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6084Y1 - 누수방지체결구 - Google Patents

누수방지체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6084Y1
KR200246084Y1 KR2020000025850U KR20000025850U KR200246084Y1 KR 200246084 Y1 KR200246084 Y1 KR 200246084Y1 KR 2020000025850 U KR2020000025850 U KR 2020000025850U KR 20000025850 U KR20000025850 U KR 20000025850U KR 200246084 Y1 KR200246084 Y1 KR 2002460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lt
outer diameter
rubber
pip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58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재근
Original Assignee
유재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재근 filed Critical 유재근
Priority to KR20200000258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608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60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6084Y1/ko

Links

Landscapes

  • Pipe Accessories (AREA)

Abstract

[목적]
본 고안은 동일호칭경 관의 외경차이가 현저히 나는 강관또는 PVC관과 주철관의 외경의 범위를 소화하며 적은 힘으로도 손쉽게 체결할 수있는 체결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구성]
본 고안의 누수방지체결구는 얇은 금속판(1)에 지지대(2)를 양쪽에 부착하고 한쪽지지대에 볼트를 반대측 지지대에 볼트의 방향을 정확히 잡아줄 방향틀(3)을 부착하고 볼트의 간격과 일치하게 구멍을 뚫은 ㄱ자 고정틀을 볼트에 끼우고 금속판(1)의 내면에는 고무(5)를 부착하는데, 고무판(5)는 끝부분이 완만한 경사각도를 가지고 있으며 관종에 따른 외경차이를 허용범위안에 둘수 있도록 겹쳐져있고 고무가 겹쳐질때 관과 접촉되는 고무끝부분이 접히는것을 방지하기 위한 금속재가이드(6)을 부착하였고 고무(5)의 관과 접촉되는 부위에는 누수의 중첩차단역할을 하도록 관의 원방향으로 규칙적인 홈과 돌출된 선을 두었다.
볼트의 길이와 방향틀의 길이(128mm)가 외경의 크기에 따라 조정할수 있도록 충분한 여유를 가지고 있으며 볼트와 지지대, 방향틀을 함께 너트를 조여주므로써 견고하게 옥죌수 있는 ㄱ자 고정틀을 형성한 누수방지체결구이다.

Description

누수방지체결구{Unleaked instrument}
본 고안은 관의 외경이 규정치 구경보다 약간 크거나 작더라도 완벽하게 접속할 수 있는것은 물론 동일호칭경의 외경차이가 현저히 나는 다른관에도 공통으로 완벽하게 접속할 수 있는 밴드 체결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누수복구밴드의 종래유형은 금속판의 끝부분의 양쪽을 바깥쪽으로 접고 봉형지지대를 양쪽에 넣고 용접으로 부착하고 양쪽봉형에 볼트가 들어갈 구멍을 뚫어 한쪽봉형지지대에 안나사를 내어서 너트역할을 하게하고 반대편쪽 봉형지지대에는 볼트머리가 놓이게 하여 관에 체결시 볼트가 양쪽 봉형지지대 구멍을 통과하여 체결되며 금속판내면에는 원형의 고무가 끝이 V자로 잘려진 상태로 있으며 가이드가 부착되어 있고 관에 체결시 내면의 고무가 부착되어 있지 않은 관계로 고무가 이탈되지 않도록 안쪽으로 금속판을 절곡하여 울을 만들었다 이러한 울을 만들기 위해서는 금속판이 두꺼워야만 했고 밴드가 체결되면 고무의 끝이 V자로잘려져 있는 부분이 서로 맞대어져서 실링이된다.
이러한 종래의 누수밴드는 구조상 관의 외경 허용범위가 좁을 수밖에 없으며 예로 고무의 끝이 맞대어져서 연결하는 방식이므로 관의 외경이 조금 크면 고무가 맞대어지지 않아 실링이 안되고 외경이 작으면 적절한 체결이 안되어 누수되는 결점이 있다
따라서 체결할수 있는 관의 허용범위의 여유가 적고 밴드구조상 금속판의 두께가 두꺼워 원형으로 되어있는 밴드를 체결하기 위해 벌리기가 어렵고 볼트가 채워지려면 양쪽지지대가 서로 최대한 가까이 와서 수평을 이루어야 볼트가 볼트구멍에 들어가 체결될수 있는데 이것이 사람의 힘으로 하기에는 매우 어렵게 되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동일호칭경의 강관.PVC.주철관의 외경차이에도 공통으로 사용할수있으며 관의 누수발생시 단수없이 짧은시간안에 손쉽게 복구할수 있는 누수방지체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누수방지체결구의 내면 고무(5)의 끝부분이 서로 겹쳐지게하여 관의 외경 허용범위를 넓혀 관종에 따른 외경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동일호칭경 관의 외경을 허용범위 안에 둘수 있도록하며 볼트가 정확히 방향을 잡을수 있도록 방향틀(3)을 형성하고 방향틀의 길이가 관의 외경을 허용범위 안에 둘수 있도록 충분한 길이로 형성되어 시공자가 신속하면서도 적은힘으로 견고하게 옥죌수 있는 누수방지체결구조를 제공한다.
제 1 도는 체결구가 달린 밴드 전면
제 2 도는 본 고안에 의한 체결구의 분해도
제 3 도는 관에 누수방지체결구를 씌운 상태의 정면도
관의 구경에 따라 1개에서 3개의 금속판(1)에 지지대(2)를 양쪽에 부착하고 한쪽 지지대(2)에 볼트머리를 부착하고 반대편쪽 지지대(2)에 볼트간격과 일치하여 볼트의 방향을 잡아줄 방향틀(3)을 부착하고 지지대(2)와 방향틀(3)이 접지하고 있는 곳에 볼트가 통과할만한 크기의 구멍을 볼트간격과 같은 지점에 뚫은 ㄱ자 고정틀(4)을 설치하고 금속판(1) 내면에는 고무(5)를 부착하는데, 고무는 끝이 완만한 경사각도를 지고 관과 접촉되는 면에는 그물 모양의 높낮이를 가지는 홈이 있으며 원방향으로 돌출된 선이 규칙적으로 있는 고무(5)를 양쪽지지대(2) 사이에 오는 금속판(1)쪽으로 면한곳에 홈을 두어 그곳에 금속재의 가이드(6)을 부착한 고무판(5)를 금속판(1)의 안쪽에 가이드(6)을 두 지지대(2)사이에 놓이도록하여 (7)부분은 제외하고 부착하여 체결하면 가이드(6)이 있는 고무판(5)이 반대편고무 끝부분과 ,강관과 주철관의 외경을 허용할수 있을 정도로 여유있게 겹쳐지도록 되어 있는 구조의 누수방지체결구이다.
이 고무(5)가 겹쳐지므로 해서 관의 외경 허용범위를 넓게 가질수 있으며 관과접촉되는 면의 규칙적인 홈과 돌출된 선은 누수의 중첩차단역할을 하며 관표면이 노후.부식이 있어 매끈하지 못할 경우에도 누수의 차단효과를 높여주는 역할을 하도록 되어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누수방지체결구는 종래의 밴드체결구와는 다른 구조로 관의 외경허용범위를 늘려 예로 강관과 주철관의 외경차이에도 불구하고 동일 호칭경에 겸용으로 사용할수 있다 즉, 금속판(1)의 내면에 부쳐지는 고무(5)가 서로겹쳐짐과 관에 체결시 금속판(1)의 두께가 얇아 양쪽지지대가 수평을 이루는데 어려움이 없고 양쪽지지대에 부착되어진 볼트와 방향틀은 고무의 겹쳐짐과 함께 관의 외경허용범위를 넓히는것과 체결의 용이함을 함께제공한다
현재 우리나라 각시,도 군의 상수도관은 오랜세월동안 여러가지 종류의 상수도관이 매설되어있어 각종관에 맞게 사용할수 있는자재를 구비하여야 하는데 일반적으로 동일호칭경의 관종에 공통되는 자재가 없는실정이어서 한가지 자재로 동일호칭경의 여러종류의 관의 누수복구자재를 겸할수 있는 장점또한 있어 행정관청의 예산을 절약하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관에 누수발생시에 기존의 방법은 1차로 단수한 후 관인 누수부위 양쪽을 절단하고 절단한 크기의 단관을 대체하고 양쪽으로 이음관또는 누수복구 자재를 체결하여 복구공사를 마친다,
본 고안의 누수방지체결구는 대도시에 매설되어진 여러 종류의 상수도관에 누수발생시 민원발생의 소지가 있는 단수를 하지않고 또 복구공사 시간을 단축하여 복구공사로 인한 교통체증을 완화하고 누수의 손실을 막을 수 있으며 수도행정의 신속함을 제공할수 있을 것으로 사려된다.

Claims (1)

  1. 금속판(1)의 외면 일측에 볼트와 결합된 지지대(2)가 결합되고 또 반대편 일측에 방향틀(3)과 결합된 지지대(2)가 결합되며 가이드(6)이 홈에 접착된 고무(5)가 금속판(1) 내면에 접착되어 체결시 방향틀(3) 사이에 볼트가 겹쳐지며, 겹쳐진 볼트에 고정틀(4)를 끼우고 너트를 채우는 누수방지 체결구.
KR2020000025850U 2000-09-09 2000-09-09 누수방지체결구 KR20024608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5850U KR200246084Y1 (ko) 2000-09-09 2000-09-09 누수방지체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5850U KR200246084Y1 (ko) 2000-09-09 2000-09-09 누수방지체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6084Y1 true KR200246084Y1 (ko) 2001-09-13

Family

ID=730886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5850U KR200246084Y1 (ko) 2000-09-09 2000-09-09 누수방지체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608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46084Y1 (ko) 누수방지체결구
JP3210616B2 (ja) 継手構造、拡張固定バンド及び管の位置決め装置
KR20050013496A (ko) 플랜지를 이용한 관 이음장치
JP4162063B2 (ja) 管接続装置
JP3436864B2 (ja) 離脱防止形管継手
US20030052459A1 (en) Pipe seal assembly and method
JP3566755B2 (ja) マンホールに於ける管取付け構造
KR200240441Y1 (ko) 수로관
JP6480269B2 (ja) 型枠支持体
KR20030060559A (ko) 관 이음 플랜지
KR101422935B1 (ko) 배관연결용 클램프
JP3286616B2 (ja) 情報通信ケーブル収容管とハンドホールとの接続用継手
KR101568982B1 (ko) 시트파일에 형성되는 케이블 통과홀의 차수보강공법
KR100442050B1 (ko) 수밀성을 갖는 관 고정구, 맨홀 및 장착방법
KR20150137820A (ko) 밸브를 포함한 관로보수 장치
KR100736709B1 (ko) 분기관 연결구
KR200216805Y1 (ko) 상·하수관 연결구조
JPH0131835Y2 (ko)
KR101478321B1 (ko) 수밀성이 강화된 파이프 연결구
JP3497994B2 (ja) 継ぎ手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JP4146191B2 (ja) 耐蝕シール構造を有する既設管きょの更生管
JPH06229497A (ja) 管内面漏水防止具
JPH09316985A (ja) コンクリート製品の可撓継手構造及びその可撓継手構造を有するコンクリート製品
KR20020084535A (ko) 관이음 플랜지 위치 고정부재
JPH11125374A (ja) 離脱防止形管継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