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2552Y1 - 손톱소제 용구함 - Google Patents

손톱소제 용구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2552Y1
KR200242552Y1 KR2019990000871U KR19990000871U KR200242552Y1 KR 200242552 Y1 KR200242552 Y1 KR 200242552Y1 KR 2019990000871 U KR2019990000871 U KR 2019990000871U KR 19990000871 U KR19990000871 U KR 19990000871U KR 200242552 Y1 KR200242552 Y1 KR 20024255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ing tool
cleaning
nail
inclined surface
mag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08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6060U (ko
Inventor
이희평
Original Assignee
이희평
벨금속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희평, 벨금속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희평
Priority to KR20199900008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2552Y1/ko
Publication of KR2000001606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606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25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2552Y1/ko

Links

Landscapes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 Workshop Equipment, Work Benches, Supports, Or Storage Me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손톱소제 용구함에 관한 것으로, 각종 손톱소제용구의 보관과 인출이 용이하고 용구함 자체의 외관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인바, 용구함의 양측 몸체(1)(2)에 수납되는 각종 소제용구(10)가 외부에서 수평상태로 수납되도록 수납홈(3)의 바닥면(7)이 각 소제용구(10)의 형상에 일치되도록 경사면(7a)으로 형성되고, 이 경사면(7a)의 후부로는 소제용구(10)의 인출동작이 지렛대의 원리에 의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단턱(7c)과 역경사면(7b)이 형성되며, 소제용구(10)의 수납상태가 흐트러지지 않도록 수납홈(3)의 바닥면(7)에 강한 자력을 갖는 자석부재(8)가 매립되어 있고 양측 몸체(1)(2)간의 개폐동작은 또다른 자석부재(8a)(8b) (8c)에 의해 견고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손톱소제 용구함 {nail clipper set case}
본 고안은 손톱소제 용구함에 관한 것으로, 손톱소제용구의 보관과 인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용구함의 개폐동작을 안정적이고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손톱을 소제하기 위한 각종 용구를 보관하는 함에 관한 종래기술로는 공개실용신안 제98-65623호를 들 수 있는데, 이는 수용공간을 형성한 케이스 본체와, 이 케이스 본체에 힌지연결되어 복착되는 덮개와, 상기 힌지 연결부에 관공이 끼워져 회동가능한 연장부를 형성하여 상기 케이스 본체와 덮개 사이에서 사이에 끼이게 재치가능하고, 그 판면을 따라 필요한 용구의 수용이 가능하도록 수용공간을 구비한 재치판으로 이루어지는 손톱깎이 세트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재치판의 용구 수납홈에 자성체의 흡착부재를 형성하고, 상기 재치판의 용구 수납홈에 탄성편을 형성하며, 상기 수납홈의 높이보다 작게 턱부를 형성한 구조적인 특징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한 종래의 손톱깎이 셋트 케이스는 자성체의 흡착부재에 수납홈에 끼워진 철제의 소제용구가 부착되어 유동되거나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므로써 이의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한 장점을 가지고 있기는 하나, 수납홈에 끼워진 소제용구를 인출하기 위해 손가락을 삽입하기 위한 공간이 별도로 없었을 뿐만 아니라, 수납홈에 끼워진 상태에서 자력 또는 후크의 탄성력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소제용구를 집어 올리기가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고, 이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수납홈에 수납되는 소제용구가 수납홈 상면으로 어느 정도 돌출되어 있어야 했었음으로 수납된 상태가 미관상 좋지 않았었을 뿐만 아니라, 양쪽에 소제용구를 수납할 경우 소제용구의 포개짐이 가능하도록 케이스의 두께를 전체적으로 두껍게 형성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각종 손톱소제용구를 콤팩트한 공간 내에 수납 가능하도록 하고, 소제용구의 흐트러짐이 발생하지 않도록 케이스 내부에 수납한 상태에서 운반 및 보관이 가능하며, 수납홈에 삽입된 소제용구를 손쉽게 인출하고 사용후 재수납이 용이하고, 용구함의 개폐동작도 손쉽게 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일 측이 힌지 결합되어 개폐 가능한 용구함의 양측 몸체에 형성된 수납홈에 수납되는 소제용구가 외부에서 수평상태로 수납되도록 상기 수납홈의 바닥면이 각 수납용구의 형상에 일치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고, 이 경사면의 소정위치에는 소제용구의 인출동작이 지렛대의 원리에 의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단턱이 형성되며, 이 단턱을 경계로 상기 경사면과 반대로 역경사면이 형성되고, 이 역경사면의 둘레에는 손가락을 누를 수 있는 파지부가 형성되며, 상기 수납홈의 바닥면에는 여기에 수납되는 각종 소제용구의 수납상태가 흐트러지지 않도록 강한 자력을 갖는 자석을 매립시킨 손톱소제 용구함을 제공한다.
본 고안은 또, 상기 용구함의 양측 몸체가 상호 자력에 의해 포개진 상태를 유지하고 자석의 반발력에 의해 벌어져 용이하게 개폐시킬 수 있는 구조로 제작한다.
또한, 본 고안은 용구함의 몸체 외측에 다양한 재질과 다양한 색상으로 된 커버를 선택하여 부착하므로써 소비자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손톱소제 용구함의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손톱소제 용구함의 결합상태도,
도 3은 도 2의 A - A 선 단면도,
도 4는 도 2의 B - B 선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손톱소제 용구함에서 소제용구를 인출하는 상태를 도
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손톱소제 용구함의 닫힌상태 요부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손톱소제 용구함의 사시도,
도 8은 도 7의 C - C 선단면도,
도 9는 도 도 8과 대응되는 작동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몸체 3,4 : 수납홈
5,6 : 커버 7 : 바닥면
7a : 경사면 7b : 역경사면
7c : 단턱 7d : 구멍
7e : 파지부 8,8a,8b,8c : 자석부재
9 : 이동부재 9a : 손잡이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손톱소제 용구함을 도시한 분리 및 결합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본 고안의 손톱소제 용구함은 각각 내면에 여러 개의 소제용구를 수납하기 위한 수납홈(3)(4)이 형성되고 일 측이 상호 힌지 결합된 한 쌍의 몸체(1)(2)와, 이 몸체(1)(2)의 외측에 각각 부착되는 커버(5)(6)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커버(5)(6)는 다양한 소재와 무늬 및 색상을 갖도록 제작하여 양측 몸체(1)(2)외측에 접착식으로 부착하므로써 다양한 소비자의 요구를 만족시켜 줄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일측 몸체(1)의 내측면에 형성된 수납홈(3)의 바닥면(7)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제용구(도시 안됨)의 상면이 수평상태로 안치될 수 있도록 각 소제용구의 측면형상에 일치되도록 경사면(7a)을 갖도록 형성되고, 이 경사진 바닥면(7)의 소정위치에는 소제용구의 인출동작이 지렛대의 원리에 의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단턱(7c)이 형성되며, 이 단턱(7c)의 후방으로는 상기 경사면(7a)과 반대로 역경사면(7b)이 형성되어 소제용구를 하방으로 누를 수 있도록 하며, 수납홈(3)의 바닥면(7)에는 소제용구의 수납상태가 흐트러지지 않도록 강한 자력을 갖는 자석부재(8)가 매립되어 있다.
상기 수납홈(3)의 형상은 각 소제용구 예를 들면, 손톱깎이(네일 클리퍼), 측면 손톱깎이(사이드 네일 클리퍼), 손톱가위, 손톱다듬개, 줄, 족집게, 귀이개 등의 형상과 크기에 맞도록 성형할 수 있으며, 가능하면, 일측 몸체(2)에는 대체로 비철금속 또는 플라스틱제 위주로 제작된 소제용구를, 타측 몸체(1)에는 손톱깎이나 가위 등의 철제 소제용구를 배치하여 용도에 따른 구분 및 가지런한 정돈상태를 이룰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철제 소제용구가 수납되는 일측 몸체(1)의 수납홈(3)이 도 3 및 도 4에 각각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는데, 도 3은 도 2의 A - A선 단면도로서, 소제용구(10;도면에서는 손톱깎이의 일종인 사이드 네일 클리퍼)가 안치되는 형상에 맞도록 형성된 수납홈(3)은 중간부에 경사면(7a)을 갖는 바닥면(7)이 형성되어 있고, 이 경사면(7a)의 중심부에는 강한 자력을 갖는 자석부재(8)가 삽입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어 소제용구(10)의 상면이 수납홈(3)에 완전히 매립된 상태로 수평을 이루고 있다.
상기 도 3에 도시된 수납홈(3)에 수납되는 소제용구(10)인 사이드 네일 클리퍼는 자체의 형상이 곡선형으로 이루어져 있어 수납된 상태에서 그 후단(11)을 누르면 경사면(7a)의 자석부재(8)에 붙어 있던 상태가 해제되면서 머리(12)쪽이 상부로 들려지게 됨으로써 사용자가 여기를 잡고 올리면 꺼낼 수 있게 된다.
도 4는 도 2의 B - B 선 단면도로서, 수납홈(3)의 바닥면(7)이 일측으로 경사진 경사면(7a)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후단 측에는 상기 경사면(7a)과 반대방향으로 역경사면(7b)이 형성되어 상기 경사면(7a)과 역경사면(7b)의 경계에는 지렛대의 지지점 작용을 하게 되는 단턱(7c)이 형성된다.
상기 도 4에서 수납홈(3)의 바닥면(7)전방에는 소제용구(10)의 선단 하면 형상 즉, 하방으로 돌출된 누름판 고정핀(13)이 끼워질 수 있는 구멍(7d)이 형성되어 소제용구(10)가 수납홈(3)에 끼워진 상태에서 좌, 우로 유동되어 흐트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4의 수납홈(3)에서도 상기 도 3에서와 마찬가지로 경사면(7a)의 중간부에는 자석부재(8)가 매립 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수납홈(3)의 후단에는 손가락으로 누를 때, 손가락이 삽입 가능하도록 반구형의 홈으로 된 파지부(7e)가 형성되어있다.
상기한 도 4의 수납홈(3)에 삽입된 소제용구(10)를 인출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납홈(3)후단의 파지부(7e)측에 위치한 소제용구(10)의 후단(11)을 손가락을 사용하여 하방으로 누르면, 수납홈(3)의 바닥면(7)에 밀착되어 매립되어 있던 소제용구(10)가 경사면(7a)과 역경사면(7b)의 경계인 단턱(7c)을 지지점으로 해서 소제용구(10)의 전방이 들려지게 되는 것이며, 이때, 사용자는 다른 손가락으로 소제용구(10)의 머리(12)쪽을 집어 올리면 소제용구(10)의 인출이 가능해지게 된다.
도 6은 도 1 내지 도 5까지 도시된 실시예에 의한 소제용구함의 좌, 우측 몸체(1)(2)가 상호 포개진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각 몸체(1)(2)의 타측 둘레에는 서로 다른 극성을 갖도록 배치된 자석부재(8a)(8b)가 고정 부착되어 있어 상호 포개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각 몸체(1)(2)의 양측에는 상호 어긋나는 위치에 손잡이(9a)(9b)가 돌출 형성되어 있어 여기를 잡고 좌, 우측 몸체(1)(2)를 벌려 개방시키게 된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용구함을 도시한 것으로, 본 실시예에 의한 용구함의 소제용구 수납구조는 위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고, 다만, 좌, 우측 몸체(1)(2)간의 개폐구조가 다른데, 이는 일측 몸체(1)에는 표면에 극성(예를 들면, N극)을 갖는 1개의 자석부재(8a)가 고정 배치되어 있고, 타측 몸체(2)에는 표면이 서로 다른 극성(예를 들면, S극과 N극)을 갖는 2개의자석부재(8b)(8c)가 수평으로 이동 가능한 이동부재(9)상에 고정 배치되어 있으며, 이 이동부재(9)는 일측 몸체(2)의 테두리 측에 형성된 이동공간(P)내부에서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힘에 의해 일측으로 이동되고 다시 복원스프링(R)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이동부재(9)에는 외부에서 이 이동부재(9)를 이동시킬 수 있는 미끄럼방지면을 갖는 손잡이부(9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용구수납함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부재(9)가 복원스프링(R)힘에 의해 일측(예를 들면, 우측)으로 밀린 상태에서는 양측 몸체(1)(2)에 각각 배치된 상호 반대의 극성을 갖는 자석부재(8a)(8b)의 인력에 의해 닫힌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며, 몸체(1)(2)를 개방하고자 할 경우에는 일측 몸체(도면에서는 하부의 몸체(2))의 이동부재(9)를 화살표방향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이 이동부재(9)의 상부에 고정 배치된 2개의 자석부재(8b)(8c)중 표면이 상기 상부 몸체(1)에 고정 배치된 자석부재(8a)와 같은 극성을 갖는 자석부재(8c)가 상기 상부 몸체(1)의 자석부재(8a)와 같은 위치로 배치되므로써 양 자석부재(8a)(8c)간의 반발력에 의해 양쪽 몸체(1)(2)가 벌어지게 되는 것이며, 사용자는 벌어진 양측 몸체(1)(2)를 쉽게 개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사용자가 이동부재(9)로부터 손을 떼면 이동부재(9)는 복원스프링(R)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므로써 몸체(1)(2)를 포갤 경우 상, 하부 몸체(1)(2)간의 대응위치에는 배치된 양 자석부재(8a)(8b)간의 표면극성이 서로 다르므로 상호 인력에 의해 닫힌상태가 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수납홈의 바닥면이 경사면으로 이루어져 있어 여기에 수납되는 소제용구의 상면이 수평상태를 이룸으로써 잘 정돈된 상태가 됨은 물론, 바닥면에 매몰 설치된 자석부재에 의해 유동되지 않고 수납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는 것이며, 소제용구의 인출 시에는 경사면과 역경사면, 단턱 및 파지부에 의해 지렛대 작용으로 소제용구의 전방이 들려지게 됨으로써 용이한 인출 및 사용이 가능해지게 되는 것이고, 몸체의 양측에 여러 종류의 소제용구를 동시에 좁은 공간에 수용할 수 있으며, 몸체의 닫힌상태는 양측 몸체에 설치된 자석부재의 인력에 의해 견고하고 그 개방동작은 양 자석부재간의 척력에 의해 자동적으로 이의 개폐동작이 용이하며, 몸체의 외측에는 다양한 색상과 소재로 된 커버를 선택하여 부착할 수 있으므로 소비자의 욕구를 만족시켜 줄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3)

  1. 일측이 힌지결합되어 개폐가능한 한쌍의 몸체(1)(2)내면에 수납홈(3)(4)이 형성되고, 이 수납홈(3)(4)에는 각종 소제용구를 고정시키기 위한 탄성후크 또는 자석부재가 구비된 손톱소제용구함에 있어서,
    상기 수납홈(3)의 바닥면(7)은 소제용구(10)의 상부가 수평으로 수납가능하도록 소정의 경사면(7a)과 이 경사면(7a)의 후부가 상기 경사면(7a)과 반대로 기울어진 역경사면(7b)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몸체(1)(2)의 힌지결합부 반대측에는 각각 자석부재(8a)(8b)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톱소제 용구함.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홈(3)의 후단에는 손가락의 삽입이 가능하도록 파지부(7e)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톱소제 용구함.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 몸체(1)에는 극성을 갖는 하나의 자석부재(8a)가 배치되고, 타측 몸체(2)에는 상기 자석부재(8a)와 대향되게 서로 반대되는 극성부위가 표면에 노출된 두 개의 자석부재(8b)(8c)가 내설된 이동부재(9)를 입설시키되, 상기 자석부재(8b)(8c)의 배치는 몸체(1)(2)의 닫힘상태에서는 상기 자석부재(8a)(8b)가 반대극성으로 달라붙게 되고, 상기 이동부재(9)를 당기는 열림동작에서는 상기 자석부재(8a)(8c)가 같은 극성으로 서로 반발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톱소제 용구함.
KR2019990000871U 1999-01-23 1999-01-23 손톱소제 용구함 KR20024255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0871U KR200242552Y1 (ko) 1999-01-23 1999-01-23 손톱소제 용구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0871U KR200242552Y1 (ko) 1999-01-23 1999-01-23 손톱소제 용구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6060U KR20000016060U (ko) 2000-08-16
KR200242552Y1 true KR200242552Y1 (ko) 2001-09-25

Family

ID=547584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0871U KR200242552Y1 (ko) 1999-01-23 1999-01-23 손톱소제 용구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2552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3612B1 (ko) * 2009-08-31 2016-10-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제용기 거치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6060U (ko) 2000-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436036S1 (en) Ergonomic handle for carrying bags
USD477895S1 (en) Cosmetic container with round receptacles
US7604142B2 (en) Container system
CA2155687A1 (en) Small parts cabinet having self-ejecting bins
USD469223S1 (en) Cosmetic container with round receptacles
KR200242552Y1 (ko) 손톱소제 용구함
US6817581B1 (en) Bag hanging and storage device
KR200231465Y1 (ko) 손톱소제용구함
USD468869S1 (en) Hinged lipstick container
JP4397968B1 (ja) コンパクト容器
KR200253674Y1 (ko) 페이스 파우더 휴대용 콤팩트
KR200231463Y1 (ko) 화장 및 손톱소제용구 보관함
JP3130245U (ja) 眼鏡ケース
JP3260582B2 (ja) 蓋付容器
KR200306882Y1 (ko) 화장품 용기
KR200306879Y1 (ko) 손톱손질도구 케이스
CN215664861U (zh) 一种容纳装置
JPH0118115Y2 (ko)
JPS645544Y2 (ko)
KR200342344Y1 (ko) 다단 손잡이를 가지는 김치통
JPH0719140U (ja) 蓋付き携帯用ケース
KR200191582Y1 (ko) 화판을 겸할수 있는 가방
WO2016067109A1 (en) A side by side compartment housing device to be used as a coin or token holder
JP3021400U (ja) 小物入れ容器
JPH0511967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72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