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3799Y1 - 이어폰 지지구 및 이를 구비한 무선 송수신 장치 - Google Patents

이어폰 지지구 및 이를 구비한 무선 송수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3799Y1
KR200333799Y1 KR20-2003-0026672U KR20030026672U KR200333799Y1 KR 200333799 Y1 KR200333799 Y1 KR 200333799Y1 KR 20030026672 U KR20030026672 U KR 20030026672U KR 200333799 Y1 KR200333799 Y1 KR 20033379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phone
support
ear
microphone
spea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66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동열
Original Assignee
삼성물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물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물산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3-00266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379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37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3799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Earpiece supports, e.g. ear hoo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83Reduction of ambient noi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사용자의 외이도에 밀착되어 외부의 소음을 방지하고 이어폰을 지지할 수 있는 이어폰 지지구와, 이 이어폰 지지구를 구비한 무선 송수신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탄성재질로 이루지며 중앙에는 통로가 형성되고, 일단에는 개구가 형성되어 이어폰에 결합하는 몸통부;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몸통부의 외주면에 성형되고, 상기 몸통부에서 상방으로 돌출된 복수개의 원판; 를 구비하여, 상기 이어폰이 사용자의 귀에 삽입될 때 상기 원판이 탄성 변형되어 귀구멍에 밀착되는 이어폰 지지구 및 이를 구비한 무선송수신 장치를 제공한다.
상술한 구성의 본 고안에 구성에 의해, 외부 소음의 유입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이어폰 지지구가 외이도 속에 밀착 고정되어 별도의 지지구가 필요없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이어폰 지지구 및 이를 구비한 무선 송수신 장치{Earphone supporting member and wireless tramsimitter- receiver device having thereof}
본 고안은 사용자의 외이도에 밀착되어 외부의 소음을 방지하고 이어폰을 지지할 수 있는 이어폰 지지구와, 이 이어폰 지지구를 구비한 무선 송수신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무선 송수신장치는 핸드폰 개인휴대 단말기등에 사용될 뿐아니라 카폰, 녹음재생용 카셋, CD 플레이어, 소형 라디오등 음향기기에 연결시켜 사용자가 스피커를 통하여 음향을 듣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최근들어, 휴대폰으로 통화시 휴대폰을 사용자의 귀에 밀착시켜 사용하는 데 따른 불편함 및 전자파상으로 인한 건강상의 문제로 인해 휴대폰 단말기 잭에 이어폰 및 마이크를 유선을 통해 연결하여 통화하는 사용자가 급증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유선을 이용한 이어폰 및 마이크는 사용자의 행동상 제약을 초래하고, 사용자가 움직이는 경우 구강부와 마이크의 거리가 변하게 되어 일정한 음성신호를 기대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휴대폰등의 개인휴대단말기와 무선으로 송수신이 가능한 무선 송수신회로에 스피커와 마이크를 설치한 무선 송수신장치가 개발되었다.
도 1을 참조하여 이러한 종래 무선 송수신 장치를 설명하면, 몸체부(2)의 배면에는 사용자의 귀에 삽입되어 수신되는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가 설치되고 , 몸체부 내부에는 무선 송수신 회로등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가 내장되며, 몸체부의 상부에는 사용자가 송/수화기(1)를 귀에 착용하였을 때 송/수화기(1)를 지지하는 귀걸이 지지부(2)가 형성되어 있고, 몸체부의 하부에는 사용자의 귀로부터 입까지의 거리만큼 연장된 연장봉(4)이 설치되며, 이 연장봉(4)의 종단에는 사용자의 음성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5)가 내장된다.
이러한 장치는 단순히 귀에 걸치므로서 설치가 가능하므로, 사용자는 두 손을 이용하지 않고 음성을 전달받거나 전달할 수 있어 통화시등의 경우에도 동작의 자유를 확보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귀걸이형 무선 송수신 장치는 첫째, 귀 걸이장치가 불안정하여 귀에 완전히 밀착시킬 수 없어, 신체의 움직임에 의해 탈착되기 쉬우며, 스피커에서 전해오는 음성신호를 명확하게 인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둘째, 이 귀걸이 장치는 귀 둘레에 접촉하여 사용자에게 불쾌함을 줄 수 있으며, 특히 안경을 착용하는 사용자에게는 안경 지지대와 무선 송수신장치의 귀 걸이부가 맞부딛혀 무선 송수신 장치가 제대로 착용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외부에 마이크로 폰을 설치함으로써, 외부의 소음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저지할 수 없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먼저, 귀 구멍에 삽입되는 이어폰 지지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상기 이어폰 지지구를 구비한 무선 송수신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이어폰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 지지구의 정면도
도 3은 도 2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 지지구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이어폰 지지구를 구비한 무선 송수신 장치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결합사시도
도 6는 본 고안에 따른 이어폰 지지구를 구비한 무선 송수신 장치가 귀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모습을 도시하는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이어폰 지지구
12: 원판
15: 이어폰 지지구
20: 무선송수신 장치
22: 스피커
23: 마이크로 폰
31: 통화 스위치
32: 볼륨 스위치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이어폰 지지구는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음성이 소통되도록 외이도의 방향으로 관통된 통로를 구비하고 단면보다 길이가 큰 형상을 가져 외이도 내부에 삽입되는 삽입 몸체와, 상기 삽입 몸체 후단에 형성되어 이어폰과 결합하는 결합부를 구비하여, 이어폰이 사용자의 귀에 삽입될 때 외이도 형상에 대응하여 삽입 몸체가 탄성 변형되므로 외이도에 밀착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삽입 몸체는 그 외주면에 상방으로 돌출된 복수개의 원판을 구비하여, 상기 이어폰이 사용자의 귀에 삽입될 때 외이도 형상에 대응하여 상기 원판이 탄성 변형되므로 외이도에 밀착한다.
이때, 상기 삽입 몸체의 일단에 형성된 개구에는 결합홈이 형성되므로서, 이어폰이 결합하게 된다. 이러한 구조로서 이어폰 지지구는 이어폰과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원판은 귀에 삽입되는 방향의 역방향으로 경사지게 되어 귀속에 삽입시 상기 원판의 탄성변형이 쉬워지며, 외부의 소음이 유입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는 상기 삽입 몸체가 선단의 단면보다 상기 후단의 단면이 확장되는 원추형 형상를 가지거나 또는 원통형 형상을 가져 이어폰이 외이도속으로 삽입될 때 상기 삽입 몸체가 외이도 형상에 대응하여 탄성변형함으로서외이도에 밀착하게 된다.
본 고안이 제공하는 무선 송수신 장치는 스피커,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는 마이크로 폰, 및 개인 휴대단말기의 통화음을 무선으로 수신하여 상기 스피커에 출력하며, 상기 마이크로 폰에 입력된 음성을 상기 개인 휴대단말기에 무선으로 송신하는 무선 송수신회로를 가지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부착되는 상술한 이어폰 지지구를 구비한다.
이때, 상기 몸체부의 배면에는 인체의 귓바퀴와 외이도가 이루는 각도에 대응하여 돌출되는 연장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스피커는 상기 연장부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이어폰 지지구는 상기 연장부의 단부에 결합한다.
또한, 상기 마이크로 폰은 귀 내부에서 발생된 음성을 입력받는 내장형인 마이크로 폰으로 상기 연장부 내부에 설치된다.
상기 스피커와 마이크로 폰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마이크로 폰을 지지하며, 스피커의 음성신호가 통과될 수 있는 통로가 형성된 지지부재를 더 구비한다.
무선 송수신장치의 몸체부의 표면에 사용자가 통화기능을 선택할 수 있는 통화 스위치와, 몸체부 일측면에는 스피커의 볼륨을 조절할 수 있는 스위치를 더 구비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 지지구(10)의 정면도이며, 도 3은 이어폰 지지구(10)의 단면도이다. 이어폰 지지구(10)는 몸체를 이루는 삽입 몸체(11)와 이 삽입 몸체(11)에서 상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원판(12)로 이루어지며 고무등의 탄성재질로 이루져 있어 탄성변형이 가능하다.
이어폰 지지구(10)의 삽입 몸체(11)의 중앙에는 속이 빈 통로(11a)가 형성된다. 이 통로를 통해 이어폰등의 스피커에서 나오는 음성이 외이도로 전해지며, 또한 이어폰에 마이크로 폰을 설치한 경우, 사용자의 음성이 이 통로를 통해 마이크로 폰으로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이어폰 지지구(10)의 삽입 몸체(11) 일단에는 결합홈 모양의 개구(11b)가 형성되어 이어폰에 결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가공방법에 따라 이어폰과 일체로 성형되는 구조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3의 이어폰 지지구(10)의 단면을 참고하면, 삽입 몸체(11)의 직경은 귀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축소된다. 이런 구조로 인해, 외이도의 직경이 점차 감소하는 것에 대응하여 이어폰 지지구(10)가 외이도에 깊숙이 밀착되어 삽입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어폰 지지구(10)의 삽입 몸체(11) 외주면에는 귀에 삽입되는 방향의 역방향으로 경사지도록 복수개의 원판(12)이 돌출된다. 이때 경사도(P, 도 3참조)는 대략 1~30도가 바람직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12도의 경사로 성형된다. 이로 인해 상기 원판(12)이 귀속에 삽입시 상기 원판(12)의 탄성변형이 쉬워지며, 외부의 소음이 유입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이 원판(12)은 고무등의 탄성재질로 만들어지며, 이어폰 지지구(10) 몸체부에 일체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원판(12)의 직경은 0.7cm ~ 1.5cm의 범위내가 바람직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1.1cm로 성형되어 있다.
또한 이 원판(12)은 귀속에 탄성변형되어 밀착 고정되어 이어폰 지지구(10)에 부착되는 이어폰등의 장치를 지지할 수 있는 힘을 제공한다. 이로 인해 종래의 이어폰에 사용되던 귀걸이 기구등의 이어폰 지지구가 필요없게 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이어폰 지지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이어폰 지지구는 원추형의 탄성 부재(15)로 중앙부에는 통로(15a)가 형성되며, 후단에는 결합홈(15b)이 형성되어 이어폰의 돌출부(미도시)가 결합한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폰 지지구(10)를 구비한 무선 송수신 장치(20)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6는 이어폰 지지구(10)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무선 송수신장치(20)는 스피커(22)와 내장 마이크로 폰(23), 사용자의 귀에 통화음을 출력하는 개인 휴대단말기의 통화음을 무선으로 수신하여 스피커(22)에 출력하며, 상기 마이크로 폰(23)에 입력된 음성을 상기 개인 휴대단말기에 무선으로 송신하는 무선 송수신회로(미도시)를 가지는 몸체부(21), 상기 몸체부의 배면에서 돌출된 연장부(21a), 및 상기 연장부(21a)의 단부에 결합되는 이어폰 지지구(10)를 구비한다. 구체적인 무선 송수신 회로에 관해서는 실용신안 출원 제01-19208호 등에 자세히 기술되어 있으므로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무선 송수신장치(20)의 몸체부(21)의 배면에 형성되는 연장부(21a)는 귓바퀴와 외이도가 이루는 각에 대응하는 경사로 돌출된다. 도 5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수평방향을 기준(A)으로 20~55도의 범위와 수직방향을 기준(B)으로 5~30도의 각도로 기울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수평방향을 기준으로 45도, 수직방향을 기준으로 20도 경사져 성형되어 있다.
몸체부 연장부(21a)의 끝 부분에는 스피커(22)가 부착되고, 이 스피커 앞부분에 내장형 마이크로 폰(23)이 위치하며, 스피커(22)와 상기 마이크로 폰(23) 사이에는 마이크로 폰(23)을 지지하며, 상기 스피커(22)의 음성신호가 통과될 수 있는 통로가 형성된 지지부재(23)가 설치된다. 지지부재(23)에는 마이크로 폰 주위를 둘러싸는 차단막(23a)이 설치되어 스피커(22)에서 나오는 소리가 마이크로 폰에 입력되는 것을 감소시키며, 또한 외이도내로 전달되는 사용자의 음성이 마이크로 폰으로 입력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무선 송수신장치(20)의 몸체부(21) 표면에는 통화스위치(31)가 설치되고, 이 통화스위치(31)의 누름신호를 개인 휴대단말기에 송신하는 회로가 무선 송수신회로에 더 구비되어 개인 휴대단말기를 조작하지 않고 무선 송수신장치(20) 상의 통화스위치(31)를 조작하기만 하여도 통화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무선 송수신장치(20)의 측면에는 볼륨 조절스위치(32)가 설치되며, 이를 조작함으로써 스피커(22)상에서 출력되는 음성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게된다.
도 7은 이어폰 지지구(10)가 부착된 무선 송수신 장치(20)가 사용되는 모습을 도시하는 사용상태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무선 송수신장치(20)의 몸체부(21)와 이어폰 지지구(10)가 이루는 각도는 귀 바퀴와 외이도가 이루는 각도에 대응되게 설계되어 있다. 따라서 이어폰 지지구(10)가 외이도 속으로 삽입되도록 무선 송수신장치(20)를 밀어넣은 다음, 외이도의 기울어진 각도에 맞도록 무선 송수신장치를 이어폰 지지구(10)를 축으로 회전시키면 도 7에 표시된 바와 같이 무선 송수신장치(20)가 사용자의 귀에 안정감있게 부착된다.
즉, 이어폰 지지구(10)가 외이도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원판(12)이 탄성 변형되어 일정한 지지력을 무선 송수신 장치의 연장부를 통해 몸체부에 제공하여 귀걸이등 별도의 지지장치가 필요없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원판(12)의 삽입방향의 역방향으로 경사져 있으므로 외부의 소음이 유입되는 것을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의 본 고안에 따른 이어폰 지지구 및 이를 구비한 무선송수신 장치에 의하면, 외부 소음의 유입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외이도 속에 밀착 고정되어 별도의 지지구가 필요없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5)

  1.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음성이 소통되도록 외이도의 방향으로 관통된 통로를 구비하고 단면보다 길이가 큰 형상을 가져 외이도 내부에 삽입되는 삽입 몸체와,
    상기 삽입 몸체 후단에 형성되어 이어폰과 결합하는 결합부를 구비하여,
    상기 이어폰이 사용자의 귀에 삽입될 때 외이도 형상에 대응하여 삽입 몸체가 탄성 변형되므로 외이도에 밀착하는 이어폰 지지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몸체는 선단의 단면보다 상기 후단의 단면이 확장되는 원추형인 이어폰 지지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몸체의 일단에 형성된 개구에는 결합홈이 형성되어 이어폰의 돌출부가 결합하는 이어폰 지지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몸체는 그 외주면에 상방으로 돌출된 복수개의 원판을 구비하여
    상기 이어폰이 사용자의 귀에 삽입될 때 외이도 형상에 대응하여 상기 원판이 탄성 변형되므로 외이도에 밀착하는 이어폰 지지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원판은 귀에 삽입되는 방향의 역방향으로 경사진 이어폰 지지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원판의 경사(P)는 1~30도의 범위 내인 이어폰 지지구.
  7. 스피커,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는 마이크로 폰, 및
    개인 휴대단말기의 통화음을 무선으로 수신하여 상기 스피커에 출력하며, 상기 마이크로 폰에 입력된 음성을 상기 개인 휴대단말기에 무선으로 송신하는 무선 송수신회로를 가지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부착되는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이어폰 지지구를 구비하는 무선 송수신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송수신 장치의 배면에는 인체의 귓바퀴와 외이도가 이루는 각도에 대응하여 돌출되는 연장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스피커는 상기 연장부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이어폰 지지구는 상기 연장부의 단부에 결합하는 무선 송수신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수평방향을 기준으로 몸체부와 경사진 각도(A)가 10~55도의 범위인 무선 송수신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수직방향을 기준으로 몸체부와 경사진 각도(B)가 5~35도의 범위인 무선 송수신 장치.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폰은 귀 내부에서 발생된 음성을 입력받는 내장형인 마이크로 폰으로 상기 연장부 내부에 설치되는 무선 송수신 장치.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와 상기 마이크로 폰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마이크로 폰을 지지하며, 상기 스피커의 음성신호가 통과될 수 있는 통로가 형성된 지지부재를 더 구비하는 무선 송수신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에는 상기 마이크로 폰의 둘레에 차단막이 설치되어 스피커의소리가 마이크로 폰에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무선 송수신 장치.
  14.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표면에는 사용자가 통화기능을 선택할 수 있는 통화 스위치를 더 구비하는 무선 송수신 장치.
  15.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 일측면에는 스피커의 볼륨을 조절할 수 있는 스위치를 더 구비한 무선 송수신 장치.
KR20-2003-0026672U 2003-08-19 2003-08-19 이어폰 지지구 및 이를 구비한 무선 송수신 장치 KR20033379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6672U KR200333799Y1 (ko) 2003-08-19 2003-08-19 이어폰 지지구 및 이를 구비한 무선 송수신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6672U KR200333799Y1 (ko) 2003-08-19 2003-08-19 이어폰 지지구 및 이를 구비한 무선 송수신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3799Y1 true KR200333799Y1 (ko) 2003-11-19

Family

ID=494196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6672U KR200333799Y1 (ko) 2003-08-19 2003-08-19 이어폰 지지구 및 이를 구비한 무선 송수신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379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6826B1 (ko) * 2006-12-21 2008-09-05 (주)지엔씨 헤드셋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6826B1 (ko) * 2006-12-21 2008-09-05 (주)지엔씨 헤드셋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31048B2 (en) Ergonomic earpiece with attachment mount
EP2145503B1 (en) Headset with exchangeable speaker
US6810987B1 (en) Earbud headset
EP3429223B1 (en) Sound output device and sound output method
US6574345B1 (en) Structure of a wearable and hands free earphone
US7123737B2 (en) Ear clasp headset
US7031485B2 (en) Ear mounting assembly for electronic component
US6681022B1 (en) Two-way communication earpiece
KR100796806B1 (ko) 목걸이형 무선 헤드셋
JP3140230U (ja) 受信機能付きメガネ
US8005252B2 (en) Personal communications earpiece
EP1843627B1 (en) A personal voice-transmitted device
EP1211872A1 (en) An accessory for a communication terminal
KR20050037435A (ko) 뇌전도 스피커를 구비한 휴대전화기
US20080240477A1 (en) Wireless multiple input hearing assist device
JP2006526295A (ja) オーディオ用ヘッドセット
WO2006070229A2 (en) Earphone
KR20140055716A (ko) 외부음향 청취 헤드폰
KR100730737B1 (ko) 골전도 헤드셋
KR200333799Y1 (ko) 이어폰 지지구 및 이를 구비한 무선 송수신 장치
KR101759970B1 (ko) 골전도 진동자 및 이를 이용한 반지형 통화 장치
KR100850988B1 (ko) 이탈방지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이어셋
KR200341662Y1 (ko) 모노 스테레오 겸용 무선 헤드셋
KR20210088201A (ko) 블루투스 안테나를 포함한 귀걸이형 무선이어폰 실리콘커버
KR20100024594A (ko) 외부음향 청취 이어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102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