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3220Y1 - 선반 고정 와이어 및 그 선반 고정 와이어를 이용한 조립식 선반 조립체 - Google Patents

선반 고정 와이어 및 그 선반 고정 와이어를 이용한 조립식 선반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3220Y1
KR200473220Y1 KR2020120011196U KR20120011196U KR200473220Y1 KR 200473220 Y1 KR200473220 Y1 KR 200473220Y1 KR 2020120011196 U KR2020120011196 U KR 2020120011196U KR 20120011196 U KR20120011196 U KR 20120011196U KR 200473220 Y1 KR200473220 Y1 KR 2004732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f
fixing
horizontal support
shelves
vertical pos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111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3503U (ko
Inventor
이정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샘
Priority to KR20201200111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3220Y1/ko
Publication of KR2014000350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350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32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322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6Brackets or similar supporting means for cabinets, racks or she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6Brackets or similar supporting means for cabinets, racks or shelves
    • A47B96/061Cantilever brack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14Bars, uprights, struts, or like supports, for cabinets, brackets, or the like
    • A47B96/1408Bars, uprights, struts, or like supports, for cabinets, brackets, or the like regularly perforated

Landscapes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조립식 선반 조립체의 선반 고정 와이어를 개시한다.
선반 고정 와이어는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수직으로 설치되는 복수개의 수직 포스트에 수평으로 복수개의 수평 지지 브래킷이 결합된 조립식 선반 조립체에서, 상기 선반을 상기 수평 지지 브래킷에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선반과 상기 수평 지지 포스트 사이에 설치되는 조립식 선반 조립체의 선반 고정 와이어에 있어서는, 상기 선반의 하면에 형성된 핀 결합 홈 안에 결합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에서 하방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수평 지지 브래킷에 지지되는 텐션 지지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선반 고정 와이어 및 그 선반 고정 와이어를 이용한 조립식 선반 조립체{SHELF FIXING WIRE AND PREFABRICATED SHELF ASSEMBLY USING THE SAME}
본 고안은 선반 고정 와이어 및 선반 고정 와이어를 이용한 조립식 선반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선반을 고정하기 위한 볼트와 그 볼트를 조이거나 풀기 위한 별도의 공구(工具)를 사용하지 않아도 선반을 손쉽고 안전하게 설치 및 분해할 수 있는 선반 고정 와이어 및 그 선반 고정 와이어를 이용한 조립식 선반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장식장 또는 수납장, 진열장 등의 제조를 위해 기존 목재 등의 재료에 의한 생산보다는 상대적으로 가격이 비교적 저렴한 견고한 스틸을 이용하여 수직앵글체와 선반체로 구성되는 각각의 부속품을 결합수단 등으로 상호 조립, 벽면체 등에 입설 조립하여 조립의 간편화와 이동시 분해가 가능함과 사용상 편의성 등에 의해 공장 내의 부품 진열장이나 대형 마트 등의 상품진열장 등에 주로 조립/설치되어 사용되고 있다.
조립식 선반 조립체는 적정간격으로 이격된 상태의 지점으로부터 각각 입설되는 수직 앵글체와 각각의 수직 앵글체를 횡간, 구획하여 상품이나 물품 등을 적재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선반체로 구성되고, 수직 앵글체와 선반체 간에 각각 천공된 통공 사이로 볼트와 너트 등의 결합수단을 이용하여 체결 조립하는 것이 통상적이다.
조립식 선반 조립체는 선반 고정방식에 따라 브래킷 상부에 선반을 얹는 방식, 볼트로 선반을 고정하는 방식, 선반을 슬라이드 고정하는 방식 등이 있다.
종래 앵글선반 조립체에서는 수직 앵글이 수직으로 설치되고, 수평 앵글의 결합 돌기를 수직 앵글의 결합 홈 안에 끼워서 수직 앵글에 수평 앵글을 수평으로 조립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수평 앵글 위에는 선반이 얹혀지고, 선반의 고정을 위해서 선반에는 볼트가 체결되도록 구성된다.
통상적으로 선반 조립체는 사용 조건에 따라 선반의 이동 및 연장 설치 작업을 빈번히 하게 되는데, 종래 조립식 선반 조립체의 경우에는 선반이 볼트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선반의 이동 및 연장 설치 작업을 위해서 매번 공구(工具)를 이용하여 볼트를 풀고 다시 조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와 같이 종래 조립식 선반 조립체는 선반을 설치 또는 분리할 때마다 선반을 고정하기 위한 볼트와 그 볼트를 조이거나 풀기 위한 별도의 공구, 예를 들어 드라이버 또는 스패너를 이용해야 하므로, 선반 설치 및 분리가 불편하고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됨은 물론 안전 사고의 위험이 있다.
등록번호 제20-0228609호 및 제20-0458090호
본 고안은 선반과 수평 지지 포스트 사이에 제1 선반 고정 핀을 설치하고, 선반과 스탠딩 포스트 레그 사이에 제2 선반 고정 핀을 설치함으로써, 선반을 고정하기 위한 볼트와 그 볼트를 조이거나 풀기 위한 별도의 공구(工具)를 사용하지 않아도 선반을 손쉽고 안전하게 설치 및 분해할 수 있는 선반 고정 와이어 및 그 선반 고정 와이어를 이용한 조립식 선반 조립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선반 고정 와이어는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수직으로 설치되는 복수개의 수직 포스트에 수평으로 복수개의 수평 지지 브래킷이 결합된 조립식 선반 조립체에서, 상기 선반을 상기 수평 지지 브래킷에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선반과 상기 수평 지지 포스트 사이에 설치되는 조립식 선반 조립체의 선반 고정 와이어로서, 상기 선반의 하면에 형성된 핀 결합 홈 안에 결합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에서 하방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수평 지지 브래킷에 지지되는 텐션 지지부를 포함한다.
한편, 본 고안의 선반 고정 와이어를 이용하는 조립식 선반 조립체는 물건을 올려놓기 위한 선반,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수직으로 설치되는 복수개의 수직 포스트, 상기 선반을 수평으로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수직 포스트의 중간 부분에 수평으로 결합하는 복수개의 수평 지지 브래킷, 상기 선반을 상기 수평 지지 브래킷에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선반을 상기 수평 지지 포스트에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선반 고정 와이어, 상기 수직 포스트의 하측 부분에 수평으로 결합하는 스탠딩 포스트 레그, 및 상기 선반을 상기 스탠딩 포스트 레그에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선반과 상기 스탠딩 포스트 레그 사이에 설치되는 선반 고정 핀을 포함한다.
상기 수직 포스트는 연결 바에 의해서 세울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직 포스트는 볼트에 의해서 벽체에 고정될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선반 고정 와이어는 상기 선반의 하면에 형성된 핀 결합 홈 안에 결합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에서 하방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수평 지지 브래킷에 지지되는 텐션 지지부로 구성된다.
상기 선반 고정 핀은 상기 스탠딩 포스트 레그의 상부에 결합하도록 하부에 형성되는 캡 형상의 고정부, 및 상기 선반의 하면에 형성된 핀 결합 홈 안에 결합하도록 상기 고정부의 상면에 돌출 형성되는 삽입부로 구성된다.
상기 선반 고정 핀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고정부의 내측 면에 고정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 돌기와 상응하도록 상기 스탠딩 포스트 레그의 양측 면에 고정 홈이 형성된다.
상기 스탠딩 포스트 레그의 하면에는 높이 조절 부가 설치되는 데, 상기 높이 조절 부는 상기 스탠딩 포스트 레그의 하면에 스크류 결합되는 구조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선반을 수평 지지 포스트에 지지하는 선반 고정 와이어를 설치하고, 선반과 스탠딩 포스트 레그 사이에 선반 고정 핀을 설치함으로써, 볼트를 고정하거나 풀기 위하여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지 않아도 선반을 손쉽고 안전하게 설치하거나 분해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선반 고정 와이어와 선반 고정 핀의 방향전환이 가능하므로 선반의 단독 설치 및 선반조합에 따른 확장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선반 조립체를 보인 것으로, 직립형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선반 조립체를 보인 것으로, 벽체 고정형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선반 조립체에 있어서 선반 고정 와이어를 보인 사시도
도 4a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선반 조립체에 있어서 선반 고정핀에서 센터형 고정핀을 보인 사시도
도 4b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선반 조립체에 있어서 선반 고정핀에서 일반형 고정핀을 보인 사시도
도 5a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선반 조립체에 있어서 선반 고정 와이어를 이용한 선반 고정구조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 5b는 도 5a의 결합 사시도
도 6a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선반 조립체에 있어서 선반과 선반의 연결부분에서 2개의 선반 고정 와이어를 이용한 선반 고정구조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 6b는 도 6a의 분리 사시도
도 7a는 2종류의 선반 고정핀 중에서 고정형 고정핀을 이용한 선반 고정구조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 7b는 도 7a의 결합 사시도
도 8a는 2종류의 선반 고정핀 중에서 일반형 고정핀을 이용한 선반 고정구조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 8b는 도 8a의 결합 사시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선반 고정 와이어 및 그 선반 고정 와이어를 이용한 조립식 선반 조립체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선반 조립체를 보인 것으로 직립형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선반 조립체를 보인 것으로 벽체 고정형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선반 조립체에 있어서 선반 고정 와이어를 보인 사시도, 도 4a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선반 조립체에 있어서 선반 고정핀에서 센터형 고정핀을 보인 사시도, 도 4b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선반 조립체에 있어서 선반 고정핀에서 일반형 고정핀을 보인 사시도, 도 5a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선반 조립체에 있어서 선반 고정 와이어를 이용한 선반 고정구조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 5b는 도 5a의 결합 사시도, 도 6a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선반 조립체에 있어서 선반과 선반의 연결부분에서 2개의 선반 고정 와이어를 이용한 선반 고정구조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 6b는 도 6a의 분리 사시도, 도 7a는 2종류의 선반 고정핀 중에서 고정형 고정핀을 이용한 선반 고정구조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 7b는 도 7a의 결합 사시도, 도 8a는 2종류의 선반 고정핀 중에서 일반형 고정핀을 이용한 선반 고정구조를 보인 분리 사시도 그리고, 도 8b는 도 8a의 결합 사시도이다.
위 첨부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선반 고정 와이어를 이용한 조립식 선반 조립체(100)는 물건을 올려놓기 위한 다수개의 선반(110)과,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수직으로 고정 설치되는 복수개의 수직 포스트(120)를 구비한다.
상기 수직 포스트(120)는 연결 바(101) 및 보강 바(102)를 이용하여 벽체 없이 세울 수 있는 직립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고(도 1 참조), 볼트 혹은 스크류(B)에 의해서 벽체(W)에 고정될 수 있는 벽체 고정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도 2 참조).
직립형 구조에서는 후술하는 스탠딩 포스트 레그(150)가 반드시 필요하고, 벽체 고정형 구조에서는 스탠딩 포스트 레그(150)는 선택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직립형 구조의 상기 수직 포스트(120)는 사각 단면을 갖는 형상이고, 벽체 고정형 구조의 상기 수직 포스트(120)는 "ㄷ"자 단면을 갖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벽체 고정형 구조는 벽체(W)에 고정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직립형 구조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직립형 구조의 조립식 선반 조립체(100)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상기 수직 포스트(120)의 높이는 선반(110)의 설치 갯수에 따라 그 길이는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수직 지지 브래킷(120)의 전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결합 홈(121)이 형성된다.
선반(110)을 수평으로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수직 포스트(120)에 복수개의 수평 지지 브래킷(130)이 수평으로 설치된다.
상기 결합 홈(121) 안에 결합하도록 상기 수평 지지 브래킷(130)의 끝단에는 결합 돌기(131) 및 위치 고정 돌기(131a)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 돌기(131) 및 위치 고정 돌기(131a)가 결합 홈(121) 안에 걸리는 구조에 의해서 상기 수평 지지 브래킷(130)은 상기 수직 포스트(120)에 수평으로 조립된다.
상기 수평 지지 브래킷(130)은 상하로 위치하는 선반(110) 간의 간격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선반(110)을 상기 수평 지지 브래킷(130)에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선반(110)과 상기 수평 지지 브래킷(130)을 연결하는 위치에는 선반 고정 와이어(140)가 설치된다.
상기 선반 고정 와이어(140)는 상기 선반(110)의 하면에 형성된 핀 결합 홈(111) 안에 결합하는 고정부(141), 및 상기 고정부(141)에서 하방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수평 지지 브래킷(130)에 고정되는 텐션 지지부(142)로 구성된다.
상기 선반 고정 와이어(140)는 합성수지 혹은 스틸 플레이트로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텐션 지지부(142)는 탄성 변형이 가능하여, 상기 선반(110)을 상기 수평 지지 브래킷(130)에 탄력적이고 견고하게 고정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수평 지지 브래킷(130)의 일측면에는 상기 텐션 지지부(142)에 접촉되어 상기 선반 고정 와이어(140)의 위치를 고정하는 스토퍼(130a)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직 포스트(120)의 최 하측에는 수평으로 결합하는 스탠딩 포스트 레그(150)가 설치되고, 상기 스탠딩 포스트 레그(150)에 상기 선반(110)을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선반(110)과 상기 스탠딩 포스트 레그(150) 사이에 선반 고정 핀(160)이 설치된다.
상기 스탠딩 포스트 레그(150)의 끝단에는 수직 포스트(120)의 결합 홈(121) 안에 결합하기 위한 결합 돌기(151)가 형성된다.
상기 스탠딩 포스트 레그(150)의 하면에는 높이 조절 부(152)가 설치되는 데, 상기 높이 조절 부(152)는 상기 스탠딩 포스트 레그(150)의 하면에 스크류 결합되는 구조이다.
상기 선반 고정 핀(160)은 상기 스탠딩 포스트 레그(150)의 상부에 결합하도록 하부에 형성되는 캡 형상의 고정부(161), 및 상기 선반(110)의 하면에 형성된 핀 결합 홈(111) 안에 결합하도록 상기 고정부(161)의 상면에 돌출 형성되는 삽입부(162)로 구성된다.
상기 선반 고정 핀(160)은 삽입부(162)의 갯수에 따라 센터형 고정핀(도 4a 참조)과 일반형 고정핀(도 4b 참조)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선반 고정 핀(160)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고정부(161)의 내측 면에 고정 돌기(161a)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 돌기(161a)와 상응하도록 상기 스탠딩 포스트 레그(150)의 양측 면에 고정 홈(150a)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선반 고정 와이어 및 그 선반 고정 와이어를 이용한 조립식 선반 조립체의 작용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조립식 선반 조립체(100)의 조립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2개의 수직 포스트(120)를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수직으로 고정 설치한다. 수직 포스트(120)는 상하의 연결 바(101) 및 보강 바(102)에 의해서 벽체 없이 세울 수 있다.
상기 수직 포스트(120)의 높이는 선반(110)의 설치 갯수에 따라 그 길이는 적절히 조절한다.
상기 수직 포스트(120)의 결합 홈(121) 안에 상기 수평 지지 브래킷(130)의 상기 결합 돌기(131) 및 위치 고정 돌기(131a)를 삽입하여 상기 수평 지지 브래킷(130)의 위치를 수평으로 고정한다.
그 다음, 상기 선반 고정 와이어(140)의 고정부(141)를 상기 선반(110)의 하면에 형성된 핀 결합 홈(111) 안에 결합한다.
그 다음, 선반(110)을 수평으로 위치시키고, 선반(110)의 위치를 정렬한 다음에 수평 지지 브래킷(130)에 텐션 지지부(142)를 걸어서 탄력적으로 지지한다.
상기 선반 고정 와이어(140)에 의해서 선반(110)이 수평 지지 브래킷(130)에 탄력적으로 고정됨으로써, 선반(110)의 위치가 고정된다. 이때, 스토퍼(130a)에 상기 텐션 지지부(142)가 접촉되어 선반(110)이 유동이 발생하지 않고, 다시 말해 수평 지지 브래킷(130)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유동 없이 견고하게 설치된다.
그 다음, 상기 수직 포스트(120) 최 하측에, 상기 수직 포스트(120)의 결합 홈(121) 안에 상기 스탠딩 포스트 레그(150)의 상기 결합 돌기(151)를 걸어서 상기 스탠딩 포스트 레그(150)의 위치를 수평으로 고정한다.
그 다음, 상기 선반 고정 핀(160)의 삽입부(162)를 상기 선반(110)의 하면에 형성된 핀 결합 홈(111) 안에 결합한 후, 선반(110)을 수평으로 위치시키고, 상기 선반 고정 핀(160)의 고정부(161)를 상기 스탠딩 포스트 레그(150)의 상부에 결합한다.
이때, 상기 스탠딩 포스트 레그(150)의 양측 면에 형성된 고정 홈(150a) 안에 상기 고정부(161)의 내측 면에 고정 돌기(161a)가 삽입됨으로써, 상기 선반 고정 핀(160)의 위치가 견고하게 고정된다.
상기 스탠딩 포스트 레그(150)의 하면에 설치된 높이 조절 부(152)를 시계 혹은 반 시계 방향으로 돌려서 상기 스탠딩 포스트 레그(150)를 높이를 적당하게 맞출 수 있다.
이하, 조립식 선반 조립체(100)의 분리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텐션 지지부(142)를 수평 지지 브래킷(130)으로부터 분리하고, 선반(110)을 들어올린다. 이때 선반(110) 하면에 결합된 선반 고정 와이어(140)도 선반(110)과 함께 들어 올려진다. 상기 선반 고정 와이어(140)를 선반(110)으로부터 분리한다.
상기 수평 지지 브래킷(130)의 상기 결합 돌기(131)를 상기 수직 포스트(120)의 결합 홈(121)에서 빼내어 상기 수평 지지 브래킷(130)을 수직 포스트(120)로부터 분리한다. 그 다음, 연결 바(101) 및 상기 보강 바(102)를 수직 포스트(120)로부터 분리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선반을 수평 지지 포스트에 지지하는 선반 고정 와이어를 설치하고, 선반과 스탠딩 포스트 레그 사이에 선반 고정 핀을 설치함으로써, 볼트를 고정하거나 풀기 위하여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지 않아도 선반을 손쉽고 안전하게 설치하거나 분해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선반 고정 와이어와 선반 고정 핀의 방향전환이 가능하므로 선반의 단독 설치 및 선반 연결에 따른 확장이 가능하다.
본 고안은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을 통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100: 조립식 선반 조립체
101: 연결 바
102: 보강 바
110: 선반
111: 핀 결합 홈
120: 수직 포스트
121: 결합 홈
130: 수평 지지 브래킷
130a: 스토퍼
131: 결합 돌기
131a: 고정 돌기
140: 선반 고정 와이어
141: 고정부
142: 텐션 지지부
150: 스탠딩 포스트 레그
150a: 고정 홈
151: 결합 돌기
152: 높이 조절 부
160: 선반 고정 핀
161: 캡 형상의 고정부
161a: 고정 돌기
162: 삽입부

Claims (10)

  1. 삭제
  2. 물건을 올려놓기 위한 선반;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수직으로 설치되는 복수개의 수직 포스트;
    상기 선반을 수평으로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수직 포스트의 중간 부분에 수평으로 결합하는 복수개의 수평 지지 브래킷; 및
    상기 선반을 상기 수평 지지 브래킷에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선반을 상기 수평 지지 포스트에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선반 고정 와이어;를 포함하되,
    상기 수직 포스트는 연결 바에 의해서 세울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 고정 와이어를 이용하는 조립식 선반 조립체.
  3. 물건을 올려놓기 위한 선반;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수직으로 설치되는 복수 개의 수직 포스트;
    상기 선반을 수평으로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수직 포스트의 중간 부분에 수평으로 결합하는 복수 개의 수평 지지 브래킷; 및
    상기 선반을 상기 수평 지지 브래킷에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선반을 상기 수평 지지 포스트에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선반 고정 와이어;를 포함하되,
    상기 수직 포스트의 하측 부분에 수평으로 결합하는 스탠딩 포스트 레그; 및
    상기 선반을 상기 스탠딩 포스트 레그에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선반과 상기 스탠딩 포스트 레그 사이에 설치되는 선반 고정 핀;을 더 포함하는 선반 고정 와이어를 이용하는 조립식 선반 조립체.
  4. 삭제
  5. 물건을 올려놓기 위한 선반;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수직으로 설치되는 복수 개의 수직 포스트;
    상기 선반을 수평으로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수직 포스트의 중간 부분에 수평으로 결합하는 복수 개의 수평 지지 브래킷; 및
    상기 선반을 상기 수평 지지 브래킷에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선반을 상기 수평 지지 포스트에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선반 고정 와이어;를 포함하되,
    상기 수직 포스트는 볼트에 의해서 벽체에 고정될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 고정 와이어를 이용하는 조립식 선반 조립체.
  6.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 고정 와이어는
    상기 선반의 하면에 형성된 핀 결합 홈 안에 결합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에서 하방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수평 지지 브래킷에 지지되는 텐션 지지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 고정 와이어를 이용하는 조립식 선반 조립체.
  7.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 고정 핀은
    상기 스탠딩 포스트 레그의 상부에 결합하도록 하부에 형성되는 캡 형상의 고정부; 및
    상기 선반의 하면에 형성된 핀 결합 홈 안에 결합하도록 상기 고정부의 상면에 돌출 형성되는 삽입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 고정 와이어를 이용하는 조립식 선반 조립체.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 고정 핀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고정부의 내측 면에 고정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 돌기와 상응하도록 상기 스탠딩 포스트 레그의 양측 면에 고정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 고정 와이어를 이용하는 조립식 선반 조립체.
  9.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탠딩 포스트 레그의 하면에는 높이 조절 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 고정 와이어를 이용하는 조립식 선반 조립체.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 조절 부는 상기 스탠딩 포스트 레그의 하면에 스크류 결합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 고정 와이어를 이용하는 조립식 선반 조립체.
KR2020120011196U 2012-12-03 2012-12-03 선반 고정 와이어 및 그 선반 고정 와이어를 이용한 조립식 선반 조립체 KR2004732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1196U KR200473220Y1 (ko) 2012-12-03 2012-12-03 선반 고정 와이어 및 그 선반 고정 와이어를 이용한 조립식 선반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1196U KR200473220Y1 (ko) 2012-12-03 2012-12-03 선반 고정 와이어 및 그 선반 고정 와이어를 이용한 조립식 선반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3503U KR20140003503U (ko) 2014-06-11
KR200473220Y1 true KR200473220Y1 (ko) 2014-06-17

Family

ID=514902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11196U KR200473220Y1 (ko) 2012-12-03 2012-12-03 선반 고정 와이어 및 그 선반 고정 와이어를 이용한 조립식 선반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3220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1407Y1 (ko) * 2000-07-14 2001-01-15 박선애 높이조절이 용이한 조립식 다단선반
KR200428983Y1 (ko) * 2006-08-02 2006-10-17 이조코리아(주) 높이 및 넓이 조절이 가능한 신발 수납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1407Y1 (ko) * 2000-07-14 2001-01-15 박선애 높이조절이 용이한 조립식 다단선반
KR200428983Y1 (ko) * 2006-08-02 2006-10-17 이조코리아(주) 높이 및 넓이 조절이 가능한 신발 수납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3503U (ko) 2014-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19394A (en) Railing construction
US6920831B2 (en) Shelf structure
KR101391455B1 (ko) 무볼트 조립식 선반 및 이를 이용한 무볼트 조립식 선반의 조립방법
KR101375599B1 (ko) 드레스 룸 시스템용 자립형 가구
US6427855B2 (en) Modular display system
KR200474283Y1 (ko) 선반 지지장치
US7407152B2 (en) Fencing system and post insert for use therewith
US20050045787A1 (en) Suspension system
JP2019170999A (ja) 組立式棚
KR20140134546A (ko) 조립식 앵글 진열대
KR20180131781A (ko) 앵글선반프레임
KR20190000828U (ko) 장식커버가 구비된 조립식 앵글
KR20190068430A (ko) 조립식 랙 선반
KR200473409Y1 (ko) 조립식 진열대
KR200482530Y1 (ko) 앵글선반프레임
KR20090012177U (ko) 조립식 선반
KR200473219Y1 (ko) 선반 고정핀 및 그 선반 고정핀을 이용한 조립식 선반 조립체
KR102092858B1 (ko) 가구용 철재 프레임 연결구조
KR101797641B1 (ko) 조립식 앵글 선반
KR200473220Y1 (ko) 선반 고정 와이어 및 그 선반 고정 와이어를 이용한 조립식 선반 조립체
KR20160133080A (ko) 조립식 테이블 프레임
KR200425226Y1 (ko) 테이블의 조립구조
KR101990044B1 (ko) 조립식 선반 어셈블리
KR102155891B1 (ko) 탄력 계지식 조립구조를 갖는 확장형 인테리어 선반
EP1656049B1 (en) A system for detachable suspension of shelv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