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3563Y1 - 회전의자 - Google Patents

회전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3563Y1
KR200243563Y1 KR2020010010846U KR20010010846U KR200243563Y1 KR 200243563 Y1 KR200243563 Y1 KR 200243563Y1 KR 2020010010846 U KR2020010010846 U KR 2020010010846U KR 20010010846 U KR20010010846 U KR 20010010846U KR 200243563 Y1 KR200243563 Y1 KR 2002435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ron piece
rotating shaft
piece
present
wel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08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혁구
Original Assignee
박혁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혁구 filed Critical 박혁구
Priority to KR20200100108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356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35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3563Y1/ko

Links

Landscapes

  • Chairs Characterized By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회전의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좌대와 회전축의 견고한 결합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좌대(30)저면에 부착된 연결철편(40)의 저부에 중간지지철편(50) 및 양단에 상향절곡편(61)을 갖는 하부지지철편(60)을 소정의 간격을 두고 순차 구성한 다음, 상기 각 철편 중앙에는 회전축의 외경과 동일한 직경의 구멍(a)을 천공하는 한편, 상기 각 구멍으로 회전축의 상단을 끼워 용착, 고정한 것으로 즉, 본 고안은 회전축의 상단부를 상호 적당한 간격을 유지한 연결철편 및 중간지지철편, 그리고 하부지지철편에 의해 3중 지지구조로 구성됨에따라 회전축의 지지력을 더욱 견고히 보강하게 되며 또한 회전축이 구멍의 내주연에 1차 지지되는 구조로서 회전축에서 발생하는 충격이 각 용접부위에 직접 가해지지 않도록 한 구조이다.
본 고안은 회전축과 좌대의 결합상태가 양호하여 우수한 내구성을 가짐에 따라 유지보수비의 절감 및 회전의자의 교체시기를 연장하게 되므로 매우 경제적이다.

Description

회전의자 {Swivel Chair}
본 고안은 회전의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좌대와 이 좌대에 결합되어 기대상에서 회전자재하는 회전축의 견고한 결합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회전의자는 방향전환이 자유로워 사용이 극히 편리한 반면 가격이 비싼편이므로 구입시 다소 경제적인 부담이 따른다. 따라서 사용도중 훼손될 경우 새로구입하기에도 여의치 못하므로 구입후 세심한 관리가 요망된다. 그러나 회전의자의 장기간 사용시 노후가 초래되고 특히 어린이나 학생이 사용할 경우 행동이 산만하여 전후좌우로 빈번하게 움직일 뿐 아니라 관리가 제대로 되지 않아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의 회전의자는 도 3에서 도시하고 있는바, 기대(100)내측에 회전축(200)이 회전자재하게 결합되고 회전축(200)의 상단부가 좌대(300)의 저면 의 좌대프레임(301)에 구성된 연결철편(400)에 단순히 용접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와같은 구조는 역학적으로 볼 때 좌대(300)의 가장자리에서 가해지는 하중에 대하여 회전축(200)과 좌대(300)의 연결부위, 즉 용접부위의 지지력이 매우 취약하므로 좌대(300)의 전후좌우 움직임이나 충격에 의해 상기 용접부위가 탈리되어 좌대(300)와 회전축(200)이 쉽게 이완되게 된다. 이는 좌대(300)저면에 구성된 연결철편(400)에 회전축(200)의 상부 말단 한곳만 용접되어 있고 또 상호 단순히 접면 상태에서 용접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축(200)에서 발생하는 충격이 그 용접부위에 직접 가해질 뿐 아니라 특히 좌대(300)의 가장자리에서 발생하는 대각선 방향으로의 하중에 대한 대응구조가 결여되어 있어 용접부위가 장기간 견고히 유지할 수 없다. 그리고 상기 용접부위를 매우 강력하게 구성할 경우에는 상기한 바와같은 하중에 의해 회전축(200)이 휘어지는 등 회전의자의 손상을 빨리 초래한다. 따라서 종래에는 상기 용접부위의 탈리에 따른 재용접 내지는 회전축(200)의 교정 등 잦은 보수로 인하여 과중한 유지보수비의 지출을 초래하고 있으며 궁극적으로는 회전의자의 교체시기를 단축시키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회전축과 좌대의 결합구조를 보강함으로서 회전의자의 유지 보수비를 줄이고 내구성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좌대 저면에 부착된 연결철편의 저부에 중간지지철편 및 하부지지철편을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순차 구성하고 상기 각 철편 중앙에는 회전축의 외경과 동일한 직경의 구멍을 천공하는 한편, 상기 각 구멍으로 회전축의 상단을 끼워 그 연접부위를 용착, 고정한 것으로 즉, 본 고안은 회전축의 상단부를 상기 연결철편 및 중간지지철편, 그리고 하부지지철편에 의해 상호 적당한 간격을 유지한 상태에서 3중의 지지구조를 제공함으로서 회전축의 지지력을 더욱 견고히 보강하고자 하며 또한 회전축이 구멍의 내주연에 1차 지지되는 구조로서 회전축에서 발생하는 충격이 각 용접부위에 직접 가해지지 않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요부확대한 일부 종단면도
도 3은 종래 회전의자의 요부 종단면도
< 도면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기대 20 : 회전축
30 : 좌대 31 : 좌대프레임
40 : 연결철편 50 : 중간지지철편
60 : 하부지지철편 61 : 상향절곡편
a : 구멍
기대(10)내측에 회전자재하게 결합된 회전축(20)과, 좌대후레임(31)의 상면에 안착, 고정된 좌대(30), 그리고 회전축(20)의 상단을 좌대후레임(31)중앙의 연결철편(40)에 용착하여된 통상의 회전의자에 있어서, 연결철편(40)의 저부에는 상기 좌대후레임(31)저면에 용착되는 중간지지철편(50)을 구성하고 중간지지철편(50)의 저부에는 양단의 상향절곡부(61)로 용착된 하부지지철편(60)을 구성하는 한편, 연결철편(40) 및 중간지지철편(50), 그리고 하부지지철편(60)의 중앙에는 회전축 (20)의 외경과 일치하는 구멍(a)을 천공하여 이에 회전축(20)의 상단부를 관통하여 그 연접부위를 용착, 고정하여된 구조이며, 이와함께 본 고안은 연결철편(40) 및 중간지지철편(50) 그리고 하부지지철편(60)이 회전의자의 좌대(30)저부에 상호 적당한 간격(H)(H')을 유지하면서 순차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연결철편(40)과 중간지지철편(50)은 그 사이의 양쪽에 위치한 좌대프레임(31)에 의해 소정의 간격(H)이 유지되고 있으며 중간지지철편(50)과 하부지지철편(60)은 하부지지철편(60)의 양단을 절곡한 상향절곡편(61)에 의해 소정의 간격(H')이 유지된다. 또한 하부지지철편(60)의 양단에 형성된 상향절곡편(61)의 상하 길이는 좌대프레임(31)의 외직경보다 길게 구성되므로 중간지지철편(50)과 하부지지철편(60)사이의 간격(H')은 연결철편(40)과 중간지지철편(50)사이의 간격(H)보다 다소 크게 형성된다. 이는 수직상의 회전축(20)에 가해지는 하중, 특히 대각선상으로 가해지는 하중에 대하여 효과적으로 대응하기위한 바람직한 구성이 될 수 있으며 역학적인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이와같이 본 고안의 회전축(20)은 그 상단부가 상기 연결철편(40) 및 중간지지철편(50), 그리고 하부지지철편(60)에 의해 세곳으로 분산된 3중 지지구조를 가지게 되는바, 이는 상호 보완관계에 의해 하중의 분산효과를 가져오며 이와함께 하중에 대한 대응력을 크게 강화하게 된다. 특히 이와같은 구조는 좌대(30)의 가장자리에서 회전축(20)의 가해지는 대각선 방향의 하중에 대하여 견고히 대응함으로서 용접부위의 탈리 내지는 회전축(20)의 휨을 방지한다. 또한 본 고안의 회전축(20)은 공히 연결철편(40) 및 중간지지철편(50), 그리고 하부지지철편(60)의 중앙에 천공된 구멍(a)에 끼워지면서 그 구멍(a)과 회전축(20)외주연의 상호 연접하는 부위를 용접한 것으로 이는 회전축(20)의 외주연이 구멍(a)내주연에 1차로 지지되고 있기 때문에 회전축(20)이 유동되더라도 그 충격이 용접부위에 직접 가해지지 않으므로 용접부위가 쉽게 탈리되지는 않는다. 그리고 하부지지철편(60)은 그 양단을 일체로 절곡하여 상향절곡편(61)을 구성함으로서 중간지지철편(50)과의 사이에 별도의 매개체를 구성하지 않고 중간지지철편(50)과 자연스럽게 소정의 간격(H')을 유지할 수 있으며 또한 이와같은 상향절곡편(61)은 수직, 입설된 구조로서 이 역시 좌대(30)에서 가해지는 대각선 방향의 하중에 대하여 견고히 대응할 수 있는 기능을 보조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회전축과 좌대의 결합상태가 양호하여 우수한 내구성을 가짐에 따라 유지보수비의 절감 및 회전의자의 교체시기를 연장하게되고 특히 행동이 산만한 어린이나 학생의 사용시 쉽게 훼손되지 않으므로 매우 경제적이다.

Claims (1)

  1. 기대(10)내측에 회전자재하게 결합된 회전축(20)과, 좌대후레임(31)의 상면에 안착, 고정된 좌대(30), 그리고 회전축(20)의 상단을 좌대후레임(31)중앙의 연결철편(40)에 용착하여된 통상의 회전의자에 있어서, 연결철편(40)의 저부에는 상기 좌대후레임(31)저면에 용착되어 간격(H)을 유지한 중간지지철편(50)을 구성하고 중간지지철편(50)의 저부에는 양단의 상향절곡부(61)로 용착하여 간격(H')을 유지한 하부지지철편(60)을 구성하는 한편, 연결철편(40) 및 중간지지철편(50), 그리고 하부지지철편(60)의 중앙에는 회전축(20)의 외경과 일치하는 구멍(a)을 천공하여 이에 회전축(20)의 상단부를 관통하여 그 연접부위를 용착, 고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의자.
KR2020010010846U 2001-04-17 2001-04-17 회전의자 KR20024356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0846U KR200243563Y1 (ko) 2001-04-17 2001-04-17 회전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0846U KR200243563Y1 (ko) 2001-04-17 2001-04-17 회전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3563Y1 true KR200243563Y1 (ko) 2001-10-11

Family

ID=730996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0846U KR200243563Y1 (ko) 2001-04-17 2001-04-17 회전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356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4833B1 (ko) * 2001-04-13 2003-08-19 경원스프링주식회사 의자의 받침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4833B1 (ko) * 2001-04-13 2003-08-19 경원스프링주식회사 의자의 받침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205941T3 (es) Silla con posicion variable.
US20070136996A1 (en) Hinge with an auxiliary bracket
ITBO20030112U1 (it) Ruota auto-orientabile per lo scorrimento di mobili e simili
US6748616B1 (en) Hammock with a support assembly
KR200243563Y1 (ko) 회전의자
US5230491A (en) Table leg assembly
KR100996274B1 (ko) 절첩의자를 구비한 테이블
BE468940A (ko)
KR101213440B1 (ko) 접이식 의자
US5165349A (en) Worktable with recessed leg supporting gussets
KR950028706A (ko) 의자
KR102118554B1 (ko) 조립이 용이한 침대프레임과 이에 의해 조립된 침대
JP4146474B2 (ja) トランポリン
JP3841568B2 (ja) 脚折畳みテーブル
CN203408448U (zh) 羽毛球网架
JP3409711B2 (ja)
JP2021142212A (ja) 椅子の座板の支持機構
JP3097908U (ja) 液晶ディスプレイの支持構造
CN211212261U (zh) 一种推拉结构的折叠床架
KR200276784Y1 (ko) 조립식의자의 받침다리 연결구조
CN216602212U (zh) 一种五星脚的连接结构
KR19990060264A (ko) 의자 일체형 테이블
CN220966865U (zh) 一种折叠椅
CN221083034U (zh) 一种升降桌桌脚装配结构
JP3197821U (ja) 折り畳みベン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