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3079B1 - 광섬유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광섬유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3079B1
KR101363079B1 KR1020130040444A KR20130040444A KR101363079B1 KR 101363079 B1 KR101363079 B1 KR 101363079B1 KR 1020130040444 A KR1020130040444 A KR 1020130040444A KR 20130040444 A KR20130040444 A KR 20130040444A KR 101363079 B1 KR101363079 B1 KR 1013630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optical connector
coupling
ferrule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04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동주
Original Assignee
(주)번계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번계전 filed Critical (주)번계전
Priority to KR10201300404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30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30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30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87Anchoring optical cables to connector housings, e.g. strain relief fea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1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of the ferrule type, e.g. fibre ends embedded in ferrules, connecting a pair of fibres
    • G02B6/3825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of the ferrule type, e.g. fibre ends embedded in ferrules, connecting a pair of fibres with an intermediate part, e.g. adapter, receptacle, linking two plu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33Details of mounting fibres in ferrules; Assembly methods; Manufacture
    • G02B6/3846Details of mounting fibres in ferrules; Assembly methods; Manufacture with fibre stub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73Connectors using guide surfaces for aligning ferrule ends, e.g. tubes, sleeves, V-grooves, rods, pins, balls
    • G02B6/3874Connectors using guide surfaces for aligning ferrule ends, e.g. tubes, sleeves, V-grooves, rods, pins, balls using tubes, sleeves to align ferrules
    • G02B6/3878Connectors using guide surfaces for aligning ferrule ends, e.g. tubes, sleeves, V-grooves, rods, pins, balls using tubes, sleeves to align ferrules comprising a plurality of ferrules, branching and break-out means
    • G02B6/3879Linking of individual connector plugs to an overconnector, e.g. using clamps, clips, common housings comprising several individual connector plu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97Connectors fixed to housings, casing, frames or circuit boar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Coupling Of Light Guid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섬유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결합구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결합구 내에 설치된 제1페룰을 구비한 광어댑터와, 상기 결합구에 삽입되며, 상기 제1페룰에 연결되는 제2페룰이 마련된 광커넥터와, 상기 광커넥터를 파지하며, 상기 광커넥터의 외주면과 상기 본체의 내주면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광어댑터에 대한 상기 광커넥터의 결합상태를 유지하는 고정유닛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 연결장치는 광커넥터와 함께 광어댑터의 결합구에 삽입되는 고정유닛이 마련되어 있어 광어댑터에 대한 광커넥터의 결합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하므로 작업자가 이웃하는 다른 광커넥터를 건드리더라도 광어댑터와 광커넥터 사이에 접속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광섬유 연결장치{Optical fiber connecting device}
본 발명은 광섬유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광커넥터가 결합된 광어댑터에 삽입되어 광어댑터에 광커넥터가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광섬유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섬유는 굴절율이 높은 코어와 굴절율이 낮은 크래드로 구성되고, 반사 또는 굴절에 의해 광에너지를 전파하는 부전도성의 도파관으로 사용된다. 또 광섬유에 있어서 광신호는 코어와 크래드의 경계면에서 전반사를 반복하면서 도파되고, 크래드의 외부를 둘러싸고 있는 코팅층은 습기나 마모로부터 광섬유를 보호하는 역할을 담당함과 동시에 취급을 용이하게 한다.
상기와 같은 광섬유는 접속이 어렵고, 너무 가늘기 때문에 절단되었을 때에 수리가 어려우며, 외부 충격에 약한 문제점이 있다. 또 광섬유는 제조한계, 기기와의 연결필요성 등 때문에 광섬유의 불연속면이 반드시 존재하게 되며, 이러한 불연속면은 신호전달을 위해 반드시 연결장치부가 필요하다.
상기 연결장치부로서는 광커넥터가 사용되며, 광섬유는 광도파로가 매우 작아 정밀하게 연결되지 않으면 신호의 감쇄로 큰 증폭이 필요하거나 광원에의 불안정을 야기시킬 우려가 높다. 상기 광커넥터는 삽입손실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초정밀 생산기술에 기반을 둔 실린더 모양으로 형성된 세라믹 페룰과 슬리브와의 결합형, 초정밀 볼베어링과 원추형 페룰과의 결합형 등이 있고, 반사손실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광섬유를 포함한 페룰 단면을 연마하는 형과 굴절률 정합물질을 사용하는 형이 있다.
종래 광커넥터는 결합유지를 위하여 스프링을 사용하고 있으며, 푸쉬풀(push-pull)구조를 채택하고, 광섬유와의 결선을 위하여 결선도구를 사용한다. 상기 푸쉬풀구조는 일반적으로 사출성형에 의하여 제조되고, 결합유지력을 형성시키기 위하여 코일스프링을 사용하고 있으며, 광섬유와 광커넥터 결합은 결선용 도구를 반드시 필요로 한다. 또 플러그나 광어댑터에 고유하게 설계된 잠금기구를 가지고 있는 등 특수한 기능들을 보유한 다른 구조를 채택하는 경우도 있다.
상기 광커넥터는 광분배반이나 광분배함 등의 성단함에 연결시켜야 하고, 광분배함은 광케이블과 광전송장치 및 광중계장치 등을 상호연결 및 광케이블의 광섬유심선을 분배하기 위하여 전화국에 설치하여 운용하는 장치이다.
종래 광분배함의 중간부위에는 다수의 분배기가 횡으로 배열되고, 상기 각 분배기에는 상하로 광어댑터가 설치된다. 상기 광어댑터에는 광섬유가 연결된 광커넥터가 장착되고, 광섬유는 분배기 단위로 코드가이드에 묶여진다.
그런데 종래에 있어서 광커넥터를 광어댑터에 장착하거나 광어댑터로부터 탈거하는 경우에는 둘 사이의 고정장치가 없어, 이웃하는 다른 광커넥터를 건드림으로 인하여 광어댑터와 광커넥터 사이에 접속불량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광커넥터와 함께 광어댑터의 결합구에 삽입되어 광어댑터에 대한 광커넥터의 결합상태를 유지시키는 고정유닛이 마련된 광섬유 연결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 연결장치는 결합구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결합구 내에 설치된 제1페룰을 구비한 광어댑터와, 상기 결합구에 삽입되며, 상기 제1페룰에 연결되는 제2페룰이 마련된 광커넥터와, 상기 광커넥터를 파지하며, 상기 광커넥터의 외주면과 상기 본체의 내주면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광어댑터에 대한 상기 광커넥터의 결합상태를 유지하는 고정유닛을 구비한다.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광커넥터의 후단부에 결합되는 결합부재와, 상기 결합부재의 전방에 상기 광커넥터가 삽입되는 삽입공간이 마련되며, 상기 광커넥터가 상기 결합구에 삽입시 상기 광커넥터의 양측면에 형성된 걸림홈들에 상기 제1페룰 양측의 상기 결합구 내에 형성된 걸림훅이 인입되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결합부재의 양측부에 각각 전방으로 연장형성된 복수의 삽입부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광커넥터의 후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광커넥터에 결합된 광섬유를 감싸도록 형성된 보호커버가 삽입되어 구속될 수 있도록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은 후방으로 갈수록 외경이 축소되도록 형성된 상기 보호커버에 대응되게 후방으로 갈수록 내경이 축소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삽입부재는 상기 광어댑터에 결합된 상기 광커넥터가 상하방향으로 회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결합구의 상하방향 폭에 대응되는 길이로 상하방향으로 연장형성된다.
상기 삽입부재들의 전단부를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구부릴 수 있도록 상기 삽입부재들의 측면에 각각 형성된 복수의 손잡이를 더 구비하고, 상기 손잡이는 상기 삽입부재의 측면에 상기 삽입공간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형성된 연장부재와, 상기 연장부재의 단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작업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후방으로 소정길이 연장된 파지부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삽입부재들은 상기 광어댑터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방지되기 위해 상기 본체의 양측 내벽면에 각각 형성된 구속홈에 삽입될 수 있도록 전단부에 상기 삽입공간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된 걸림턱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 연결장치는 광커넥터와 함께 광어댑터의 결합구에 삽입되는 고정유닛이 마련되어 있어 광어댑터에 대한 광커넥터의 결합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하므로 작업자가 이웃하는 다른 광커넥터를 건드리더라도 광어댑터와 광커넥터 사이에 접속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 연결장치가 설치된 분배함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 연결장치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광섬유 연결장치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광섬유 연결장치의 손잡이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광섬유 연결장치에 대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광섬유 연결장치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에는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 연결장치(10)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광섬유 연결장치(10)는 광어댑터(20)와, 상기 광어댑터(20)에 결합되는 광커넥터(30)와, 광커넥터(30)와 함께 광어댑터(20)에 삽입되어 광어댑터(20)에 대한 광커넥터(30)의 결합상태를 견고하게 유지시키는 고정유닛(40)을 구비한다.
광어댑터(20)는 결합구(24)가 형성된 본체(21)와, 결합구(24) 내에 설치된 제1페룰(22)과, 제1페룰(22)에 인접된 위치의 본체(21) 내부에 형성된 복수의 걸림훅(23)을 구비한다.
본체(21)는 광커넥터(30)가 결합될 수 있도록 후면에 각각 상기 결합구(24)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구(24)는 전후방향으로 본체(21) 내측으로 인입되게 형성된다. 또한, 본체(21)는 좌우측면에 분배함에 고정될 수 있도록 각각 플랜지부재가 마련되어 있다. 플랜지부재에는 고정볼트에 의해 분배함에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볼트가 삽입되는 관통구가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본체(21)의 전단부에는 제1페룰(22)에 연통되게 광섬유 케이블(35)이 연결되거나 광섬유 케이블(35)이 설치된 광커넥터(30)가 결합되도록 결합구(24)가 형성될 수도 있다.
제1페룰(22)은 후술되는 광커넥터(30)의 제2페룰(32)에 결합될 수 있도록 본체(21)의 결합구(24) 내에 전후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되게 형성되며, 내부에 중공이 마련되어 있다. 이때, 제1페룰(22)은 본체(21)의 중앙부분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걸림훅(23)들은 제1페룰(22)을 중심으로 좌우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각각 형성되며, 전후방향으로 연장형성된다. 걸림훅(23)들은 후술되는 광커넥터(30)의 걸림홈(33)에 삽입될 수 있도록 단부에 걸림돌기가 제1페룰(22)에 인접되는 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있다. 이때, 걸림훅(23)들은 광커넥터(30)의 좌우방향 폭에 대응되는 길이만큼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커넥터(30)는 하우징(31), 제2페룰(32) 및 보호부재(34)를 구비한다.
하우징(31)은 본체(21)의 삽입구에 삽입되는 것으로서, 사각단면을 갖고, 전후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형성되어 있다. 하우징(31)의 양측면에는 하우징(31)이 광어댑터(20)의 결합구(24)에 결합시 걸림훅(23)이 결합될 수 있도록 걸림홈(33)들이 형성되어 있다. 걸림홈(33)은 하우징(31)의 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며, 걸림훅(23)의 걸림돌기가 인입될 수 있도록 하우징(31)의 내측으로 인입되게 형성된다.
제2페룰(32)은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하우징(31)의 전면에 설치된다. 상기 제2페룰(32)은 전후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하우징(31)의 전면 중앙부분에 설치된다. 이때, 제2페룰(32)은 하우징(31)의 후단부를 통해 내부에 설치된 광섬유 케이블(35)에 연결되어 있다.
보호부재(34)는 광커넥터(30)에 연결된 광섬유 케이블(35)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하우징(31)의 후면에 형성되어 있다. 보호부재(34)는 하우징(31)의 후방에 노출된 상기 광섬유 케이블(35)을 감싸도록 형성되며, 후방으로 갈수록 외경이 감소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보호부재(34)는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광섬유 케이블(35)을 보호할 수 있도록 소정의 탄성을 갖는 고무소재로 형성되며, 용이하게 구부러질 수 있도록 전후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는 위치에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된 다수의 만곡홈이 형성되어 있다.
고정유닛(40)은 광커넥터(30)를 파지하며, 상기 광커넥터(30)의 외주면과 본체(21)의 내주면 사이에 삽입되어 광업댑터에 대한 광커넥터(30)의 결합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하는 것으로서, 광커넥터(30)의 후단부에 결합되는 결합부재(41)와, 결합부재(41)의 양측에 형성된 복수의 삽입부재(42)를 구비한다.
결합부재(41)는 좌우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형성되며, 상면 중앙부분에는 상기 보호부재(34)가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홈(4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삽입홈(46)은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후방으로 갈수록 외경이 축소되는 보호커버에 대응되게 후방으로 갈수록 내경이 축소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때, 삽입홈(46)은 광섬유 케이블(35)이 삽입되도록 상면 일측이 절개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삽입부재(42)들은 상기 결합부재(41)의 전방에 상기 광커넥터(30)의 하우징(31)이 삽입되는 삽입공간(43)이 마련되며, 걸림홈(33)들에 삽입된 걸림훅(23)을 간섭하여 상기 걸림훅(23)이 걸림홈(33)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결합부재(41)의 양측부에 각각 전방으로 연장형성된다. 또한, 삽입부재(42)들은 상호 대향되는 내측면에 하우징(31)의 후단부가 걸릴 수 있도록 단턱부(44)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단턱부(44)는 결합부재(41)로부터 전방으로 소정길이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며, 하우징(31)의 후면 가장자리에 걸릴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때, 삽입부재(42)는 상기 광어댑터(20)에 결합된 상기 광커넥터(30)가 상하방향으로 회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결합구(24)의 상하방향 폭에 대응되는 길이로 상하방향으로 연장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삽입부재(42)는 본체(21)의 결합구(24) 내에 삽입되어 걸림홈(33)에 결합된 걸림훅(23)을 간섭하여 걸림훅(23)이 상기 걸림홈(33)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삽입부재(42)들은 작업자가 파지하여 전단부가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구부릴 수 있도록 각 삽입부재(42)들의 측면에 복수의 손잡이(5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손잡이(50)는 삽입부재(42)의 측면에 형성된 연장부재(51)와, 연장부재(51)의 단부에 후방으로 연장된 파지부재(52)를 구비한다.
연장부재(51)는 삽입공간(43)에 노출되는 삽입부재(42)의 내측면의 반대편인 외측면에, 상기 삽입공간(43)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형성된다. 이때, 연장부재(51)는 결합부재(41)로부터 소정길이 전방으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파지부재(52)는 연장부재(51)의 단부에 마련되어 작업자가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후방으로 소정길이 연장형성된다. 작업자는 삽입부재(42)들에 형성된 파지부재(52)를 파지한 다음, 가압하면 손잡이(50)가 지렛대 역할을 하여 삽입부재(42)들이 전단부가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구부러진다. 상기 손잡이(50)에 의해 작업자는 삽입부재(42)를 구부려 걸림훅(23)에 대한 삽입부재(42)의 간섭상태를 용이하게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손잡이(50)는 삽입부재(42)의 전단부 좌우측에 본체(21)의 좌우측벽이 삽입되는 인입홈이 마련될 수 있도록 연장부재(51)의 단부에 전방으로 연장된 구속부재(53)를 구비한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구성된 구속부재(53)에 의해 형성된 인입홈에 본체(21)의 좌우측 벽이 삽입되므로 삽입부재(42)가 보다 견고하게 본체(2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 연결장치(10)의 조립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광어댑터(20)의 제1페룰(22)에 광커넥터(30)의 제2페룰(32)이 연결되도록 본체(21) 결합구(24)에 광커넥터(30)의 하우징(31) 전단부를 삽입한다. 이때, 광커넥터(30)의 걸림훅(23)은 광커넥터(30)의 걸림홈(33)에 삽입된다. 다음, 삽입홈(46)의 절개된 상면을 통해 광섬유 케이블(35)을 삽입홈(46) 내에 삽입시킨다. 삽입홈(46)에 광섬유 케이블(35)이 삽입되면 광섬유 케이블(35)을 따라 고정유닛(40)을 이동시켜 삽입부재(42)를 광어댑터(20)의 결합구(24)로 삽입시킨다. 이때, 결합구(24)로 삽입된 삽입부재(42)를 광어댑터(20)의 걸림훅(23)을 간섭하여 걸림홈(33)으로부터 걸림훅(23)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 연결장치(10)는 광커넥터(30)와 함께 광어댑터(20)의 결합구(24)에 삽입되는 고정유닛(40)이 마련되어 있어 광어댑터(20)에 대한 광커넥터(30)의 결합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하므로 작업자가 이웃하는 다른 광커넥터(30)를 건드리더라도 광어댑터(20)와 광커넥터(30) 사이에 접속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5에는 본 발명에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삽입부재(142)가 도시되어 있다.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삽입부재(142)들은 전단부에 상기 삽입공간(43)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된 걸림턱(145)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본체(21)는 상기 걸림턱(145)이 삽입될 수 있도록 본체(21)의 좌우측 내측면에 각각 구속홈(146)이 형성되어 있다.
본체(21)의 결합구(24)로 삽입부재(142)가 삽입시, 삽입부재(142)의 전단부에 마련된 걸림턱(145)이 본체(21)의 구속홈(146)에 삽입되어 구속되므로 광어댑터(20)에 대한 삽입부재(142)의 결합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광섬유 연결장치
20: 광어댑터
21: 본체
22: 제1페룰
23: 걸림훅
30: 광커넥터
31: 하우징
32: 제2페룰
33: 걸림홈
34: 보호부재
40: 고정유닛
41: 결합부재
42: 삽입부재

Claims (6)

  1. 결합구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결합구 내에 설치된 제1페룰을 구비한 광어댑터와;
    상기 결합구에 삽입되며, 상기 제1페룰에 연결되는 제2페룰이 마련된 광커넥터와;
    상기 광커넥터를 파지하며, 상기 광커넥터의 외주면과 상기 본체의 내주면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광어댑터에 대한 상기 광커넥터의 결합상태를 유지하는 고정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광커넥터의 후단부에 결합되는 결합부재와,
    상기 결합부재의 전방에 상기 광커넥터가 삽입되는 삽입공간이 마련되며, 상기 광커넥터가 상기 결합구에 삽입시 상기 광커넥터의 양측면에 형성된 걸림홈들에 상기 제1페룰 양측의 상기 결합구 내에 형성된 걸림훅이 인입되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결합부재의 양측부에 각각 전방으로 연장형성된 복수의 삽입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연결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광커넥터의 후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광커넥터에 결합된 광섬유를 감싸도록 형성된 보호커버가 삽입되어 구속될 수 있도록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은 후방으로 갈수록 외경이 축소되도록 형성된 상기 보호커버에 대응되게 후방으로 갈수록 내경이 축소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연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재는 상기 광어댑터에 결합된 상기 광커넥터가 상하방향으로 회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결합구의 상하방향 폭에 대응되는 길이로 상하방향으로 연장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연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재들의 전단부를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구부릴 수 있도록 상기 삽입부재들의 측면에 각각 형성된 복수의 손잡이;를 더 구비하고,
    상기 손잡이는
    상기 삽입부재의 측면에 상기 삽입공간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형성된 연장부재와,
    상기 연장부재의 단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작업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후방으로 소정길이 연장된 파지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연결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재들은 상기 광어댑터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방지되기 위해 상기 본체의 양측 내벽면에 각각 형성된 구속홈에 삽입될 수 있도록 전단부에 상기 삽입공간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된 걸림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연결장치.












KR1020130040444A 2013-04-12 2013-04-12 광섬유 연결장치 KR1013630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0444A KR101363079B1 (ko) 2013-04-12 2013-04-12 광섬유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0444A KR101363079B1 (ko) 2013-04-12 2013-04-12 광섬유 연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3079B1 true KR101363079B1 (ko) 2014-02-17

Family

ID=502709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0444A KR101363079B1 (ko) 2013-04-12 2013-04-12 광섬유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307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1014A (ko) * 1997-08-30 1999-03-25 윤종용 컨넥터
KR20110006887U (ko) * 2009-12-31 2011-07-07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 조립체
JP4801766B2 (ja) 2009-10-01 2011-10-26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アダプタセット
JP2013029580A (ja) * 2011-07-27 2013-02-07 Sanwa Denki Kogyo Co Ltd 光コネクタプラグ誤脱防止具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1014A (ko) * 1997-08-30 1999-03-25 윤종용 컨넥터
JP4801766B2 (ja) 2009-10-01 2011-10-26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アダプタセット
KR20110006887U (ko) * 2009-12-31 2011-07-07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 조립체
JP2013029580A (ja) * 2011-07-27 2013-02-07 Sanwa Denki Kogyo Co Ltd 光コネクタプラグ誤脱防止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071065A1 (en) Adapter system for multi-fiber mechanical transfer type ferrule
US10649152B1 (en) Connector system
CN104054012B (zh) 具有用于接近及/或参考光纤套管的一或多个接近窗口的套管固持器,及相关光纤连接器组件、连接器与参考方法
CN203573006U (zh) 可重构的光纤缆线组件和光纤连接器
CN103645545B (zh) 用于光缆组件连接的连接器及连接方法
JP5688832B2 (ja) 曲げ制限ブーツ
US20150078717A1 (en) Optical fiber connector with handling member
JP6868989B2 (ja) 光コネクタプラグの引抜タブ
CN208953732U (zh) 用于多光纤光学连接器的套圈、光纤连接器和光纤电缆组件
US20170184800A1 (en) Ferrule for multi-fiber optical connector
US20140147081A1 (en) Connector systems having receptacle assembly and plug assembly
US8596884B2 (en) Optical fiber mechanical splice connector systems and methods of coupling optical fibers
US20220196922A1 (en) Ferrule Push
US20150117820A1 (en) Optical fiber adapter with shutter member
CN112099157B (zh) 多芯光纤连接头、多芯光纤适配器及多芯光纤连接组件
KR101363079B1 (ko) 광섬유 연결장치
US20210181433A1 (en) Cover for a fiber optic ferrule and ferrule push
US10802219B2 (en) Optical attenuator
US11156787B2 (en) Optical connector
JP5716007B2 (ja) 成端処理用キット及び光ファイバケーブルの成端方法
KR200245243Y1 (ko) 광커넥터용 플라이어
US20230417999A1 (en) Optical-fiber connector with a protective cap and standard connector
EP4296736A1 (en) Optical-fiber connector with a protective cap and standard connector
EP4073565A1 (en) Cover for a fiber optic ferrule and ferrule push
KR20050002268A (ko) 광분배함의 광커넥터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