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4476Y1 - 선반용 앵글의 브라켓 체결 구조 - Google Patents

선반용 앵글의 브라켓 체결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4476Y1
KR200244476Y1 KR2020010015077U KR20010015077U KR200244476Y1 KR 200244476 Y1 KR200244476 Y1 KR 200244476Y1 KR 2020010015077 U KR2020010015077 U KR 2020010015077U KR 20010015077 U KR20010015077 U KR 20010015077U KR 200244476 Y1 KR200244476 Y1 KR 2002444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fastening
shelf
support
ho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50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천수
Original Assignee
임천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천수 filed Critical 임천수
Priority to KR20200100150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447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44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4476Y1/ko

Links

Landscapes

  • Furniture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각종 물품의 보관 및 케이블을 편리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된 선반용 앵글의 브라켓 체결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선반을 구성하는 지주와 선반받침용 브라켓의 체결 구조를 개선하여 줌으로써, 선반의 조립 및 해체 작업이 용이하게 되고, 선반 사용도중 물품의 하중에 의해 상기 브라켓이 지주상에서 헛돌지않고 견고한 조립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선반용 앵글의 브라켓 체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는 소정간격 이격되어 다수의 체결공이 형성되는 지주와; 상기 체결공중 적어도 2개이상의 체결공에 볼트 및 너트와 같은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고정되는 한쌍의 브라켓된 것에 있어서,
상기 지주(10)는 ' ㄱ '자 형상으로 절곡형성되어 그 일측 절곡부(12)에는 길이방향으로 소정간격 만큼 이격되도록 다각형 형상으로 된 다수개의 제1체결공(12a)이 형성되고 그 타측 절곡부(14)에는 등간격의 제1고정공(14a)이 다수개 형성되며;
상기 브라켓(20)은 선단에서부터 후방으로 소정길이만큼 상부로 절곡형성된 지지부(24)와 이 지지부(24)상면에 다수개의 제2고정공(24a)이 관통형성되고, 상기 브라켓(20)의 후방에는 상기 지주(10)의 일측 절곡부(12)에 형성된 제1체결공(12a)과 맞대어지도록 동일형상의 다각형으로 된 제2체결공(22a)이 적어도 2개이상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볼트(30)는 일측에 머리부(32)가 형성되고, 그 타측으로 나사부(34)가 형성된 통상의 볼트(30)로서, 상기 머리부(32) 일측에는 상기 제1체결공(12a)과 제2체결공(22a)을 통해 결합될 수 있도록 다각형 형상의 결합부(32)가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선반용 앵글의 브라켓 체결 구조{a combination structure of a ledge's bracket}
본 고안은 각종 물품의 보관 및 케이블을 편리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된 선반용 앵글의 브라켓 체결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선반을 구성하는 지주와 선반 받침용 브라켓의 체결 구조를 개선하여 줌으로써, 상기 지주와 브라켓의 조립 및 해체작업이 용이하게 되고, 선반의 견고한 결합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게 되므로, 사용자의 선반 사용에 따른 안전성 및 편리성이 제공되는 선반용 앵글의 브라켓 체결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물품 및 케이블을 벽면에 보관하기 위해 설치되는 조립식 선반은 길이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다수의 체결공이 형성되는 지주와; 상기 체결공중 적어도 2개이상의 체결공에 볼트 및 너트와 같은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고정되는 한쌍의 브라켓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를 설치하고자 할 때에는 먼저 상기지주를 별도의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벽면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상기 지주의 체결공과 브라켓을 체결공을 통해 통상의 볼트를 삽입하여 너트로 고정시켜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선반은 지주의 길이방향으로 다수개 형성된 체결공과 이에 결합되는 브라켓의 체결공이 통상적인 원형으로 형성되어 볼트와 너트로 고정설치되기 때문에, 선반 사용도중 물품의 하중에 의해 그 체결부위가 쉽게 이격되거나 헛돌게 되어 선반이 하부로 쳐지게 되는등 상기 물품의 고정상태를 견고하게 유지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이 갖는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길이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다수개의 제1체결공이 형성되는 지주와; 상기 제1체결공에 맞대어 볼트와 너트로 고정설치되도록 복수개의 제2체결공이 형성된 브라켓으로 구성되되, 상기 각각의 체결공 및 볼트의 머리부 일측에 형성된 결합부를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시켜 줌으로써, 선반 조립설치시 상기 다각형 형상의 체결공과 이에 결합되는 볼트에 의해 상기 브라켓이 지주상에서 헛돌지 않고 견고한 조립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되므로, 물품의 하중에 의한 브라켓의 쳐짐을 방지하고 이에 따른 선반의 사용수명을 연장할 수 있게 될 뿐만아니라, 선반의 조립 및 해체작업이 매우 용이하게 되는 선반용 앵글의 브라켓 체결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선반용 앵글의 브라켓 체결구조는 ' ㄱ'자 형상으로 절곡형성되며, 일측 절곡부에 길이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다수개의 제1체결공이 형성되고, 그 타측 절곡부에 다수개의 제1고정공이 형성된 지주와; 선단에서부터 후방으로 소정길이 만큼 상부로 절곡형성되어 그 상부면에 다수개의 제2고정공이 관통형성되고, 후방으로 상기 제1체결공과 동일형상으로 된 제2체결공이 복수개 형성된 브라켓과; 상기 제1체결공 및 제2체결공을 통해 결합되고 머리부 일측에 형성된 결합부가 상기 각 체결공에 결합되도록 동일형상의 다각형으로 형성된 볼트 및 너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평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설치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선반 10 : 지주
12 : 일측 절곡부 12a : 제1체결공
14 : 타측 절곡부 14a : 제1고정공
15 : 고정수단 20 : 브라켓
22a : 제2체결공 24 : 지지부
24a : 제2고정공 30 : 볼트
32 : 머리부 32a : 결합부
34 : 나사부 40 : 너트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를 나타내는 것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를 나타내는 것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요부 확대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도시한 사용상태도를 나타내는 것이다.
먼저 도 1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다수의 체결공이 형성되는 지주와; 상기 체결공중 적어도 2개이상의 체결공에 볼트 및 너트와 같은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고정되는 한쌍의 브라켓된 것에 있어서,
상기 지주(10)는 ' ㄱ '자 형상으로 절곡형성되어 그 일측 절곡부(12)에는 길이방향으로 소정간격 만큼 이격되도록 다수개의 제1체결공(12a)이 형성되고 그타측 절곡부(14)에는 등간격의 제1고정공(14a)이 다수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1체결공(12a)은 사각형 형상으로 관통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브라켓(20)은 선단에서부터 후방으로 소정길이만큼 상부로 절곡형성된 지지부(24)와 이 지지부(24)상면에 다수개의 제2고정공(24a)이 관통형성되고, 상기 브라켓(20)의 후방에는 상기 지주(10)의 일측 절곡부(12)에 형성된 제1체결공(12a)과 맞대어지도록 동일형상으로 된 제2체결공(22a)이 적어도 2개이상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볼트(30)는 일측에 머리부(32)가 형성되고, 그 타측으로 나사부(34)가 형성된 통상의 볼트(30)로서, 상기 머리부(34) 일측에는 상기 제1체결공(12a)과제2체결공(22a)을 통해 결합될 수 있도록 사각형상의 결합부(32a)가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본 고안의 실시예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제1체결공(12a) 및 제2체결공(22a)과 볼트(30)의 결합부(32a)형상을 사각형 형상으로만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변형실시가 가능하여 삼각형 또는 오각형등과 같은 다각형 형상으로 제작할 수 도 있는 것으로, 이러한 단순한 형태변형에 의한 고안은 본 출원인의 권리범위에 귀속됨을 밝혀둔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조립 및 설치에 따른 작용을 실시예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주(10) 및 브라켓(20)을 복수개 구비한 상태에서 먼저, 상기 지주(10)를 그 타측 절곡부(14)에 형성된 제1고정공(14a)을 통해 나사못 또는 콘크리트못등과 같은 고정수단(15)을 이용하여 선반(1)을 설치하고자 하는 벽면의 양측으로 소정간격 이격하여 견고하게 고정시킨 다음, 상기 각 지주(10) 일측 절곡부(12)에 형성된 제1체결공(12a)의 내측으로 상기 브라켓(20)의 제2체결공(22a)이 각각 맞대어 지도록 하여 상기 볼트(30)와 너트(40)로 고정시켜 주면 선반(1)의 조립 및 설치가 완료된다.
이때 상기 볼트(30)의 머리부(32) 일측에 형성된 사각형상의 결합부(32a)가 상기 제1체결공(12a)과 제2체결공(22a)을 통해 삽입되어 그 타측으로 결합되는 너트(40)에 의해 고정설치되기 때문에, 상기 선반(1)의 상부에 고정되는 물품의 하중에 의해 상기 브라켓(20)의 결합부위가 헛돌거나 쉽게 이격되지 않고 견고한 고정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선반(1)의 전체적인 높낮이를 조절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 브라켓(20)을 고정하고 있는 볼트(30)와 너트(40)를 풀어 상기 브라켓(20)을 원하는 높이로 이동시킨 다음, 다시 상기 볼트(30)와 너트(40)로 고정시켜 주면 되는 것으로, 선반(1)의 높낮이 조절이 매우 간단 용이하게 된다.
또한 상기 선반(1)의 위치를 이동시키거나 해체하고자 할 때에도 상기 지주(10) 에 고정되어 있는 브라켓(20)의 볼트(30)와 너트(40)를 간단하게 풀어 상기 브라켓(20)을 분리한 다음, 상기 지주(10)를 고정하고 있는 고정수단(15)을 해체하여 주면 되므로, 상기 선반(1)의 이동설치 및 해체작업이 매우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은 벽면에 설치되어 물품을 보관할 수 있는 선반(1)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지하철 승강장의 벽면에 설치되어 케이블을 지지하기 위해 사용할 수 도 있는 것으로, 그 쓰임용도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매우 다양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선반용 앵글의 브라켓 체결구조에 의하면,
다각형상을 갖는 다수개의 제1체결공이 형성되는 지주와, 상기 제1체결공과 동일한 형상을 갖는 제2체결공이 형성된 브라켓을 서로 맞대어 볼트와 너트로 고정설치하되, 상기 볼트의 머리부 일측에 다각형 형상의 결합부를 형성하여 상기 결합부가 상기 제1체결공 및 제2체결공에 삽입되도록 하여 결합시켜 줌으로써, 선반의조립 및 해체 작업이 용이하게 되고, 선반 조립설치시 상기 다각형 형상의 체결공과 이에 결합되는 볼트에 의해 상기 브라켓이 물품의 하중에 의해 지주상에서 헛돌지 않고 견고한 조립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되므로, 선반 사용에 따른 안전성이 우수하게 제공되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소정간격 이격되어 다수의 체결공이 형성되는 지주와; 상기 체결공중 적어도 2개이상의 체결공에 볼트 및 너트와 같은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고정되는 한쌍의 브라켓된 것에 있어서,
    상기 지주(10)는 ' ㄱ'자 형상으로 절곡형성되어 그 일측 절곡부(12)에는 길이방향으로 소정간격 만큼 이격되도록 다각형 형상으로 된 다수개의 제1체결공(12)이 형성되고 그 타측 절곡부(14)에는 등간격의 제1고정공(14)이 다수개 형성되며;
    상기 브라켓(20)은 선단에서부터 후방으로 소정길이만큼 상부로 절곡형성된 지지부(24)와 이 지지부(24)상면에 다수개의 제2고정공(24a)이 관통형성되고, 상기 브라켓(20)의 후방에는 상기 지주(10)의 일측 절곡부(12)에 형성된 제1체결공(12a)과 맞대어지도록 동일형상의 다각형으로 된 제2체결공(22a)이 적어도 2개이상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볼트(30)는 일측에 머리부(32)가 형성되고, 그 타측으로 나사부(34)가 형성된 통상의 볼트로서, 상기 머리부(32) 일측에는 상기 제1체결공(12a)과 제2체결공(22a)을 통해 결합될 수 있도록 다각형 형상의 결합부(32)가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용 앵글의 브라켓 체결구조.
KR2020010015077U 2001-05-22 2001-05-22 선반용 앵글의 브라켓 체결 구조 KR20024447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5077U KR200244476Y1 (ko) 2001-05-22 2001-05-22 선반용 앵글의 브라켓 체결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5077U KR200244476Y1 (ko) 2001-05-22 2001-05-22 선반용 앵글의 브라켓 체결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4476Y1 true KR200244476Y1 (ko) 2001-10-29

Family

ID=731018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5077U KR200244476Y1 (ko) 2001-05-22 2001-05-22 선반용 앵글의 브라켓 체결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447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0274B1 (ko) 2015-09-04 2015-12-24 안중원 무볼트 조립식 선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0274B1 (ko) 2015-09-04 2015-12-24 안중원 무볼트 조립식 선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5211415B2 (en) Suspended storage shelf
CN211421550U (zh) 稳装型吊顶结构
US7407152B2 (en) Fencing system and post insert for use therewith
KR100841565B1 (ko) 브라켓을 이용한 건물 외벽의 패널 고정구조
KR200244476Y1 (ko) 선반용 앵글의 브라켓 체결 구조
GB2259242A (en) Mounting bracket
KR101004003B1 (ko) 선반의 기둥과 횡대의 연결구조
KR101281159B1 (ko) 이중바닥판용 지지대 어셈블리
RU173708U1 (ru) Крепежный узел для строительных конструкций
KR200400991Y1 (ko) 접근방지용 안전 휀스 지지구
KR200350314Y1 (ko) 펜스 조립체
KR200406220Y1 (ko) 메쉬휀스용 지주
KR200473219Y1 (ko) 선반 고정핀 및 그 선반 고정핀을 이용한 조립식 선반 조립체
KR0130757Y1 (ko) 선반 및 진열대 지지용 지주
RU144162U1 (ru) Клиновый узел для крепления строительных конструкций
KR101293688B1 (ko) 건물 외장재 설치용 빔
CN218602973U (zh) 电力电气柜的电气元件锁定结构及包含其的电力电气柜
KR100675082B1 (ko) 조립식 난간(組立式 欄干)
KR101336668B1 (ko) 트러스 조립체
KR200357142Y1 (ko) 조립식 난간(組立式 欄干)
KR200213057Y1 (ko) 석공사 건식시공용 앵글
JP2000144881A (ja) デッキ付パーゴラ
KR970002896Y1 (ko) 보강편(補强片)을 갖는 조립식 지주(組立式 支柱)
KR100593756B1 (ko) 조립식 난간(組立式 欄干)
KR20220112063A (ko) 시스템 벽선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810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