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3321Y1 - 에어샌더 - Google Patents

에어샌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3321Y1
KR200243321Y1 KR2020010010004U KR20010010004U KR200243321Y1 KR 200243321 Y1 KR200243321 Y1 KR 200243321Y1 KR 2020010010004 U KR2020010010004 U KR 2020010010004U KR 20010010004 U KR20010010004 U KR 20010010004U KR 200243321 Y1 KR200243321 Y1 KR 20024332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lower bearing
bearing case
shaft
sa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00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선
Original Assignee
박정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정선 filed Critical 박정선
Priority to KR20200100100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332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33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3321Y1/ko

Links

Landscapes

  • Finish Polishing, Edge Sharpening, And Grinding By Specific Gri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각종 가공물의 표면을 다듬질하거나 가공물 표면의 녹 또는 이물질을 제거하는데 사용되는 에어샌더에 관한 것으로, 본체(31)에 에어유입포트, 에어배출포트(33) 및 흡진용포트(34)가 구비되고, 상기 본체(31)내에서 상부 베어링케이스(35)와 하부 베어링케이스(36)가 이격되어 배치되며, 이들 베어링케이스(35, 36)사이에 에어모터(37)가 장착되며, 상기 에어모터(37)의 샤프트(39)가 상기 베어링케이스(35, 36)에 각각 장착된 베어링(41, 43)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샤프트 (39)에 연결된 동력전달기구(45)에 연마부재(47)가 장착되고, 상기 연마부재 (47)에 샌드페이퍼(49)가 부착된 에어샌더에 있어서,
상기 에어유입포트를 통해 에어모터(37)로 공급된 에어의 극히 일부를 하부 베어링(41)으로 배출시키기 위해 에어 배출구(51)가 상기 하부 베어링케이스(36) 또는 샤프트(39)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Description

에어샌더{Air sander}
본 고안은 각종 가공물의 표면을 다듬질하거나 가공물 표면의 녹 또는 이물질을 제거하는데 사용되는 에어샌더에 관한 것으로서, 하부 베어링케이스 또는 샤프트에 에어 배출구가 형성된 에어샌더에 관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에어샌더는 본체(1)에 에어유입포트(도시하지 않음), 에어배출포트(3) 및 흡진용포트(4)가 구비되고, 상기 본체(1)내에서 상부 베어링케이스(5)와 하부 베어링케이스(6)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이들 베어링 케이스(5, 6) 사이에 에어모터(A)가 장착되며, 상기 에어모터(A)의 샤프트(8)가 상기 베어링 케이스(5, 6)에 장착된 베어링(9, 10)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샤프트(8)에 연결된 동력전달기구(16)에 연마부재(18)가 장착되고, 상기 연마부재(19)에 샌드페이퍼(19)가 부착된다.
상기 에어모터(A)는 에어유입포트를 통해 유입된 에어에 의해 회전하는 로터 (7)와, 상기 로터(7)에 연결되어 로터(7)와 함께 회전하는 샤프트(8)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에어샌더는 작업중에 먼지가 화살표(21) 방향으로 연마부재(18)의 흡진구멍(21)을 통해 유입되어 흡진용포트(4)로 배출되는 과정에서 먼지의 일부가 샤프트(8)를 지지하는 하부 베어링(9)으로 유입되어 상기 하부베어링(9)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하부 베어링케이스에 구멍이 형성되어 에어유입포트를 통해 에어모터로 공급된 에어의 극히 일부가 에어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므로서 먼지가 베어링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에어샌더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본체에 에어유입포트, 에어배출포트 및 흡진용포트가 구비되고, 상기 본체내에서 상부 베어링케이스과 하부 베어링케이스이 이격되어 배치되며, 이들 베어링케이스 사이에 에어모터가 장착되며, 상기 에어모터의 샤프트가 상기 베어링케이스에 장착된 베어링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샤프트에 연결된 동력전달기구에 연마부재가 장착되고, 상기 연마부재에 샌드페이퍼가 부착된 에어샌더에 있어서, 에어유입포트를 통해 에어모터로 공급된 에어의 일부를 하부 베어링으로 배출시켜 먼지가 하부 베어링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위해 배출구가 상기 하부 베어링케이스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에어 배출구가 하부 베어링케이스에 형성될 경우, 상기 에어 배출구가 하부 베어링케이스에 형성되는 범위는 하부 베어링케이스의 내주면과 하부 베어링 외주면 사이(즉, 베어링이 위치하는 범위)에 형성되거나, 하부 베어링케이스의 내주면에 형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에어 배출구는 샤프트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이 때 하부 베어링케이스와 밀착되는 대경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에어샌더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에어샌더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례에 따른 에어배출구를 설먕하기 위해 도 2의 A 부분을 확대 도시한 상세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예에 따른 에어배출구를 설먕하기 위해 도 2의 A 부분을 확대 도시한 상세도
도 4 및 도 6은 하부 베어링케이스에 형성되는 에어 배출구의 위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샤프트에 형성되는 에어 배출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31 : 본체 33 : 에어배출포트
34 : 흡진용포트 35 : 상부 베어링케이스
36 : 하부 베어링케이스 37 : 에어모터
39 : 샤프트 41, 43 : 베어링
45 : 동력전달기구 47 : 연마부재
51 : 에어 배출구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에어샌더는 본체(31)에 에어유입포트(도시하지 않음), 에어배출포트(33) 및 흡진용포트(34)가 구비되고, 상기 본체(31)내에서 상부 베어링케이스(35)와 하부 베어링케이스(36)가 이격되어 배치되며, 이들 베어링케이스(35, 36)사이에 에어모터(37)가 장착되며, 상기 에어모터(37)의 샤프트 (39)가 상기 베어링케이스(35, 36)에 각각 장착된 베어링(41, 43)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샤프트(39)에 연결된 동력전달기구(45)에 연마부재(47)가 장착되고, 상기 연마부재(47)에 샌드페이퍼(49)가 부착된다.
상기 에어모터(37)는 에어유입포트를 통해 유입된 에어에 의해 회전하는 로터(38)와, 상기 로터(38)에 연결되어 상기 로터(38)와 함께 회전하는 샤프트(39)를 포함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은 에어유입포트(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에어모터(37)로 공급된 에어의 극히 일부를 화살표(53)로 표시된 것과 같이 하부 베어링(41)으로 배출시키기 위해 에어 배출구(51)가 상기 하부 베어링케이스(36 ; 도 3 참조) 또는 샤프트(39 ; 도 4 참조)에 형성된다.
도 5 및 도 6를 참조하면, 상기 에어 배출구(5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하부 베어링케이스(36)의 내주면(57)과 하부 베어링케이스(36)의 외주면(59) 사이의 해칭부분(베어링이 위치하는 범위)에 형성되거나, 도 6에 도시된 바와같이 하부 베어링케이스 (36)의 내주면(57)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어 배출구(51)는 하부 베어링케이스(36)와 밀착되는 샤프트(39)의 대경부(39a ; 도 4 참조)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고안의 에어샌더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에어유입포트(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에어모터(37)로 공급된 에어가 에어 모터(37)의 로터(38)를 회전시키고, 에어배출포트(34)를 통해 배출된다. 이것에 의해 상기 로터(38)에 연결된 샤프트(39)가 회전하게 되고, 상기 샤프트(39)에 연결된 동력전달기구(45)를 통해 회전력이 연마부재(47)로 전달되므로서, 샌드페이퍼(49)가 구비된 상기 연마부재(47)가 회전하면서 가공물을 연마하게 된다. 이 때 하부 베어링케이스(36)에 형성된 에어 배출구(51)를 통해 하부 베어링(41)으로 배출되는 에어에 의해 연마부재(47)에 형성된 흡진구멍(48) 및 개방된 기계의 하측부를 통해 흡입되는 먼지가 하부 베어링(41)으로 유입되지 않고 화살표(50)로 표시된 바와같이 흡진용포트(34)로 유입되므로서, 베어링(41)이 먼지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에 따른 에어샌더는 하부 베어링케이스 또는 샤프트에 형성된 에어 배출구를 통해 하부 베어링으로 에어가 배출되므로서, 샤프트를 지지하는 하부 베어링이 먼지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본체(31)에 에어유입포트, 에어배출포트(33) 및 흡진용포트(34)가 구비되고, 상기 본체(31)내에서 상부 베어링케이스(35)와 하부 베어링케이스(36)가 이격되어 배치되며, 이들 베어링케이스(35, 36) 사이에 에어모터(37)가 장착되며, 상기 에어모터(37)의 샤프트(39)가 상기 베어링케이스(35, 36)에 각각 장착된 베어링(41,43 )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샤프트(39)에 연결된 동력전달기구(45)에 연마부재(47)가 장착되고, 상기 연마부재(47)에 샌드페이퍼(49)가 부착된 에어샌더에 있어서,
    에어유입포트를 통해 에어모터(37)로 공급된 에어의 일부를 하부 베어링(41)으로 배출시켜 먼지가 하부 베어링(41)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에어 배출구(51)가 상기 하부 베어링케이스(36)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샌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배출구(51)는 하부 베어링케이스(36)의 내주면(57)과 하부 베어링케이스(36)의 외주면(59)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샌더,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배출구(51)는 하부 베어링케이스(36)의 내주면(57)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샌더.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배출구는(51)는 하부 베어링케이스(36)의 내주면(57)과 밀착되는 샤프트(39)의 대경부(39a)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샌더.
KR2020010010004U 2001-04-10 2001-04-10 에어샌더 KR20024332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0004U KR200243321Y1 (ko) 2001-04-10 2001-04-10 에어샌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0004U KR200243321Y1 (ko) 2001-04-10 2001-04-10 에어샌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3321Y1 true KR200243321Y1 (ko) 2001-10-11

Family

ID=730992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0004U KR200243321Y1 (ko) 2001-04-10 2001-04-10 에어샌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332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7089B1 (ko) * 2014-12-26 2015-05-04 주식회사 삼정이엔씨 냉동기의 동파방지용 펌프
KR20210026998A (ko) * 2019-08-30 2021-03-10 윤석래 전기식 연마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7089B1 (ko) * 2014-12-26 2015-05-04 주식회사 삼정이엔씨 냉동기의 동파방지용 펌프
KR20210026998A (ko) * 2019-08-30 2021-03-10 윤석래 전기식 연마기
KR102372991B1 (ko) * 2019-08-30 2022-03-14 윤석래 전기식 연마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2300384B2 (en) Orbital sander
US4766788A (en) Superprecision lathe
KR20020043593A (ko) 인간공학적으로 편리한 랜덤 궤도 연마기 구조
JPH10264042A (ja) 研磨ディスク
JPS6125504B2 (ko)
JP2001121388A (ja) 内面冷風研削方法及び内面冷風研削装置
JPH10217065A (ja) 手持ち式工作機械に用いられる吸込装置
KR200243321Y1 (ko) 에어샌더
US7938873B2 (en) Dust suction module for hand-held power tool
US6053806A (en) Suction device for a hand-held tool
JP4657029B2 (ja) 静圧気体軸受スピンドル
KR101087751B1 (ko) 집진기능을 구비한 그라인더에 사용되는 연마 디스크
JP3451210B2 (ja) 空圧回転装置のシール構造
KR200378411Y1 (ko) 에어 오비탈 샌더
JP3719785B2 (ja) スピンドル
JPH0617861U (ja) 回転みがき工具
KR200438268Y1 (ko) 이물질 침투방지 및 배출이 가능한 고속 스핀들 마감구조
JPS63174846A (ja) スピンドル装置
JP2005001086A (ja) 主軸装置におけるワークの吸着解除方法及びその装置
US20050118050A1 (en) Pneumatic cylinder of pneumatic tool capable of avoiding failure of bearings
KR20050097369A (ko) 집진구조를 갖는 그라인더
JP2023028875A (ja) 加工装置及び加工方法
KR100283729B1 (ko) 에어모터
JPS5923863Y2 (ja) 軸受のシ−ル装置
KR200173208Y1 (ko) 캔드전동기식 펌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807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