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5243Y1 - 광커넥터용 플라이어 - Google Patents

광커넥터용 플라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5243Y1
KR200245243Y1 KR2020010014993U KR20010014993U KR200245243Y1 KR 200245243 Y1 KR200245243 Y1 KR 200245243Y1 KR 2020010014993 U KR2020010014993 U KR 2020010014993U KR 20010014993 U KR20010014993 U KR 20010014993U KR 200245243 Y1 KR200245243 Y1 KR 20024524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nt
optical
bar
optical connector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49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골드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골드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골드텔
Priority to KR20200100149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524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52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5243Y1/ko

Links

Landscapes

  • Mechanical Coupling Of Light Guides (AREA)

Abstract

손이 잘 들어가지 않는 좁은 성단함 등에서 탈,장착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한 광커넥터용 플라이어를 개시한다. 이러한 플라이어는, 제1손잡이부와, 상기 제1손잡이부에서 연장된 제1헤드부와, 상기 제1헤드부에서 절곡 돌출된 제1절곡부가 형성된 제1집게부를 구비한 제1바; 제2손잡이부와, 상기 제2손잡이부에서 연장된 제2헤드부와, 상기 제1절곡부와 대향하도록 상기 제2헤드부에서 절곡 돌출된 제2집게부를 구비한 제2바; 및 상기 제1바와 상기 제2바를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힌지핀;을 구비한다. 이에 따라, 손이 잘 들어가지 않는 좁은 광성단함에서도 탈,장착 작업이 용이하고, 광커넥터의 탈,장착 작업시 주변의 다른 커넥터를 건드리지 않고 작업을 할 수 있어 고장 발생의 원인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광커넥터용 플라이어 {Plier for the connector of optical fiber}
본 고안은 플라이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광커넥터를 착탈하기 위한 플라이어에 관한 것이다.
사회가 복잡화하면서 인간 사회는 다양한 정보속에서 삶을 영위하게 되어 많은 정보량을 빨리 전달받아야 할 필요성을 절실하게 느끼게 되었고, 이를 위하여빛에 의한 정보전송 매체로 광섬유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광섬유는 반사 또는 굴절에 의해 광에너지를 전파하는 부전도성의 도파관으로 굴절율이 높은 코어와 굴절율이 낮은 크래드로 구성된다.
광신호는 코어와 크래드의 경계면에서 전반사를 반복하면서 도파하고, 크래드의 외부를 둘러싸고 있는 코팅은 습기나 마모로부터 광섬유를 보호하는 역할과 동시에 취급을 용이하게 한다.
이러한 광섬유는 접속이 어렵고, 너무 가늘어서 끊어졌을 때 수리가 어려우며 외부 충격에 약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광섬유는 제조 한계, 기기와의 연결 필요성 때문에 광섬유의 불연속면이 반드시 존재하게 되며, 이러한 불연속면은 신호 전달을 위해 반드시 연결장치부가 필요하다.
이와 같은 연결장치부로서 광커넥터가 사용되며, 광섬유는 광도파로가 매우 작아서 매우 정밀하게 연결되지 않으면 신호의 감쇄로 많은 증폭이 필요하거나, 광원에의 불안정을 야기시킬 수 있다.
따라서 현재 세계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광커넥터는 성능, 경제성 등의 이유로 제한되어 있다.
이들 광커넥터들은 삽입손실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초정밀 생산기술에 기반을 둔 실린더 모양으로 된 세라믹 페룰과 슬리브와의 결합형, 초정밀 볼베어링과 원추형 페룰과의 결합형이 있고, 반사손실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광섬유를 포함한 페룰 단면을 연마하는 형과 굴절률 정합 물질을 사용하는 형이 있다.
이러한 광커넥터들은 결합 유지를 위하여 스프링을 사용하고 있으며, 구조상 푸쉬풀(push-pull)구조를 채택하고 있고, 광섬유와의 결선을 위하여 결선도구를 사용하고 있다.
푸쉬풀 결합구조는 가장 일반적으로 사출성형에 의하여 제조되지만 현재는 결합유지력을 형성시키기 위하여 코일스프링을 사용하고 있으며, 광섬유와 광커넥터 결합은 결선용 도구를 반드시 필요로 한다.
또한 플러그나 광어댑터에 고유하게 설계된 잠금 기구를 가지고 있는 등 특수한 기능들을 보유한 다른 구조를 채택하고 있다.
상술한 광커넥터는 광분배반이나 광분배함과 같은 성단함에 연결시켜야 하는 바, 여기에서 광분배반(FDF : Fiber Distribution Frame)은 광가입자의 변경과 등록을 자유롭게 할 수 있도록 가입자 광전송장치 또는 중간단자와 외부 광선로간의 연결, 분배 및 절체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전화국에 설치하여 운용할 수 있는 장치이고, 광분배함(OFD : Optical Fiber Distribution)은 광케이블과 광전송장치 및 광중계장치들을 상호연결 및 광케이블의 광섬유심선을 분배하기 위해 전화국에 설치하여 운용하는 장치이다.
도 1은 이러한 광분배함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광분배함(1)의 중간 부위에 다수의 분배기(2)가 횡으로 배열되고 분배기(2)에는 상하로 광어댑터(3)가 설치된다.
상기 광어댑터(3)에는 광섬유(7)가 연결된 광커넥터(4)가 장착되고 광섬유(7)는 분배기(2) 단위로 코드 가이드(5)에 묶여진다.
또한 상기 광커넥터(4)의 외면에는 공구나 손으로 잡았을 때 미끄러지지 않고 잡을 수 있도록 요철(4a)이 형성되고 미설명 부호 6은 광케이블이다.
그런데, 이러한 광커넥터(4)를 광어댑터(3)에 장착하거나 광어댑터(3)로부터 탈착하는 경우에 종래에는 광커넥터(4)의 요철(4a) 부위를 손으로 잡고 탈,장착을 하였다.(도 4 참조)
그러나, 광커넥터를 손으로 잡고 광어탭터로부터 탈,장착하는 경우에는, 손이 잘 들어가지 않는 좁은 공간(예를 들어 광분배함)의 분배기(2)에 광커넥터(4)를 탈,장착 하여야 하기 때문에, 첫째 탈,장착 작업이 매우 어렵고, 둘째 이웃의 다른 광커넥터를 건드림으로 인해서 외부 충격에 약한 광섬유(7)가 고장발생의 우려가 있으며 셋째 원하지 않는 광커넥터를 탈착하는 경우가 발생할 뿐만 아니라 손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손이 잘 들어가지 않는 좁은 성단함 등에서 탈,장착 작업이 보다 용이한 광커넥터용 플라이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분배기에 광커넥터가 연결된 상태의 광분배함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광커넥터용 플라이어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광커넥터용 플라이어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210 : 손잡이부 120,220 : 헤드부
130,230 : 집게부 140 : 걸림턱
400 : 스프링 300 : 힌지 핀
P : 플라이어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일실시예로서 플라이어는, 제1손잡이부와, 상기 제1손잡이부에서 연장된 제1헤드부와, 상기 제1헤드부에서 절곡 돌출된 제1절곡부가 형성된 제1집게부를 구비한 제1바; 제2손잡이부와, 상기 제2손잡이부에서 연장된 제2헤드부와, 상기 제1절곡부와 대향하도록 상기 제2헤드부에서 절곡 돌출된 제2집게부를 구비한 제2바; 및 상기 제1바와 상기 제2바를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힌지핀;을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힌지핀은 상기 제1헤드부와 상기 제2헤드부의 일단에 연결되며, 상기 제1헤드부의 길이는 상기 제2헤드부의 길이보다 크며,상기 제2집게부는 회동시 상기 제1절곡부에 포개질 수 있도록 돌출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1집게부는, 상기 제2집게부를 향하여 상기 제1절곡부에서 돌출 절곡된 적어도 하나의 제2절곡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절곡부 또는 상기 제2집게부에는 상기 제2절곡부와 교차되도록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손잡이부와 상기 제2손잡이부 사이에서 일 회동을 탄성 복원시키기탄성 수단과; 상기 제2헤드부의 회동을 제한할 수 있도록 상기 제1헤드부의 일측에서 절곡 돌출된 걸림턱;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손잡이부와 상기 제2손잡이부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는 손가락 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플라이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광커넥터용 플라이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광커넥터용 플라이어(P)는 서로 닮은 형상의 상하 한쌍의 바(100,200)와, 그리고 상기 한쌍의 바(100,200)를 서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힌지핀(300)을 구비한다.
하부 바(100)와 상부 바(200)는 작업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부(110,210)와, 손잡이부(110,210)에서 연장되며 직사각 단면 형상의 헤드부(120,220)와, 헤드부(120,220)에서 절곡되어 돌출된 형상의 집게부(130,230)를 구비한다.
손잡이부(110,210)에는 작업자가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외측면에 각각 손가락 홈(110a,210a)이 형성되며, 작업자가 파지하여 작업한 후 탄성복원될 수 있도록 스프링 예컨데, 압축코일 스프링(400)을 걸어 연결할 수 있도록 내측면에 스프링 좌부(110a,210b)가 돌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압축코일 스프링은 탄성 수단으로서 그 일예를 도시한 것이며 본 고안의 기술 분야에서 다양하게 변경 채용될 수 있으며, 후술하는 광커넥터의 작업시 탄성 복원될 수 있는 것이면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작업자의 손이 파지되었을 때 촉감을 좋게 하고 손바닥에 가해지는 반발력이 감소되도록 손잡이부(110,210)는 고분자 수지(111,211) 등으로 피복한다.
손잡이부(110,120)에서 연장된 헤드부(120,220)의 일단에는 힌지홀(미도시)이 형성되며, 이러한 힌지홀에 힌지핀(20)이 삽입되고 리벳팅 작업 등을 하면, 상기 한쌍의 바는 힌지핀(20)을 중심으로 서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하부 바(100)의 헤드부(120)의 일측에는 상부로 절곡 돌출된 걸림턱(140)이 형성되며, 그 타측 단부에는 후술하는 광커넥터를 집을 수 있도록 상부로 절곡 돌출된 집게부(130)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걸림턱(140)은 상부 바(200)의 회동을 일정 범위 내로 제한한다.
하부 바(100)의 집게부(130)는 헤드부(120)에서 90°로 절곡된 제1절곡부(130a)와, 상기 제1절곡부(130a)의 단부에서 다시 90°절곡된 제2절곡부(130b)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절곡부(130a)의 전후 양측면에는 제2절곡부(130b)와 교차되도록 돌출부(130c)가 형성된다. 여기서, 제1절곡부(130a)는 상부 헤드부(220)의 집게부(230)와 상호 작용하여 광커넥터를 집을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제2절곡부(130b)는 상부 집게부(230)와의 사이에서 광커넥터가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가이드한다. 그리고, 상기 제2절곡부(130b)와 상기 돌출부(130c)는 하부 바(100)의 헤드부에 형성되고 있음을 도시하고 있으나, 상부 바(200)의 집게부(230)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부 바(200)의 헤드부(220)는 하부 바(100)의 집게부와의 사이에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하부 바(100)의 헤드부(120)보다 길이가 짧으며, 상부 바의 헤드부(220)의 외측 단부에서 절곡 돌출된 집게부(230)는 회동시 상기 제1절곡부(130a)와 포개질 수 있도록 돌출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일실시예로서 플라이어(P)를 사용하는 상태를 도1과 도 3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플라이어를 이용하여 광커넥터를 광분배함의 광어댑터에 착탈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용 상태도이다.
도 1과 도 3을 참조하면, 광분배함의 분배기(2)에 상하로 조밀하게 설치된 광어댑터(3)에 광커넥터(4)를 장착하거나 분리하기 위해서, 플라이어(P)의 집게부(130,230) 사이에 광커넥터를 집어 물리게 된다.
플라이어(P)의 집게부에 광커넥터를 물리도록 하는 경우에는, 손잡이부(110,210)가 탄성수단 즉, 압축 코일 스프링(400)의 탄성력과 걸림턱(140)에 의해 광커넥터(4)가 삽입될 수 있도록 서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광커넥터(4)는 집게부(130,230) 사이에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고, 제2절곡부(130b)에 의하여 광커넥터(4)가 가이드되어 이탈되지 않으면서 광커넥터(4)가 쉽게 물릴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손잡이부(110,210)에 힘을 주면 힌지핀(300)을 중심으로 헤드부(120,220)가 회동하여 제1절곡부와 상부 바(200)의 집게부(230)가 서로 광커넥터(4)를 물게 되며, 돌출부(130c)에 의하여 더욱 용이하게 광커넥터(4)가 물릴 수 있게 된다.
또한, 광커넥터(4)의 표면에 소정 간격으로 요홈부(4a)가 형성된 경우에는 상기 돌출부(130c)가 요홈부(4a)에 걸려 물리게 되기 때문에, 적은 힘으로도 광커넥터(4)가 견고하게 물릴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광커넥터(4)를 플라이어(P)에 물려 광어댑터(3)에 장착하거나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돌출부(130c)에 광커넥터(4)의 요홈부(4a)가 걸려 광커넥터(4)가 밀려날 염려도 없게 된다.
이와 같이, 플라이어(P)의 집게부(130,230) 사이에 광커넥터를 집어 물린 상태에서, 조밀하게 고정 설치되어 있는 광어댑터(3)에 용이하게 장착하게나 분리할 수 있으며, 또한 좁은 장소나 또는 상대적으로 내부에 설치된 광어댑터(3)에 주변의 광커넥터(4)를 건드리지 않고서도 용이하게 작업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플라이어에 의하면 손이 잘 들어가지 않는 좁은 성단함에서도 광커넥터의 탈,장착 작업이 용이하며, 또한 주변의 다른 광커넥터를 건드리지 않고 작업을 할 수 있어 고장 발생의 원인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Claims (6)

  1. 제1손잡이부와, 상기 제1손잡이부에서 연장된 제1헤드부와, 상기 제1헤드부에서 절곡 돌출된 제1절곡부가 형성된 제1집게부를 구비한 제1바;
    제2손잡이부와, 상기 제2손잡이부에서 연장된 제2헤드부와, 상기 제1절곡부와 대향하도록 상기 제2헤드부에서 절곡 돌출된 제2집게부를 구비한 제2바; 및
    상기 제1바와 상기 제2바를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힌지핀;을 구비한 플라이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핀은 상기 제1헤드부와 상기 제2헤드부의 일단에 연결되며,
    상기 제1헤드부의 길이는 상기 제2헤드부의 길이보다 크며,
    상기 제2집게부는 회동시 상기 제1절곡부에 포개질 수 있도록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이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집게부는, 상기 제2집게부를 향하여 상기 제1절곡부에서 돌출 절곡된 제2절곡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이어.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절곡부 또는 상기 제2집게부에는 상기 제2절곡부와 교차되도록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이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손잡이부와 상기 제2손잡이부 사이에서 일 회동을 탄성 복원시키기탄성 수단과;
    상기 제2헤드부의 회동을 제한할 수 있도록 상기 제1헤드부의 일측에서 절곡 돌출된 걸림턱;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이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손잡이부와 상기 제2손잡이부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는 손가락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이어.
KR2020010014993U 2001-05-22 2001-05-22 광커넥터용 플라이어 KR20024524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4993U KR200245243Y1 (ko) 2001-05-22 2001-05-22 광커넥터용 플라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4993U KR200245243Y1 (ko) 2001-05-22 2001-05-22 광커넥터용 플라이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5243Y1 true KR200245243Y1 (ko) 2001-10-15

Family

ID=730543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4993U KR200245243Y1 (ko) 2001-05-22 2001-05-22 광커넥터용 플라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524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5465B1 (ko) 2008-11-05 2010-03-05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용 실내 후사경 조립장치
CN108008491A (zh) * 2018-01-12 2018-05-08 深圳市中兴新地技术股份有限公司 高密度光纤连接器的拔插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5465B1 (ko) 2008-11-05 2010-03-05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용 실내 후사경 조립장치
CN108008491A (zh) * 2018-01-12 2018-05-08 深圳市中兴新地技术股份有限公司 高密度光纤连接器的拔插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163733A1 (en) Adapter system for multi-fiber mechanical transfer type ferrule
CA2789179C (en) Managed fiber connectivity systems
CA2829085C (en) Cable strain relief clamping devices and methods for using the same
US9170379B2 (en) Optical fiber connector and assembly method therefor
US6456768B1 (en) Optical fiber cable tracing system
US20140331464A1 (en) Coupling housing connector pull tab
EP1199587A1 (en) Optical/electrical plug connector
EP1211537A2 (en) Optical/electrical jack receptacle
KR20140112058A (ko) 기계식 접속 요소를 구비한 현장 장착가능 듀플렉스 광섬유 커넥터
CN208902918U (zh) 用于多光纤光学连接器的套圈、光纤连接器及电缆组件
TWM466405U (zh) 可適用不同類型帶有可移動聯結外殼的光纖連接器的插拔裝置
KR20090032149A (ko) 광섬유 커넥터용 내부 하우징
KR200245243Y1 (ko) 광커넥터용 플라이어
CN209281010U (zh) 用于高密度配线的lc连接器跳线
KR20110004240A (ko) 현장조립형 광커넥터
US20100003002A1 (en) Robust connector enforcement
KR20120057846A (ko) 광 커넥터용 플라이어
JPH08122577A (ja) 多心細径ファイバコネクタおよびその作製に使用されるファイバ挿入用補助具および多心細径ファイバコネクタの作製方法
WO2001046733A1 (en) Fiber optic connector
KR101363079B1 (ko) 광섬유 연결장치
JP4923294B2 (ja) メカニカルスプライス
KR20050002268A (ko) 광분배함의 광커넥터 고정장치
Shimoji et al. New thin-type multifiber optical connectors for high-density arrangement
JP4236042B2 (ja) 防塵キャップ
Kaehne Making or breaking a networ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823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