고(A) is a floor plan

(나)는 정면도(B) front view

(다)는 우측면도(C) the right side view

(라)는 단면도(D) cross section

(마)는 계통도이다.(E) is a systematic diagram.

제 2도는 열 교환기 본체의 구조도로서2 is a structural diagram of a heat exchanger main body

(가)는 평면도이고(A) is a floor plan

(나)는 정면도(B) front view

(다)는 좌측면도(C) the left side view

(라)는 우측면도(D) right side view

(마)는 구멍 연결부위 상태도(E) State of hole connection part

(바)는 구멍 상세도이다.(Bar) is a hole detail drawing.

제 3도는 열 교환기 및 교환 관로 연결용 앤드 캡의 상세도로서3 is a detailed view of an end cap for connecting a heat exchanger and an exchange line.

(가)는 평면도이고(A) is a floor plan

(나)는 단면도(B) section

(다)는 측면도이다.(C) is a side view.

제 4도는 일반적인 관로 연결방법 개념도4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general pipe connection method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도의 설명>Explanation of Defaults for Main Parts of Drawings

100 유체 냉각장치 외함100 fluid chiller enclosure

110 열 교환기 본체110 heat exchanger body

110a 스페이스 블록(Space Block)110a Space Block

110b 구멍(hole)110b hole

110c 볼트고정용 텝(Tab)110c Bolt fixing tab

120 열전 반도체 소자120 thermoelectric semiconductor elements

130 단열제130 insulation

140 방열판(Heat Sink)140 Heat Sink

150 방열용 펜(Fan)150 Heat Dissipation Pen

200 작동유체 유입구(InLet)200 Working fluid inlet (InLet)

210 작동유체 유출구(OutLet)210 Working Fluid Outlet

300 전원공급 장치300 power supply

400 열 교환 관로 연결용 앤드 캡(End Cap)End cap for connection to 400 heat exchange conduits

400a U자형 홈400a U-shaped groove

400b 볼트 구멍(Hole)400b Bolt Hole

400c 작동유체 유입구400c working fluid inlet

500 금속관500 metal tube

500a U형 관500a u-shaped tub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열 교환기는 크기를 최소화하고 열 교환 효율을 최대화하며 제작 방법이 간단하고 정밀한 온도 제어가 가능하도록 고안된 열 교환기로, 열전도가 잘 되는 금속체(동, 알루미늄 등)에 다수의 심홀(Deep Hole)을 표면적이 넓은 형상으로 조밀하게 구성하여 긴 블록 형상으로 압출(Extrusion)하여 설계된 열 교환기 용량과 크기에 맞게 적절한 크기로 절단하여 블록 형태로 제작하고, 블록에 형성된 각각의 심홀(Deep Hole)은 블록 끝단에서 앤드 캡(End Cap)에 의해 서로 연결됨으로써 열 교환기 블록에 형성된 모든 심홀들이 하나의 입구와 출구를 가지는 긴 열 교환 관로를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이 때 앤드 캡(End Cap)은 두 개의 심홀이 하나의 관로를 형성할 수 있도록 U자 형의 홈이 구성되어 있어, 블록 전체에 구성되어 있는 각각의 심홀(Deep Hole)들이 하나의 긴 열 교환 관로를 형성할 수 있어 제작이 간편하다는 특정을 갖는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heat exchang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heat exchanger designed to minimize the size, maximize the heat exchange efficiency, and to manufacture a simple and precise temperature control method. The deep holes are densely composed of a large surface area and extruded into a long block shape, cut into appropriate sizes to fit the capacity and size of the designed heat exchanger, and manufactured in the form of blocks. Deep hole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end caps at the end of the block so that all seams formed in the heat exchanger block form a long heat exchange passage having one inlet and an outlet. At this time, the end cap is formed with a U-shaped groove so that two seams can form one conduit, so that each deep hole composed of the entire block has one long heat exchange. It is possible to form a conduit so that it is easy to manufacture.

본 고안에 의해 제작된 열전 소자용 열 교환기를 첨부 도면에 의해 상세히설명하면 다음과 같다.When described in detail by the accompanying drawings a heat exchanger for a thermoelectric element produc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먼저, 제 1도는 열전 소자를 이용한 작동유체(예: 물, 공기 등) 냉각장치의 구성도를 나타내며, 조밀하고 많은 수의 열 교환 관로를 가진 열 교환기 본체(110)에 부착된 스페이스 블록(110a)에 열전 소자(120)를 부착하고 열전 소자에 전기를 공급하면 차가운 냉기가 스페이스 블록(110a)을 통해 열 교환기 본체(110)에 전달되어 열 교환 관로의 입구를 통해 유입된 작동유체가 열 교환 관로를 지나는 동안 작동유체의 열을 흡수하여 온도를 강하시키게 된다. 여기서 흡수된 열은 방열판(140)을 통해 대기 중으로 자연방출 시킬 수 있으나 방열 효과를 높이기 위해 방열용 펜(150)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외부의 열이 교환기 본체(110)로 전도되는 것을 막기 위해 외함(100)과 열교환기 본체(110) 사이에 단열 성능이 우수한 단열제로 충진하여 냉각 손실을 최소화하는 구조로 제작된다. 여기서 스페이스 블록(110a)은 열 교환기 본체(110)와 방열판(140)을 적당한 거리로 이격시켜 방열판(140)의 열이 열 교환기 본체(110)로 전도되는 것을 막기 위해 단열 성능이 우수한 단열제로 충진하게 되며, 또한 냉각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열 교환기 본체(110) 양쪽에서 열 교환기 본체를 냉각하는 방법을 적용할 수도 있다.First, FIG. 1 shows a block diagram of a working fluid (eg, water, air, etc.) cooling apparatus using a thermoelectric element, and includes a space block 110a attached to a heat exchanger main body 110 having a dense and large number of heat exchange conduits. When the thermoelectric element 120 is attached to the thermoelectric element and the electricity is supplied to the thermoelectric element, the cold cool air is transferred to the heat exchanger main body 110 through the space block 110a, and the working fluid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of the heat exchange conduit heat exchanges. As it passes through the pipeline, it absorbs the heat from the working fluid and lowers the temperature. Here, the absorbed heat may be naturally discharged into the air through the heat sink 140, but a heat dissipation pen 150 may be installed to increase the heat dissipation effect. In addition, in order to prevent external heat from being conducted to the exchanger body 110, the structure is manufactured with a heat insulating agent having excellent heat insulating performance between the enclosure 100 and the heat exchanger body 110 to minimize cooling loss. Here, the space block 110a is filled with a heat insulating material having excellent heat insulating performance in order to prevent the heat of the heat exchanger body 110 from being conducted to the heat exchanger body 110 by spacing the heat exchanger body 110 and the heat sink 140 at an appropriate distance. In addition, a method of cooling the heat exchanger body at both sides of the heat exchanger body 110 may be applied to improve the cooling performance.

제 2도는 열 교환기 본체(110)의 상세도로 열 교환기 본체(110)의 크기를 최소화하고 제작의 편리성을 도모하기 위해 열전도가 잘 되는 금속체(알루미늄, 동 등)에 조밀한 간격으로 제 2도 (바)의 형상처럼 표면적을 최대화시킨 다수의 심홀(Deep Hole)을 가진 열 교환기 본체(110)를 길게 압출하여 열 교환기 용량에 맞게 적절한 길이로 절단하여 블록 양쪽 끝단에서 두 개의 심홀(Deep Hole)이 하나의 관로를 형성할 수 있게 U자형 홈이 난 열 교환 관로 연결용 앤드 캡(End Cap)(400)을 부착하면 간단하게 다수의 심홀들이 하나의 긴 열 교환 관로를 형성하게 할 수 있다.FIG. 2 is a detailed view of the heat exchanger main body 110 to minimize the size of the heat exchanger main body 110 and to provide convenience of fabrication. As shown in the figure (bar), the heat exchanger main body 110 having a plurality of deep holes maximizing the surface area is extruded long and cut to an appropriate length to fit the capacity of the heat exchanger so that two deep holes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block. Attaching an end cap 400 for connecting a U-shaped grooved heat exchange conduit to form a single conduit allows the multiple seams to form a single long heat exchange conduit. .

제 3도는 열 교환기 본체(110) 블록 양쪽 끝단에 부착하는 열 교환 관로 연결용 앤드 캡(400)의 상세도로 두 개의 열 교환 관로를 하나의 관로로 연결하기 위해 U자형 홈(400a)을 구성하여 열 교환기 본체(110) 양쪽 끝단에 부착하면 쉽게 긴 열 교환 관로를 만들 수 있다. 여기서 열 교환 관로 연결용 앤드 캡(400)의 재질은 U자형 홈을 만들 수 있는 금속 또는 비금속체 어느 것을 사용할 수 있다.FIG. 3 is a detailed view of the end cap 400 for connecting the heat exchange pipes attached to both ends of the block of the heat exchanger body 110 to form a U-shaped groove 400a to connect two heat exchange pipes into one pipe. Attaching to both ends of the heat exchanger body 110 can easily create a long heat exchange conduit. Here, the material of the end cap 400 for the heat exchange pipe connection may be any metal or nonmetallic material that can make a U-shaped groove.

본 고안은 열전 소자를 이용한 작동유체(물, 공기 등) 열 교환기에 관한 것으로 열 교환기 본체의 크기를 최소화 할 수 있고 열 교환기 내부에 구성되는 긴 열 교환 관로를 U자형 홈을 가진 열 교환 관로 연결용 앤드 캡으로 쉽게 구성할 수 있어 제작이 매우 간편하고 손쉽게 해 준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orking fluid (water, air, etc.) heat exchanger using a thermoelectric element, which can minimize the size of the heat exchanger main body and connect the long heat exchanger pipe formed inside the heat exchanger to a heat exchanger pipe having a U-shaped groove. Easily configurable with a dragon end cap makes production very easy and easy.

본 고안에 따라 제작된 열 교환기는 크기가 작기 때문에(열 교환기 자체 질량이 작기 때문에) 목표하는 온도까지 도달하는데 필요한 냉각 및 가열에 필요한 응답시간(Response Time)을 줄일 수 있고, 열 교환기 블록에 직접 부착되어 있는 열전 소자의 작동 제어에 대한 작동유체 온도 변화가 빠른 시간에 이루어 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열 교환 관로의 길이가 충분히 길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열 교환기 블록과 작동유체 사이의 충분한 열 교환 작용을 얻을 수 있어 성능 향상을 얻을 수 있다.The heat exchanger fabricat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mall in size (as the mass of the heat exchanger itself is small), which reduces the response time required for cooling and heating to reach the target temperature, and directly into the heat exchanger block. Not only can the working fluid temperature change with respect to the operation control of the attached thermoelectric element be made in a short time, but also because the length of the heat exchange conduit is sufficiently long, sufficient heat exchange between the heat exchanger block and the working fluid is achieved. It is possible to obtain a performance improvement.

Claims (4)

열 교환기 본체(110)의 양 측면에 스페이스 블록(110a)을 부착하고 다른 한 쪽에 열전 소자(120)와 방열판(140), 방열용 펜(150)으로 구성된 반도체 열전 소자를 이용한 열 교환기 본체(110)와 냉각장치 외함(100) 사이에 단열재(130)를 충진한 반도체 열전 소자를 이용한 열 교환기에서, 열 교환기 본체(110)의 양 측면에 반도체 열전 소자를 부착하여 열 교환기 본체(110)의 열 교환 관로(110b)를 통하여 흐르는 작동유체를 냉각 또는 가열하는 구조가 일체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열전 소자를 이용한 열 교환기The heat exchanger main body 110 using the semiconductor thermoelectric element formed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120, the heat dissipation plate 140, and the heat dissipation pen 150 on the other side of the heat exchanger main body 110 by attaching a space block 110a to both sides. In the heat exchanger using a semiconductor thermoelectric element filled with a heat insulating material 130 between the and the cooling device enclosure 100, the semiconductor thermoelectric element is attached to both sides of the heat exchanger main body 110 to heat the heat exchanger main body 110. Heat exchanger using a semiconductor thermoelectric element, characterized in that the structure for cooling or heating the working fluid flowing through the exchange pipe (110b) is formed integrally 제 1항에 있어서, 열 교환기 본체(110)는 열 전도가 좋은 금속체를 사용하여 최소한의 간격으로 많은 관로를 형성하여 관로의 양쪽 끝단에서 두 개의 관로(110b)가 하나의 관로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열전 소자를 이용한 열 교환기According to claim 1, the heat exchanger body 110 is formed of a large number of pipelines at a minimum interval using a good heat conducting metal body so that the two pipelines (110b) can be connected to one pipeline at both ends of the pipeline. Heat exchanger using a semiconductor thermoelectric element characterized in that the structure 제 2항에 있어서, 관로(110b)의 형상을 별모양 처럼 관로의 표면적이 최대한의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열전 소자를 이용한 열 교환기3. The heat exchanger using semiconductor thermoelectric elements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surface area of the conduit has a maximum shape like a star. 제 2항에 있어서, 다수의 관로(110b)를 하나의 긴 관으로 만들기 위해 열 교환기 본체(110)의 양쪽 끝단에 U자형 홈(400a)을 가진 관로 연결용 앤드 캡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열전 소자를 이용한 열 교환기3. A semiconductor according to claim 2,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n end cap for pipe connection with U-shaped grooves 400a at both ends of the heat exchanger body 110 to make the plurality of pipes 110b into one long pipe. Heat exchanger using thermoelectric element
KR2020010008558U 2001-03-28 2001-03-28 The Heat Exchanger of Thermoelectric Module KR200246258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8558U KR200246258Y1 (en) 2001-03-28 2001-03-28 The Heat Exchanger of Thermoelectric Modu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8558U KR200246258Y1 (en) 2001-03-28 2001-03-28 The Heat Exchanger of Thermoelectric Modu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6258Y1 true KR200246258Y1 (en) 2001-10-18

Family

ID=730984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8558U KR200246258Y1 (en) 2001-03-28 2001-03-28 The Heat Exchanger of Thermoelectric Modu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6258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268758B2 (en) Thermoelectric system
CA2682420C (en) Heat absorbing or dissipating device with multi-pipe reversely transported temperature difference fluids
US20100089556A1 (en) Heat absorbing or dissipating device with multi-pipe reversely transported temperature difference fluids
BRPI1003952A2 (en) stepped pipe absorber or heatsink evenly distributed over temperature difference
JP3256634B2 (en) Heat exchanger
KR200246258Y1 (en) The Heat Exchanger of Thermoelectric Module
CN105466261A (en) Heat exchange device and semiconductor refrigeration refrigerator provided with heat exchange device
CN100498125C (en) Evaporation box of hot end heat sink for semiconductor electronic refrigerator
KR20040007933A (en) The Heat Exchanger of Thermoelectric Module
JPH0451747B2 (en)
KR100298143B1 (en) Air conditioner
CN204115291U (en) Liquid semiconductor cooling heat exchange module and high-power liquid semiconductor refrigerated heat exchanger
CN105485969B (en) Heat-exchanger rig and semiconductor freezer with the heat-exchanger rig
CN205537253U (en) Heat transfer device and have this heat transfer device&#39;s semiconductor refrigeration refrigerator
KR200288633Y1 (en) Multistep Continuous Heat-Exchange System
KR102358931B1 (en) Heat exchanger
CN215336705U (en) Air conditioner
KR200400317Y1 (en) Closed circuit type cooling tower using plate pin coil type heat exchanger
CN217685503U (en) Air conditioner outdoor unit and air conditioner
JP2004028470A (en) Heat exchanger
CN211012569U (en) Heat insulation and temperature reduction wall unit
CN200958913Y (en) Integrated hot-pipe radiator for temperature-differential electric refrigerator
KR19980065034A (en) Air conditioner
KR100474893B1 (en) heat pump system using thermal electric module
KR200281026Y1 (en) Room heating radiator utilizing vacuum heat transfer pipe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