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2618Y1 - 목걸이형 휴대폰 핸즈프리 - Google Patents

목걸이형 휴대폰 핸즈프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2618Y1
KR200242618Y1 KR2020010013109U KR20010013109U KR200242618Y1 KR 200242618 Y1 KR200242618 Y1 KR 200242618Y1 KR 2020010013109 U KR2020010013109 U KR 2020010013109U KR 20010013109 U KR20010013109 U KR 20010013109U KR 200242618 Y1 KR200242618 Y1 KR 2002426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ve tube
sound wave
sound
necklace
mobile 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31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준섭
Original Assignee
(주) 굿 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굿 엠 filed Critical (주) 굿 엠
Priority to KR20200100131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2618Y1/ko
Priority to PCT/KR2001/001596 priority patent/WO2002091795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26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2618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3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 H04R1/34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by using a single transducer with sound reflecting, diffracting, directing or guiding means
    • H04R1/345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by using a single transducer with sound reflecting, diffracting, directing or guiding means for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8Mouthpieces; Microphones; Attachments therefor
    • H04R1/083Special constructions of mouthpie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8Manufacture or assembly
    • H04R1/1075Mountings of transducers in earphones or head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3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 H04R1/34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by using a single transducer with sound reflecting, diffracting, directing or guiding means
    • H04R1/34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by using a single transducer with sound reflecting, diffracting, directing or guiding means for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16Earpieces of the intra-aural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33Cables or cables storage, e.g. cable re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마이크와 스피커를 별도의 몸체 내에 내장하고 상기 마이크와 스피커에 음파관을 연결하여 음을 전달함으로써 귀에 착용하는 이어피스를 연질의 재질을 사용하여 소형으로 제작할 수 있도록 한 목걸이형 휴대폰 핸즈프리가 개시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목걸이형 휴대폰 핸즈프리는 스피커와 마이크가 내장된 몸체; 귀에 착용하여 음을 들을 수 있는 중공의 이어피스; 상기 스피커와 상기 이어피스를 연결하는 중공의 제 1음파관; 상기 마이크에 연결되어 길게 연장된 중공의 제 2음파관; 인체의 목에 걸기 위해 상기 제 1음파관과 제 2음파관을 연결하는 걸이부재; 상기 제 1음파관과 상기 걸이부재의 일단부를 연결 및 지지하는 제 1연결부재; 및 상기 제 2음파관과 상기 걸이부재의 타단부를 연결 및 지지하는 제 2연결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목걸이형 휴대폰 핸즈프리{omitted}
본 고안은 목걸이형 휴대폰 핸즈프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마이크와 스피커를 별도의 몸체 내에 내장하고 상기 마이크와 스피커에 음파관을 연결하여 음을 전달함으로써 귀에 착용하는 이어피스를 연질의 재질을 사용하여 소형으로 제작할 수 있도록 한 목걸이형 휴대폰 핸즈프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폰 핸즈프리는 잭을 통해 휴대폰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으로서, 차량 등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고정식 핸즈프리와 목에 걸고 다니며 사용하는 목걸이형 핸즈프리가 있다. 그 중에서 목걸이형 핸즈프리가 사용 및 휴대가 간편하여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그 주요 구성은 상대방에게 말을 전달하기 위한 송화기능의 마이크, 상대방의 말을 수신하기 위한 수화기능의 이어폰, 및 휴대폰에 연결하는 잭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구성요소에 있어서, 이어폰은 음향기기에 관련된 주변장치로서 전자적인 회로에서 실질적인 음파를 재생시키는 장치이다. 즉, 카세트나 오디오 장비 또는 휴대폰과 전기적으로 결합되어 신체의 귀 부분에 착용함으로써 타인에게 소음 공해에 대한 불편함을 주지 않으면서 음향을 구현할 수 있는 장치이다.
또한, 휴대폰의 대중화로 마이크를 외부에 장착된 휴대폰용 이어폰, 즉 목걸이형 핸즈프리가 많이 사용되어 왔고, 그에 대한 기술도 다양하게 발전해 왔다.
종래의 이어폰의 기본적인 기술을 살펴보면, 이어폰에 입력된 음향전류는 이어폰에 내장된 무빙코일을 중심으로 음향 전류의 변화 패턴에 따라 자기장을 형성하게 되고, 자기장의 변화는 영구자석과 무빙코일 간에 인력과 척력을 발생시켜 진동판을 진동시키게 된다. 이때 진동판의 진동은 밀폐된 공간의 공기 압력을 변화시키게 되며, 밀폐된 공간의 공기 압력의 변화는 음향 전류의 변화 패턴에 따라 소밀파를 발생시키고, 이러한 소밀파(소리)가 인간의 귀에 전달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종래의 휴대폰용 이어폰을 많은 사용자들이 실제로 아무런 거부반응 없이 장시간 사용하고 있으나, 실제로는 자기장과 같은 전자파에 장시간 노출된다는 문제점이 크게 대두되고 있다.
특히, 최근 들어 전자파에 대한 유해성 논란으로 사용자는 모든 전자기기로 부터 발생되는 전자파에 대해 보다 안전하게 음향기기의 음향을 제공받기를 원하는 추세이다.
또한, 종래의 이어폰식 핸즈프리는 귀에 착용하는 이어폰 자체에 영구자석 및 무빙코일 등의 단단한 부재들이 내장되어 있기 때문에 착용하기가 불편하거나 장시간 착용할 경우에 귀에 통증을 느끼는 것과 같은 문제점들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귀에 착용하여 이어피스와 음을 전달하기 위한 음파관을 목과 귀에 압박감을 주지 않는 연질의 실리콘 재질로 소형으로 제작함으로써 사용자가 이어피스를 장시간동안 반복하여 착용하여도 전혀 통증을 느끼지 않도록 하는 목걸이형 휴대폰 핸즈프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전자파 피해를 유발하는 근원적인 전자기 회로 소자들을 인체 머리부분에서 최대한 이격시킴으로써 유해한 전자파에 인체의 머리부분이 직접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목걸이형 휴대폰 핸즈프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목걸이형 휴대폰 핸즈프리의 부분 절결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목걸이형 휴대폰 핸즈프리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목걸이형 휴대폰 핸즈프리의 제 1연결부재를 도시한 부분 절결 사시도.도 4는 본 고안의 목걸이형 휴대폰 핸즈프리의 제 2연결부재를 도시한 부분 절결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몸체 3 : 스피커
5 : 마이크 7 : 커버
9 : 제 1음파관 10 : 제 2음파관
11 : 개방단부 13 : 이어피스
15 : 이어폰잭 20 : 걸이부재23 : 피삽입부 25 : 삽입체
27, 27' : 스톱퍼 30 : 제 1연결부재40 : 제 2연결부재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목걸이용 휴대폰 핸즈프리는 스피커와 마이크가 내장된 몸체; 귀에 착용하여 음을 들을 수 있는 중공의 이어피스; 상기 스피커와 상기 이어피스를 연결하는 중공의 제 1음파관; 상기 마이크에 연결되어 길게 연장된 중공의 제 2음파관; 인체의 목에 걸기 위해 상기 제 1음파관과 제 2음파관을 연결하는 걸이부재; 상기 제 1음파관과 상기 걸이부재의 일단부를 연결 및 지지하는 제 1연결부재; 및 상기 제 2음파관과 상기 걸이부재의 타단부를 연결 및 지지하는 제 2연결부재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이어피스, 제 1음파관, 및 제 2음파관은 유연한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걸이부재는 상기 제 1연결부재 및 제 2연결부재의 내부에 결합되기 위해 양단부에 스톱퍼를 구비하며, 상기 제 2음파관의 개방단부는 상기 제 2연결부재에 지지되어 외부와 연통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목걸이형 휴대폰 핸즈프리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도 1은 본 고안의 목걸이형 휴대폰 핸즈프리의 부분 절결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목걸이형 휴대폰 핸즈프리의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목걸이형 휴대폰 핸즈프리는 스피커(3)와 마이크(5)를 몸체(1)에 내장하고 스피커(3) 및 마이크(5)에 송수신되는 음(소리)을 음파관을 이용하여 송수화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몸체(10)는 상하로 따로 생산하며 서로 결합될 때 몸체 내부에 일정 수용공간이 형성되게 된다.
상기 몸체(1)에는 일반적인 핸즈프리와 동일하게 휴대폰에 연결하기 위한 이어폰잭(15)이 외부로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몸체(1)의 피삽입부(23)에 탈착될 수 있는 삽입체(25)에 의해 휴대폰을 지탱하여 목에 걸 수 있게 된다.
상기 스피커(3)에는 커버(7)가 설치되어 있어 스피커(3)의 음향이 외부로 새어나지 않도록 밀폐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스피커(3)에는 제 1음파관(9)이 압전 결속되어 있고, 상기 제 1음파관(9)은 귀에 착용하는 이어피스(13)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스피커(3)로부터의 음향은 상기 제 1음파관(9)을 경유하여 이어피스(13)를 통해 사용자에게 전달되게 된다. 또한, 상기 마이크(5)에는 제 2음파관(10)이 압전 결속되어 있어 외부로부터의 음이 상기 제 2음파관(10)을 통해 마이크(5)에 전달되어 마이크(5)에서 증폭된다.
상기 이어피스(13), 제 1음파관(9), 및 제 2음파관(10)은 내부가 관통된 중공의 형태를 가지며, 연질의 실리콘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이어피스(13)는 사용자의 귀에 압박감을 주지 않는 연질의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짐으로써 사용자의 귀를 보호하고 안전하게 음향을 최종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이어피스(13)는 중공이고 연질이기 때문에 귀에 착용한 상태에서 이탈되기가 쉽지 않아서 사용자가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목걸이형 휴대폰 핸즈프리의 제 1연결부재를 도시한 부분 절결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목걸이형 휴대폰 핸즈프리의 제 2연결부재를 도시한 부분 절결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음파관(9)은 제 1연결부재(30)의 내부를 지나 이어피스(13)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걸이부재(20)의 일단부는 스톱퍼(27)가 상기 제 1연결부재(30)의 내부에 걸리게 됨으로써 상기 제 1연결부재(30)에 결합되고, 걸이부재(20)의 타단부는 스톱퍼(27')가 상기 제 2연결부재(40)의 내부에 걸리게 됨으로써 상기 제 2연결부재(30)에 결합된다. 이때, 상기 제 2음파관(10)의 개방단부(11)는 외부와 연통하도록 상기 제 2연결부재(40)에 지지되어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목걸이형 휴대폰 핸즈프리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이어폰잭(15)이 휴대폰에 끼워진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대방과 통화를 할 경우에, 먼저 사용자의 음성은 상기 제 2음파관(10)의 개방단부(11)로 입력되어 제 2음파관(10)을 경유해 마이크(5)로 전달되어 증폭된 후 별도의 장치들에 의해 음성신호로 변환되어 상대방에게 전달되게 된다.한편, 수화 시에는, 상대방의 음성신호는 음향으로 변환되어 스피커(3)를 거쳐 제 1음파관(9)을 통과해 이어피스(13)에 전달되고, 전달된 음성은 사용자의 귀를 통해 들리게 되는 것이다.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목걸이형 휴대폰 핸즈프리는 목에 걸고 자유자재로 활동할 수 있는 것으로서, 양손의 활동에 장애를 주지 않게 되어 운전할 때나 격렬한 활동을 할 때에도 이어피스가 쉽게 이탈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가 통화를 편안하고 안정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목걸이형 휴대폰 핸즈프리는 전기적 신호소자들을 신체의 머리로부터 이격시켜 핸즈프리 몸체에 일체로 설치함으로써 유해한 전자파에 신체의 머리부분이 직접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또한, 이어피스를 중공으로 형성하고 연질의 실리콘재질로 제작함으로써 사용자의 귀에 압박감을 주지 않고 착용 후에도 쉽게 이탈하지 않아서 장시간 동안 반복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Claims (4)

  1. 스피커와 마이크가 내장된 몸체;
    귀에 착용하여 음을 들을 수 있는 중공의 이어피스;
    상기 스피커와 상기 이어피스를 연결하는 중공의 제 1음파관;
    상기 마이크에 연결되어 길게 연장된 중공의 제 2음파관;
    인체의 목에 걸기 위해 상기 제 1음파관과 제 2음파관을 연결하는 걸이부재;
    상기 제 1음파관과 상기 걸이부재의 일단부를 연결 및 지지하는 제 1연결부재; 및
    상기 제 2음파관과 상기 걸이부재의 타단부를 연결 및 지지하는 제 2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걸이형 휴대폰 핸즈프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피스, 제 1음파관, 및 제 2음파관은 유연한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걸이형 휴대폰 핸즈프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부재는 상기 제 1연결부재 및 제 2연결부재의 내부에 결합되기 위해 양단부에 스톱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걸이형 휴대폰 핸즈프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음파관의 개방단부는 상기 제 2연결부재에 지지되어 외부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걸이형 휴대폰 핸즈프리.
KR2020010013109U 2001-05-04 2001-05-04 목걸이형 휴대폰 핸즈프리 KR200242618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3109U KR200242618Y1 (ko) 2001-05-04 2001-05-04 목걸이형 휴대폰 핸즈프리
PCT/KR2001/001596 WO2002091795A1 (en) 2001-05-04 2001-09-24 Necklace type handfree unit for cellular ph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3109U KR200242618Y1 (ko) 2001-05-04 2001-05-04 목걸이형 휴대폰 핸즈프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2618Y1 true KR200242618Y1 (ko) 2001-10-12

Family

ID=197069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3109U KR200242618Y1 (ko) 2001-05-04 2001-05-04 목걸이형 휴대폰 핸즈프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242618Y1 (ko)
WO (1) WO2002091795A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0051B1 (ko) * 1987-01-12 1992-01-06 제일제당 주식회사 재조합 α-인터페론의 정제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2091795A1 (en) 2002-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14553B2 (en) Ear-mounted transducer and ear-device
US6574345B1 (en) Structure of a wearable and hands free earphone
CN212696192U (zh) Tws骨传导耳机
JP3322849B2 (ja) 骨伝導スピーカー付モバイル通信装置
US20060120546A1 (en) Ear fixed type conversation device
JP2002164986A (ja) 難聴者用携帯電話機アタッチメント
US20070003094A1 (en) Earphone device integrated with microphone
JP2000341778A (ja) 骨伝導スピーカーを用いた送受話装置
JP2000165972A (ja) 骨伝導音声検出装置
KR200242618Y1 (ko) 목걸이형 휴대폰 핸즈프리
KR20070030391A (ko) 휴대용 단말기의 이어 마이크로폰 장치
KR20040003096A (ko) 스피커와 마이크를 합체시킨 이어마이크로폰
JP2004229147A (ja) 耳装着型の通話装置
KR100359447B1 (ko) 청각장애자용 이어폰 마이크
CN212231709U (zh) 具有麦克风架的耳机模块
KR200296816Y1 (ko) 스피커와 마이크를 합체시킨 이어마이크로폰
KR100606693B1 (ko) 음향 발생형 전자기기
GB2365654A (en) R.F. isolator for mobile telephones uses an acoustic tube
KR200233027Y1 (ko) 핸즈프리 용 이어폰 셋
KR200333799Y1 (ko) 이어폰 지지구 및 이를 구비한 무선 송수신 장치
JPH11289370A (ja) 電話装置
JP3073415U (ja) 携帯電話の通話装置
KR200345394Y1 (ko) 송수화기용 무선 헤드셋
KR200233067Y1 (ko) 이중 목적의 휴대 전화기용 이어폰
JP3059555U (ja) 腕時計型携帯電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80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