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4450Y1 - 파이프 연결구 - Google Patents

파이프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4450Y1
KR200244450Y1 KR2020010014428U KR20010014428U KR200244450Y1 KR 200244450 Y1 KR200244450 Y1 KR 200244450Y1 KR 2020010014428 U KR2020010014428 U KR 2020010014428U KR 20010014428 U KR20010014428 U KR 20010014428U KR 200244450 Y1 KR200244450 Y1 KR 2002444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connector
connecting pipe
pipes
elastic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44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길
Original Assignee
김형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형길 filed Critical 김형길
Priority to KR20200100144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445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44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4450Y1/ko

Links

Landscapes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파이프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양측이 개구된 원통형상으로 구성되며, 두개의 연결구를 상호 용접시킴에 의해 연결부(102) 단부를 직각으로 형성시킨 ㄱ자형상의 연결관체(100)와; 상기 연결관체(100)의 내부에 형성되며, 연결관체(100)의 내측부분으로 돌출형성되어 연결관체(100) 내부로 삽입되는 파이프의 누름압력에 의해 탄성적으로 유동되는 탄성돌출편(11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파이프 연결구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이에 따라, 연결관체의 연결부 단부가 직각으로 형성되어 파이프를 결합하는 경우 파이프 결합을 규격화 시킴과 동시에 파이프가 안정되게 결합되어 무단이탈이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파이프 연결구{connector of pipe}
본 고안은 파이프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연결구의 단부가 직각이 되도록 구성됨과 동시에 관체 내부에 탄성돌출편이 형성되어 설치시 규격화되며 안정된 결합을 하는 파이프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이프는 베란다용 난간대, 상품진열대 및 건축내장재로 사용된다. 그리고 상기 파이프를 연결하기 위해서는 파이프 연결구가 연결되어야 하는 바, 통상 파이프 연결구는 내구성과 외관 유지 목적을 위하여 비철금속인 스테인레스관으로 시공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종래기술에 따른 파이프 연결구는 주로 동일 재질의 유니온 관체나 T형 관체 또는 엘보형 연결관체를 동일한 직경으로 채용하여 이를 시공시에 수평관체나 수직관체에 접합한 후, 용접을 시행하고 용접부 표면의 요철부분을 일일이 연마가공하여 난간대의 시공을 완성하는 형태로 구성되었다.
그러나 상기의 종래기술은 파이프의 시공에 따른 인력의 소모가 많고 시공능률이 저하되며 이를 차후에 해체시킬 때는 기 설치된 파이프 전부를 폐기처분 하여야 하는 등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다.
또 다른 종래기술은 대한민국특허청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96-14699호 및 일본국특허청 공개실용신안공보 소60-166728호에 소개되었다.
상기 종래기술은 연결구의 내경에 파이프의 외경이 대응되도록 하여 연결구 결합부에 파이프를 결합시키는 형태로 구성되었다.
그러나 상기의 종래기술은 연결구의 단부가 소정 라운드지도록 구성됨에 의해 파이프가 결합되어 설치되는 경우에 규격화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연결구에 파이프가 결합되는 경우에 파이프가 연결구로 부터 무단이탈되는 경우가 있으며, 무단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용접하는 경우에는 해체시 파이프 전체가 손상을 입게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파이프 연결구의 단부가 직각으로 형성되어 규격화가 용이하며, 파이프가 연결구에 삽입되는 경우 파이프와 연결구를 안정되게 결합시키는 파이프 연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1 - 본 고안에 따른 파이프 연결구의 사시도.
도2 - 파이프 연결구의 단면도.
도3 - 연결관체의 형성모습을 보인도.
도4 - 보조연결관체가 일측면에 형성된 모습을 보인 단면도.
도5 - 보조연결관체가 양측면에 형성된 모습을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연결관체 101 : 경사면
102 : 연결부 103 : 통공
110 : 탄성돌출편 120 : 보조연결관체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양측이 개구된 원통형상으로 구성되며, 두개의 연결구를 상호 용접시킴에 의해 연결부 단부를 직각으로 형성시킨 ㄱ자형상의 연결관체와; 상기 연결관체의 내부에 형성되며, 연결관체의 내측부분으로 돌출형성되어 연결관체 내부로 삽입되는 파이프의 누름압력에 의해 탄성적으로 유동되는 탄성돌출편;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파이프 연결구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여기서, 상기 연결관체는, 연결관체의 외주면에 돌출형성된 보조연결관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파이프를 연결하는 경우, 특히 적층되는 경우에는 전체형상이 규격화되며, 연결된 파이프의 무단이탈이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파이프 연결구의 사시도이고, 도2는 단면도이며, 도3은 연결관체의 형성모습을 보인도이고, 도4는 보조연결관체가 일측면에 형성된 모습을 보인 단면도이며, 도5는 보조연결관체가 양측면에 형성된 모습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파이프 연결구는 크게 연결관체(100)와,탄성돌출편(110)으로 구성된다.
먼저 연결관체(100)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연결관체(100)는 ㄱ자형상의 관형상으로 구성되며 양측이 개구된 형태로 구성된다.
상기 연결관체(100)의 형성은 파이프를 소정의 길이로 절단한 후 파이프의 일측부를 경사지게 절단시켜 경사면(101)이 형성된 연결구를 형성시킨다. 연결구가 형성되면 연결구의 경사면(101)을 서로 대응시킨 후, 경사면(101)을 따라 서로간에 용접시킴에 의해 연결부(102)가 형성됨과 동시에 연결관체(100)가 완성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연결관체(100)는 연결부(102)의 단부가 직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연결관체(100)에 파이프를 결합시키는 경우 파이프가 직각으로 교차됨에 의해 파이프가 적층되는 경우 규격화가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관체(100) 내부로는 파이프가 삽입결합되는 바, 파이프는 탄성돌출편(110)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탄성돌출편(110)은 일단은 상기 연결관체(100) 내주면에 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연결관체(100)의 내측부분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즉, 탄성돌출편(110)의 일단은 상기 연결관체(100)와 일체로 형성되며 타단으로 가면서 상기 연결관체(100)의 내측부분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되어 파이프가 상기 연결관체(100) 내부로 삽입결합되는 경우, 탄성돌출편(110)이 탄성력에 의해 상기 파이프의 외주면에 내측압력을 가하여 파이프가 연결관체(100)로 부터 무단 이탈되는 것을 방지시킨다.
여기서 상기 탄성돌출편(110)은 상기 연결관체(100)를 절개하여 내측부분으로 함몰시킨 것으로, 상기 연결관체(100)에는 탄성돌출편(110)에 대응되는 위치에 통공(103)이 형성된다.
위에서는 상기 파이프 연결구가 엘보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파이프 연결구의 일면에 연결관체를 결합시켜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즉, 상기 파이프 연결구의 일면에 양측이 개구된 대략 원통형상의 보조 연결관체(120)를 용접결합시킴에 의해 3구형상의 연결관체(100)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보조연결관체(120)의 내주면에도 탄성돌출편(110)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연결관체(10))의 타면에도 보조연결관체(120)를 용접하여도 무방하며, 상기와 같이 구성되면 4구 연결관체(100)가 형성된다. 이때에도 상기 보조연결관체(120) 내부에는 탄성돌출편(110)이 형성된다.
상기의 구성에 의한 작동효과는 후술하는 바와 같다.
먼저 사용자는 파이프를 소정의 길이로 절단하여 일면이 경사지게 절단된 경사면(101)을 형성시킨다. 그런 다음 경사면(101)을 대응시켜 서로간에 용접시켜 연결관체(100)를 완성시킨다.
이때 상기 연결관체(100)의 내주면에는 탄성돌출편(110)이 형성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탄성관체(100)의 개구부를 통하여 파이프를 결합시키게 되면 탄성돌출편(110)이 상기 파이프의 외주면에 소정의 압력을 가함에 의해 파이프가 무단 이탈되는 것을 방지시킨다.
상기의 구성에 의한 본 고안은 연결관체의 연결부 단부가 직각으로 형성되어 파이프를 결합하는 경우 파이프 결합을 규격화 시키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파이프를 결합시켜 파이프가 안정되게 결합됨과 동시에 무단이탈이 방지되는 효과가 또한 있다.

Claims (2)

  1. 양측이 개구된 원통형상으로 구성되며, 두개의 연결구를 상호 용접시킴에 의해 연결부(102) 단부를 직각으로 형성시킨 ㄱ자형상의 연결관체(100)와;
    상기 연결관체(100)의 내부에 형성되며, 연결관체(100)의 내측부분으로 돌출형성되어 연결관체(100) 내부로 삽입되는 파이프의 누름압력에 의해 탄성적으로 유동되는 탄성돌출편(110);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체(100)는, 연결관체(100)의 외주면에 돌출형성된 보조연결관체(12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구.
KR2020010014428U 2001-05-17 2001-05-17 파이프 연결구 KR2002444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4428U KR200244450Y1 (ko) 2001-05-17 2001-05-17 파이프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4428U KR200244450Y1 (ko) 2001-05-17 2001-05-17 파이프 연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4450Y1 true KR200244450Y1 (ko) 2001-10-29

Family

ID=730542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4428U KR200244450Y1 (ko) 2001-05-17 2001-05-17 파이프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445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86723B2 (en) Pipe fixing system and pipe fastening device
KR200244450Y1 (ko) 파이프 연결구
KR100881351B1 (ko) 이탈 방지구조로 이루어진 확관단부를 갖는 관
JP2007138980A (ja) 管継手
KR102474154B1 (ko) 철근 커플러
US20040061334A1 (en) Plug-in connector for plumbing fixtures
KR20040077996A (ko) 메카니컬 접합 및 kp메카니컬 접합의 접합관 이탈방지구조
US20030116965A1 (en) Pipe connection device
KR200301978Y1 (ko) 분기관 결합구조
KR20100094048A (ko) 플랜지 타입 메카니컬 조인트
KR100493329B1 (ko) 파이프 연결구
JPH10238675A (ja) 離脱防止リング
KR100308547B1 (ko) 철근연결구
KR200300312Y1 (ko) 관의 클램프 밴드식 연결구조
JP2002295735A (ja) フランジ化粧カバー
KR20190055280A (ko) 철근이음장치
KR200354984Y1 (ko) 연결관의 결합구조
KR100942370B1 (ko) 수도관의 교체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수전어셈블리의 구조
JPH10238673A (ja) 離脱防止型継ぎ輪
KR200285533Y1 (ko) 배관용 분기관 연결 피팅
KR200400411Y1 (ko) 관체 연결용 카트리지
KR100497305B1 (ko) 철근 이음구
KR200242186Y1 (ko) 파이프 연결구
JP2007303147A (ja) 竪樋の取付具及びこれを用いた竪樋の取付構造。
KR200206336Y1 (ko) 관체 연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80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