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57846A - 광 커넥터용 플라이어 - Google Patents

광 커넥터용 플라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57846A
KR20120057846A KR1020100119374A KR20100119374A KR20120057846A KR 20120057846 A KR20120057846 A KR 20120057846A KR 1020100119374 A KR1020100119374 A KR 1020100119374A KR 20100119374 A KR20100119374 A KR 20100119374A KR 20120057846 A KR20120057846 A KR 201200578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optical connector
head
bar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93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홍식
김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001193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57846A/ko
Publication of KR201200578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78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6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installing or repairing optical fibres or optical cables
    • G02B6/56Processes for repairing optical cables
    • G02B6/564Repair s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7/00Pliers; Other hand-held gripping tools with jaws on pivoted limbs; Details applicable generally to pivoted-limb hand tool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39Auxiliary devices
    • G02B6/444Systems or boxes with surplus lengths
    • G02B6/4452Distribution fram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6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installing or repairing optical fibres or optical cab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Coupling Of Light Guid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 커넥터용 플라이어에 관한 것으로, 손이 잘 들어가지 않는 좁은 성단함 등에서 광 커넥터의 탈/장착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광 커넥터용 플라이어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광 커넥터용 플라이어에 있어서, 제 1 손잡이부와, 상기 제 1 손잡이부에서 연장된 제 1 헤드부와, 상기 제 1 헤드부에서 절곡 돌출된 제 1 절곡부가 형성된 제 1 집게부를 구비한 제 1 바; 제 2 손잡이부와, 상기 제 2 손잡이부에서 연장된 제 2 헤드부와, 상기 제 2 헤드부에서 절곡 돌출된 제 2 절곡부가 형성된 제 2 집게부를 구비한 제 2 바; 및 상기 제 1 바와 상기 제 2 바를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힌지핀을 구비하되, 상기 제 1 절곡부는, 제 1 홈 및 제 1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절곡부는, 제 2 홈 및 제 2 돌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광 커넥터용 플라이어{Plier for the connector of optical fiber}
본 발명은 광 커넥터용 플라이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손이 잘 들어가지 않는 좁은 성단함 등에서 광 커넥터의 탈/장착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광 커넥터용 플라이어에 관한 것이다.
사회가 복잡해지면서 인간사회는 다양한 정보 속에서 삶을 영위하게 되어 많은 정보량을 빨리 전달받아야 할 필요성을 절실하게 느끼게 되었고, 이를 위하여 빛에 의한 정보전송 매체로 광섬유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광섬유는 반사 또는 굴절에 의해 광 에너지를 전파하는 부전도성의 도파관으로 굴절율이 높은 코어와 굴절율이 낮은 크래드로 구성되어 있다.
광신호는 코어와 크래드의 경계면에서 전반사를 반복하면서 도파하고, 크래드의 외부를 둘러싸고 있는 코팅은 습기나 마모로부터 광섬유를 보호하는 역할과 동시에 취급을 용이하게 한다.
이러한 광섬유는 접속이 어렵고, 너무 가늘어서 끊어졌을 때 수리가 어려우며 외부 충격에 약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광섬유는 기기와의 연결 필요성 때문에 불연속면이 반드시 존재하게 되며, 이러한 불연속면은 신호 전달을 위해 반드시 연결장치가 필요하다.
이와 같은 연결장치로서 광 커넥터가 사용되며, 광섬유는 광도파로가 매우 작아서 매우 정밀하게 연결되지 않으면 신호의 감쇄로 많은 증폭이 필요하거나 광원의 불안정을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현재 세계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광 커넥터는 삽입손실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초정밀 생산기술에 기반을 둔 실린더 모양으로 된 세라믹 페룰과 슬리브의 결합형, 초정밀 볼베어링과 원추형 페룰의 결합형이 있고, 반사손실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광섬유를 포함한 페룰 단면을 연마하는 형과 굴절률 정합 물질을 사용하는 형이 있다.
이러한 광 커넥터들은 결합 유지를 위하여 스프링을 사용하고 있으며, 구조상 푸쉬풀(push-pull)구조를 채택하고 있고, 광섬유와의 결선을 위하여 결선도구를 사용하고 있다.
푸쉬풀 결합구조는 가장 일반적으로 사출성형에 의하여 제조되지만 현재는 결합유지력을 형성시키기 위하여 코일스프링을 사용하고 있으며, 광섬유와 광 커넥터 결합은 결선용 도구를 반드시 필요로 한다.
또한 플러그나 광어댑터에 고유하게 설계된 잠금 기구를 가지고 있는 등 특수한 기능들을 보유한 다른 구조를 채택하고 있다.
광 커넥터는 광분배반이나 광분배함과 같은 성단함에 광섬유를 연결한다. 이때 광분배반(FDF : Fiber Distribution Frame)은 광가입자의 변경과 등록을 자유롭게 할 수 있도록 가입자 광전송장치 또는 중간단자와 외부 광선로간의 연결, 분배 및 절체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전화국에 설치하여 운용할 수 있는 장치이고, 광분배함(OFD : Optical Fiber Distribution)은 광케이블과 광전송장치 및 광중계장치들을 상호연결 및 광케이블의 광섬유심선을 분배하기 위해 전화국에 설치하여 운용하는 장치이다.
도 1 은 이러한 광분배함의 일실시예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분배함(1)의 중간 부위에 다수의 분배기(2)가 횡으로 배열되고, 분배기(2)에는 상/하로 광어댑터(3)가 설치된다.
상기 광어댑터(3)에는 광섬유(7)가 연결된 광 커넥터(4)가 장착되고, 광섬유(7)는 분배기(2) 단위로 코드 가이드(5)에 의해 고정된다.
또한 상기 광 커넥터(4)의 외면에는 공구나 손으로 잡았을 때 미끄러지지 않고 잡을 수 있도록 요철(4a)이 형성되고 미설명 부호 6은 광케이블이다.
그런데, 이러한 광 커넥터(4)를 광어댑터(3)에 장착하거나 광어댑터(3)로부터 탈착하는 경우에 종래에는 광 커넥터(4)의 요철(4a) 부위를 손으로 잡고 탈/장착을 하였다.
그러나, 광 커넥터를 손으로 잡고 광어탭터로부터 탈/장착하는 경우에는, 손이 잘 들어가지 않는 좁은 공간(예를 들어 광분배함)의 분배기(2)에 광 커넥터(4)를 탈/장착하여야 하기 때문에, 첫째 탈/장착 작업이 매우 어렵고, 둘째 이웃의 다른 광 커넥터를 건드림으로 인해서 외부 충격에 약한 광섬유(7)가 고장발생의 우려가 있으며, 셋째 원하지 않는 광 커넥터를 탈착하는 경우가 발생할 뿐만 아니라 손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손이 잘 들어가지 않는 좁은 성단함 등에서 광 커넥터의 탈/장착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광 커넥터용 플라이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광 커넥터용 플라이어에 있어서, 제 1 손잡이부와, 상기 제 1 손잡이부에서 연장된 제 1 헤드부와, 상기 제 1 헤드부에서 절곡 돌출된 제 1 절곡부가 형성된 제 1 집게부를 구비한 제 1 바; 제 2 손잡이부와, 상기 제 2 손잡이부에서 연장된 제 2 헤드부와, 상기 제 2 헤드부에서 절곡 돌출된 제 2 절곡부가 형성된 제 2 집게부를 구비한 제 2 바; 및 상기 제 1 바와 상기 제 2 바를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힌지핀을 구비하되, 상기 제 1 절곡부는, 제 1 홈 및 제 1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절곡부는, 제 2 홈 및 제 2 돌출부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손이 잘 들어가지 않는 좁은 성단함 등에서 광 커넥터의 탈/장착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일반적인 광분배함의 일실시예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광 커넥터용 플라이어에 대한 일실시예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광 커넥터용 플라이어를 이용하여 광 커넥터를 광분배함의 광어댑터에 탈/장착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일예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이용되는 광 커넥터에 대한 일예시도이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명확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광 커넥터용 플라이어에 대한 일실시예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 커넥터용 플라이어는, 서로 닮은 형상의 상/하 한 쌍의 바(100, 200)와, 그리고 상기 한 쌍의 바(100, 200)를 서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힌지핀(300)을 구비한다.
하부 바(100)와 상부 바(200)는 작업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부(110, 210)와, 상기 손잡이부(110, 210)에서 연장되며 직사각 단면 형상의 헤드부(120, 220)와, 상기 헤드부(120, 220)에서 절곡되어 돌출된 형상의 집게부(130, 230)를 구비한다.
손잡이부(110, 210)에는 작업자가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외측면에 각각 손가락 홈(110a, 210a)이 형성되며, 작업자가 파지하여 작업한 후 탄성 복원될 수 있도록 스프링 예컨대, 압축코일 스프링(400)을 걸어 연결할 수 있도록 내측 면에 스프링 좌부(110b, 210b)가 돌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압축코일 스프링은 탄성 수단으로서 그 일예를 도시한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다양하게 변경 채용될 수 있으며, 후술하는 광커넥터의 작업시 탄성 복원될 수 있는 것이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작업자의 손이 파지되었을 때 촉감을 좋게 하고 손바닥에 가해지는 반발력이 감소하도록 손잡이부(110, 210)는 고분자 수지(111, 211) 등으로 피복한다.
손잡이부(110, 120)에서 연장된 헤드부(120, 220)의 일단에는 힌지홀(미도시)이 형성되며, 이러한 힌지홀에 힌지핀(300)이 삽입되고 리벳팅 작업 등을 하면, 상기 한 쌍의 바는 힌지핀(300)을 중심으로 서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하부 바(100)의 헤드부(120)의 일측에는 상부로 절곡 돌출된 걸림턱(140)이 형성되며, 그 타측 단부에는 후술하는 광 커넥터를 집을 수 있도록 상부로 절곡 돌출된 집게부(130)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걸림턱(140)은 상부 바(200)의 회동을 일정 범위 내로 제한한다.
하부 바(100)의 집게부(130)는 헤드부(120)에서 90°로 절곡된 제 1 절곡부(131)와, 상기 제 1 절곡부(131)의 면에 위치한 제 1 홈(132), 및 상기 제 1 절곡부(131)의 면에 위치한 제 1 돌출부(133)를 포함한다.
상부 바(200)의 집게부(230)는 헤드부(220)에서 90°로 절곡된 제 2 절곡부(231)와, 상기 제 2 절곡부(231)의 면에 위치한 제 2 홈(232), 및 상기 제 2 절곡부(231)의 면에 위치한 제 2 돌출부(233)를 포함한다. 여기서, 하부 바(100)와 상부 바(200)는 상호 대칭적인 구조를 갖는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광 커넥터용 플라이어를 이용하여 광 커넥터를 광분배함의 광어댑터에 탈/장착하는 상태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광분배함의 분배기(2)에 상하로 조밀하게 설치된 광어댑터(3)에 광 커넥터(4)를 장착하거나 분리하기 위해서, 플라이어의 집게부(130, 230) 사이에 광 커넥터를 집어 물리게 된다.
플라이어의 집게부(130, 230)에 광 커넥터를 물리는 경우, 손잡이부(110, 210)가 탄성수단 즉, 압축 코일 스프링(400)의 탄성력과 걸림턱(140)에 의해 광 커넥터(4)가 삽입될 수 있도록 서로 소정 간격으로 항시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광 커넥터(4)가 집게부(130, 230) 사이에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손잡이부(110, 210)에 힘을 주면 힌지핀(300)을 중심으로 헤드부(120, 220)가 회동하여 집게부(130, 230)의 홈(132, 232)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광 커넥터(4)의 돌출부(30a, 30b)가 인입되고, 광 커넥터(4)의 몸통 끝단이 집게부(130, 230)의 돌출부(133, 233)에 밀착되어 플라이어에 집게부(130, 230)가 광 커넥터(4)를 물게 된다.
이때, 집게부(130, 230)의 홈(132, 232)은 광 커넥터(4)를 광어댑터(3)에 탈/장착하는데 이용되고, 집게부(130, 230)의 돌출부(133, 233)는 광 커넥터(4)를 광어댑터(3)에 장착하는데 이용된다.
이와 같이, 플라이어의 집게부(130, 230) 사이에 광 커넥터(4)를 집어 물린 상태에서, 조밀하게 고정 설치되어 있는 광 어댑터(3)에 용이하게 장착하게나 분리할 수 있으며, 또한 좁은 장소 또는 상대적으로 내부에 설치된 광어댑터(3)에 주변의 광 커넥터(4)를 건드리지 않고서도 용이하게 작업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110,210 : 손잡이부 120,220 : 헤드부
130,230 : 집게부 140 : 걸림턱
300 : 힌지핀 400 : 스프링

Claims (3)

  1. 광 커넥터용 플라이어에 있어서,
    제 1 손잡이부와, 상기 제 1 손잡이부에서 연장된 제 1 헤드부와, 상기 제 1 헤드부에서 절곡 돌출된 제 1 절곡부가 형성된 제 1 집게부를 구비한 제 1 바;
    제 2 손잡이부와, 상기 제 2 손잡이부에서 연장된 제 2 헤드부와, 상기 제 2 헤드부에서 절곡 돌출된 제 2 절곡부가 형성된 제 2 집게부를 구비한 제 2 바; 및
    상기 제 1 바와 상기 제 2 바를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힌지핀을 구비하되,
    상기 제 1 절곡부는,
    제 1 홈 및 제 1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절곡부는,
    제 2 홈 및 제 2 돌출부를 구비하는 광 커넥터용 플라이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손잡이부와 상기 제 2 손잡이부 사이에서 일 회동을 탄성 복원시키는 탄성 수단과;
    상기 제 2 헤드부의 회동을 제한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 헤드부의 일측에서 절곡 돌출된 걸림턱
    을 더 구비하는 광 커넥터용 플라이어.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손잡이부와 상기 제 2 손잡이부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는 손가락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커넥터용 플라이어.
KR1020100119374A 2010-11-29 2010-11-29 광 커넥터용 플라이어 KR2012005784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9374A KR20120057846A (ko) 2010-11-29 2010-11-29 광 커넥터용 플라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9374A KR20120057846A (ko) 2010-11-29 2010-11-29 광 커넥터용 플라이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7846A true KR20120057846A (ko) 2012-06-07

Family

ID=466095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9374A KR20120057846A (ko) 2010-11-29 2010-11-29 광 커넥터용 플라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5784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87584B2 (en) * 2019-04-25 2022-03-29 Sumitomo Electric Industries, Ltd. Connector removal too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87584B2 (en) * 2019-04-25 2022-03-29 Sumitomo Electric Industries, Ltd. Connector removal too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071065A1 (en) Adapter system for multi-fiber mechanical transfer type ferrule
US10473864B2 (en) Managed fiber connectivity systems
US9829653B1 (en) Optical connector and adapter system for a dual-ferrule connector
US20140331464A1 (en) Coupling housing connector pull tab
TWM466405U (zh) 可適用不同類型帶有可移動聯結外殼的光纖連接器的插拔裝置
US9170379B2 (en) Optical fiber connector and assembly method therefor
WO2013104125A1 (en) Field mountable duplex optical fiber connector with mechanical splice elements
CN208953732U (zh) 用于多光纤光学连接器的套圈、光纤连接器和光纤电缆组件
WO2009045689A3 (en) Splice holder for communication socket
KR20120057846A (ko) 광 커넥터용 플라이어
KR200245243Y1 (ko) 광커넥터용 플라이어
KR20120123942A (ko) 원통형 커넥터용 플라이어
KR101363079B1 (ko) 광섬유 연결장치
CN212872983U (zh) 一种光电分离的光纤活动连接器
TW202230922A (zh) 可現場組裝之光電共模纜線及其自動化生產方法
KR20050002268A (ko) 광분배함의 광커넥터 고정장치
TW202119075A (zh) 光學連接器及修飾光學連接器之方法
Shimoji et al. New thin-type multifiber optical connectors for high-density arrangement
JP2003315630A (ja) 光コネク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