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3557Y1 - 등받이의 하부에 허리 받침판이 부착된 사무용 의자 - Google Patents

등받이의 하부에 허리 받침판이 부착된 사무용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3557Y1
KR200243557Y1 KR2020010011310U KR20010011310U KR200243557Y1 KR 200243557 Y1 KR200243557 Y1 KR 200243557Y1 KR 2020010011310 U KR2020010011310 U KR 2020010011310U KR 20010011310 U KR20010011310 U KR 20010011310U KR 200243557 Y1 KR200243557 Y1 KR 2002435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rest
seat
support shaft
chair
office ch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13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장욱
Original Assignee
류장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장욱 filed Critical 류장욱
Priority to KR20200100113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355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35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3557Y1/ko

Links

Landscapes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등받이의 하부에 허리받침판이 부착된 사무용의자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등받이와 팔걸이를 가지는 사무용 의자에 있어서 바른 착석자세의 유지에 도움을 주면서 또한 등받이에 등을 기대어 휴식을 취할 때에도 등받이 지지축(42)을 중심으로 하여 등받이가 뒤로 젖혀짐과 반대로 연동하여 허리부분을 밀고 받쳐줄 수 있는 허리받침판(30)이 등받이(10)의 하부에 부착되는 한편 등받이와 결합 및 지지하는 등받이 지지축의 설치 위치 이동이 용이하도록 하여 착석자의 착석 습관이나 체형 등을 고려하여 임의로 등받이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의 하부에 허리받침판이 부착된 사무용 의자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등받이의 하부에 허리 받침판이 부착된 사무용 의자{Office chair having waist supporting plate which is attached at under the back of chair.}
본 고안은 하부에 허리받침판(30)이 부착된 등받이를 가지는 사무용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등받이 하부에 적절히 돌출만곡된 허리받침판을 부착시켜 등받이가 뒤로 젖혀질 때 등받이의 움직임과 반대방향으로 연동하여 착석자의 허리부분을 밀고 받쳐주게 되면서 또한 등받이의 설치되는 위치의 이동이 용이하게 되는 사무용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무용 의자는 대부분 등받이(1)와 팔걸이(2)를 가지고 있으며 등받이는 등받이 연결 ·지지부(3)에 의해 시트하부에 연결 및 지지되도록 되어있으며 또한 착석자의 뒷머리부분 또는 어깨죽지 부분부터 엉덩이 부분까지 받쳐주도록 일체형으로 제작되는 것이 보통이다. 그리고 팔걸이는 단지 팔을 얹어 쉴 수 있는 기능만을 수행하도록 되어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종래의 사무용 의자는 대부분의 착석자가 그러하듯이 시트의 뒤쪽 끝까지 위치시키지 않고 등받이에서 어느 정도 거리를 둔채 착석하는 경우나 또는 착석 후 초기에는 힘을 주어 의도적으로 허리를 곧추세워 바른 자세를 유지하다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자연히 힘을 빼는 경우에 자연히 허리부분이 휘어지는 자세를 취하게끔 되어 있었다.
그리고, 착석자가 휴식을 취하기 위해 등받이에 등을 기댈 경우에는 등받이가 비록 어느정도 뒤로 젖혀지더라도 등받이 자체가 일체형으로 되어있어 착석자의 허리부분이 뜨게되고 또 하중에 의해 밑으로 휘어지게 되어 요추부분이 더욱 더 피로를 겪도록 되어있어 건강상 좋지 않았다.
게다가 종래의 사무용 의자는 등받이 자체가 등받이 연결 ·지지부에 의해 시트 하부의 시트 지지판에 일정 위치로 고정되어 있어 젖혀지는 각도의 조절은 등으로 미는 힘에 따라 조절가능하지만 등받이가 고정되는 위치의 이동은 곤란하게 되어 있을뿐만 아니라 시트의 길이 즉, 앞에서 등받이 쪽 뒤끝까지의 길이도 의자 제조공장에서 개개의 착석자의 착석습관이나 신체적 특성까지 고려해서 제작하기 힘들어 대개는 몇가지 사이즈로 한정해 제작하기 때문에 습관적으로 등받이에서 항상 거리를 둔채 시트의 앞쪽에 엉덩이를 위치시켜 앉는 사람의 경우는 더욱 더 허리부분이 많이 휘어지게 되더라도 등 뒤에 방석이나 쿠션을 대어주는 것외에는 별다른 도리를 취할 수 없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의자의 등받이를 등받이의 밑부분이 의자시트의 위치까지 닿을 정도로 또는 근접되게 길게 일체형으로 제작하지 않고 착석자의 허리가 닿는 부분에는 허리쪽으로 적절히 돌출되는 만곡부를 갖는 허리 받침판(30)을 별도로 제작 및 등받이의 하부에 부착시키는 한편 허리받침판이 등받이 지지축(42)을 중심으로 하여 상부의 등받이와는 반대방향으로 연동되도록 즉, 상부의 등받이가 등으로 미는 힘에 의해 뒤로 젖혀질 때 허리받침판은 착석자의 허리부분을 밀면서 받쳐주도록 하여 착석자가 바른 자세로 앉아 있는 경우에는 허리받침판의 돌출만곡된 부위에 의해 허리부분이 쉽게 받쳐져서 바른 자세를 오래도록 유지하는데 도움이 되고 또, 등받이에 등을 기대어 휴식을 취하는 경우에도 허리부분을 밀면서 받쳐주어 허리부분이 휘어지는 것을 어느정도 막아주면서 또한 편안함을 느낄 수 있는 의자르 제공하기 위한 것이며 게다가 등받이와 결합된 등받이 지지축의 이동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착석자의 착석습관이나 체형등을 고려하여 임의로 등받이의 위치이동까지도 용이하게 되어 여러모로 편리하며 실용적인 등받이의 하부에 허리받침판이 부착된 사무용 의자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1(A)는 종래의 사무용 의자를 도시한 사시도
도1(B)는 본 고안에 따른 사무용 의자를 도시한 사시도
도2(A)는 상기 실시예의 허리받침판이 부착된 등받이를 도시한 사시도
도2(B)는 상기 실시예의 허리받침판이 탈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3(A)는 도2(B)의 등받이 지지축이 삽입 · 지지되는 팔걸이 후향연장부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
도3(B)는 도2(B)의 등받이 지지축의 구성을 예시한 사시도
도4(A)는 도2(A) 등받이의 구성을 예시한 사시도
도4(B)의 도2(A) 등받이의 A-A'선에 따라 절단한 단면 확대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종래의 의자등받이 2. 종래의 의자팔걸이
3. 등받이 연결 · 지지부 10. 허리받침판이 부착된 등받이
11, 32. 외피 12, 33. 쿠션재
13. 플라스틱 지지판 14, 14'. 허리받침판 부착용 볼트 또는
나사못 홈
15, 15', 15'. 등받이 결합부 부착용 볼트 또는 나사못 홈
20. 등받이 지지축이 삽입 · 지지되는 팔걸이
21. 손잡이 22. 회전억제부의 지지 · 이동홈
23. 손잡이 홈 24. 상향 연장부
25. 후향 연장부 30. 허리받침판
31. 강철판 40. 지지축 결합부
41. 회전 억제부 42. 등받이 지지축
43. 나사산 44. 탄성판
45. 등받이 지지축 삽입홈 46. 탄성판 삽입홈
A-A' : 절단선
본 고안에 따르면, 사무용 의자에 있어서 등받이를 종래와는 달리 착석자의 허리가 닿는 부분이 없도록 아래위 길이가 짧도록 제작하되 그 하부에 착석자의 허리를 받쳐주도록 적절히 돌출 및 만곡된 허리받침판(30)을 부착시키고 또한 등받이가 뒤쪽의 등받이 지지축(42)에 의해 연결 및 횡으로 지지받도록 하여 등받이(10)가 뒤로 젖혀질 때 허리받침판은 오히려 착석자의 허리부분을 밀면서 받쳐주는 한편 등받이 지지축(42)이 팔걸이의 후향연장부(25)에 의해지지 및 위치이동이 가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부에 허리받침판을 가지면서 또 위치이동이 용이한 등받이를 가지는 사무용 의자가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을 하면 다음과 같다.
도1(B)는 본 고안에 따라 등받이를 종래와 같이 아랫부분이 시트에까지 닿을 정도로 일체형으로 길게 제작하지 않고 착석자의 허리가 닿는 부분을 없애고 짧게 제작하되 대신에 그 하부에 허리를 편안히 받쳐주도록 적절하게 허리쪽으로 돌출한 만곡부를 형성시킨 허리받침판(30)을 별도로 제작 및 부착시킨 등받이(10)를 제공하고 또한 상부의 등받이가 후면에 부착시킨 등받이 지지축 결합부(40)를 통하여 팔걸이의 후향 연장부(25)에 의해 지지되는 등받이 지지축(42)과 결합된 사무용 의자를 도시한 것으로서 양쪽 팔걸이 후향연장부에 등받이 지지축의 지지 · 고정 및 이동이 용이한 구조를 부여함으로써 등받이의 위치이동도 용이하게 된다.
도2(A)는 도1(A)에서 등받이 지지축(42)으로부터 본 고안에 따른 등받이(10)를 탈착하여 도시한 것으로, 허리받침판(30)을 제외한 상부의 등받이 부분은 종래의 사무용 의자 등받이와 같게 제작하되 단지 아래 위의 길이를 착석자의 허리부분의 길이 또는 허리받침판이 부착되었을 때 전체적으로 늘어나는 등받이의 길이를 고려하여 선택하고 또 허리받침판의 용이한 부착 및 견고한 지지가 되는 구조를 갖게하는 것이 무난하다. 그리고 허리받침판은 가능하면 착석자의 허리부분을 편안하게 또 바른 착석자세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해서 최상의 자재들을 사용하여 인체공학적인 구조와 형상을 갖게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지만 일반적으로 착석시 대부분의 하중이 엉덩이를 받치는 시트부에 집중적으로 걸리거나 또는 주로 시트부와 등받이에 분산되어 걸리는 것이 보통이므로 착석자의 휘어지는 허리부분에는 가볍게 밀거나 받쳐주기만 하여도 바른 착석자세를 유지하는데 도움이 되며 또한 훨씬 편안함을 느끼게 할 수 있으므로 약1.5∼3.0mm정도의 강철판을 사용하여 판금 성형하되 허리부분의 구조와 형상을 최대한 고려하여 허리쪽으로 적절히 돌출 및 만곡되도록 하는 것이 무난하지만 외부를 등받이와 시트에 어울리는 외피(32)로 감싸고 또 허리부분과 닿는 면에는 쿠션재(33)를 적당히 내장시켜 주는 것이 더욱 좋다.
허리받침판과 등받이와의 부착 및 결합은 각각 적당한 위치에 상응하는 몇개의 홈(14, 14')을 형성시켜 볼트나 나사못으로 결합시키는 것이 무난하며 따라서 등받이의 후면을 감싸고 지지해주는 플라스틱판(13)을 종래의 등받이 플라스틱 판보다 조금 더 두껍게 하거나 또는 내면에 보강판을 덧대어 주거나 하여 볼트나 나사못을 충분히 수용하고 또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등받이(10)와 등받이 지지축(42)과의 원만한 결합을 위해서는 등받이의 후면에 도4(A)(B)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등받이 지지축(42) 및 지지측에 부착된 탄성판(44)를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는 홈(45, 46)과 탄성판을 탄성판 삽입 홈에 고정시키면서 또한 등받이(10)후면에 부착시킬수 있는 볼트 또는 나사못 홈(15')을 가진 지지축 결합부(40)를 제공 및 부착시키는 것이 무난하며 등받이 결합부는 플라스틱 소재를 사용하여 성형사출하여 제작하는 것이 무난하다. 따라서 등받이의 후면에도 지지축 결합부의 부착을 위한 볼트 또는 나사못 홈(15)이 형성되어져야 하며 가능하면 이홈들을 적당한 간격으로 길이방향으로 두세 줄 형성시켜 주어 지지축 결합부가 부착되는 위치의 선택에 따라 등받이의 높이조절이 어느 정도나마 가능하게 하여 착석자의 체형에 따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더욱 좋다.
도2(B)는 등받이를 탈착한 상태의 의자를 도시한 것으로서 종래의 사무용 의자에서 등받이 연결 ·지지부를 없애고 또 양쪽의 팔걸이를 각각 등받이 쪽부분에서 등받이의 길이 및 지지축의 설치위치를 고려하여 적정높이로 위로 상향연장시킨 다음 다시 등받이 뒤쪽으로 등받이의 두께보다 조금 더 길게 후향연장시키되 양쪽 후향연장부(25)에 등받이 지지측에 고정부착된 회전억제부(41)가 지지 및 이동되는 홈(22)을 갖도록 하여 결국 등받이 지지축이 팔걸이 후향연장부에 의해 지지되면서 또한 위치이동이 가능하도록 되어있다.
도3(A)는 팔걸이 후향연장부와 등받이 지지축이 결합된 상태를 확대 도시한 것으로 이러한 형태와 구조를 가진 팔걸이 후향연장부 및 상향 연장부와 팔걸이부는 대개의 사무용 의자 팔걸이와 마찬가지로 플라스틱류의 소재를 사용하여 일체로 성형사출하여 제작하는 것이 무난하되 충분한 두께와 강도를 갖게하여 등받이 및 등받이 지지축에 의해 받는 하중을 충분히 감당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도3(B)는 등받이 지지축의 전체적인 구성을 예시한 것으로 지지축 자체는 적절한 두께 및 내외경을 가진 쇠파이프를 사용하는 것이 무난하며, 가운데 부분에는적절한 강도와 탄성을 지닌 2∼3mm 두께의 강철판을 판금 성형하여 용접 또는 나사못으로 부착 ·고정시켜 이것이 지지축 결합부(40)의 탄성판 삽입홈(46)에 삽입 및 고정되어 결국 등받이와 함께 움직이도록 즉, 등받이를 미는 힘에 따라 등받이 지지축을 중심으로 일정한 폭으로 원호를 그리며 움직이며 또한 탄성에 의해 복원되는 탄성판(44)의 역할을 하게 하는 것이 무난하다.
그리고, 등받이 지지축의 양쪽 끝 부분의 지지축 삽입홈(22)에 삽입되는 부분에 각각 적정 길이와 폭을 가진 각봉이나 ㄷ자 형강을 용접 또는 나사못으로 고정 · 부착시켜 등받이 지지축의 회전억제부(41)로서 사용되게 하여 등받이 지지축과 결합된 등받이가 착석자의 의도와는 상관없이 너무 자유로이 움직이거나 회전하지 못하게 하는 것이 좋다.
끝으로, 상기 조치들과 함께 등받이 지지축의 양끝 부분에 나사산(43)을 형성시키고 또 거기에 상응하는 나사산을 내부에 가진 손잡이(21)을 제공하여 이 손잡이의 회전에 의해 등받이 지지축이 팔걸이의 후향연장부에 의해 지지되면서 또한 고정과 이동이 가능하게 되고, 따라서 그로인해 등받이의 지지 · 고정 및 위치이동이 가능하게 되어 착석자의 착석습관이나 체형에 따라 간단하게 등받이의 위치를 바꿀 수 있을뿐만 아니라 등받이의 하부에 부착된 허리받침판(30)이 등받이의 움직임과 연동하여 즉, 등받이가 등으로 미는 힘에 의해 뒤로 젖혀질 때 오히려 착석자의 허리부분을 밀고 받쳐주게 되어 바른 착석자세 유지에 도움이 되는 한편 편안함을 느끼게 할 수 있는 사무용 의자의 제공이 가능해진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등받이와 팔걸이를 가지는 사무용 의자에 있어서 등받이 하부에 착석자의 허리 쪽으로 적절히 돌출 만곡된 허리받침판을 부착시키고 또 등받이 지지축을 중심으로 하여 등받이와 반대방향으로 연동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바른 착석자세의 유지에 도움이 되는 한편 등받이에 등을 기대어 휴식을 취할 때에도 착석자의 허리부분을 자연스럽게 밀면서 받쳐주게 되어있다. 게다가 등받이의 위치까지 착석자의 착석습관이나 체형에 따라 임의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게 되는, 여러모로 편리하면서 실용적인 등받이의 하부에 허리받침판이 부착된 사무용 의자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2)

  1. 상하 방향으로 종래의 사무용 의자 등받이보다 짧게 제작한 등받이의 하부에 착석자의 허리부분 쪽으로 적절히 돌출 만곡시킨 허리받침판(30)을 부착시켜 착석자의 허리부분을 자연스럽게 받쳐주게 하면서 또한 팔걸이의 후향연장부(25)에 의해 지지되는 등받이 지지축(42)을 중심으로 등받이와 반대 방향으로 연동되게 즉, 등받이가 등으로 미는 힘에 의해 뒤로 젖혀질 때 허리받침판은 오히려 착석자의 허리부분을 밀면서 받쳐주게 하여 바른 착석자세의 유지에 도움이 된느 한편 편안함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등받이의 하부에 허리받침판이 부착된 사무용 의자
  2. 제 1 항에 있어서 등받이를 지지하면서 또 팔걸이의 후향연장부(25)에 의해 지지되는 등받이 지지축(42)의 양끝 부분에 나사산(43)을 부여하고 또한 그에 상응하는 나사산을 가진 손잡이(21)를 제공하여 손잡이의 회전에 의해 등받이 지지축이 팔걸이 후향연장부에 형성시킨 회전억제부의 지지 ·이동 홈(22) 내에서 고정 및 이동이 간단히 이루어지게 함으로서 등받이 지지축과 결합된 등받이의 위치를 착석자의 착석습관이나 체형에 따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의 하부에 허리받침판이 부착된 사무용 의자
KR2020010011310U 2001-04-14 2001-04-14 등받이의 하부에 허리 받침판이 부착된 사무용 의자 KR2002435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1310U KR200243557Y1 (ko) 2001-04-14 2001-04-14 등받이의 하부에 허리 받침판이 부착된 사무용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1310U KR200243557Y1 (ko) 2001-04-14 2001-04-14 등받이의 하부에 허리 받침판이 부착된 사무용 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3557Y1 true KR200243557Y1 (ko) 2001-10-11

Family

ID=730999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1310U KR200243557Y1 (ko) 2001-04-14 2001-04-14 등받이의 하부에 허리 받침판이 부착된 사무용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355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45605B2 (en) Chair having a slide mechanism for the seat
US4660887A (en) Ergonomic support
JP3162325B2 (ja) 背もたれおよび座席の調整が連動している、腰掛け用家具部材
JP2002119366A (ja) 椅 子
JPH1033294A (ja) 可撓性を有する積重ね可能な椅子
US20020043841A1 (en) Ergonomic chair-armchair structure, particularly for office, of the type equipped with adjustable kidneyrest and headrest
JP2007151582A (ja) 身体支持板及び椅子
EP2165627B1 (en) Chairs with flexible spring backrest
JP2006296960A (ja) マッサージ機能付き椅子
KR100772167B1 (ko) 보조등받침을 갖는 의자
US5366273A (en) Chair or the like
KR200422122Y1 (ko) 요추받이용 의자 등받이
KR100708303B1 (ko) 가변 등받이를 갖는 의자
KR200243557Y1 (ko) 등받이의 하부에 허리 받침판이 부착된 사무용 의자
KR101012520B1 (ko) 복합 탄력 지지 허리받이 의자
JP2007000570A5 (ko)
JPH11510712A (ja) 支持シート
JP2002119364A (ja) 椅 子
KR200428245Y1 (ko) 의자용 허리받침대
JP3197066U (ja) 脊椎・脊髄疾患を予防するための矯正椅子
JP2000270964A (ja) スイング式枕付腰掛
KR0140441Y1 (ko) 의자
KR200411864Y1 (ko) 의자용 허리 받침대
JP2017192775A (ja) 椅子の背支持構成要素およびこれを備える椅子
KR20100120438A (ko) 등받이 회전승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의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203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