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5809Y1 - 배관라인의 파이프연결용 지그 - Google Patents
배관라인의 파이프연결용 지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45809Y1 KR200245809Y1 KR2020010016449U KR20010016449U KR200245809Y1 KR 200245809 Y1 KR200245809 Y1 KR 200245809Y1 KR 2020010016449 U KR2020010016449 U KR 2020010016449U KR 20010016449 U KR20010016449 U KR 20010016449U KR 200245809 Y1 KR200245809 Y1 KR 200245809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ipe
- jig
- receiving
- bracket
- line
- Prior art date
Links
Landscapes
- Hand Tools For Fitting Together And Separating, Or Other Hand To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배관라인을 구성하기 위한 파이프의 연결을 보다 안전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어 작업의 효율성을 높이면서 안정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한 배관라인의 파이프연결용 지그에 관한 것으로서,
배관라인을 구성하기 위하여 파이프(30)의 양단부(31,32)를 연결할 때 안정된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지그(35)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지그(35)는 연결할 파이프(30)의 양단부(31,32)를 수용할 수 있도록 수용홈(36,37)을 가지는 반원형상으로 구비되는 수용구(38,39);
상기 수용구(38,39)를 개,폐가능하도록 내측부위를 연결하는 힌지(40);
상기 수용구(38,39)의 외측에는 파이프(30)를 수용한 수용구(38,39)를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체결공(41)을 가지는 브라켓(42)을 형성하고;
상기 수용홈(36,37)에는 파이프(30)의 양단부(31,32)를 가 용접이 용이하도록 개구(43)를 형성하고;
상기 브라켓(42)에는 삽입된 파이프(30)를 조이기 위한 체결수단(50)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배관라인의 파이프연결용 지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배관의 연결을 보다 안전하고 능률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지그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배관라인은 단면이 원형이 파이프를 연결하여 원료 특히 유체의 이송에 사용되는 것으로서, 파이프와 파이프의 단부는 용접으로 연결하여 전체의 라인을 구성하도록 한다.
종래에는 배관라인을 구성하기 위한 파이프의 연결을 파이프의 양단부를 맞댄 후 연결부분을 가용접하여 두 파이프가 떨어지지 않도록 한 후 완전한 용접작업으로 배관라인을 구성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배관라인의 위치는 지하가 될 수 도있으며 지면 및 지상(공중)등다양한 위치에 설치되는데, 지하와 지면의 경우에는 파이프이 연결작업에 큰 어려움은 없으나 지상작업의 경우에는 상당한 어려움이 있다.
이는 지상작업의 경우에는 통상 2가지 방법을 이용하여 파이프를 연결하고 있는데 첫번째는,
연결하기 위한 파이프의 끝부분을 받칠 수 있도록 별도의 받침대를 구비한 후, 파이프가 유동하지 못하도록 받침대와 파이프를 가용접하고, 이러한 상태에서 두개의 파이프 끝단부를 용접한다.
이 경우에는 파이프의 연결이 끝난 후에는 파이프와 고정된 받침대를 이탈시키 위하여 산소절단기를 사용함으로서 이 과정에서 연결된 파이프의 표면을 손상시켜 이송되는 유체의 유출이 우려되는 문제점이 있다.
두번째는 받침대를 사용하지 않고 작업자가 한 손으로 두 파이프의 양단부를 잡고 한 손으로는 용접건을 이용하여 파이프이 움직이지 않도록 가용접한 후, 용접으로 마무리하는 방법이 있다.
이 경우에는 연결을 위한 두 파이프의 무게게로 인하여 작업자가 안정된 상태로 파이프를 잡을 수 없고, 이러한 이유로 높은곳에 위치한 파이프가 낙하할 경우에는 주위물품의 파손과 인명손상과 같은 안전사고의 위험이 높다.
뿐만아니라, 한 손으로 파이프의 연결부분을 잡고 한 손으로는 용접건을 이용하여 가 용접하기 때문에 작업이 어렵고, 용접과정에서 불꽃에 의한 작업자의 화상우려가 높은 등 여러 문제점들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배관라인을 구성하기 위하여 파이프의 연결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파이프연결용 지그를 제공함으로서 안전하고 용이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배관라인의 파이프연결용 지그의 폐쇄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배관라인의 파이프연결용 지그의 개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에 적용된 배관라인의 파이프연결용 지그의 A - A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4는 도 2에 적용된 배관라인의 파이프연결용 지그의 B - B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인 배관라인의 파이프연결용 지그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30; 파이프
31,32; 양단부
35; 지그
36,37; 수용홈
38,39; 수용구
40; 힌지
41; 체결공
42; 브라켓
43; 개구
50; 체결수단
53; 핸들
55; 도구사용면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서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배관라인의 파이프연결용 지그의 폐쇄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배관라인의 파이프연결용 지그의 개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에 적용된 배관라인의 파이프연결용 지그의 A - A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4는 도 2에 적용된 배관라인의 파이프연결용 지그의 B - B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인 배관라인의 파이프연결용 지그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본 고안에서는 배관라인을 구성하기 위하여 파이프(30)의 양단부(31,32)를 연결할 때 안정된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지그(35)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되는 지그(35)는, 연결할 파이프(30)의 양단부(31,32)를 수용할 수 있도록 수용홈(36,37)을 가지는 반원형상의 수용구(38,39)의 내측부위를 힌지(40)로 연결하여 접철에 의하여 개,폐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수용구(38,39)의 외측에는 체결공(41)을 가지는 브라켓(42)을 형성하여파이프(30)를 수용한 수용구(38,39)를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수용구(38,39)의 수용홈(36,37)에는 고정된 파이프(30)의 양단부(31,32)를 가용접할 수 있도록 용접건 또는 용접봉이 출입할 수 있도록 개구(43)를 형성하여 구성한다.
상기 브라켓(42)에 형성되는 체결공(41)에는 체결수단(50)을 더 구비하여 삽입되는 파이프(30)를 보다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체결수단(50)은, 일측브라켓(42)의 체결공(41)에 고정되는 볼트(51)와 너트(52)와, 다른측 브라켓(42)의 체결공(41)으로 돌출되는 볼트(51)를 조일 수 있는 핸들(53)을 포함한다.
상기 핸들(53)의 하방 내측에는 볼트(51)와 결합할 수 있도록 나사를 형성하고 상방에는 조일 때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는 레버(54)를 구비한다.
상기 핸들(53)의 상부 끝단에는 삽입되는 파이프(30)가 클 경우 보다 큰 도구를 이용하여 조일 수 있도록 볼트머리와 같은 도구사용면(55)을 더 가지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지그(35)는 상기 수용구(38,39)를 개방한 후 각각의 수용홈(36,37)에 연결할 파이프(30)의 양단부(31,32)를 안치하여 양단부(31,32)가 연접되도록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수용구(38.39)를 닫은 후 일측 브라켓(42)의 체결공(41)에 너트(52)로 체결된 볼트(51)에 다른측의 브라켓(42)에 형성된 체결공(41)이 결합되도록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핸들(53)을 브라켓(42)의 외측으로 돌출된 볼트(51)에 결합하여 레버(54)를 이용하여 죄어 삽입된 파이프(30)가 움직이지 않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수용구(38,39)를 체결할 때에는 파이프(30)의 양단부(31,32)가 수용구(38,39)의 연접면이 개구(43)의 중심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 하며, 상기 개구(43)를 통하여 연결을 위한 가 용접을 실시한다.
가 용접으로 파이프(30)가 고정되면 지그(35)를 이탈시킨 후 파이프(30)의 양단부(31,32)를 견고하게 용접하면 된다.
상기와 같이 배관라인을 구성하기 위하여 파이프를 연결하면 작업자가 파이프를 잡고 있어야 하는 불편함이 없고, 가 용접시에도 한 손에는 용접건을 잡고 한 손으로는 마스크를 잡을 수 있기 때문에 용접과정에서의 안전사고의 우려를 방지할 수 있게되는 것이다.
특히, 지상에서 연결작업시에는 파이프(30)를 가 용접하는 과정에서 지그(35)에 의하여 파이프(30)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서 파이프(30)의 낙하로 인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되며, 이로 인하여 파이프를 고정하여 배관라인을 구성하는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게된다.
그리고, 삽입되는 파이프(30)의 직경이 클 경우에는 핸들(53)의 죄임은 핸들(53)에 구비되는 레버(54)를 이용하지 않고 레버(53)의 끝단부에 더 형성되는 도구사용명(55)에 렌치와 같이 큰 힘을 줄 수 있는 도구를 이용함으로서 보다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게된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배관라인을 구성하기 위한 파이프의 연결을 보다 안전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어 작업의 효율성을 높이면서 안정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등 많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2)
- 배관라인을 구성하기 위하여 파이프(30)의 양단부(31,32)를 연결할 때 안정된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지그(35)를 구성함에 있어서;상기 지그(35)는 연결할 파이프(30)의 양단부(31,32)를 수용할 수 있도록 수용홈(36,37)을 가지는 반원형상으로 구비되는 수용구(38,39);상기 수용구(38,39)를 개,폐가능하도록 내측부위를 연결하는 힌지(40);상기 수용구(38,39)의 외측에는 파이프(30)를 수용한 수용구(38,39)를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체결공(41)을 가지는 브라켓(42)을 형성하고;상기 수용홈(36,37)에는 파이프(30)의 양단부(31,32)를 가 용접이 용이하도록 개구(43)를 형성하고;상기 브라켓(42)에 형성되는 체결공(41)에는 삽입되는 파이프(30)를 보다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체결수단(50)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라인의 파이프연결용 지그.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체결수단(50)은,일측브라켓(42)의 체결공(41)에 고정되는 볼트(51)와 너트(52);다른측 브라켓(42)의 체결공(41)으로 돌출되는 볼트(51)를 조일 수 있도록 구비되는 핸들(53)을 포함하고;상기 핸들(53)의 하방 내측에는 볼트(51)와 결합할 수 있도록 나사를 형성하고 상방에는 조일 때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는 레버(54)를 구비하고;상기 핸들(53)의 상부 끝단에는 보다 큰 도구를 이용하여 조일 수 있도록 도구사용면(55)을 더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라인의 파이프연결용 지그.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10016449U KR200245809Y1 (ko) | 2001-06-02 | 2001-06-02 | 배관라인의 파이프연결용 지그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10016449U KR200245809Y1 (ko) | 2001-06-02 | 2001-06-02 | 배관라인의 파이프연결용 지그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45809Y1 true KR200245809Y1 (ko) | 2001-10-17 |
Family
ID=731026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10016449U KR200245809Y1 (ko) | 2001-06-02 | 2001-06-02 | 배관라인의 파이프연결용 지그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45809Y1 (ko)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55347B1 (ko) * | 2011-01-17 | 2011-08-08 | (주)대우건설 | 모듈러 충전 강관 조립을 위한 용접용 가이드웨이 |
KR101075011B1 (ko) | 2010-08-10 | 2011-10-20 | 최하정 | 클램핑수단을 이용하여 가조립되는 트러스구조물의 시공방법 |
WO2012005505A2 (ko) * | 2010-07-08 | 2012-01-12 | Choi Ha Jung | 클램핑수단을 이용하여 가조립되는 트러스구조물의 시공방법 |
KR101201868B1 (ko) | 2011-04-07 | 2012-11-15 | 최하정 | 클램핑수단을 이용하여 가조립된 교량용 트러스구조물 시공방법 |
KR101419906B1 (ko) | 2011-10-19 | 2014-07-16 | 최하정 | 원형강관 대각가새 구조의 시공방법 |
KR101422544B1 (ko) * | 2012-10-04 | 2014-08-13 | 주식회사 알지비하이텍 | 버핑용 연마장치의 고정지그 |
-
2001
- 2001-06-02 KR KR2020010016449U patent/KR200245809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2005505A2 (ko) * | 2010-07-08 | 2012-01-12 | Choi Ha Jung | 클램핑수단을 이용하여 가조립되는 트러스구조물의 시공방법 |
WO2012005505A3 (ko) * | 2010-07-08 | 2012-05-31 | Choi Ha Jung | 클램핑수단을 이용하여 가조립되는 트러스구조물의 시공방법 |
KR101075011B1 (ko) | 2010-08-10 | 2011-10-20 | 최하정 | 클램핑수단을 이용하여 가조립되는 트러스구조물의 시공방법 |
KR101055347B1 (ko) * | 2011-01-17 | 2011-08-08 | (주)대우건설 | 모듈러 충전 강관 조립을 위한 용접용 가이드웨이 |
KR101201868B1 (ko) | 2011-04-07 | 2012-11-15 | 최하정 | 클램핑수단을 이용하여 가조립된 교량용 트러스구조물 시공방법 |
KR101419906B1 (ko) | 2011-10-19 | 2014-07-16 | 최하정 | 원형강관 대각가새 구조의 시공방법 |
KR101422544B1 (ko) * | 2012-10-04 | 2014-08-13 | 주식회사 알지비하이텍 | 버핑용 연마장치의 고정지그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095627B2 (ja) | パイプ留め具 | |
US4579272A (en) | Boiler pipe tool for heliarc welding | |
KR20000028500A (ko) | 직각바렌치와 소켓렌치용 핸들을 연결하기 위한 어댑터 유니트 | |
KR200245809Y1 (ko) | 배관라인의 파이프연결용 지그 | |
US5839647A (en) | Welding clamp for pipe fittings | |
JP2023134504A (ja) | フランジ補強具の設置方法 | |
US20060060037A1 (en) | Hand-held-wrench stand and stabilizer | |
JP5356981B2 (ja) | 足場用パネル連結具 | |
US20050173853A1 (en) | Portable vise | |
FR2642217A1 (fr) | Dispositif d'etancheite pour une colonne d'instrumentation traversant le couvercle d'une cuve de reacteur nucleaire a eau sous pression | |
KR200396479Y1 (ko) | 가스관 고정장치 | |
FR2599442A1 (fr) | Ecrou de serrage pour maintenir une pince de bridage a echanger et clef de serrage pour un tel ecrou | |
EP3674591A1 (en) | Water pipe splitting saddle | |
JPH0529297Y2 (ko) | ||
KR20080030427A (ko) | 파이프 연결핀 | |
JP3145030B2 (ja) | クランプ装置 | |
JPS6068196A (ja) | 配管溶接治具 | |
CN215034800U (zh) | 一种焊接夹具 | |
JP7514537B2 (ja) | パイプ脱着具 | |
CN220783730U (zh) | 拆装工具 | |
KR200169555Y1 (ko) | 볼트 및 너트가 용접 고정된 파이프 서포트 | |
JP3785446B2 (ja) | 管継手予備締め治具 | |
JPS6334807Y2 (ko) | ||
JP2618582B2 (ja) | パイプクランプ装置 | |
KR20100106801A (ko) | 파이프 행거 제조방법 및 파이프 행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T201 |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T601 |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